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486A -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486A
KR20060038486A KR1020030021483A KR20030021483A KR20060038486A KR 20060038486 A KR20060038486 A KR 20060038486A KR 1020030021483 A KR1020030021483 A KR 1020030021483A KR 20030021483 A KR20030021483 A KR 20030021483A KR 20060038486 A KR20060038486 A KR 20060038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site
predetermined
adult
keyword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775B1 (ko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2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775B1/ko
Priority to PCT/KR2004/000665 priority patent/WO2004088542A1/en
Publication of KR2006003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엔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검색 엔진에 등록되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웹사이트가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의 주제와 상이한 검색 결과가 제공되지 않도록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소정의 필드 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및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색 엔진, 웹사이트, 등록, 성인 사이트, 키워드

Description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OF MANAGING REGISTERED WEB SITES IN SEARCH ENGINE AND A SYSTEM THEREOF}
도 1a는 웹사이트 검색 엔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b는 웹사이트 검색 엔진 서비스 방식 중 디렉토리 검색 방식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등록 후 변질된 웹사이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하여 소정의 성인 사이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만 사이트 또는 변질 사이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성인 키워드를 선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인기 키워드를 선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검색 로봇이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얻은 성인 사이트의 정보 유형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로 판별된 웹사이트의 등록자에게 소정의 제재 조치를 가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인터페이스 모듈 202 : 웹사이트 등록 모듈
203 : 웹사이트 관리 모듈 204 : 웹사이트 정보 DB
205 : 웹사이트 분석 모듈 206 : 키워드 관리 모듈
207 : 검색 로봇 208 : 검색어 분석부
209 : 성인 키워드 추출부 210 : 인기 키워드 DB
211 : 성인 키워드 DB 212 : 메일 서버
213 : SMS 서버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엔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검색 엔진에 등록되어 있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웹사이트에 포함되어 있는 실제 콘텐츠와 상이한 검색 결과가 제공되지 않도록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타비스타(http://www.altavista.com), 라이코스(http://www.lycos.com), 야후(http://www.yahoo.com) 등과 같은 통상의 검색 엔진은 통상 웹사이트 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 및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웹 상을 지속적으로 순회하면서 새로운 웹사이트 정보를 기계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검색 로봇(robot),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검색 엔진을 이용하는 이용자로 하여금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상술한 검색 엔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인터넷을 통해 검색 엔진 서버(150)로 접속한다. 사용자가 소정의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엔진 서버(150)는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140)로 해당 검색어에 대한 웹사이트 정보를 쿼리(query)하고,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140)는 해당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소정의 웹사이트 정보를 알려 준다. 검색 로봇(120)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웹 상을 지속적으로 순회하면서 웹 서버(160)로부터 새로운 웹사이트 정보를 기계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엔티티(entity)이다. 검색 로봇(120)은 네트워크 상에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기술된 문장을 탐색하고, 기재되어 있는 링크처를 파싱(parsing)하여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웹사이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와 같이 검색 로봇(12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화되는데,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화라 함은 웹사이트에 위치하는 소정의 정보에 대해 형태소 분석(morphological analysis)을 수행하고, 인덱스 테이블을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는 일련의 수순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검색 로봇(120)에 의해 수집된 모든 웹사이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140)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수많은 페이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물을 검색 용어와 일치되는 정확도의 순서로 나열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검색 엔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 엔진에 등록하고,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1) 상술한 바와 같이 검색 로봇을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전문 서퍼(surfer)의 검수를 거쳐 상기 웹사이트를 검색 엔진에 등록한다.
(2) 등록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주제에 따라 분류된 디렉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렉토리에 대해 상기 웹사이트 등록 신청을 하며, 전문 서퍼의 검수를 거쳐 검색 엔진에 등록된다. 검색 엔진에 따라 이러한 디렉토리 등록의 경우에는 소정의 등록료를 받고 등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의 방법 등으로 검색 엔진에 등록된 웹사이트는 소정의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에 따라, 통합 웹 검색 또는 디렉토리 검색 등의 다양한 검색 방식에 따라 검색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통합 웹 검색은 다른 용어로 "단어별 검색"이라고도 하는데, 이 검색 방법은 데이타베이스에 모든 웹사이트들의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RL)를 저장하고 특정 키워드(Keyword)를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찾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상기 디렉토리 검색은 다른 용어로 "주제별 검색"이라고도 하는데, 이 검색 방법은 각 분야별로 분류가 되어 있고, 원하는 분야를 링크하게 되면 그 분야의 세부 항목을 상세히 볼 수 있도록 하는 검색 방법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계속 링크해서 세부 항목을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2002년 한국 월드컵에서 한국팀의 경기 스코어를 찾고자 하는 경우, 스포츠 -> 구기종목 -> 축구 -> 월드컵 -> 한국/일본2002년 월드컵 -> 한국팀 경기 스코어 등의 방법으로 검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b에는 이러한 디렉토리 검색 방식의 일예가 출력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월드컵"에 대해 검색된 디렉토리로 "월드컵", "2002 FIFA 월드컵 한국 일본", "월드컵의 역사" 등의 디렉토리가 출력되고, 사용자는 상기 디렉토리 중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디렉토리로 이동함으로써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웹 통합 검색 방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검색 엔진으로는 카네기멜론 대학의 마이크 L. 몰딘이 개발한 라이코스(http://lycos.cs.cmu.edu) 검색 엔진을 들 수 있고, 상기 디렉토리 검색 방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검색 엔진으로는 야후(http://www.yahoo.com)를 들 수 있다. 현재 다수의 검색 엔진들은 상술한 검색 방법을 함께 서비스 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검색 엔진에의 웹사이트 등록 방법과 등록된 웹사이트의 검색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소정의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가 늘어나고, 그들이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가 많아 지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및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의 증가에 따라, 출현 빈도가 높은 검색어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출현 빈도가 높은 검색어(이하, "인기 키워드"라고 함)를 자신의 웹사이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전혀 무용한 콘텐츠가 포함된 웹사이트(이하, "기만 페이지"라고 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인기 키워드 중의 하나인 "피카츄"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피카츄"를 검색어로 입력한 경우, 웹사이트에 "피카츄"가 포함되어 있는 모든 등록된 웹사이트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 웹사이트들 중에서 콘텐츠는 성인물에 관한 것이면서, 웹사이트 중간 중간에 다양한(대부분의 경우 악의적인) 방법으로 "피카츄" 텍스트를 삽입한 웹사이트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성인물을 콘텐츠로 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정보가 상술한 인기 키워드의 삽입으로 인해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2) 검색 엔진에 등록될 당시의 웹사이트에 포함된 콘텐츠와 등록 이후 웹사이트에 포함된 콘텐츠가 다를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http://www.worldcup.com을 도메인 네임으로 하는 웹사이트가 있고, 상기 웹사이트가 디렉토리 등록으로서 스포츠 -> 구기종목 -> 축구 -> 월드컵으로 세분화되는 서브 디렉토리에 저장이 된 경우를 가정한다. 등록 이후, 상기 도메인 네임의 소유주가 바뀌는 등의 이유로 상기 도메인 네임으로 특정되는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월드컵 관련 내용에서 성인물 관련 내용으로 변질될 수 있다. 이러한 변질된 웹사이트(이하, "변질 사이트"라고 함)로 인해서 디렉토리 검색을 수행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불측의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3) 대부분의 검색 엔진 운영업체에서는 통상의 키워드에 대한 일반 웹사이트 등록 비용과 성인물 콘텐츠에 관현된 키워드에 대한 성인 웹사이트 등록의 경우 청구하는 등록 비용을 달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반 웹사이트보다 성인 웹사이트의 경우가 실정법 위반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검색 엔진 운영자 입장에서도 이러한 성인 웹사이트의 등록 관리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등록시에는 일반 콘텐츠와 통상의 일반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 엔진에 등록하고, 등록 이후에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바꾸어 성인물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술한 변질 사이트의 일종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검색 엔진 사용자의 불편 신고 또는 전문 서퍼 등의 인위적인 검색 없이는 이러한 변질된 웹사이트를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c는 이와 같이 등록 후 변질된 웹사이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된 도면은 소정의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된 결과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c를 참조하면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가 오락실 게임기기 등에 관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 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클릭하여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을 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오락실 게임기기 등에 관한 것이 아니라 성인물에 관한 것일 것이고, 오락실 게임기기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변질 사이트로 인해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사용자들의 고발 신고 또는 전문 서퍼 등의 전문 인력을 통한 등록 웹사이트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해결 방법은 상술한 문제점들에 대한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은 자명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인터넷 상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이 도출될 수 있다면 상술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기만 사이트 또는 변질 사이트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검출해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색 엔진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정확히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기만 사이트 또는 상기 변질 사이트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제재 조치를 가하도록 함으로써 검색 엔진에 등록되는 웹사이트 자체의 자정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기만 사이트 또는 상기 변질 사이트의 검출 및 검출된 상기 사이트들에 대한 경고 등의 제재 조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 검출을 위해 소요될 수 있는 다수의 인력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소정의 필드 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및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소정의 필드 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인기 키워드를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소정의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웹 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웹사이트가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만 사이트라 함은 웹페이지의 소스 파일 등에 다양한 방법으로 소정의 키워드 등을 삽입하여 검색어를 통해 검색되는 내용과 실제 웹사이트에 포함된 콘텐츠가 완전히 상이한 웹사이트를 의미한다. 즉, 성인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소정의 인기 키워드를 삽입함으로써, 그 실질적인 콘텐츠와는 달리 검색이 될 수 있는 사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변질 사이트라 함은 최초 검색 엔진에의 등록시 웹사이트의 주제와, 등록 이후 웹사이트의 주제가 상이한 웹사이트를 의미한다. 즉, 최초 검색 엔진 등록시에는 일반 사이트로 등록을 신청하여 검색 엔진에 등록을 하고, 추후에 성인 사이트로 콘텐츠를 바꾸는 경우이다.
부가적으로, 성인 사이트라 함은 19세 미만의 청소년들에게 매우 유해한 콘텐츠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를 의미하는데, 조사 결과로는 일반적으로 상기 기만 사이트의 대부분은 성인 사이트이고, 상기 변질 사이트의 대부분은 성인 사이트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기 키워드라 함은 인터넷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 중 그 출현 빈도가 매우 높은 검색어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인기 키워드는 그 당시의 사회 상황과 인터넷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인기 키워드에는 사회적으로 유해한 내용을 내포하고 있는 일종의 유해 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해 키워드의 예로는 "자살", "왕따", "도박", "범죄 모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성인 키워드는 성인 사이트에 포함된 다수의 성인물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의미하는데, 검색 엔진 운영업체에서 제공하는 인기 키워드의 순위를 참고하면 대체적으로 성인 키워드가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는 점에서 성인 키워드는 인기 키워드와 다소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모듈(201), 웹사이트 등록 모듈(202), 웹사이트 관리 모듈(203), 웹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204), 웹사이트 분석 모듈(205), 검색어 분석부(208) 및 성인 키워드 추출부(209)를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모듈(206), 검색 로봇(207),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0), 및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등록 웹사이트의 등록자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메일 서버(212), 또는 SMS 서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일 서버(212)와 SMS 서버(213)는 검색 엔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3자가 운영하는 시스템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인터페이스 모듈(201), 다종의 모듈들, 및 메일 서버(212) 또는 SMS 서버(213)가 별개의 엔티티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동일한 엔티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물리적으로도 동일한 장소에 위치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먼저, 인터페이스 모듈(201)은 소정의 웹사이트를 검색 엔진에 등록하고자 하는 등록자와 검색 엔진의 등록 관리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적 전송 장비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웹사이트 등록 모듈(202)은 상기 등록자로부터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등록 신청을 수신하고, 웹사이트 등록 신청에 포함된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 및 분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웹사이트 등록 모듈(202)은 웹사이트 등록에 대한 소정의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모듈(도시되지 아니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과금 모듈은 등록을 원하는 웹사이트의 종류(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일반 사이트 또는 성인 콘텐츠를 담고 있는 성인 사이트)에 따라 그 과금 내역을 달리 적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웹사이트 관리 모듈(203)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의 등록 관리를 총괄하는 모듈로서, 검색 로봇(207)이 수집한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웹사이트가 선정된 기준에 적합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비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웹사이트, 즉 기만 사이트나 변질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등록자에 대해 소정의 조치를 자동적으로 취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웹사이트 관리 모듈(203)은 메일 서버(212)나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서버(213) 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의 등록자에 대해 이메일을 발송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로 SMS를 전송함으로써 웹사이트의 부정 운영에 대한 경고를 할 수 있다.
웹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204)는 등록된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기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웹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204)에는 웹사이트의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RL), 일반 사이트 등록인지 또는 성인 사이트 등록인지를 표시하는 웹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해당 웹사이트의 키워드, 해당 웹사이트의 등록자 정보(등록자 이름, 주소, 이메일 주소,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등), 해당 웹사이트의 디렉토리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각 필드 별로 분류 및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정보는 시스템 관리자 및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에 의해서 수정될 수 있고,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바뀌는 경우 등록자가 직접 수정하지 아니하더라도 검색 로봇(207)이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 결과(해당 웹사이트의 URL 에 대응하는 새로운 키워드 등) 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해당 정보가 갱신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웹사이트 분석 모듈(205)은 검색 로봇(207)이 수집한 웹사이트의 정보를 분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검색 로봇(207)이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도 3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상술한다.
키워드 관리 모듈(206)은 웹사이트 관리 모듈(203)에서 소정의 웹사이트가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 될 수 있는 키워드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기만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성인 키워드 및 인기 키워드를 선정하고 이를 관리하며, 변질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성인 키워드를 선정하고 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키워드 관리 모듈(206)은 인기 키워드를 선정하기 위한 키워드 분석부(208)와 성인 키워드를 선정하기 위한 성인 키워드 추출부(209)를 포함한다. 키워드 분석부(208)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검색 엔진에 입력된 검색어를 기록하고, 검색어가 출현한 개수를 기록하며, 소정의 주기로 따라 출현 개수를 기준으로 검색어를 소팅(sorting)하는 방법으로 인기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성인 키워드 추출부(209)는 하나 이상의 성인 사이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성인 사이트의 웹페이지의 소스 파일을 분석하여 웹페이지 상에서 많이 출현하는 문자열을 추출함으로써 성인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인기 키워드는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0)에, 상기 선정된 성인 키워드는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에 각각 저장 및 관리되고, 새로운 인기 또는 성인 키워드가 발견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순히 기능적으로 구분된 것일 뿐, 각 구성 요소의 실제 물리적 위치와는 무관하다. 또한, 상술한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정 코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 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소정의 웹사이트를 검색 엔진에 등록하고자 하는 등록자는 등록을 원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와 함께 웹사이트 등록 신청을 한다(단계 305).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는 웹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정보 필드((등록자 이름, 주소, 이메일 주소,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등) 별로 분류되어 기록되고(단계 310), 상기 웹사이트는 검색 엔진에 등록된다(단계 315). 이러한 등록 단계(단계 315)는 몇 개의 루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먼저 상술한 것과 같이 웹사이트 관리자가 검색 엔진에 자신의 웹사이트의 등록을 의뢰함으로써 등록되는 경우가 있고, 검색 로봇이 웹 상을 무작위로 돌아다니면서 얻어온 웹사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웹사이트가 검색 엔진에 등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웹사이트 등록자 자신이 웹사이트의 주제(예를 들면, "피카츄", "변리사 시험" 등)를 정하여 상기 웹사이트의 주제와 가장 근접한 카테고리에 웹사이트의 등록을 신청하고, 신청된 웹사이트에 대해서는 전문 서퍼의 검수를 거쳐 소정의 조건(웹사이트의 완성도, 등록 비용을 지불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비상업적 사이트 요건 충족 여부 등)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검색 엔진에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검색 엔진에 등록되는 루트를 상기 등록자의 신청에 의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검색 엔진에 웹사이트가 등록되는 다종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단계 3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 방법은 검색 엔진을 구동하여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은 소정의 웹페이지를 크로울(crawl)하여 #TITLE, #BOBY, 또는 #ANCHOR로 구분되는 소정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정의 소스 파일을 독출하고(단계 325),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단계 330)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35). 상기 검색 결과 데이터의 일예는 도 5a 내지 도 5e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도 4a에는 이러한 성인 키워드의 선정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소정의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성인 키워드를 선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하나 이상의 성인 사이트를 선정한다(단계 405). 성인 사이트의 선정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등록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가 직접 선정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서 소정의 웹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필드를 검색하여 성인 사이트로 등록된 웹사이트 중 하나 이상이 자동적으로 선정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선정된 성인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추출하고(단계 410), 추출된 문자열 별로 빈도 수를 기록한다(단계 415). 빈도 수를 기록하기 위하여, 추출된 문자열을 테이블 형태로 기록하고, 해당 문자열이 한 번 추출될 때 마다 상기 테이블의 빈도 수 필드 값을 하나 씩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 검출된 문자열을 상술한 빈도 수를 기준으로 소정의 주기(일별, 주별, 또는 월별)마다 상기 기록된 문자열을 소팅(sorting) 하고(단계 420), 상위에 위치한 문자열들을 추출하여 이들을 성인 키워드로 선정하여 이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425).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성인 키워드 선정시에는 소팅을 하지 아니하고 검출된 문자열은 모두 성인 키워드로 선정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성인 키워드가 아닌 문자열이 성인 키워드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지만, 소팅으로 인한 성인 키워드 선정에 필요한 시스템의 부하 가중을 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단계 335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검색 로봇이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얻은 성인 사이트의 정보 유형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특정 유형은 성인 키워드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유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성인 키워드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 웹사이트는 성인 사이트로 판단할 수 있 다.
도 5a의 <유형 1>에는 성인 사이트의 유형 중 웹 문서 내에 다수의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RL)를 가지고 있고, 소정의 개수의 성인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성인 사이트의 검색 결과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의 <유형 1>에 도시된 유형의 경우에는 검색 엔진에서 사용되는 인덱서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에 대한 형태소 분석이 가능하므로,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자열 중에서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의 개수를 파악하는 것이 대체적으로 용이하다. 따라서, <유형 1>과 같은 경우에는 전체 문자열의 길이와 상기 문자열 중에서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의 비율, 즉 (문자열 중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웹페이지에 포함된 문자열의 전체 길이)*100을 하여 계산 결과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자열 중에서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 자체 만으로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한 웹페이지에 포함된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가 200 바이트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웹페이지가 포함된 웹사이트는 성인 사이트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b의 <유형 2>에는 성인 사이트의 유형 중 웹 문서 내에 다수의 성인 키워드를 공란 없이 그대로 붙여 사용한 성인 사이트의 검색 결과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유형 2>에 도시된 유형의 경우에는 검색 엔진에서 사용되는 인덱서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웹페이지에 포함된 총 문자열 중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이 몇 개 출현하였는냐 하는 성인 키워드의 출현 개수에 의하여 성인 사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c의 <유형 3> 에는 성인 사이트의 유형 중 웹 문서 중의 타이틀에 인기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고, 내용 부분에 다수의 성인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성인 사이트의 검색 결과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5c의 <유형 3>에 도시된 유형의 경우에도 상술한 도 5a의 방법에 따라 인덱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성인 사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d의 <유형 4>에는 성인 사이트의 유형 중 웹 문서 중의 타이틀 및 내용 부분에는 인기 키워드 및 성인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고, 앵커(ANCHOR) 텍스트에 다수의 성인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성인 사이트의 검색 결과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유형 4>에 도시된 유형의 경우는 검색 로봇이 소정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타이틀 및 내용 부분을 중심으로 검색 결과 정보를 반환한다는 점을 이용한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경우에는 앵커 텍스트를 분석하여 성인 사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앵커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열을 분석하여 상기 문자열 중에서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e의 <유형 5>에는 웹 문서에 성인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고, 타이틀 부분에 인기 키워드가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인 사이트의 검색 결과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유형 5>는 소정의 웹사이트로 들어가기 위한 초기 화면에는 성인 키워드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유형으로서, 최근 다수의 성인 사이트가 이와 같 은 유형을 가지고 있다. 즉, 성인 인증의 명목으로 초기 화면에서는 성인 키워드와는 전혀 무관한 주민등록번호 입력창 만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body의 키워드 추출로는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 자체를 성인 사이트의 일 유형으로 파악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방법으로, 검색 로봇이 해당 웹사이트를 크로울(crawl)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검색 결과 데이터를 #TITLE, #BODY, 또는 #ANCHOR로 나누어 기록하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전제 문자열 중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산정하고, 소정의 비율을 초과하는 사이트를 성인 사이트로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성인 키워드의 비율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유형 1>의 경우에는 인덱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유형 1>의 경우에는 성인 키워드의 길이와 웹 문서의 전체 길이의 비율을 산정하고 산정된 비율이 선정된 기준을 초과하는지를 기준으로 성인 사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율을 통한 성인 사이트 여부 판단 뿐 아니라,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자열 중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를 통하여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성인 사이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2 방법으로,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자열 중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이 소정의 개수 이상 나타나면 상기 웹페이지가 포 함된 웹사이트를 성인 사이트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는 인덱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즉 상술한 <유형 2>와 같은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단계 335에서 해당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도 3b의 단계 350으로 분기한다.
단계 350에서 성인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된 상기 웹사이트는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관리 방법에 따라 기만 사이트인지(분기 ①), 아니면 변질 사이트인지(분기 ②)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분기 ①에서, 상기 성인 사이트로 판단된 웹사이트가 기만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에 소정의 인기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55).
도 4b에는 이러한 인기 키워드의 선정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소정의 웹사이트가 기만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인기 키워드를 선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다수의 검색 엔진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 받는다(단계 455). 입력된 검색어 별로 빈도 수를 기록한다(단계 460). 빈도 수를 기록하기 위하여, 입력된 검색어를 소정의 테이블에 기록하고, 해당 검색어가 한 번 입력될 때 마다 상기 테이블의 빈도 수 필드 값을 하나 씩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입력된 검색어를 상술한 빈도 수를 기준으로 소정의 주기(일별, 주별, 또는 월별)마다 소팅(sorting) 하고(단계 465), 상위에 위치한 검색어들을 추출하여 이들을 인기 키워드로 선정하여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470). 이러한 인기 검색어는 단기간에 걸친 사회적 이슈 보다는 중장기적으로 꾸준한 인기가 있는 검색어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상, 기만 사이트의 웹페이지 소스 파일의 문자열에 포함될 수 있는 인기 키워드는 대체적으로 꾸준한 인기가 있는 검색어(예를 들면, "스타크래프트", "졸라맨" 등)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소정의 웹사이트가 기만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의 상기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에 소정의 인기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단계 355)일 수 있다. 기만 사이트의 유형으로는 도 5c에 도시된 성인 사이트 <유형 3> 또는 도 5e에 도시된 성인 사이트 <유형 5>를 들 수 있다. 단계 355에서 성인 사이트로 판단된 소정의 웹사이트의 소스 파일에 인기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사이트는 기만 사이트로 판단할 수 있고(단계 360), 기만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도 6으로 분기(단계 385)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대하여 소정의 조치를 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분기 ②에서, 상기 성인 사이트로 판단된 웹사이트가 변질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성인 사이트로 판단된 웹사이트의 등록정보를 검색한다(단계 365). 상술한 바와 같이, 변질 사이트는 종래 웹사이트 등록 당시에는 일반 사이트로 등록되었던 웹사이트가 등록 이후에 성인 사이트로 변질된 경우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된 상기 웹사이트의 웹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단계 370)하고, 성인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웹사이트의 경우에는 상기 웹사이트를 변 질 사이트로 판단(단계 375)할 수 있다.
단계 360 또는 단계 375에서 해당 웹사이트를 기만 사이트 또는 변질 사이트로 판단한 경우에는 도 6으로 분기(단계 380)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대하여 소정의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3b의 단계 360 또는 단계 375에서 기만 사이트 또는 변질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의 자동 제재 조치가 도시되어 있다.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웹사이트 관리 모듈은 웹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웹사이트의 등록자의 정보를 획득하고(단계 610), 웹사이트 관리 모듈은 상기 등록자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620 및 6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웹사이트 관리 모듈은 상기 등록자 정보에서 등록자의 이메일 주소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등의 연락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630), 메일 서버 또는 SMS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연락 정보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한다(단계 64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웹사이트 관리 모듈은 상기 등록자 정보에서 등록자의 기타 등록 웹사이트 정보를 추출(단계 660)하고, 동일한 등록자 명의로 등록된 기타 웹사이트에 대한 분석(단계 670)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동일 등록자 명의의 웹사이트라면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기만 사이트를 운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타 웹사이트의 분석 결과가 기만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610이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웹사이트가 상술한 분석 및 판단 방법에 의하여 기만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에게 자동 적으로 이메일, 단문자 메시지 등을 발송하여 해당 웹사이트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일정 유예 기간을 두어 시정을 요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유예 기간 경과 후 자동적으로 상기 분석 및 판단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시정이 안된 경우에는 등록 취소 등의 제재 조치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에게는 추후 다른 웹페이지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등록 절차를 까다롭게 하는 등의 제재를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페이지의 등록을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760)과 롬(ROM: Read Only Memory)(77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4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7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76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760) 및 롬(77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1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4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71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2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4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3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5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 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기만 사이트 또는 변질 사이트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검출해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색 엔진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정확히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기만 사이트 또는 상기 변질 사이트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제재 조치를 가하도록 함으로써 검색 엔진에 등록되는 웹사이트 자체의 자정 노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기만 사이트 또는 상기 변질 사이트의 검출 및 검출된 상기 사이트들에 대한 경고 등의 제재 조치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기만 또는 변질 사이트 검출을 위해 소요되던 다수의 인력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2)

  1.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소정의 필드 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및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의 합이 소정의 바이트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전체 문자열의 길이와 상기 문자열 중 상기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의 합의 비율이 소정의 값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RL)의 개수가 소정의 제1 개수 이상이고,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소정의 제2 개수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공백(space)이 없는 문자열의 길이가 소정의 바이트 이상이고,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인기 키워드를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인기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파일에서 ANCHOR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ANCHOR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인기 키워드를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인기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이 소정의 회수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파일에서 타이틀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의 타이틀 태그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성인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길이의 합이 소정 바이트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1.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소정의 필드 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인기 키워드를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소정의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웹 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기만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웹사이트가 기만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2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인기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2 기준은 상기 소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 중 상기 인기 키워드와 매칭되는 문자열이 소정의 회수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4.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소정의 필드 별로 분류하여 기록하는 단계;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소정의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성인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 가 변질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웹사이트가 변질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은 웹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변질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의 상기 웹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필드를 검색하여 상기 웹사이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웹사이트의 카테고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웹사이트가 일반 웹사이트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일반 웹사이트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를 변질 사이트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6. 제1항, 제11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성인 키워드를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관리자에 의해 성인 사이트로 판단된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문자열의 문자열 별 빈도 수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문자열을 상기 빈도 수에 따라 소팅(sorting)하는 단계;
    상기 소팅된 문자열에서 소정의 개수의 문자열을 성인 키워드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성인 키워드를 상기 성인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7. 제7항,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기 키워드를 상기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의 검색어 별 빈도 수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상기 빈도 수에 따라 소팅(sorting)하는 단계;
    상기 소팅된 검색어에서 소정의 개수의 검색어를 인기 키워드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인기 키워드를 상기 인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8.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은 웹사이트 등록자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의 웹사이트 등록자 필드를 검색하여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 정보에서 상기 등록자의 연락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연락 정보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 정보는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의 이메일 주소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이메일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발송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로 단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관리 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은 웹사이트 등록자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의 웹사이트 등록자 필드를 검색하여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웹사이트의 등록자 정보에서 상기 등록자가 등록한 다른 웹사이트의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RL)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소정의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웹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변질 사이트 또는 기만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된 웹사이트의 관리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2.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웹사이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등록 신청을 수신하고, 상기 웹사이트 정보를 소정의 필드 별로 분류하기 위한 웹사이트 등록 모듈;
    상기 웹사이트 정보 및 소정의 키워드를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수단;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기 위한 웹사이트 분석 모듈; 및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웹사이트가 기만 사이트 또는 변질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웹사이트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등록 관리 시스템.
KR1020030021483A 2003-04-04 2003-04-04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61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483A KR100610775B1 (ko) 2003-04-04 2003-04-04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PCT/KR2004/000665 WO2004088542A1 (en) 2003-04-04 2004-03-25 A method of managing registered web sites in search engine and a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483A KR100610775B1 (ko) 2003-04-04 2003-04-04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114A Division KR20040086733A (ko) 2004-01-15 2004-01-15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486A true KR20060038486A (ko) 2006-05-04
KR100610775B1 KR100610775B1 (ko) 2006-08-09

Family

ID=3312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483A KR100610775B1 (ko) 2003-04-04 2003-04-04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0775B1 (ko)
WO (1) WO200408854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789B1 (ko) * 2004-12-03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해 사이트 차단을 위한 다단계 텍스트 필터링 방법
KR100823388B1 (ko) * 2006-08-11 2008-04-17 주식회사 케익소프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40263B1 (ko) * 2010-07-07 2012-06-13 엔에이치엔(주) 텍스트 패턴 추출을 이용하여 웹문서를 정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05179A (ko) * 2019-02-28 2020-09-07 안상필 유해 사이트 현황 자동 수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829B1 (ko) * 1997-09-13 2000-01-15 전주범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성인 사이트 오픈 방지 장치
KR20010105960A (ko) * 2000-05-19 2001-11-29 이동진 인터넷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KR20010025209A (ko) * 2000-10-20 2001-04-06 고진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해 정보 차단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81774A (ko) * 2001-04-19 2002-10-30 주식회사 플랜티넷 유해사이트 데이터베이스 현행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789B1 (ko) * 2004-12-03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해 사이트 차단을 위한 다단계 텍스트 필터링 방법
KR100823388B1 (ko) * 2006-08-11 2008-04-17 주식회사 케익소프트 웹 접근성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40263B1 (ko) * 2010-07-07 2012-06-13 엔에이치엔(주) 텍스트 패턴 추출을 이용하여 웹문서를 정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05179A (ko) * 2019-02-28 2020-09-07 안상필 유해 사이트 현황 자동 수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775B1 (ko) 2006-08-09
WO2004088542A1 (en)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192A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resources on a network using resource evaluations derived from electronic messages
US8117208B2 (en) System for entity search and a method for entity scoring in a linked document database
KR100485321B1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US8326818B2 (en) Method of managing websites registered in search engine and a system thereof
US7346604B1 (en) Method for ranking hypertext search results by analysis of hyperlinks from expert documents and keyword scope
US8478737B2 (en) Segmentation of search topics in query logs
US7823065B2 (en) Lexicon-based new idea detector
US200501719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alyzing, storing, comparing and reporting on data stored in web and/or other network repositories and apparatus to detect, prevent and obfuscate information removal from information servers
US200802012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lation Between Search Terms in the Internet Search System
EP1450268A1 (en) Informa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44834A1 (en) Uniform resource locator canonicalization
KR100509276B1 (ko) 웹페이지별 방문인기도에 기반한 웹페이지 검색방법 및 그장치
JP2011154467A (ja) 検索結果順位付け方法および検索結果順位付けシステム
Jepsen et 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Web publications: Preliminary data gathering and analysis
JP2003173352A (ja) 検索ログ解析方法および装置、文書情報検索方法および装置、検索ログ解析プログラム、文書情報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610775B1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JP3547074B2 (ja) データ検索方法、その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20020062341A1 (en) Interested article serving system and interested article serving method
KR20040086733A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40098889A (ko)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1282837A (ja) 情報収集装置
KR100458458B1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JP2003173351A (ja) 情報解析、収集、検索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048590B1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de Alencar et al. Geotagging aided by topic detection with Wikip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15

Effective date: 200503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502

Effective date: 2006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