KR100823388B1 -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388B1
KR100823388B1 KR1020060075939A KR20060075939A KR100823388B1 KR 100823388 B1 KR100823388 B1 KR 100823388B1 KR 1020060075939 A KR1020060075939 A KR 1020060075939A KR 20060075939 A KR20060075939 A KR 20060075939A KR 100823388 B1 KR100823388 B1 KR 10082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ite
information
component
content information
web accessi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358A (ko
Inventor
신원철
김권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익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416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33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익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익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07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3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목표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web accessibility servic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블록도 및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 모듈의 컨텐츠 편집 창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접근성 검사 기준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발명은 웹 접근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접근성을 검사하고 웹 접근성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제 인터넷은 이제 거대한 정보의 창고가 되었다. 이러한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 중의 하나는 정보격차의 발생이 다. 정보 격차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즉, 기반 시설의 문제인 인프라(infra)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특정한 장애 또는 특정 기능이 취약한 사람들의 계층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웹 접근성이란,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고령자 등) 든 인터넷 사용 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즉, 웹 콘텐츠에 접근하려는 모든 사람들에게 어떤 컴퓨터나 운영체제,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사용하는지와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웹 접근성에 대한 개념은 장애인들의 접근권을 위하여 그래픽 이미지나 비디오 자료와 같이 장애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콘텐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기보다는 이들 멀티미디어 콘텐츠들도 보다 광범위한 부류의 사람들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이미 웹 접근성에 대한 표준 및 미국 재활법 등에서 웹 접근성에 대한 규정을(예컨대,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정의한 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참고하여 정부 시책의 일환으로 웹 접근성에 대한 표준을 규정하고 권고 사항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웹 접근성에 대한 개념은 아직 많은 웹 개발자들 또는 웹 디자이너들에게는 아직은 생소한 영역이고, 실제로도 이러한 웹 접근성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웹 페이지 또는 사이트(site)들은 그다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표준을 개발자들이 모두 고려하여 개발하기에도 쉽지 않고, 말 로 규정된 이러한 웹 접근성에 대한 표준들을 어떻게 코드로 적용해야할지도 쉽지만은 않은 문제이다.
따라서, 웹 접근성에 대한 개념 또는 웹 접근성에 대한 표준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 없이 웹 사이트 또는 웹 컨텐츠가 얼마나 웹 접근성에 잘 부합하는지를 검사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실제로 코드 레벨로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서비스 및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웹 사이트 또는 그 웹사이트에 포함된 컨텐츠의 웹 접근성 부합 여부를 검사하고, 웹 접근성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 관련 가이드 라인 및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웹 접근성 검사 결과 제시된 해결책을 반영하여 바로 웹 컨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웹 사이트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목표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목표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접속된 상기 목표사이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목표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이트 트리 형태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성요소 검색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구성요소만을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조건은 링크 깊이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검사 기준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코드를 파싱하면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만나면 검색된 상기 검사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사 기준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검사 조건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검사 조건에 상응하는 검사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조건은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 오류 레벨, 또는 검사 대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 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웹 접근성 표준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 코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대상 코드는 웹 페이지 코드의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오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움말은 상기 오류 리스트에 상응하는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 또 는 오류 해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오류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목표사이트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기 위해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컨텐츠 편집 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편집 창은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사이트 뷰 영역,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영역,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오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오류 리스트 영역, 및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되는 도움말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움말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트 뷰 영역에 표시되는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구성 요소에 상응하는 오류 리스트를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오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오류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움말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오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오류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저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저장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편집 영역에서 편집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목표 사이트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분석모듈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분류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 분류모듈이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목표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목표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저장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분류부, 및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가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분석모듈을 전송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분류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 분류모듈이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는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성요소 검색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구성요소만을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검사 기준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코드를 파싱하면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만나면 검색된 상기 검사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하며,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미리 설정된 검사 조건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검사 조건에 상응하는 검사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기초하여 오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리스트 생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생성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생성하기 위한 도움말 생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기초하여 오류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한 보고서 생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기 목표사이트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편집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편집을 수행하여 편집된 컨텐츠를 상기 목표사이트에 반영하기 위한 컨텐츠 편집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 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블록도 및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1)은 인터페이스부(105), 데이터베이스(110), 및 분석부(120)을 구비한다. 상기 분석부(120)는 구성요소 분류부(121) 및 검사부(1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1)은 오류리스트 생성부(140), 도움말 생성부(150), 보고서 생성부(160), 및/또는 컨텐츠 편집 모듈(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출력된 목표 사이트(20)의 주소를 수신하고(S101)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목표 사이트(20)에 접속하고(S103), 접속된 상기 목표 사이트(20)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S104),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S105).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등 상 기 목표 사이트(20)의 주소(예컨대,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를 상기 서버(100)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면 된다.
또한, 상기 목표 사이트(20)는 인터넷 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스 코드를 상기 서버(100)가 획득할 수 있는 소정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완성된 웹 페이지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웹 접근성을 검사할 소정의 소스 코드를 포함하고 있기만 하다면 로컬 컴퓨터상의 디렉토리 또는 코드를 포함한 파일 등도 상기 목표 사이트(20)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목표 사이트(20)를 구성하는 각종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예컨대, HTML, XML, XHTML, 또는 SGML 등) 및/또는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 예컨대, CGI, C, BASIC, JAVA, PHP, SCRIPT 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는 수신된 상기 목표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S105).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베르누이 카트리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등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는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개의 테이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부(120)는 저장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부(120)는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 및 상기 검사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S106),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는 상기 수신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구성요소를 검색하고(S107), 검색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소정의 UI(User Interface)를 생성할 수 있다(S109). 또한, 생성된 상기 소정의 UI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11).
예컨대,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는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구성요소를 검색하여 사이트 맵(site map)을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사이트 맵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는 상기 목표 사이트(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검색하고, 어떠한 형태로든 검색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는 사이트 트리 형태일 수 있고 그래프 형태일 수도 있으며, 단순히 모든 구성요소를 나열하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검색하여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인 터페이스이기만 하면 그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 사이트 트리 형태는 상위 컨텐츠 또는 페이지를 부모 노드(parents node)로 표현하고, 상기 상위 컨텐츠 또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츠 또는 페이지는 자식 노드(child node)로 표현하는 구조를 가지는 모든 트리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트 트리의 일예는 도 2의 사이트 뷰 영역(2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생성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직접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서버(100)의 구성요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직접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구성요소 검색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구성요소만을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웹 페이지에는 수많은 링크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링크에 상응하는 컨텐츠는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가 아닐 수도 있으며, 이러한 링크들을 계속 따라가면서 상응하는 모든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필요없는 컨텐츠를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검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검색조건들을 사용자로 하여금 미리 설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목표 사이트(20)는 광고 링크 또는 관련 웹 사이트 링크를 포함 할 수도 있고 상기 광고 링크 또는 상기 관련 웹 사이트 링크에 상응하는 컨텐츠는 사용자가 웹 접근성을 검사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아니므로, 이러한 컨텐츠를 검색하지 않기 위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검색 조건은 링크 깊이 또는 URL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링크 깊이를 이용한 검색 조건은 미리 설정된 링크 깊이까지만 링크를 따라가면서, 상기 링크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구성요소로 검색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리 설정된 링크 깊이가 '2' 라면,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는 첫 번째 링크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첫 첫 번째 링크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두 번째 링크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 역시 검색한다. 하지만, 상기 미리 설정된 링크 깊이가 '2' 이므로, 상기 두 번째 링크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세 번째 링크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컨텐츠는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검색하지 않게 된다.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한 검색 조건은 상기 목표 사이트(20)와 URL 정보의 일부 이상이 같은 경우에만 구성요소로 검색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목표 사이트(20)가 "www.empas.com"이라면, "search.empas.com", "news.empas.com"등은 "empas.com"이라는 도메인 정보가 동일하므로,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상기 "search.empas.com", "news.empas.com"에 포함된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검색하지만, 상기 "www.empas.com"에 포함된 링크인 "www.naver.com"은 "empas.com"이라는 도메인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www.naver.com"의 컨텐츠는 검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URL 정보 중 호스트 이름의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예컨대, "news.empas.com"이 모두 동일한 경우)만 구성요소로 검색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검색조건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별도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100)에서 미리 설정된 초기 검색조건(default) 값으로 구성요소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로부터 출력된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111),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웹 접근성을 검사할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선택정보를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로 출력할 수 있다(S113).
즉, 사용자는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형태로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받게 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웹 접근성을 검사할 구성요소를 전부 또는 일부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선택정보는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검사부(123)는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한다(S119). 즉, 선택된 구성요소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검사부(123)는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로부터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5). 상기 선택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검사부(123)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부(123)는 수신된 상기 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예컨대, 해당 구성요소의 HTML 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17).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지만 구현예에 따라 상기 목표 사이트(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기 검사부(123)는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검사 기준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상기 검사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검사부(123)는 검색된 상기 검사 조건에 상응하는 검사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123)는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코드를 파싱하면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만나면 검색된 상기 검사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다.
즉, 상기 검사부(123)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또는 상기 목표사이트(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정보(예컨대, 해당 구성요소의 HTML 코드)의 구 문을 분석한다.
상기 체크 대상 코드는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코드들(예컨대, HTML 코드의 태그부분)일 수 있다. 웹 접근성의 부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웹 페이지의 코드 전체를 검사할 필요는 없으므로, 웹 접근성의 표준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들만 검색함으로써 웹 접근성의 부합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 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웹 접근성의 표준(예컨대,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또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제시한 KWCAG(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등 여러 국가 또는 단체별 지침)에 제시된 룰(rule)을 웹 페이지를 구현할 수 있는 상응하는 코드의 규칙으로 제시한 기준을 뜻한다.
상기 웹 접근성의 표준은 웹 페이지를 구현할 수 있는 코드의 룰로 제시된 것이 아니라, 자연어로 제시된 룰이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상기 자연어로 제시된 룰에 상응하는 코드의 규칙을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의 표준은 웹 문서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시각을 통하여 정보를 인지할 수 없거나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시각장애가 있는 경우, 청각을 통하여 음향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 신경계의 마비, 근골격계의 마비 또는 선천성 기형 등으로 신체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지체장애가 있는 경우, 읽기나 문장 이해력이 떨어지는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장애가 있는 경우, 문서에 적용된 언어에 따라 말하거나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장애가 있는 경우 - 예를 들면 외국어로 작성된 콘텐츠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시각, 청각 또는 손을 사용하고 있어서 필요로 하는 일을 할 수 없는 경우 - 예를 들어 운전 중이나 소음이 많은 곳에서 일하는 경우로 장애라기보다는 처한 환경에 따라 제한받는 경우, 사용하고 있는 웹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이 다름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사항들이 발생할 수 있는 예를 코드 규칙으로 작성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접근성 검사 기준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표에 도시된 Rule 항목의 코드 규칙은 웹 접근성 표준인 WCAG 1.0 지침에 포함된 「시각/청각적인 콘텐츠에 대해서는 그것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한다」라는 자연어로 제시된 룰 및 KWCAG 1.0 지침에 포함된 「인식의 용이성 : 글로 표현할 수 없는 콘텐츠를 제외하고 장애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라는 자연어로 제시된 룰을 코드 규칙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자연어로 제시된 룰에 상응하는 체크 대상 코드 중 이미지 태그(IMAGE TAG)의 alt 속성에 대한 규칙을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의 예시한 웹 접근성 표준의 룰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체크 대상 코드가 있을 수 있고, 도 3에서는 여러 가지 체크 대상 코드 중 이미지 태그의 alt 속성에 대한 코드 규칙을 예로 들고 있다. 상기 체크 대상 코드 및 상기 코드 규칙은 상기 목표 사이트(20)가 구현되는 언어(코드)의 종류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리포트 타입(Report type) 항목은 상기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코드가 Rule 항목에 포함된 코드 규칙에 위배된 경우에 오류 등급을 나타낸다. 예컨대, 어떤 코드 규칙에 위배된 경우에는 '에러(error)'가 리포트 타입일 수 있고, 다른 코드 규칙에 위배된 경우에는 '경고(warning)'가 리포트 타입일 수 있다. 이러한 오류 등급(에러 또는 경고 등)은 여러 등급으로 분류될 수도 있으며, 각 등급을 나타내는 명칭에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 기준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검사 기준에 상응하는 웹 접근성 표준의 지침(예컨대, WCAG 1.3.2의 지침)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검사부(123)는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검사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하고(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 기준),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코드를 파싱하면서 상기 체크 대상 코드(예컨대, 해당 마크업 언어의 태그부분)를 만나면 검색된 상기 검사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하며,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예컨대, 리포트 타입)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정보(예컨대, 해당 코드 자체 및 해당 코드의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S121).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구성요소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즉, 컨텐츠 의 코드)와는 별도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사부(123)는 미리 설정된 검사 조건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검사 조건에 상응하는 검사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123)는 상기 검사 조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소정의 저장장치에 저장해둘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초기 검사조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검사 조건은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 오류 레벨, 또는 검사 대상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검사 조건 중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표준(예컨대, WCAG 및/또는 KWCAG 등)에 대해서만 웹 접근성 부합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상기 검사 조건 중 오류 레벨은 오류 등급 중 원하는 오류 등급에 대해서만 검사 결과 보고를 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리포트 타입이 '경고'인 코드 규칙은 검사하지 않고 리포트 타입이 '오류'인 코드 규칙만 검사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조건 중 검사 대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검사하고자하는 컨텐츠만 선택하여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컨텐츠에 대해서만 검사하도록 설정하거나, 동영상에 대한 컨텐츠만 검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구성요소가 사이트 트리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생성된 경우라면, 루트(root) 노드로부터 소정의 깊이(depth)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검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웹 페이지의 일정한 상위 컨텐츠만을 검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 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검사 조건들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1)의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리스트 생성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류 리스트 생성부(140)는 상기 검사부(123)가 웹 접근성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 상기 체크 대상 코드 검사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S201) 전체 또는 일부의 오류 리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류 리스트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오류 리스트는 오류에 해당하는 코드, 오류 등급, 또는 전체 코드에서 오류에 해당하는 코드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오류 리스트는 오류에 해당하는 웹 표준성 지침(예컨대, KWCAG 1.2.1 등)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류 리스트가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는 배열, 리스트, 트리 등 다양한 데이터 구조로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오류 리스트 생성부(140)가 생성한 상기 오류 리스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고(S203)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으며(S601), 사용자는 상기 오류 리스트에 기초하여 오류 리스트에 상응하는 코드를 확인하고 웹 접근성 표준에 부합하도록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는 생성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생성한다.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는 생성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수신하고(S301), 수신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움말을 생성한다. 또는,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는 상기 오류 리스트 생성부(140)로부터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움말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는 생성된 상기 도움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도움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S601).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는 생성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상기 오류 리스트가 생성된 후 미리 생성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오류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오류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도움말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는 상기 오류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오류 항목에 대응하는 도움말 전체를 미리 생성하였다가, 사용자가 도움말을 요청하는 경우 미리 생성된 도움말 전체에서 해당하는 도움말 항목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특정 오류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하는 상기 특정 오류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도움말은 각각의 오류 항목에 상응하는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예컨대, KWCAG 1.3.2 지침) 또는 오류 해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오류 항목이 해당코드의 이미지 태그의 'alt' 속성에 대한 오류인 경우 상응하는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는 WCAG 1.0 및 KWCAG 1.0 일 수 있다.
상기 오류 해결 정보는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오류 항목이 해당코드의 이미지 태그에 대한 오류이고 'alt' 속성이 없는 경우라면 상기 오류 해결 정보는 'alt' 속성을 추가하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류 해결 정보는 도 3의 'Rule' 항목에 정의된 코드 규칙 각각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규칙 각각에 대응되는 오류 해결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류 보고서를 생성한다. 즉,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는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수신하고 (S401),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고서를 생성한다.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는 생성된 상기 보고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S403). 또한, 저장된 상기 보고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S601).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는 상기 오류 리스트 생성부(140)가 상기 오류 리스를 이미 생성한 경우라면, 상기 오류 리스트에 기초하여 오류 보고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오류 보고서는 검사 결과로 저장된 각각의 오류 항목에 대한 통계로 제 공될 수 있다. 예컨대, KWCAG 1.0 지침에 대한 오류의 갯수, KWCAG 1.1 지침에 대한 오류의 갯수 등 웹 접근성 표준에 따른 통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오류등급에 따른 통계(예컨대, 에러 10개, 경고 5개 등)로 분류될 수도 있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통계(예컨대, 이미지에 대한 오류 갯수, 동영상에 대한 오류 갯수 등)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기존의 보고서 등을 검색하여, 기존의 보고서와 현재 생성한 보고서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한 보고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는 생성된 상기 오류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고(S601),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오류 보고서에 기초하여 웹 컨텐츠를 편집 또는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상기 목표사이트(20)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출력되는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편집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편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별도의 웹 페이지 에디터 또는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 모듈의 컨텐츠 편집 창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기(10)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편집 창(window) 또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편집 창(200)은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사이트 뷰 영역(210),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영역(220), 오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오류 리스트 영역(230), 및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되는 도움말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움말 영역(2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컨텐츠 편집 창(200)의 인터페이스는 예시에 불과하고 각 영역의 위치 및 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편집 창(200)의 각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는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이 활성화되는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이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가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구성요소를 검색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검사부(123)가 선택된 구성요소를 분석하기 전에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이트 뷰 영역(210), 및 상기 편집 영역(220)에만 상응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편집 창(200)의 상기 편집 영역(2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에디터가 활성화될 수도 있지만,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기능을 갖는 웹 에디터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상기 검사부(123)가 선택된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상기 오류 리스트 및 상기 도움말이 생성된 후에는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230), 및 상기 도움말 영역(240)에도 상응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 (예컨대, 목표사이트의 컨텐츠 정보, 오류 리스트, 도움말 등)를 수신하고(S501),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창(20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503).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종래 공지된 웹 페이지 에디터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사이트 뷰 영역에 표시되는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구성 요소에 상응하는 오류 리스트를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트 뷰 영역(210)이 사이트 트리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사이트 트리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선택(예컨대, 클릭)하는 경우 상기 편집 영역(220)에는 선택된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코드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230)에는 상기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코드에 의하여 발생된 오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10)부터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230)에 디스플레이된 오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오류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상기 도움말 영역(2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230)에 디스플레이된 오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예컨대, 클릭)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오류 항목에 대응하는 도움말 항목을 상기 도움말 영역(2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오류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코드)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오류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한 오류 항목에 대응하는 코드를 상기 편집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도움말 영역(240)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류 해결 정보를 참고하여 컨텐츠를 편집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출력되는 저장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저장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편집 영역(220)에서 편집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목표 사이트(20)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편집 모듈(130)은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220)에서 편집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를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장치(예컨대, 목표 사이트의 서버)에 직접 저장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20)가 사용자가 편집한 내용을 반영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원래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미리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원래 코드가 저장된 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목표 사이트(20)를 구성하는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1)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앞 서 상술한 상기 서버(100)의 기능 또는 기능 블록들(예컨대, 구성요소 분류부 및/또는 검사부)의 일부가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한 상기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을 설치하여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1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분석모듈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목표 사이트(20)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분류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 분류모듈이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분석부(120), 상기 구성요소 분류모듈은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 그리고 상기 검사모듈은 상기 검사부(123)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분석부(120),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121),및 상기 검사부(123)가 수행하는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요소 분류모듈 및 상기 검사모듈이 생성하는 데이터는 상기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고,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리스트 생성부(140),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 또는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는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은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오류리스트 생성부(140), 상기 도움말 생성부(150), 또는 상기 보고서 생성부(160) 등도 상응하는 기능을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은 웹 사이트 또는 그 웹사이트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웹 접근성 부합 여부를 검사하고, 웹 접근성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 관련 가이드 라인 및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웹 사이트를 개발하는 개발자 또는 웹 디자이너는 웹 접근성에 대한 표준들을 고려하지 않아도 웹 접근성에 부합되는 웹 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 접근성 검사 결과 제시된 해결책을 반영하여 바로 웹 컨텐츠를 편집하고, 이를 웹 사이트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5)

  1.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목표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목표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접속된 상기 목표사이트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목표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 를 분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이트 트리 형태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성요소 검색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구성요소만을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 이스를 생성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조건은
    링크 깊이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검사 기준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코드를 파싱하면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만나면 검색된 상기 검사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기준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검사 조건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검사 조건에 상응하는 검사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조건은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 오류 레벨, 또는 검사 대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웹 접근성 표준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 코드 규칙을 포함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는
    웹 페이지 코드의 태그를 포함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오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말은
    상기 오류 리스트에 상응하는 웹 접근성 표준에 대한 정보 또는 오류 해결 정보를 포함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오류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목표사이트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기 위해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컨텐츠 편집 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 편집 창은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사이트 뷰 영역;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영역;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오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오류 리스트 영역; 및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되는 도움말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움말 영역을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트 뷰 영역에 표시되는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구성 요소에 상응하는 오류 리스트를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오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오류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상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움말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오류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오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오류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저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저장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편집 영역에서 편집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목표 사이트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23.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분석모듈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분류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 분류모듈이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모듈을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5.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목표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목표사이트의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저장된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가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분류부; 및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가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부를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분석모듈을 전송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 분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 분류모듈; 및
    상기 구성요소 분류모듈이 생성한 상기 구성요소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구성요소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검사모듈을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는
    상기 목표 사이트의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사이트의 구성요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분류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성요소 검색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구성요소만을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검사 기준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코드를 파싱하면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만나면 검색된 상기 검사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하며,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미리 설정된 검사 조건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검사 조건에 상응하는 검사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기초하여 오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리스트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생성된 상기 오류 리스트에 대응하는 도움말을 생성하기 위한 도움말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체크 대상 코드를 검사한 결과 및 상기 체크 대상코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류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한 보고서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35.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기 목표사이트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편집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 편집을 수행하여 편집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목표사이트에 반영하기 위한 컨텐츠 편집 모듈을 더 구비하는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060075939A 2006-08-11 2006-08-11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2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39A KR100823388B1 (ko) 2006-08-11 2006-08-11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39A KR100823388B1 (ko) 2006-08-11 2006-08-11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58A KR20080014358A (ko) 2008-02-14
KR100823388B1 true KR100823388B1 (ko) 2008-04-17

Family

ID=3934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939A KR100823388B1 (ko) 2006-08-11 2006-08-11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69A (ko) 2018-07-05 2020-01-31 김현욱 빅데이터 기반의 웹접근성 개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6738B2 (en) 2008-12-30 2013-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ification of data categorization
KR101417381B1 (ko) * 2012-10-31 2014-07-10 주식회사 인사이트랩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48128B1 (ko) * 2012-12-12 2014-10-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01902B1 (ko) * 2013-10-31 2017-02-06 주식회사 에스크레인 모바일접근성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722161B1 (ko) * 2016-01-06 2017-04-03 (주)포그리트 웹 사이트의 사용성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웹 사이트의 사용성 분석 방법
KR101950208B1 (ko) * 2018-12-04 2019-02-22 (주)에스앤씨랩 웹 접근성 및 개방성 평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216A (ko) * 2004-08-10 2006-02-15 재성 안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KR20060038486A (ko) * 2003-04-04 2006-05-04 엔에이치엔(주)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486A (ko) * 2003-04-04 2006-05-04 엔에이치엔(주)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60014216A (ko) * 2004-08-10 2006-02-15 재성 안 웹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이의 평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69A (ko) 2018-07-05 2020-01-31 김현욱 빅데이터 기반의 웹접근성 개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58A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763B1 (ko) 원격 모듈용 메시지 목록
KR100506322B1 (ko) 유저에 대한 액세스 가능성에 기초하여 컨텐츠를필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60784B1 (ko) 수신된문서에정보하이퍼텍스트링크를자동적으로부가하기위한시스템및방법
US8918713B2 (en) Module specification for a module to be incorporated into a container document
US7856601B2 (en) Dynamic service presentation
US8996682B2 (en) Automatically instrumenting a set of web documents
KR100823388B1 (ko)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70204010A1 (en) Remote Module Synd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0059282A (zh) 一种交互类数据的获取方法及系统
US20070136320A1 (en) Remote module incorporation into a container document
US200602772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ecking accessibility of web applications
US20090313536A1 (en) Dynamically Providing Relevant Browser Content
EP2035950A1 (en) A method of managing web services using integrated document
Acevedo et al. Guidelines for evaluating web accessibility, Level A.
KR100261265B1 (ko) 웹 문서 저작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2010186409A (ja) ホームページ作成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ホームページ作成支援装置とホームページ作成のためのクライアント装置
KR100852495B1 (ko) 웹 에디팅 시스템 및 웹 에디팅 시스템 제공방법
Arshad Privacy fox-A JavaScript-based P3P agent for Mozilla Firefox
Garofalakis et al. MokE: a tool for Mobile-ok evaluation of Web Content
Pandey et a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eb Portals used in Academic Institutions of Tribhuvan University
Hunt Cost effective software internationalisation
Dowling Web manager's handbook
Wint Veterinary Web-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what’s the point and what’s involved?
Cruickshank Name of module leader.... Colin Smith
Arrizabalaga et al. Designing web access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