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837B1 -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837B1
KR100694837B1 KR1020050018023A KR20050018023A KR100694837B1 KR 100694837 B1 KR100694837 B1 KR 100694837B1 KR 1020050018023 A KR1020050018023 A KR 1020050018023A KR 20050018023 A KR20050018023 A KR 20050018023A KR 100694837 B1 KR100694837 B1 KR 10069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section
parts
vehicl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811A (ko
Inventor
박근화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8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8Electroluminescent pane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마운트, 스트러트, 부시 등)의 부식 및 산화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소정의 도포액으로 도포하는 장치에 도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를 수월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품 투입 및 취출구간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예열구간과, 1차 도포구간과, 1차 건조구간과, 2차 도포구간과, 2차 건조구간이 환형 배열을 이루며 차례로 구획되어 있는 원판 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1차 도포구간 및 2차 도포구간의 도포건중 하나에 마운트류 부품에 도포되는 도포액의 두께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인접 설치하여, 도포액이 도포되는 공정중에 도포막의 두께를 감지하여 도포상태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를 수월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차량용 마운트류, 도포액, 품질 평가 장치, 센싱수단, 하우징, 레이저 센서

Description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coating quality of mount parts for vehicl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을 도포하는 장치(원판 도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도 8은 원판도포기의 각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품투입 및 취출구간 12 : 예열구간
14 : 1차 도포구간 16 : 1차 건조구간
18 : 2차 도포구간 20 : 2차 건조구간
22 : 환형경로 24 : 지그
26 : 도포건 28 : 높이 조절용 로드
30 : 하우징 32 : 레이저 센서
34 : 클램프 36 : 볼트
38 : 표시창 40a,40b : 경보등
42 : 에어공급호스 44 : 분기호스
46 : 에어분사구 48 : 분사노즐
50 : 앰프 100 : 원판도포기
본 발명은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마운트, 스트러트, 부시 등)의 부식 및 산화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소정의 도포액으로 도포하는 장치에 도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를 수월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엔진 및 트랜스미션 그리고 현가장치 등은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엔진룸 등에 장착되는데, 상기 지지수단은 엔진의 구동으로 인한 진동을 완화/흡수하고 동시에 엔진의 중량에 견딜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므로, 상기 지지 수단의 위치, 수(數), 구조등은 엔진 및 파워트레인의 중량 및 구조, 차체 섀시, 보디의 구조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상기 지지수단을 개개 마운트(Mount)라고 칭하고, 엔진을 지지하면 엔진마운트라고 하고, 트랜스미션을 지지하면 트랜스미션 마운트라 칭한다.
대개, 상기 마운트는 메인케이스, 마운트, 부시 등이 하나로 조립된 부품으로서, 부식 또는 산화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소정의 도포액으로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5 내지 7은 각각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을 도포하는 장치는 소위 원판 도포기라 하며,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류 부품의 로딩(투입)과정→ 예열과정→ 1차 도포과정→ 건조과정→ 2차 도포과정→ 건조과정→ 제품 취출과정 등을 차례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원판 도포기의 각 파트별 구성을 보면, 작업자를 기준으로 그 정면에 제품 투입 및 취출구간(10)이 구획되어 있고, 시계방향을 따라 예열구간(12)과, 1차 도포구간(14)과, 1차 건조구간(16)과, 2차 도포구간(18)과, 2차 건조구간(20)이 환형 배열을 이루며 차례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원판 도포기(100)에는 각 구간을 반복 순환하는 환형 경로(22)가 구성 되어 있고, 이 환형 경로(22)에는 등간격으로 마운트류 제품을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시키는 지그(24)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1차 도포구간(14)과 2차 도포구간(18)에는 다수개의 도포건(26)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이 도포건(26)들은 높이 조절용 로드(28)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원판 도포기의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품 투입 및 취출구간(10)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기 환형 경로(22)에 장착된 지그(24)에 마운트류 부품을 올려주면, 마운트류 부품은 환형 경로(22)를 따라 순환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마운트류 부품은 용이한 도포를 위하여 예열구간(12)을 지나면서 예열된다.
연속해서, 상기 마운트류 부품은 1차 도포구간(14)을 지나게 되고, 이 1차 도포구간(14)에서 다수개의 도포건(26)으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에 의하여 그 표면이 도포된다.
다음으로, 도포액이 1차 도포된 마운트류 부품은 1차 건조구간(16)에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된다.
이어서, 1차 건조를 마친 마운트류 부품은 환형 경로(22)를 따라 2차 도포구간(18)으로 진입되어, 다수개의 도포건(26)으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에 의하여 그 표면이 2차로 도포된다.
다음으로, 도포액이 2차 도포된 마운트류 부품은 2차 건조구간(20)에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된다.
마지막으로, 2차 건조를 마친 마운트류 부품은 환형 경로(22)를 따라 제품 투입 및 취출구간으로 다시 이동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도포 완료된 제품을 직접 취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식 등의 방지를 위하여 마운트류 부품에 대한 도포액 도포 공정을 마치게 되면, 도포액의 도포상태에 대한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을 진행하게 되는데, 종래의 도포액 품질 평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운트류 부품에 도포액이 잘 도포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도포액이 도포된 마운트류 부품중 몇개를 샘플로 선택하게 된다.
이어서, 선택된 샘플의 표면(도포액이 도포된 표면)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칼집을 낸 후, 접착력을 갖는 테이프에 부착시킨 다음, 소정의 힘으로 샘플을 테이프로부터 떼어내게 된다.
따라서, 샘플의 표면으로부터 도포액 입자(가로세로 방향으로 칼집낸 것)가 테이프에 부착된 갯수(샘플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갯수)를 세어 기준으로 삼는 갯수를 넘으면 도포액의 도포상태를 불량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포액 입자가 테이프에 의하여 분리되는 이유는 도막 두께가 얇거나 도막 부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많은 마운트류 부품중 몇개의 샘플만을 검사하는 방법은 도포액 평가에 대한 정확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고, 제대로 된 품질 평가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테이프를 이용하여 도포액 평가를 시행하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을 소정의 도포액으로 도포해주는 원판도포기의 1차 및 2차 도포구간에 도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별도의 센싱수단을 설치하여, 도포액이 도포되는 공정중에 도포막의 두께를 감지하여 도포상태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를 수월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제품 투입 및 취출구간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예열구간과, 1차 도포구간과, 1차 건조구간과, 2차 도포구간과, 2차 건조구간이 환형 배열을 이루며 차례로 구획되어 있는 원판 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1차 도포구간 및 2차 도포구간의 도포건중 하나에 마운트류 부품에 도포되는 도포액의 두께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인접 설치하고, 상기 센싱수단과 연결되는 앰프를 상기 제품투 입 및 취출구간에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도포건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용 로드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과;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두께를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센서의 전면에 도포액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에어 분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에어 분사수단은 에어공급원과 연결된 에어공급호스가 상기 하우징의 배면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급호스로부터 분기된 분기호스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 및 측면 위치에 형성된 에어 분사구와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앰프는 레이저 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레이저 센서의 광량값을 표시하는 표시창과, 시각적 및 청각적 경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제품 투입, 예열, 1차 도포, 1차 건조, 2차 도포, 2차 건조, 제품 취출 등의 순서로 진행되는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도포 공정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도포 구간에 센싱수단을 설치하여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두께를 감지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그 감지값이 기준값 범위이면 마운트류 부품의 이후 도포공정이 그대로 진행되고,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수단의 경보 단계와 함께 불량으로 판단하여 해당 부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기준값 설정 방법은 마운트류 부품에 임의로 도포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별도의 테이프 측정법 또는 도막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도포된 부위의 도포액 두께를 측정하여 정상적인 도포부위 및 비정상적 도포부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상적인 도포부위와 비정상적인 도포부위에 대하여 상기 센싱수단의 두께 감지를 임의로 실시하여 정상적인 도포부위의 광량값을 정상적인 기준 범위값으로 설정하고, 그 외의 값은 기준범위값을 벗어난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을 도포하는 장치는 소위 원판 도포기(100)라 하여, 작업자를 기준으로 그 정면에 제품 투입 및 취출구간(10)이 구획되어 있고, 시계방향을 따라 예열구간(12)과, 1차 도포구간(14)과, 1차 건조구간(16)과, 2차 도포구간(18)과, 2차 건조구간(20)이 환형 배열을 이루며 차례로 구획되어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1차 도포구간(14) 및 2차 도포구간(18)에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도포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설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1차 도포구간(14)과 2차 도포구간(18)에는 다수개의 도포건(26)이 높이 조절용 로드(28)에 장착되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첫번째 도포건(26)이 부착된 높이 조절용 로드(28)의 하단부에 센싱수 단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싱수단은 크게 하우징(30)과 레이저 센서(32)로 구성되는데, 이 하우징(30)은 상기 도포건(26)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용 로드(28)에 클램프(34)를 이용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상기 하우징(30)의 측면에 볼트(36)와 같은 체결수단이 부착되고, 상기 높이 조절용 로드(28)의 하단부에 클램프(34)가 부착되며, 이 클램프(34)가 볼트(36)와 체결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30) 전체가 볼트(36)를 축으로 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레이저 센서(32)는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두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센싱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전면이 개방된 블럭 타입의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상기 레이저 센서(32)가 삽입 설치되어, 환형 경로(22)를 따라 이동하는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에 대한 두께 감지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 센서(32)는 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앰프와 연결되는 바, 이 앰프(50)는 상기 제품투입 및 취출구간에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품투입 및 취출구간에서 작업자와 인접된 컨트롤박스에 상기 앰프(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앰프(50)는 레이저 센서(32)의 감지신호를 받아 그 광량값을 표시하는 표시창(38)이 전면에 구성되어 있고, 또한, 경보수단으로서 파란색 및 붉은 색 경보등(40a,40b)과 경보음 발생기(미도시됨)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에는 레이저 센서(32)의 전면에 도포액이 묻어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센싱 방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액을 에어로 제거해주는 에어 분사수단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분사수단의 구성을 하나의 예로서 살펴보면,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공급원(미도시됨)과 연결된 에어공급호스(42)가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소정 위치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에어공급호스(42)로부터 분기된 분기호스(44)가 상기 하우징(30)의 개방된 전면 및 측면 위치에 형성된 에어 분사구(46)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에어 분사구(46)에는 니플 형태의 분사노즐(48)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공급호스(42)와 분기호스(44)를 통하여 에어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30)의 에어분사구(36)를 통하여 레이저 센서(32)의 정면쪽(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부분)으로 에어가 분사된다.
이에따라, 1차 및 2차 도포구간(14,18)에서 도포액이 도포되는 과정에서 도포액이 상기 레이저 센서(32)에 묻는 현상을 상기 에어 분사로 제거해줌에 따라, 레이저 센서(32)의 센싱 동작을 항상 정상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도포 품질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도포 공정은 제품투입→ 예열과정→ 1차 도포과정→ 건조과정→ 2차 도포과정→ 건조과정→ 제품 취출과정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마운트류 제품이 투입되어 예열된 후, 1차 도포구간(14)에서 첫번째 도포건(26)에 의해 1차 도포가 완료되면, 이때 1차 도포구간(14)의 첫번째 도포건(26)에 설치된 센싱수단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2차 도포구간(18)에서 첫번째 도포건(26)에 의해 2차 도포가 완료되면, 이때 2차 도포구간(18)의 첫번째 도포건(26)에 설치된 센싱수단의 센싱이 이루어진다.
즉, 레이저 센서(32)가 마운트류 제품의 표면(도포액이 도포된 상태)에 광조사를 하는 동시에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앰프(5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앰프는 레이저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그 광량값을 광량값 표시창(38)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센서(32)의 광량값이 기준값 범위이면 파란색 경보등(40a)이 점등(정상 도포로 판정)되어 마운트류 부품의 이후 도포공정이 그대로 진행되고,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면 붉은색 경보등(40b)이 점등(불량으로 판정)되는 동시에 경보음 발생기에서 경보음이 발생된다.
이에, 제어반(미도시됨)의 자동 제어로 인하여 환형 경로(22)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되고, 불량으로 판정된 해당 마운트류 부품을 작업자가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 센서의 광량값에 대한 기준값 설정은 다음과 같이 미리 설정 준비된다.
먼저, 마운트류 부품에 작업자가 임의로 도포액을 도포한 후, 기존의 테이프 측정법 또는 도막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도포된 부위의 도포액 두께를 측정하게 된다.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두께를 측정한 결과, 정상적인 도포부위 및 비정상적 도포부위를 판단한 다음, 이 정상적인 도포부위와 비정상적인 도포부위에 대하여 상기 레이저 센서의 두께 감지를 임의로 실시하여 그때의 광량값을 읽어낸다.
따라서, 마운트류 부품의 정상적인 도포부위에 대한 레이저 센서의 광량값을 정상적인 기준 범위값으로 설정하고, 그 외의 값은 기준범위값을 벗어난 것으로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운트류 부품에 대한 도포액 도포상태를 도포액이 도포되는 공정중에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를 수월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마운트류 부품의 표면을 소정의 도포액으로 도포해주는 원판도포기의 1차 및 2차 도포구간에 도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별도의 센싱수단을 설치하여, 도포액이 도포되는 공정중에 도포막의 두께를 감지하여 도포상태에 대한 품질을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를 수월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몇개의 샘플만을 테이프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부정확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휠씬 정확한 도포액 품질 평가를 얻을 수 있으며, 도포액 상태의 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되어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제품 투입 및 취출구간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예열구간과, 1차 도포구간과, 1차 건조구간과, 2차 도포구간과, 2차 건조구간이 환형 배열을 이루며 차례로 구획되어 있는 원판 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1차 도포구간 및 2차 도포구간의 도포건중 하나에 마운트류 부품에 도포되는 도포액의 두께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인접 설치하고, 상기 센싱수단과 연결되는 앰프를 상기 제품투입 및 취출구간에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도포건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용 로드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과;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두께를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센서의 전면에 도포액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에어 분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수단은 에어공급원과 연결된 에어공급호스가 상기 하우징의 배면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급호스로부터 분기된 분기호스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 및 측면 위치에 형성된 에어 분사구와 연통되게 연결되어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앰프는 레이저 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레이저 센서의 광량값을 표시하는 표시창과, 시각적 및 청각적 경보수단으로서 경고등과 경보음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5. 제품 투입, 예열, 1차 도포, 1차 건조, 2차 도포, 2차 건조, 제품 취출 등의 순서로 진행되는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도포 공정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도포 구간에 센싱수단을 설치하여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액 두께를 감지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그 감지값이 기준값 범위이면 마운트류 부품의 이후 도포공정이 그대로 진행되고,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수단의 경보 단계와 함께 불량으로 판단하여 해당 부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 설정 방법은 마운트류 부품에 임의로 도포액을 도포하는 단계와;
    별도의 테이프 측정법 또는 도막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도포된 부위의 도포액 두께를 측정하여 정상적인 도포부위 및 비정상적 도포부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상적인 도포부위와 비정상적인 도포부위에 대하여 상기 센싱수단의 두께 감지를 임의로 실시하여 정상적인 도포부위의 광량값을 정상적인 기준 범위값으로 설정하고, 그 외의 값은 기준범위값을 벗어난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방법.
KR1020050018023A 2005-03-04 2005-03-04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069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023A KR100694837B1 (ko) 2005-03-04 2005-03-04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023A KR100694837B1 (ko) 2005-03-04 2005-03-04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68U Division KR200393228Y1 (ko) 2005-06-01 2005-06-01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11A KR20060096811A (ko) 2006-09-13
KR100694837B1 true KR100694837B1 (ko) 2007-03-14

Family

ID=3762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023A KR100694837B1 (ko) 2005-03-04 2005-03-04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446B1 (ko) * 2015-11-26 2017-05-15 컨트롤코리아 주식회사 선택적 센싱이 가능한 비접촉식 평탄도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22B1 (ko) * 2012-02-17 2014-07-25 주식회사 미르기술 반투명 형광체를 포함하는 엘이디 부품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446B1 (ko) * 2015-11-26 2017-05-15 컨트롤코리아 주식회사 선택적 센싱이 가능한 비접촉식 평탄도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11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5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judging the sealing effectiveness of a sealed compartment
JP2009175708A (ja) 液晶滴下装置
KR100694837B1 (ko)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JPH04255568A (ja) 検査装置
CN102944826A (zh) Led测试装置、系统及方法
ATE396009T1 (de) Verfahren zur sitz- oder unwucht-prüfung eines werkzeugs
KR200393228Y1 (ko) 차량용 마운트류 부품의 도포 품질 평가 장치
KR101659890B1 (ko) 마스틱 실링용 비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스틱 실러 비전 검사 방법
US8000515B2 (en) Automatic detection of coating flaws
EP29579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in-holes in fiberglass and composite parts
US4337660A (en) Ultrasonic tire testing apparatus
US5054311A (en) Fully automated leak testing apparatus
JP2012068212A (ja) エンジン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3347385A (ja) ウェハ表面状態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09164123A (zh) X荧光光谱仪的样品预检方法及装置
CN206549936U (zh) 封胶检测装置
CN209486288U (zh) 一种雷达电动目标移动测试台
Ramamurthy et al. Novel instrumentation for evaluating stone impact wear of automotive paint systems
JP3685910B2 (ja) 光学式距離測定装置の検査装置
CN207050769U (zh) 发动机装配防错装机构以及发动机装配防错装系统
CN101023340B (zh) 检查机动车车身零件喷涂的方法和装置
CN201273856Y (zh) 影像感测芯片的检测装置
CN110006783A (zh) 一种全自动流出杯式粘度测定仪
CN108956453A (zh) 一种密封件剥离及测试装置
KR101440083B1 (ko) 크러쉬 패드의 비전 검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