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401B1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401B1
KR100694401B1 KR1020010015894A KR20010015894A KR100694401B1 KR 100694401 B1 KR100694401 B1 KR 100694401B1 KR 1020010015894 A KR1020010015894 A KR 1020010015894A KR 20010015894 A KR20010015894 A KR 20010015894A KR 100694401 B1 KR100694401 B1 KR 10069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ad
pads
signal lin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023A (ko
Inventor
나이또타까끼
라피도뜨도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1009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Abstract

기판 상의 도체패드를 콘택터에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한다.
기판(10)에는 도체패드(34)가 양면에 교대로 배치된다. 도체패드(34a)가 플러스의 차동신호를 전송하고, 도체패드(34b)가 마이너스의 차동신호를 전송하며, 동일면(10a) 상에 배치된다. 접지용 패드(34c)는 반대면(10b) 상에서 도체패드(34a, 34b)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한 세트의 패드로 이루어진다. 인접하는 다른 세트의 도체패드(34d, 34e, 34f)에 있어서, 마이너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패드(34d)는 동일한 마이너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선행 세트의 패드(34b) 쪽으로 배치된다. 접지용 패드(34f)는 패드(34d, 34e)와 반대측에 배치된다. 플러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패드(34e)에 인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3번째 세트의 패드는 동일한 플러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패드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서, 신호의 크로스 토크 방지가 가능해진다.
전기 커넥터, 도체패드, 차동신호,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측면도.
도 4는 케이블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선 6-6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선 7-7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체 패드가 소정 간격으로 교차 설치된 기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 9는 기판의 전체 정면도.
도 10은 다른 방향에서 관찰한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암형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와 다른 쪽의 커넥터를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 기판
34, 36 : 도체 패드
70 : 케이블
82 : 플러스 신호선
84 : 마이너스 신호선
86 : 접지선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액정모니터 및 개인 컴퓨터 본체(또는 멀티미디어 중계박스) 사이의 고속 디지탈 화상전송 또는 복사기 및 서버간의 고속 디지탈 화상전송 등에 사용되는 고속신호 전송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기 커넥터에 판상의 절연체, 즉 기판을 사용한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의 일예로서, 일본 공개실용실안 평1-150379호 공보에 개시된 수형 커넥터의 접촉기구를 도 13에 도시한다. 이 수형 커넥터(200)에는 판상의 절연체(202) 양면에 복수의 도체패턴(pattern)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 된 수형 커넥터(200)의 콘택터(20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콘택터(204)는, 양면의 콘택터(204)가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대 접촉자(20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1-150379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예의 수형 커넥터, 즉 전기 커넥터는 도체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전송통로 사이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 혼선)가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송되는 신호가 영향받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들의 도체패턴중 몇개를 전력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형태로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한층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고 고속 전송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하면서, 임피던스의 정합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상대 콘택터와 접촉하는 복수의 도체패드가 양면에 형성된 판상의 절연체와, 상기 도체패 드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차동전송용의 플러스 신호선, 마이너스 신호선 및 접지선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스 신호선 및 마이너스 신호선은 상기 절연체의 일면의 인접하는 도체패드에 접속되고, 상기 접지선은 상기 플러스 신호선 및 마이너스 신호선이 각각 접속된 인접하는 상기 도체패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다른 면의 도체패드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스 신호선 또는 마이너스 신호선이 접속된 상기 도체패드와, 인접하는 다른 케이블의 같은 형상의 신호선이 접속된 도체패드가 가장 근접하도록 상기 도체패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절연체에 배치된 신호용의 상기 도체패드의 배열의 외측에 전원용 도체패드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의 접지접속용 도체패드를 신호용 도체패드 쪽에 배치하고, 활선(hot-line) 측의 도체패드를 상기 접지접속용 도체패드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원용 도체패드는 신호용 도체패드의 배열의 양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칭함)(1)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이 협폭으로 이루어진 한 세트의 수지재료의 카바부재(2)와, 이 카바부재(2)에 수용되는 한 세트의 금속제 밀봉(차폐)용 쉘(shell)(6)을 가진다. 카 바부재(2)는 한 세트의 카바부재 반쪽(2a, 2b)으로 이루어지고, 쉘(6)은 한 세트의 쉘 반쪽(6a, 6b)으로 이루어진다. 이 쉘(6)의 내측에는 한 쌍의 랫치아암(8, 8)을 일체로 갖는 하우징, 즉 기판홀더(이하, '홀더'라 칭함)(4)가 배치되고 있다. 홀더(4)는 그 내부에 절연성의 기판(판상의 절연체)(10)을 내장하고 있다. 기판(10)은 결합부(9)의 거의 중앙에 결합부(9)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6)은 전방부, 즉 커넥터(1)의 결합부(9) 측을 노출시킨 상태로 카바부재(2)에 의해 덮혀진다.
랫치아암(latching arm)(8, 8)은 홀더(4)의 전단부 측면에 고정단(8a)을 갖고 경사진 후방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유단(8b)은 카바부재(2)의 측면(12)을 향해 절곡되어 그 측면(12)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한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랫치아암(8)에는 그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에 있는 협폭부(16)와, 협폭부(16)에 연속하여 후방을 향하는 결합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견부(14)는 커넥터(1)가 후술하는 상대 전기 커넥터(100)와 결합할 때에 상대 커넥터(100)과 결합하여 서로 고정된다. 또한, 랫치아암은 홀더(4)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 카바부재(2)에는 그 축선을 따라 카바부재(2)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팽출부(26)가 형성되고, 이 안에 케이블(70)이 수용된다. 홀더(4)와 기판(10)의 부착관계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이 커넥터(1)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4는 케이블(70)의 단면도이다. 이 케이블(70)은 절연성 외피(72)와, 이의 내측을 도포하여 접지도체로서 기능하는 그물망선(74)과, 그 내측에 복수개의 소경 케이블(80)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서, 케이블(70)은 그 일부만을 도시한다. 소경 케이블(80)은, 일반적으로는, 고속 디지탈 차동전송용으로 적합한 차폐된 트위스트형 페어(shieled twisted pair) 케이블로 칭해지는 형태이다.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소경 케이블(80)은 절연성 외피(80a)와, 외피(80a)의 내면을 피복하는 알루미늄 박판(접지도체; 80b)과, 이 알루미늄 박판(80b)의 내측에 3종류의 전선(88)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전선(88)은 플러스 신호선(82), 마이너스 신호선(84) 및 접지선(86)으로 구성되고, 이들 3개의 전선(88)은 서로 꼬여져서 소경 케이블(80)의 알루미늄 박판(80b)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러스 신호선(82)과 마이너스 신호선(84) 각각은 신호도체(82a, 84a)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신호도체(82a, 84a)를 피복하는 절연성의 외피(82b,84b)를 갖는다. 접지선(86)은 피복되지 않은 전선이며, 알루미늄 박판(80b)에 접촉된 상태로 수용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에는 커넥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선 5-5, 도 6은 도 1의 선 6-6 및 도 7은 도 1의 선 7-7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쉘 반쪽(6a, 6b)은 그 측벽(14)을 서로 중첩되도록 하고, 내측에서 홀더(4)를 배치한 상태로서, 예를 들어 요철결합 또는 랫치결합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홀더(4)도 쉘(6) 내에 유지된다. 홀더(4)의 양측에는 기판(10)을 수용하는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홀더(4)의 길이방향(도 5에 있어서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18, 20)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8, 20) 사이는 기판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기판통로(22)로 이루어져 있다. 또, 홀더(4)의 전단부의 상부양측에는 기판(10)의 상면(10a)에 접촉하는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10)은, 홀더(4)에 의해 지지되면, 기판(10)의 대략 중앙부가 지지부(18, 20)에 의해서 홀더(4)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면(10a)의 양측이 기판(10)의 전단까지 지지된다. 기판(10)의 전단부의 노출된 상하면에는 후술하는 도전패드(34; 도 8)가 배치된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케이블(70)과 기판(10)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70)의 단부(28)는 커넥터(1)의 후방부의 팽출부(26)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단부(28)에 노출한 케이블(80)의 전선(88)이 기판(10)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도체패드에 땜납 등으로 접속된다. 또, 도 7에서 케이블(80)의 외피(80a) 및 알루미늄 박판(80b)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전선(88)의 선단으로부터는 신호도체(82a, 84a)가 노출되어 있고, 이들 신호도체(82a, 84a)와 접지선(86)이 도체패드에 접속된다. 도 7에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전선(88)이 2개만 꼬여져 합쳐진 상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3개의 1세트를 하나의 단위로 하는 복수개의 전선(88)이 쉘(6) 내에 배치되고 기판(10)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70)의 내측에 위치한 그물망선(74)은 외피(72)의 선단으로부터 박리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70) 단부(28) 상으로 접혀 되돌려져서 쉘(6)의 후방부(3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쉘(6)의 후방부(30)의 외측 및 케이블(70)의 단부(28)의 외측에 금속제 페룰(ferrule)(32)이 덮혀져 있고, 이 페룰(32)을 압압시키고 압착시킴으로써 쉘(6)과 그물망선(74)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기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체패드(34)가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로 설치된 기판(10)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기판(10)에는 도체패드(이하, 간단히 '패드'라 칭함)(34)가 기판(10)의 양면에서 기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도체패드는 상술한 전선(88)이 접속된 도체패드와 연결되어 있다. 패드(34)의 폭은 임피던스 정합이 얻어지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전선(88)과의 접속작업특성 및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특성을 고려하여 패드(34)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폭이 다른부분의 폭보다 크지만,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서는 소정 폭의 패드(34)의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는, 패드(34)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같은 폭으로써 일체로 형성시켜도 좋다.
도체패드(34)의 극성에 대해 설명하면, 예를 들어 도 8에 있어서 가장 좌측에 위치한 도체패드(34a)가 플러스의 차동신호를 전송하고, 도체패드(34b)가 마이너스의 차동신호를 전송하면, 이러한 극성을 가진 패드(34)는 동일 상부면(10a) 상에 배치된다. 접지용 패드(34c)는 반대면(10b) 상에서 도체패드(34a, 34b)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도체패드(34a∼34c)에는 상술한 한 세트의 전선(88)의 신호도체(82a, 84a) 및 접지선(86)이 대응하여 접속된다. 또한, 도 8에는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 -, G의 기호를 도체패드(34) 근방에 부여하고 있다.
인접하는 다른 세트의 패드(34d, 34e, 34f)는 신호용 패드(34d 및 34e)가 선행 세트의 접지용 패드(34c)와 같은 쪽에 배치된다. 이때, 마이너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패드(34d)는 같은 마이너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선행 세트의 패드(34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접지용 패드(34f)는 패드(34d, 34e)와 반대 쪽에 배치된다. 이것은 같은 극성을 가진 패드(34)끼리 근접시킴으로써 서로의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신호가 같은 방향으로 발생하는 펄스의 발생이 지연 또는 변형하는 것이 방지된다. 플러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패드(34e)에 인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세번째 세트의 패드도 같은 플러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패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러스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패드(34e)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패드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각 단위의 전선(88)은 각 단위 사이에서 같은 극성(동일 형태)이 서로 인접하도록 도체패드(34)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서, 크로스 토크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기판(10) 전체의 정면도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기판(10)에는 기판(10) 양측의 양면에 전원용 도체패드(이하, '패드'라 칭함; 3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전원은 두가지 계통이므로, 전선(88)의 패드(34)의 배열 외측의 양측에 각 2개씩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전원 접지용 패드(36a)는 전선(88)용 패드(34) 측에 배치되고, 전원 활선측 패드(36b)는 접지용 패드(36a) 반대면, 또는 패드(34)로부터 더 먼 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패드(34)가 전원용 패드(36)로부터 받는 영향이 저감되고, 신호선(82, 84)용 패드(34)에 전원으로부터 노이즈가 진입할 염려도 적어진다. 또, 도 9에는 접지용 도체패드(36a) 근방에 G의 기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은, 커넥터(1)가 결합하는 상대 커넥터(100)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상대 전기 커넥터인 암형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칭함)(10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그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커넥터(100)는 결합요부(104)를 가진 절연성 하우징(102)과, 이 하우징(102)의 외측에 외장되는 차폐용 쉘(106)을 구비한다. 쉘(106)은 1장의 금속판을 판금절곡하여 형성되고, 하우징(102)의 상부벽(112), 측벽(114)을 덮은 본체(156) 및 전방면(116)을 덮은 전면판(120)을 갖는다. 하우징(102)의 전방면(116)을 덮은 전면판(120)에는 구조상 쉘의 측벽(108)과 분리된 간격(G)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120)의 내측에는 상술한 결합요부(104)에 대응하여 개구(122)가 형성되고, 이 개구(122)의 상하 내부 테두리(124)로부터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프링 접촉편(126)이 결합요부(104) 내에 진입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접촉편(126)이 커넥터(1)와 결합할 때, 커넥터(1)의 쉘(6)에 접촉하여 양쪽 커넥터가 접지접속된다. 이 커넥터(100)는 도 11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부착기판(170)에 고정되어 사용되지만, 부착기판(170) 상의 도시하지 않은 접지도체에의 접지접속은 쉘(106)의 각 측벽(108)으로부터 늘어진 설편(舌片)(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설편(110)이 부착기판(170)의 대응하는 개구(128) 내에 배치되고, 이 개구(128)와 연통하는 접지도체(미도시 됨)가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는 상부측의 쉘(106)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전면판(120) 상부측의 스프링 접촉편(126)과 하부측의 스프링 접촉편(126)에서는 접지를 위한 설편(110)에 도달하는 경로의 길이가 다르다. 즉, 상부측 스프링 접촉편(126)에서는 쉘(106) 상부벽(130)에서 측벽(108)을 경유하여 설편(110)에 도달하는 전기경로를 취한다. 그러나, 하부측 스프링 접촉편(126)의 경우는 전면판(120)의 주변을 우회하고 나서 협폭부분을 통하여 상부벽(130)에 도달하고, 다시금 측벽(108)을 경유하여 설편(110)에 도달하는 경로를 취하게 된다. 이 때문에, 하부측 스프링 접촉편(126)으로부터의 경로길이가 길어지고, 접지경로가 큰 루프를 형성하며, 인덕턴스를 크게하므로 노이즈를 얻기 쉽게 되어, 차동전송 기능을 방해해서 전송품질의 저하, 내노이즈성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전면판(120)의 하부측에 전면판(120) 전용의 설편(110)과 같은 모양의 설편(132)을 간격을 두고 2개 절단하여 일으켜세워 형성된다. 이들 설편(132)은 부착기판(170)의 개구(134; 도 11)에 삽입시켜서 최단경로로 접지접속된다. 이에 의해서, 전송경로에 큰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커넥터(100)의 부착기판(170)에 대한 부착은 하우징(102)의 측벽(114)에 돌출한 2개소의 부착탭(tab)(136)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부착탭(136)의 관통공(136a)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가 삽통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또, 나사결합하지 않은 경우는, 쉘(106)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리텐션 레그(152; 도 11)(retention leg)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부착기판(170)에 고정시켜도 좋다.
또, 쉘(106)의 상부벽(130) 전단부에는 결합부를 따라서, 상부벽(130)으로부터 절단하여 일으켜세운 돌기편(138)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커넥터(100)의 결합부를 도시하지 않은 부착 패널(panel)에 압입하여 커넥터(100) 전방부에서 부착패널에 접지접속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쉘(106)의 하부측에도 같은 목적으로 같은 모양의 돌기편(1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편(138)은 커넥터(100)를 설편(132)을 사용하여 부착기판(170) 상에 접지접속하는 경우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다음은, 도 11를 참조하여 커넥터(100)의 콘택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택터(140)는, 타인부(141; tine portion)가 같은 형상을 갖고 접촉암(142)이 타인부(141)로부터 상부로 절곡된 것과 하부로 절곡된 것의 두가지 종류의 콘택터(140a, 140b)로 구성된다. 콘택터(140a)의 접촉암(142a)과 콘택터(140b)의 접촉암(142b)는 대칭형이며,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집속하도록 절곡되고, 선단은 다른 쪽의 콘택터, 즉 상술한 커넥터(1)의 패드(34, 36)를 안내하여 접촉하도록 외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콘택터(140)의 부착은 하우징(102)의 후방벽(144)에 교대로 형성된 콘택터 삽통공(146)으로 후방에서 압입함에 따라 하우징(102)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콘택터(140)의 선단부는 하우징(102)의 후방벽(144)의 내면(144a)에서 전방, 즉 결합부(150)를 향하여 돌출된 카바벽(148)에 의해 덮혀져 보호된다. 대칭형 콘택터(140a, 140b)를 통과하는 전기신호는 같은 형상의 타인부(141)를 통과하기 때문에 전기신호의 전송속도에 차(skew)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송품질, 내노이즈성이 유지된다.
다음은, 커넥터(1)과 커넥터(100)을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를 도 12에 도시 한다. 커넥터끼리 결합하면, 커넥터(1)의 쉘(6)이 커넥터(100)의 결합요부(104) 내로 진입하고, 쉘(106)의 스프링 접촉편(126)과 쉘(6)이 서로 접지접속된다. 또, 기판(10)이 콘택터(140)의 접촉암(140a, 140b)의 사이로 진입하여 패드(34, 36)와 콘택터(140)의 사이에서 상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커넥터(1) 케이블(70)의 그물망선(74)으로부터 쉘(6)을 통과하여 커넥터(100)의 쉘(106), 그리고 부착기판(170)으로 접지경로가 연속하여 형성된 프레임 그라운드로서 형성된다. 또, 전선(88)의 접지선(86)으로부터 기판(10)을 경유하여 콘택터(140)에 접속되는 접지경로는 시그날 그라운드을 구성한다. 접지경로를 이와같이 분리함으로써 고속전송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0)는 전방면(110)에 감압요부(104)를 구비하여, 부착기판(170)에 부착되는 절연성의 절연성의 하우징(102)과, 이 하우징(102)에 유지되는 콘택터(140)와, 하우징(102)의 전방면(116)을 덮어 상대 커넥터와 접지접속되는 전면판(120)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부벽(112) 및 측벽(114)을 덮어 본체(156)를 가진 금속제 쉘(106)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본체(156) 및 전면판(120)에 각각 접지접속용의 설편(110, 13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100)는 전면판(120)의 상하의 접지접속부분(스프링 접촉편)(126)로부터 부착기판(170)에 이르는 접지경로에 스프링 접촉편(126)의 위치에 따른 차이가 없어지게 되고, 최단경로로 부착기판에 접지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지경로가 큰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접지경로의 인덕턴스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내노이즈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케이블이 차동전송용의 플러스 신호선, 마이너스 신호선 및 접지선을 갖고, 플러스 신호선 및 마이너스 신호선은 하우징에 유지된 판상의 절연체 일면의 인접하는 도체패드에 접속되고, 접지선은 신호선이 접속된 인접하는 도체패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다른 면의 도체패드에 접속되고, 신호선이 접속된 도체패드와, 인접하는 다른 케이블과 같은 형상의 신호선이 접속된 도체패드가 가장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도체패드끼리 같은 형상의 신호선이 근접하게 배치됨에 따라서, 서로 전기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신호의 첫동작을 둔화시키지 않고 고속전송에 알맞음과 동시에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체패드로 콘택터를 형성하므로, 도체패드의 폭, 인접하는 도체패드와의 간격을 정밀하게 형성함으로써 임피던스를 최적으로 정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절연체에 배치된 신호용 도체패드의 배열의 외측에 전원용의 도체패드를 배치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노이즈 발생원으로 작용하기 쉬운 전원을 신호전송로에서 이격시켜, 신호의 노이즈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콘택터의 열방산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상대 콘택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도체패드가 양면에 형성된 판상의 절연체와, 상기 도체패드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차동전송용의 플러스 신호선, 마이너스 신호선 및 접지선을 갖고,
    상기 플러스 신호선 및 마이너스 신호선은 상기 절연체의 일면의 인접하는 도체패드에 접속되고, 상기 접지선은 상기 플러스 신호선 및 마이너스 신호선이 각각 접속된 인접하는 상기 도체패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다른 면의 도체패드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스 신호선 혹은 마이너스 신호선이 접속된 상기 도체패드와, 인접하는 다른 케이블의 같은 형상의 신호선이 접속된 도체패드가 가장 근접하도록 상기 도체패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에 배치된 신호용의 상기 도체패드의 배열의 외측에 전원용 도체패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10015894A 2000-03-31 2001-03-27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694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7618 2000-03-31
JP2000-097618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023A KR20010095023A (ko) 2001-11-03
KR100694401B1 true KR100694401B1 (ko) 2007-03-12

Family

ID=1861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894A KR100694401B1 (ko) 2000-03-31 2001-03-27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72084B2 (ko)
EP (1) EP1139510B1 (ko)
KR (1) KR100694401B1 (ko)
CN (1) CN1263199C (ko)
DE (1) DE60107001T2 (ko)
TW (1) TW5253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926A (zh) * 2016-10-21 2018-05-0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40187B (en) * 2000-09-29 2003-07-01 Tyco Electronics Amp Kk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connector
CN101151775B (zh) * 2005-01-31 2010-06-09 泛达公司 以太网连接器
FI118936B (fi) * 2007-03-29 2008-05-15 Jukka Vaeyrynen Tietoliikennekaapelin liitin
US9011177B2 (en) 2009-01-30 2015-04-21 Molex Incorporated High speed bypass cable assembly
JP5146346B2 (ja) 2009-02-10 2013-02-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083268A (zh) * 2009-08-07 2011-06-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软性电路板
CN107113994B (zh) 2015-01-11 2019-12-27 莫列斯有限公司 芯片封装旁路组件
US10367280B2 (en) 2015-01-11 2019-07-30 Molex, Llc Wire to board connectors suitable for use in bypass routing assemblies
JP2016207423A (ja) * 2015-04-21 2016-12-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通信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通信用コネクタ
CN107548480B (zh) 2015-05-04 2020-08-11 莫列斯有限公司 采用旁路组件的计算设备
WO2017123574A1 (en) 2016-01-11 2017-07-20 Molex, Llc Routing assembly and system using same
US10424878B2 (en) 2016-01-11 2019-09-24 Molex, Llc Cable connector assembly
CN110839182B (zh) 2016-01-19 2021-11-05 莫列斯有限公司 集成路由组件以及采用集成路由组件的系统
JP6663814B2 (ja) * 2016-07-21 2020-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9935403B1 (en) * 2017-02-13 2018-04-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luggable module having cooling channel
JP6895650B2 (ja) 2017-10-10 2021-06-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用ハーネス及び中継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344A (en) 1993-01-26 1995-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 circuit card elastomer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5470238A (en) 1994-02-09 1995-11-28 Intercon Systems, Inc. Shielded ribbon c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US5849097A (en) 1996-02-09 1998-12-15 Diversey Lever,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a base with a rotat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386A (en) * 1984-11-01 1986-04-15 Elfab Corp. Connector with enlarged power contact
US4680557A (en) * 1985-04-22 1987-07-14 Tektronix, Inc. Staggered ground-plane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JPS61248375A (ja) * 1985-04-25 1986-11-05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
US4707671A (en) * 1985-05-31 1987-11-17 Junkosha Co., Ltd.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JPH01150379A (ja) 1987-12-07 1989-06-13 Nec Corp 発光装置
JPH01150379U (ko) * 1988-04-08 1989-10-18
US4850887A (en) * 1988-07-07 1989-07-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NL9001347A (nl) * 1990-06-14 1992-01-02 Burndy Electra Nv Contactsamenstel.
JP2513017Y2 (ja) * 1990-07-30 1996-10-0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高周波多極コネクタ
JPH0810932Y2 (ja) * 1990-08-29 1996-03-2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カンパニー 高速信号伝送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205762A (en) * 1991-12-06 1993-04-27 Porta Systems Corp. High frequency patch cord data connector
US5725386A (en) * 1996-05-24 1998-03-10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US5764489A (en) * 1996-07-18 1998-06-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mpedance of high speed signals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5865646A (en) * 1997-03-07 1999-02-02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US6099328A (en) * 1998-05-21 2000-08-08 Molex Incorporated High-speed edge connector
TW383924U (en) * 1998-12-11 2000-03-01 Hon Hai Prec Ind Co Ltd Universal bus connector
JP2000223216A (ja) * 1999-01-27 2000-08-11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344A (en) 1993-01-26 1995-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 circuit card elastomer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5470238A (en) 1994-02-09 1995-11-28 Intercon Systems, Inc. Shielded ribbon c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US5849097A (en) 1996-02-09 1998-12-15 Diversey Lever,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a base with a rotating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926A (zh) * 2016-10-21 2018-05-0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9510A3 (en) 2002-05-15
DE60107001T2 (de) 2005-11-24
KR20010095023A (ko) 2001-11-03
TW525318B (en) 2003-03-21
CN1316802A (zh) 2001-10-10
EP1139510B1 (en) 2004-11-10
CN1263199C (zh) 2006-07-05
EP1139510A2 (en) 2001-10-04
DE60107001D1 (de) 2004-12-16
US6872084B2 (en) 2005-03-29
US20010027041A1 (en) 200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5737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암형커넥터
KR100694401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7651379B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US5865646A (en)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JP4691738B2 (ja) 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6739904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3153260U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913485B2 (en) Micro coaxial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contacts
WO201800837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10137726B (zh) 线缆连接器组件
US5466175A (en) Shield connector connecting shield cables
JP2007027120A (ja) 電気コネクタ
JP367899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雌コネクタ
US2010031722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device
JP2002231390A (ja)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JP2018045938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装置
CN107732578B (zh) 线缆连接器
JP7148009B2 (ja) 電気コネクタ
JP7176659B2 (ja) 電気コネクタ
WO2023013422A1 (ja) コネクタ
JP6958589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3229212A (ja) 電気コネクタソケット
JP2004319522A (ja) 雌コネクタ
KR20240067000A (ko) 커넥터, 케이블이 부착된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202300915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