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884B1 -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 Google Patents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884B1
KR100693884B1 KR1020050004315A KR20050004315A KR100693884B1 KR 100693884 B1 KR100693884 B1 KR 100693884B1 KR 1020050004315 A KR1020050004315 A KR 1020050004315A KR 20050004315 A KR20050004315 A KR 20050004315A KR 100693884 B1 KR100693884 B1 KR 100693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cage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054A (ko
Inventor
김형욱
진광일
Original Assignee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주식회사 예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주식회사 예현테크 filed Critical (주)코아글로벌아이티
Priority to KR102005000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8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28Ash-trays of the disposable type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작동이 확실하여 안전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의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은, 각 층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좌우 도어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하 왕복 운동하는 케이지의 출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도어중 어느 일측 도어의 내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되, 타측 도어의 내측면 상단부까지 연장설치되는 잠금 브라켓과; 상기 잠금 브라켓에 고정되며, 잠금 걸쇄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있는 도어측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 걸쇄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삽입 고정된 상기 잠금 걸쇄의 이탈이 가능한 상태와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로 전환되는 잠금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측 잠금 부재와; 상기 케이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케이지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지 감지수단에 의해 케이지가 정지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잠금 걸쇄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해당 층의 상기 잠금 고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이스트 카, 안전문, 잠금 장치. 걸림부재

Description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Safety Door for Hoist Car in Construction Site}
도 1a는 종래 안전문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 안전문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종래 안전문의 잠금 장치부 확대 사시도로,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종래 안전문의 잠금 장치부 확대 사시도로,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안전 안전문 개방감지부의 작동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의 전체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4a는 잠금 상태, 도 4b는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어측 잠금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프레임측 잠금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은 프레임측 잠금부재가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7a는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 도 7b는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
도 8은 제어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프레임 20a, 20b : 도어
51 : 잠금 브라켓 52 : 도어측 잠금 부재
52a : 잠금 걸쇄 53 : 탄성부재
61 : 프레임측 잠금부재 61a : 잠금 고리
본 발명은 건축 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호이스크 카의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작동이 확실하여 안전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의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 카는 건축물의 외벽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중소형 건축 자재나 인부를 신속하게 목적하는 층으로 실어 나를 수 있는 다목적 운반 도구로써, 최근에는 아파트나 고층 빌딩의 건설 현장에는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바, 운반 대상물을 싣는 케이지(Cage)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마스터 축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해당 층에 도착하면 탑승자는 케이지의 문을 개방한 후 해당층에 출입하게 되는 데, 각 층의 케이지 정차부에는 화물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다.
안전문은 아무 때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서 케이지가 도착한 층에 해당하는 안전문만이 자동적으로 잠금장치가 해제됨으로서 개방 및 폐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안전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안전문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잠금 해제되어 안전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잠금 장치부의 확대 사시도로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잠금 장치부의 확대 사시도로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안전 안전문 개방감지부의 작동 설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문은 각층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10)의 내측에 좌우 도어(20a, 20b)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며, 도어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잠금 장치(30)가 설치된다.
잠금 장치(30)는, 평상시에는 도어가 개방되지 못하게 하고, 케이지가 도착한 경우에만 잠금을 해제함으로서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ㄱ"자형의 앵글로 구성되어 좌우 도어(20a, 20b)의 상부를 가로 질러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바(31)와, 케이지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케이지의 접촉 플레이트(도시 안함)에 그 단부가 걸려 회전하는 감지 봉(32)과, 감지 봉의 단부에 고정되어 평상시에는 자체 하중에 의해 잠금 바(31)의 직상부에 수직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잠금 바(31)가 회전하지 못하게 하고, 케이지가 도착하여 감지 봉(32)이 회전함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바(31)로부터 이격되어 잠금 바(31)의 회전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게 하는 걸림 부재(33)로 구성된다.
한편, 케이지가 도착해 있지 않은 층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추락 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크므로, 각층의 케이지의 도착 여부와 더불어 도어의 개방 상태에 대한 신호를 중앙 통제실로 전송하여 총괄적으로 감독할 필요가 있는 데, 이를 위한 도어 개폐 감지부(40)로, 종래에는, 잠금 바(31)의 일측에 원호형 감지 도그(41)를 일체로 설치하고, 도어 프레임(10)에는 리미트 스위치(42)를 설치함으로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바(31)의 회전에 따른 감지 도그(41)의 위치를 리미트 스위치(42)의 회전 상태로부터 감지하여 도어 개폐 상태를 판단하였다.
미설명 부호 11은 건물의 천정과 바닥면 사이에 도어 프레임을 견고히 고정시키 위한 높이 조절봉, 31a는 잠금 바의 힌지축, 12는 힌지 브라켓, 34a는 감지봉 설치용 브라켓, 34b는 회전 지지봉, 35a, 35b는 감지 봉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는 부시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전문은, 호이스트 카가 설치되는 곳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전문은, 해당 층에 도착하는 케이지가 안전문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 봉(32)과 직접 접촉하여 이를 회전 상태로 유지함으로서 잠금 해제 작동을 수행하며, 케이지가 해당 층을 통과한 후에는 걸림 부재(33)의 자중에 의해 감지 봉(32) 및 걸림 부재(33)가 원 위치됨으로서 잠금 상태로 환원되는 것으로서,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감지 봉의 회전부에 녹이 슬거나, 감지 봉이 휘어진 경우, 케이지가 통과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지 봉이 원위치로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 경우 잠금 작동 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많았으며,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도어의 상단면이 잠금 바의 하부면과 접촉한 상태로, 잠금 바를 밀어 올리며 작동되기 때문에, 도어 작동이 뻑뻑하고 원활하게 개폐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개폐 상태를 잠금 바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도그의 회전 상태에 의해 간접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도그와 리미트 스위치의 직접 접촉에 의해 수행하게 되므로, 잠금 바의 힌지부가 변형되거나 녹이 슬어 잠금 바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장기간 사용으로 리미트 스위치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접점부가 마모되는 경우 등, 도어의 개방 상태와는 다른 잘못된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 작동이 확실하여 안전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의 안전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지의 위치나 도어 개폐 상태의 감지 및 잠금 제어를 기계적 접촉 없이 전기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의 안전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은, 각 층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좌우 도어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하 왕복 운동하는 케이지의 출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도어중 어느 일측 도어의 내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되, 타측 도어의 내측면 상단부까지 연장설치되는 잠금 브라켓과; 상기 잠금 브라켓에 고정되며, 잠금 걸쇄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있는 도어측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 걸쇄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삽입 고정된 상기 잠금 걸쇄의 이탈이 가능한 상태와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로 전환되는 잠금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측 잠금 부재와; 상기 케이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케이지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지 감지수단에 의해 케이지가 정지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잠금 걸쇄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해당 층의 상기 잠금 고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어느 일측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잠금 브라켓에 의해 다른 쪽 도어를 외측 즉, 건물 바깥쪽으로 밀어주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 브라켓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걸쇄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고리에 걸림으로서 잠금 작동이 수행되므로, 종래와 달리, 즉, 양측 도어 상단을 가로지르는 잠금 바와의 간섭 없이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케이지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지의 정지 여부는 광센서나 자기 센서 등 비 접촉식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잠금고리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전환하는 하게 되므로,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도어 프레임과 접하는 도어의 외측면, 잠금 브라켓의 외측면 또는 도어와 접하는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무나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탄성부재는 도어 폐쇄시의 완충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잠금 걸쇄가 잠금 고리에 확실하게 맞물리지 못한 경우, 탄성력에 의해 도어가 어느 정도 개방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도어의 개방상태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개폐 감지부가 이를 도어 폐쇄 상태로 잘못 감지하는 오류를 방지하는 안전 센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프레임측 잠금부재와 제어부는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안전문의 잠금 장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 하부에 자기 센서나 광세서등 도어 상단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센서를 설치하면, 감지 도그나 리미트 스위치를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도어의 개폐 여부를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문의 전체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 층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10)의 내측에 좌우 도어가(20a, 20b)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 왕복 운동하는 케이지의 출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점에서는 종래와 동일하며, 우측 도어(20b)의 내측면 다시 말해, 건물측에서 본 안쪽면의 상단부에는 잠금 브라켓(51)이 용접이나 나사 결합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있고, 잠금 브라켓(51)의 내측에는 잠금 걸쇄(52a)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있는 도어측 잠금부재(52)가 설치되며, 도어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잠금 걸쇄(52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잠금 고리(61a)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측 잠금부재(61)가 설치되는 바, 프레임측 잠금부재(6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와 함께 케이스(80) 내에 수용되어, 브라켓(81)을 매개로 도어 프레임(10)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잠금 브라켓(41)의 좌측 단부는 좌측 도어(20a)의 내측면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폐쇄되는 경우 잠금 브라켓(51)의 외측면이 좌측 도어(20a)를 프레임(10)측으로 눌러 주게 되며, 따라서, 우측 도어(20a)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면 도어 전체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우측 도어에 의한 좌측 도어의 잠금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우측 도어 하단부에도 잠금 브라켓(5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측 잠금부재(52)는,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 걸쇄(52a)가 스프링(52b)에 의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탄성 지지 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잠금 걸쇄(52a)는 도어의 폐쇄 작동시 잠금 고리(61a)의 걸림홈(61a')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가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잠금 고리(61a)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는 잠금 걸쇄(52a)가 잠금 고리(61a)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좌우 양측 도어는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 즉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프레임측 잠금부재(61)는, 잠금 고리(61a) 내에 삽입 고정된 잠금 걸쇄(52a)의 이탈이 가능한 상태와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한 바, 본 실시예 프레임측 잠금 부재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제한부재(62)가 스프링(62a)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 고리(61a)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있고, 회전 제한부재(62)의 단부가 래치(63)의 걸림턱(63a)에 걸려 회전이 방지됨으로서 잠금 고리(61a)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 즉, 잠금 고리로부터 잠금 걸쇄의 이탈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솔레노이드(64)가 여자되는 경우,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에 의해 래치(63)가 스프링(63b)의 탄성력을 이기고 우측으로 밀림으로서 걸림턱(63a)에 의한 회전 제한부재(62)의 구속이 해제되며, 이 상태에서 도어를 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걸쇄가 잠금 고리(61a)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잠금 고리로부터 이탈함으로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케이지 감지부(71), 도어개폐 감지부(72)의 감지 결과를 입력 받아 케이지의 위치나 도어의 개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태 표시부(73)에 표시함과 동시에 중앙 통제실에 전송하며, 케이지가 정지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층의 프레임측 잠금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64)를 여자시켜 잠금 작동을 해제하는 것으로, 전술하였듯이 프레임측 잠금부재와 함께 단일 케이스(8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지 감지부(71)는 케이지의 근접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나, 케이지와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는 케이스(80)의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비교적 감지 거리가 긴 광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70)는 케이지 감지부(71)에 의해 감지된 케이지의 근접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되는 경우, 케이지가 해당 층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프레임측 잠금 부재(61)에 대해 잠금 해제 제어를 수행하게 되며, 케이지가 해당 층을 단시간에 통과하는 경우에는 통과 정보만을 중앙 통제실로 전송하게 된다.
도어개폐 감지부(72)는 자기 센서나 광세서를 케이스(80)의 하부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데, 자기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 센서용 마그넷(72a)을 좌우측 도어 상단에 설치한다.
한편, 잠금 걸쇄가 잠금 고리에 확실하게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양측 도어가 프레임에 근접해 있는 경우 이를 잠금 상태로 오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바,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 프레임과 접하는 양측도어의 상단 외측면에 판상 고무재로 형성된 탄성 부재(53)를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폐쇄 작동시 잠금 걸쇄가 잠금 고리에 확실하게 맞물리지 못한 경우 탄성 부재(53)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가 어느 정도 개방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도어의 개방상태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개폐 감지부가 이를 도어 폐쇄 상 태로 잘못 감지하는 오류를 방지하는 안전 센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바, 탄성 부재(53)는 잠금 브라켓의 외측면 또는 도어와 접하는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 등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안전 센서의 기능 외에 도어 폐쇄시의 완충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에 의하면, 어느 일측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잠금 브라켓에 의해 다른 쪽 도어를 외측 즉, 건물 바깥쪽으로 밀어주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 브라켓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걸쇄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고리에 걸림으로서 잠금 작동이 수행되므로,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케이지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지의 정지 여부는 광센서나 자기 센서 등 비 접촉식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잠금고리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측 잠금부재와 제어부를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함으로서 안전문의 잠금 장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하 왕복 운동하는 케이지의 출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의 각 층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좌우 도어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도어중 어느 일측 도어의 내측면 상단부에는, 타측 도어의 내측면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잠금 브라켓이 설치되고,
    잠금 걸쇄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있는 도어측 잠금부재가 상기 잠금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잠금 걸쇄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삽입 고정된 상기 잠금 걸쇄의 이탈이 가능한 상태와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로 전환되는 잠금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측 잠금 부재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케이지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지 감지수단에 의해 케이지가 정지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잠금 걸쇄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해당 층의 상기 잠금 고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잠금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일측 도어가 폐쇄되어 잠금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잠금 브라켓의 외측면이 타측 도어를 프레임측으로 눌러 줌으로서 상기 좌우 양측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도어의 외측면, 상기 잠금 라켓의 외측면, 또는 상기 도어와 접하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3. 삭제
  4. 삭제
KR1020050004315A 2005-01-17 2005-01-17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KR10069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15A KR100693884B1 (ko) 2005-01-17 2005-01-17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15A KR100693884B1 (ko) 2005-01-17 2005-01-17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34U Division KR200381759Y1 (ko) 2005-01-18 2005-01-18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54A KR20060084054A (ko) 2006-07-21
KR100693884B1 true KR100693884B1 (ko) 2007-03-13

Family

ID=3717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315A KR100693884B1 (ko) 2005-01-17 2005-01-17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91B1 (ko) 2007-04-13 2008-06-13 김봉교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자동개폐장치
KR100933069B1 (ko) 2009-04-24 2009-12-21 (주) 정암씨엔에스 건축현장용 세대내 자동 안전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5B1 (ko) * 2007-03-28 2010-03-02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잠금장치
CN103264956B (zh) * 2013-05-24 2015-04-22 博宇(无锡)科技有限公司 施工升降机围栏双开门连锁装置
CN105347154A (zh) * 2015-11-06 2016-02-24 中山市鑫海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轿厢安全门结构
KR102217393B1 (ko) 2020-09-25 2021-03-23 방효무 산업용 승강기의 가변 안전문
CN115490123A (zh) * 2022-09-23 2022-12-20 徐州建机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自锁式底笼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546A (en) * 1975-08-07 1977-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oor apparatus
JPS6445679U (ko) * 1987-09-11 1989-03-2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546A (en) * 1975-08-07 1977-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oor apparatus
JPS6445679U (ko) * 1987-09-11 1989-03-2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91B1 (ko) 2007-04-13 2008-06-13 김봉교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자동개폐장치
KR100933069B1 (ko) 2009-04-24 2009-12-21 (주) 정암씨엔에스 건축현장용 세대내 자동 안전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54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759Y1 (ko)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KR100693884B1 (ko)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CN103608538B (zh) 锁定机构
EP1650381B1 (en) Mortice locking device
US6782662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having cable tension sensor and door lock mechanism
KR100749401B1 (ko) 건설현장용 리프트 출입문 잠금장치
PT1490284E (pt) &#39;&#39;sistema de monitorização de poço para elevador&#39;&#39;
JP4782004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140899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875035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
KR102106464B1 (ko) 산업용 승강기 안전문 개폐장치
JP5225713B2 (ja) 扉装置
US7446273B2 (en) Safety lockout system for interrupting unintentional flow of electrical current controlled by a safety switch
KR20120000469U (ko) 문 자동잠금장치
KR20040058518A (ko) 도어 파손을 방지하는 도어 체커
JP7492400B2 (ja) 扉閉鎖順位調整器、観音開き式扉、警報装置
JP4182893B2 (ja) 施錠装置
JP4453913B2 (ja) 自動扉の施錠装置
US20190345736A1 (en) Garage door lock system
KR102419931B1 (ko) 산업용 승강기의 도어 개폐장치
FI119948B (fi) Järjestely automaattioven lukituksessa
KR101435452B1 (ko) 자석을 이용한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KR200275948Y1 (ko) 안전출입문의 잠금장치
KR200437046Y1 (ko) 자동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