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431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431B1
KR100694431B1 KR1020060013608A KR20060013608A KR100694431B1 KR 100694431 B1 KR100694431 B1 KR 100694431B1 KR 1020060013608 A KR1020060013608 A KR 1020060013608A KR 20060013608 A KR20060013608 A KR 20060013608A KR 100694431 B1 KR100694431 B1 KR 10069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torage medium
user
key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매체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를 파티션 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사용자로부터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매체의 파티션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파티션 재설정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파티션을 설정할 저장매체가 현재 작동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이면, 저장매체 사용 중단 요청을 하고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이지 않으면, 상기 파티션 설정 정보에 따라 파티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파티션, 저장장치, 저장매체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A store media partition setting up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구성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파티션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파티션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파티션을 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파티션을 조절하기 위한 키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설정 작업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너 102 : VSB복조부
104 : 역다중화부 106 : 오디오처리부
108 : 비디오처리부 11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112 : 제어부 114 : 저장부
116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저장매체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의 파티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의 개념으로 출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저장매체를 내장하고 있는데, 저장매체는 통상적으로 디스크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또는 하드디시크 드라이브 등 여러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백 GByte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 주로 사용된다. 저장매체는 디스크라고 불리는 자성 물질로 코딩된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된 원형 평단(circular platter)에, 헤드라고 불리는 전도성 코일을 통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록매체이다. 디스크는 한면 또는 양면에 트랙(track)이라고 하는 수천개의 동심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트랙은 섹터(sector)로 나누어 진다. 한섹터에는 디스크에 블럭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와 같은 용량의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출하기 위해서는 로우 레벨 포멧(low level format), 파티션(partition), 및 하이 레벨 포멧(high level format)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파티션은 한개의 물리적 저장매체를 가상으로 여러개로 나누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파티션이 필요한 이유는 과거의 MS-DOS 3.3 이전에 32 Mbyte 이상의 저장매체를 하나의 드라이브로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FDISK 등의 명령을 사용하여 32 MByte 단위로 저장매체를 쪼개서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MS-DOS 4.0부터는 관리할 수 있는 저장매체의 용량이 2G byte로 늘어 났으며, FAT32 를 사용하는 OSR2와 윈도우 98 이후에는 2 TByte(=1024 GByte)의 저장매체를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파티션의 사용은 저장매체의 용량제한 때문이 아니라,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매체를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즉, 저장매체를 하나 이상의 파티션 블럭으로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관련있는 파일을 하나의 파티션 블럭에 저장하여 파일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백업을 위한 영역의 확보 및 스캔디스크나 디스크 조각모음과 같은 유틸리티를 해당 파티션 블럭에서만 실행되도록 하여, 실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파티션 후에는, 각 파티션 블럭에 대해 별도의 포멧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의 포멧은 하이 레벨 포멧을 의미하며, 저장매체의 초기화 작업을 말한다.즉, 사용자가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 관리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것으로, 저장매체를 구성하는 트랙, 섹터 등과 같은 정보를 구분하고, 각 파티션 블럭의 앞부분에 저장매체의 구조 정보를 생성하여 보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기록매체로 저장매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저장매체를 일반 컴퓨터 등에 연결해서 한개 이상의 파티션 블럭을 설정하고, 각 파티션 블럭에 대해 포멧을 수행한 후,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접속하여 사용해 야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들은 기존에 설정된 파티션 블럭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파티션 블럭을 생성하고, 파티션 변화에 따른 포멧을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를 사용자가 원하는데로 파티션을 새로 나누거나 파티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매체의 파티션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파티션 재설정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파티션을 설정할 저장매체가 현재 작동중인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이면, 저장매체 사용 중단 요청을 하고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이지 않으면, 상기 파티션 설정 정보에 따라 파티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작동중이 저장장치를 중단하지 않으면 파티션 설정 작업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외장 하드디스크, 플래쉬 메모리중 적어도 하 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 설정 화면에는 저장매체의 파티션 구분에 따른 드라이브, 상기 각 드라이브의 속성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상기 각 파티션에 저장된 파일 종류를 나타내는 내용, 상기 각 파티션의 문제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상기 각 파티션의 총 저장가능 공간을 나태내는 용량, 상기 각 파티션의 저장가능한 공간을 나타내는 남은공간, 상기 각 파티션의 남은 공간을 비율로 나타내는 공간비율, 상기 각 파티션의 결함상태를 나타내는 내결함성, 각 파티션을 구분해주는 파티션 구분 기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 설정 실행 명령은 파티션 분배, 파티션 분할, 파티션 병합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구성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티션 구성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100), 상기 입력신호를 디지털로 복조하기 위한 VSBS복조부(102), 상기 복조된 신호를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정보 신호로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104), 상기 디멀티플렉서(104)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신장/복원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106), 상기 디멀티플렉서(108)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 록 휘도 및 색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처리부(108),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12),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필요한 정보의 저장 하기 위한 저장부(114),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사용자가 입력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명령에 따라 파티션 설정 화면를 표시하고 저장매체의 파티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변경 및 삭제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114)는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기록 저장되는 저장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HDD, 외장하드, 플래쉬메모리등이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파티션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매체에 대한 파티션 설정 정보 화면(200)은 파티션 구성표(202), 파티션 설정 막대 그래프(204)로 구성된다.
상기 파티션 구성표(200)는 저장매체의 파티션 구분에 따른 드라이브, 레이아웃, 내용, 상태, 각 파티션의 저장가능한 용량, 남은공간, 남은공간비율, 내결함성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브는 새로운 파티션이 구성될 때마다 알파벳으로 명칭이 생성되고 파티션이 삭제되면 줄어들게 된다.
상기 내용은 각 파티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형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도 있다.
상기 용량은 각 파티션에 대한 디스크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는 각 파티션마다 100GB씩 나누어져 있다.
상기 남은공간은 현재 파티션에서 사용중이 않은 디스크공간을 나타내며, 파티션을 조절하거나 생성할 때, 중요한 정보가 된다.
상기 파티션 설정 막대 그래프(204)는 각 파티션 구분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매체의 정보에 대한 표현은 도 2처럼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 형식과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3D형식으로도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막대로 표현된 파티션 설정 화면에서의 조절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도 2에서 도시된 표 형식에서도 직접 사용자가 수정함으로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파티션 변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파티션을 삭제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파티션을 설정하기 위한 키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저장매체의 구성은 3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진 상태이다.
파티션A:(300), 파티션 포인트 1(302), 파티션B:(304), 파티션 포인트 2(306), 파티션C:(308)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진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중인 파티션B:(304)가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 파티션A:(300)의 여유공간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여기서, 도 3,4,5의 과정을 입력키와 관련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6를 잠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저장매체의 파티션 설정을 위한 메뉴키는 상향키(600), 하향키(602), 좌측키(604), 우측키(606), 선택키(select)(608), 인서트키(Insert)(610), 델리트키(Delete)(612), 컴플리트키(Complete)(614), 엑시트(Exit)(616)로 구성된다.
상기 상향키(600)와 상기 하향키(602)는 파티션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좌측키(604)와 상기 우측키(606)는 파티션 포인터간의 이동과 파티션 포인터 자체의 이동을 할 때 사용되며, 상기 선택키(608)는 크기를 조절할 파티션의 선택이나 조절할 파티션 포인터를 선택할 때 사용된다.
상기 인서트키(610)는 선택된 파티션을 분할하기 위해 새로운 파티션 포인터를 생성할 때 사용된다.
상기 델리트키(612)는 두개의 파티션을 하나로 합치기 위해 파티션간의 구분 인 파티션 포인터를 삭제할 때 사용된다.
상기 컴플리트키(614)는 사용자가 파티션 설정이 완벽히 재구성 되었다고 생각했을 때, 해당 키를 눌러 새로 설정된 파티션 구성으로 변경할 때 사용한다.
상기 엑시트키(616)는 파티션 변경중 작업을 잘못하였거나 실수로 파티션 변경 명령을 잘못 입력하였을 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할 때 사용한다.
상기 설명된 도 6를 참조로, 상기 파티션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파티션 설정 명령키를 입력하면 도 3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최초 커서는 파티션 A:(300)에 존재하며 커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나타난다.
현재 파티션 B:(304)의 크기를 늘리기 위한 과정이기 때문에 파티션 포인트 1(302)로 이동해야 한다.
우측키(606)를 이용하여 상기 파티션 포인트1(302)로 이동하고 선택키(608)를 누른다. 상기 파티션 포인트 1(302)가 선택되면 좌측키(604)를 눌러서 원하는 크기만큼 늘려준다.
이때, 파티션 A:(300)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빈 공간의 크기를 잘 확인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원하는 만큼 파티션 포인트 1(302)를 이동하였으면 다시 한번 상기 선택키(608)를 눌러서 선택해제를 한다.
사용자가 설정이 완료되면 컴플리트키(614)를 눌러서 변경된 구성으로 재구성 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4에서와 같이 파티션 C:(308)를 두개의 파티션으로 나누는 경우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파티션 설정 명령키를 입력하면 도 4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최초 커서는 파티션 A:(300)에 존재하며 커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나타난다.
우측키(606)를 이용하여 파티션 C:(308)까지 커서를 이동시킨다.
변경하려는 파티션 C:(308)로 이동하면 선택키(608)을 눌러 선택한다.
커서가 파티션 C:(308)로 이동되면 새로운 파티션 포인트를 생성하기 위해 인서트키(610)를 입력한다.
상기 인서트키(610)를 입력하면 새로 파티션 포인트 3(400)이 생성된다.
크기가 100GB였던 파티션 C:(308)를 60GB와 40GB로 분할하여 새로 생성된 파티션 C:(402)와 파티션 D:(404)로 재구성된다.
구성이 완료되면 컴플리트키(614)를 입력하여 파티션 재설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파티션을 삭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티션 B:와 파티션 C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파티션 설정 명령키를 입력하면 도 5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다.
최초 커서는 파티션 A:(300)에 존재하며 커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나타난다.
우측키(606)를 이용하여 파티션 포인트 2(500)으로 이동하여 선택키(608)을 누른다.
파티션 포인트 2(500)가 선택되면 델리트키(612)를 누른다. 상기 델리트키(612)가 입력되면 파티션 포인트 2(500)가 삭제되고 하나의 새로운 파티션 B:(502)가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구성이 완료되면 컴플리트키(614)를 입력하여 파티션 재설정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 가지 경우에 있어서, 빈공간을 이용한 크기 확장이나 새로운 파티션이 생성될 때에는 기존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파티션을 합치는 경우에는 기존 데이터가 삭제가 되기 때문에 파티션 재설정 이전에 백업(back up)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다른 실시 예로는 버퍼드라이브를 구성하여 백업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설정 작업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파티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700),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저장매체의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702).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저장매체의 파티션 설정 화면에 대해서는 도3 내지 도5 에서 설명하였다.
사용자로부터 저장매체의 파티션 재설정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704) 파티션을 재설정하기 이전에 현재 사용자가 저장매체를 사용중인지를 확인한다(706).
상기 저장매체가 사용중이라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매체의 사용을 중단할 것을 요청한다(708).
상기 요청하는 방법은 OSD나 소리 등을 이용하여 알릴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매체의 사용을 중단하지 않으면 파티션 설정 작업을 취소하게 된다(710).
이때, 사용자가 엑시트키(616)를 눌러서 취소할 수도 있으며, 일정시간이 지나도 사용자가 아무키도 입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취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매체가 사용중이지 안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의 사용이 중단되면 정상적으로 저장매체의 설정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712).
상기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파티션을 구성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받아 저장매체를 편리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의 파 티션 구성을 사용자가 쉽게 재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로부터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매체의 파티션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파티션 재설정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파티션을 설정할 저장매체가 현재 작동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이면, 저장매체 사용 중단 요청을 하고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이지 않으면, 상기 파티션 설정 정보에 따라 파티션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가 작동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작동중인 저장매체를 중단하지 않으면 파티션 재설정 작업을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설정 화면에는 저장매체의 파티션 구분에 따른 드라이브, 레이아웃, 내용, 상태, 저장가능 공간을 나태내는 용량, 남은공간, 남은 공간을 비율로 나타내는 공간비율, 내결함성, 각 파티션을 구분해주는 파티션 구분 기호을 표시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 외장 하드디스크, 플래쉬 메모리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설정 명령은 파티션 분배, 파티션 분할, 파티션 병합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재설정 실행 명령은 파티션 구분 기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KR1020060013608A 2006-02-13 2006-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KR10069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608A KR100694431B1 (ko) 2006-02-13 2006-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608A KR100694431B1 (ko) 2006-02-13 2006-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431B1 true KR100694431B1 (ko) 2007-03-12

Family

ID=3810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608A KR100694431B1 (ko) 2006-02-13 2006-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4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98A (ko) * 2002-03-04 2003-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브이 기기의 하드디스크 파티션 방법
KR20050075585A (ko) * 2004-01-16 2005-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매체 관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98A (ko) * 2002-03-04 2003-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브이 기기의 하드디스크 파티션 방법
KR20050075585A (ko) * 2004-01-16 2005-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매체 관리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6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files on a storage device
KR101151684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데이터 변환 방법
US8458616B2 (en) Data display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CN10180720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8416658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for data and file system information
JP2008193345A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EP27500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files in a computer system by segmenting files
KR1006944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저장매체 파티션 설정 방법
US9542398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882157B2 (en) Content data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JP4798588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CN103677651A (zh) 数字视频转换器与视频串流的读写方法
KR20040072757A (ko) 파일의 용량 및 메모리 잔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8565584B2 (e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JP5762014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の制御方法
KR100546830B1 (ko)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저장된 파일 리스트 선택방법
JP4203530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4680948B2 (ja) 録画再生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4364158B2 (ja) データ処理装置
US2013003963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equentially storing data based on a time shift
KR100497365B1 (ko) 개선된 파일 시스템, 이에 적합한 기록 매체 및 파일액세스 방법
KR20040016522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공간낭비를 줄일 수 있는 영상기록/재생장치
KR20030072498A (ko) 에이브이 기기의 하드디스크 파티션 방법
JP2010027100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KR20040047996A (ko) 실시간 데이터 파일을 위한 파일시스템 관리방법과 그기록매체, 및 이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