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220B1 -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220B1
KR100693220B1 KR1020050019726A KR20050019726A KR100693220B1 KR 100693220 B1 KR100693220 B1 KR 100693220B1 KR 1020050019726 A KR1020050019726 A KR 1020050019726A KR 20050019726 A KR20050019726 A KR 20050019726A KR 100693220 B1 KR100693220 B1 KR 10069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supervision
work
menu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410A (ko
Inventor
이한용
도상익
고봉철
한형수
남기정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2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의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감리 업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사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신규 현장 인사이동 명령에 의거하여 현장 웹페이지를 개설하고, 감리업무 실무사례와 법령 및 기술자료 등을 DB로 구축하여 두고, 감리 업무 절차에 대한 자동 안내와 메뉴별로 자동으로 매칭시킨 감리업무 실무사례를 화면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업무서식을 제공하며, 작성된 업무 자료에 대해 전자결재를 거쳐 저장 관리하고, 보고서와 감리일지의 생성을 제어하는 감리업무 시스템을 구비하여 현장에서 온라인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시스템을 이용한 감리업무 제어방법은, 그 시스템을 이용해 현장 아이디를 부여해 현장을 개설하는 제1과정과, 실무 사례에 대한 정보를 자동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업무 처리를 위한 서식을 제공하는 제2과정과, 현장에 적용되는 법령에 따라 감리업무 처리 절차를 자동 안내하는 제3과정과,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면, 전자결재에 의해 결재를 하고, DB로 저장 관리하는 제4과정과, 미리 정해진 형태로 자동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과정 및 감리업무시스템 DB를 CD로 작성하여 제공하는 제6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감리, 건설, 온라인, 실무 사례, 법령, 현장, 전자결재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자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Supervisor inform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supervision of construction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의 감리업무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감리 업무 시스템의 확장된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사 시스템 20 : 발주자
30 : 감독관청 및 지방자치단체 40 : 연구기관 및 일반인
100 : 감리업무 시스템 110 : 실무사례 DB
120 : 자료관리 DB 130 : DB 업/데이트 에이젼트
140 : DB 매칭부 150 : 현장개설 관리부
160 : 메인 제어부 170 : 메뉴 및 정보제공 관리부
180 :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 190 : 서식 작성 관리부
200 : 웹서버 300 : 현장 시스템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 감리업무를 처음 시작하는 감리원들이 감리업무 수행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무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실제 감리사례를 도움말 형태로 제공, 검색할 수 있게 하여 착공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까지 각종 법령에 따른 종류별 감리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에서의 감리는 건축,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 등 각 분야별로 해당 전문가에 의해 각 법령이 정하는 감리를 하게 된다.
감리업무는 현장업무와 행정업무 및 대관업무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장업무는 시공 전, 중, 후 업무절차에 따른 수시 시공확인 및 검측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행정업무는 기술검토 등을 통한 각종 승인 업무(품질, 안전, 환경계획서, 자재, 하도급, 부진공정, 설계공정, 시공계획서, 시공상세도 등)와 회신, 확인 업무, 문서접수, 발송 및 대장 정리의 수작업과 민원관련 업무 등등을 수행하며, 대관업무는 각종 인,허가 및 승인조건과 계약조건 등의 이행여부 기록 관리와 각종 외부기관의 점검 및 감사대비와 공장점검 및 각종 품질시험 입회 등을 해야 한다.
또한 관련 정보 및 법령은 각 분야 감리의 업무절차 및 법적기준(각종 법령, 고시, 지침, 조례 등)에 따른 감리업무 범위와 분야별 조건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달 라지며, 분산되어 있는 사례정보와 책자(기술서적)수행을 위해서는 방대한 자료 및 감리지침 등을 참조해야한다.
이와 같이 종래 건설공사 감리업무는, 각 분야별 전문가와 경력자들이 아니면 쉽게 처리하기 어렵고, 누락, 지연과 같은 오류를 범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차상 해당 행정업무에서도 발주자, 시공자, 허가, 승인권자 등에 보고할 절차 및 기술검토서 작성을 해야 할 과정을 몰라서 각종 승인, 통보, 보고 등의 업무가 지연되고, 시공상의 공정지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감리업무에 대한 클레임으로 표출되는 문제가 생긴다.
건설업계의 전산화가 타 분야보다 미진하고, 기존 프로그램(PMIS 등)이 현장실정을 반영하지 않아 수작업이 대부분이며, 또한 감리대가의 비현실화로 인한 감리배치인원 등의 불합리한 배치로 감리원들이 과다한 행정업무에 매달리게 되어, 주요 감리업무인 현장의 수시 시공확인 및 검측 업무에 소홀함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형식적이고 책임을 피하기 위한 문서만 챙기는 졸속 감리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산화를 시도하고 있는데, 통상 발주자와, 설계자, 감리회사, 건설회사, 감리운영시스템 및 외부기관들을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감리운영시스템에서 웹서비스와 아울러 공사 관련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서비스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 일부 기업들에서 시도되고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의 관리업무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각종 서식을 제공하고, 그 서식을 네트 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다운받아 서식 작성을 하고, 다시 해당 작성된 서식 파일을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되면, 이를 운영시스템에서 파일로 접수받아 처리하며, 각종 정보들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웹서비스를 하는데 이는 각각 클라이언트가 검색하여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각종 현장의 조건이나 공정 등에 따라 각각 시행해야할 감리업무의 절차나 각종 서류 등등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마다 클라이언트가 거기에 맞는 서식이나 절차 등을 검색하여 이용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전산 사용이 가능한 감리 전문가가 아니면 활용하기 어려웠고, 너무나도 방대한 자료에서 클라이언트가 해당되는 정보를 찾아 이용하기가 어려운 단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감리종류별 법령 및 감리사례와 실무지침 등을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으로 감리조건에 따라 해당 현장에서의 업무처리 절차와 해당 서식과 자료 등이 서비스되어 경력이 적은 비전문가 일지라도 쉽게 온라인상에서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 및 그 감리업무 시스템의 업무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리 실무사례를 따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는 실무사례 DB와; 각종 서식 및 건설 및 건축 관련 법령과 각종 자료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자 료관리 DB와; 관리자 PC로부터 신규 현장 개설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온라인 감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해당 현장 명칭의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현장개설 관리부와; 상기 현장개설 관리부에 의한 개설된 현장의 웹페이지에 대해 기본 메뉴화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실무사례DB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실무사례 자료와, 해당 메뉴에서의 업무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와; 인터넷과 접속하여 웹서비스를 제공하여, 현장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현장 웹페이지로의 로그인하고 상기 메뉴 및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감리업무를 온라인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웹서버와; 그 웹서버를 통해 현장의 관리자가 감리업무를 위한 각종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도록 서식의 입력과 그 저장관리를 하는 서식작성관리부와; 상기 현장개설 관리부에 의해 개설되는 현장의 웹페이지를 저장하고, 그 웹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입력되는 각종 업무처리 자료들과 현장관련 자료들을 해당 현장의 업무자료로 저장 관리하는 현장 페이지 및 업무DB와; 관리자 PC 또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실무사례 DB와 자료관리 DB의 각종 자료들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자료를 자동으로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따라 갱신 처리된 정보로서 제공하게 하는 DB 업데이트 에이젼트와; 상기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의 메뉴제공과 매칭시켜서 상기 실무사례 DB에서 해당 메뉴에 대한 실무사례를 자동으로 매칭시켜 제공하는 DB매칭부와; 현장개설이 이루어지고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가 생성되어 감리 업무가 진행되는 과정을 체크하여, 각 현장 조건에 맞는 업무 절차에 따라 각종 업무진행 상황을 자동으로 안내 및 관리하면서 시스템 전반 의 자료 입출력 관리를 수행하는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감리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현장 아이디를 부여하여 해당 현장의 업무처리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제1과정과; 현장 시스템에서 상기 개설된 현장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하여 업무 처리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업무에 대한 실무 사례에 대한 정보를 자동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업무 처리를 위한 서식을 제공하는 제2과정과; 상기 현장 웹페이지의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적용 법령 및 현장 조건등을 체크하여 감리 업무에 대한 기본 절차를 생성하고, 그 절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2과정의 메뉴 선택에 따른 업무 처리 절차를 자동 안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공되는 업무처리를 위한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면, 전자결재에 의해 결재를 하고, 상기 현장 웹페이지에 해당 업무 DB로 저장관리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부터 제4과정을 반복수행하고, 상기 업무절차에 따라 해당 현장의 감리 업무처리가 종료되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자동 보고서를 자동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5과정에서, 해당 현장의 업무자료와 참고자료등의 관련 자료를 구동프로그램과 함께 CD롬으로 기록저장하는 제6과정을 더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과정은, 인사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신규 현장에 대한 관리자의 인사이동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신규 현장의 관리자 인사이동 정보에 의거하여 현장 명칭에 대한 신규 현장 웹페이지를 신설함과 아울러 해당 웹페이지의 사용자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현장의 관리자들이 로그인하여 입력하는 현장의 정보에 의거하여 건설업무 관련 적용 법령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단계; 현장의 실질정보와 설계자료 및 각종 현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관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과정은, 인터넷을 통해 감리업무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현장의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시도하면 사용자권한을 확인후 로그인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권한에 따른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메뉴화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현재까지의 업무진행에 따른 처리해야할 업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메뉴에 따라 진행하는 업무처리를 위한 서식과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서식 제공단계와 더블어 해당 업무와 매칭시킨 실무사례를 별도의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과정은, 현장정보와 적용 법령에 따라 해당 현장에 적용되는 업무진행 절차를 생성하는 단계와; 그 업무진행절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2과정의 실무사례를 각 메뉴에 매칭시켜주는 단계와; 현재까지 처리된 업무와 기 생성된 업무진행절차에 의거하여 현재 처리해야할 업무와 미처리 업무에 대한 안내를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과정은, 제공된 서식에 따라 현장 및 감리 담당자가 서식을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문서가 해당 현장 웹페이지에 업로드되고, 그 업로드된 문서에 대해 결재권자에게 전자결재 요청을 하는 단계와; 결재권자의 전자결재가 이루어지면, 해당 문서가 업무처리 DB에 저장됨과 아울러 처리결과를 문서 작성을 한 업무 담당자에게 통지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5과정은, 업무 진행에 따라 주간보고와 월간 보고 및 이벤트 보고 등의 기본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보고서를 로딩 시킴과 아울러, 메뉴얼 보고서 생성 모드를 제공하여 메뉴얼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의 개요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사 시스템(10)에 의한 본사관리와, 그 본사 시스템(10)과 연결되어 감리 업무 전반에 걸친 관리 및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리업무 시스템(100)과, 그 감리업무 시스템(100)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각 현장별 감리단, 시공사 및 하도 업체들의 감리 업무 처리를 위한 현장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본사 시스템(10)은 관리자 모드에서 현장관리, 자료관리, 경영관리, 전자결재, 기술지원, 고객센터 등을 운영하게 되고, 감리단 이하의 현장 시스템(300)에서는 공무행정, 자료관리, 공사관리, 기술자료, 품질관리, 도면관리, 안전환경관리, 계약관리 등을 처리하게 된다.
이와같이, 다수의 현장으로 분리되어 관리되는 건설공사의 감리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감리업무 시스템(100)을 구비하여 종합 관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업무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도 1과 대응시켜 설명하면, 관리자 PC(11)를 포함하는 본사 시스템(10)과, 감리업무 시스템(100)과, 웹서버(200)와, 현장시스템 (300)으로 구성된다. 본사시스템(10)은, 각 회사의 업무 시스템과 관리자 PC(11)를 포함하며, 현장 시스템(300)은 현장의 클라이언트 P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리 업무 시스템(100)은, 감리 실무사례를 따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는 실무사례 DB(110)와, 각종 서식 및 건설 및 건축 관련 법령과 각종 자료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자료관리 DB와(120)와, 관리자 PC(11)로부터 신규 현장 개설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온라인 감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해당 현장 명칭의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현장개설 관리부(150)와, 상기 현장개설 관리부(150)에 의한 개설된 현장의 웹페이지에 대해 기본 메뉴화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실무사례DB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실무사례 자료와, 해당 메뉴에서의 업무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170)와,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현장 개설 관리부(150)에서 개설되어 관리되는 현장 웹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상기 메뉴 및 정보 제공부(17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감리업무를 온라인 처리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하고 로그인 관리를 하는 웹서버(200)와, 그 웹서버(200)를 통해 현장의 관리자가 감리업무를 위한 각종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도록 서식의 입력과 그 저장관리를 하는 서식작성관리부(190)와, 상기 현장개설 관리부(150)에 의해 개설되는 현장의 웹페이지를 저장하고, 그 웹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입력되는 각종 업무처리 자료들과 현장관련 자료들을 해당 현장의 업무자료로 저장관리하는 현장 페이지 및 업무DB(180)와, 관리자 PC(11) 또는 상기 웹서버(200)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실무사례 DB(110)와 자료관리 DB(120)의 각종 자료들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자료를 자동으로 메뉴 및 정보 제공 관 리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따라 갱신처리된 정보로서 제공하게 하는 DB 업데이트 에이젼트(130)와, 상기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170)의 메뉴제공과 매칭시켜서 상기 실무사례 DB에서 해당 메뉴에 대한 실무사례를 자동으로 매칭시켜 제공하는 DB매칭부(140)와, 현장개설이 이루어지고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가 생성되어 감리 업무가 진행되는 과정을 체크하여, 각 현장 조건에 맞는 업무 절차에 따라 각종 업무진행 상황을 자동으로 안내 및 관리하면서 시스템 전반의 자료 입출력 관리를 수행하는 메인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무 사례DB(110)에 감리업무에 관련된 실무 사례를 DB로서 구축하여 두고, 이를 메뉴 선택시에 해당 실무 사례를 자동 안내 한다. 실무 사례는 감리 업무에 따라 법령별로 DB를 구축하여 현장별 조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실무 사례를 제공한다. 자료관리 DB(120)는, 건설 관련 자료 및 감리업무와 관련된 각종 자료와, 법령, 기타 현장에서 취합되는 각종 설계 및 참고 자료 등등을 저장 관리하여, 업무 처리시 자료 검색에 의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감리 업무 시스템(100)이 현장 개설을 하고, 현장 시스템(300)에서 접속하여 메뉴를 선택하면 실무 사례를 함께 제공함과 동시에 업무 서식을 제공하여 업무 서식의 다운로드 없이 직접 화면상에서 작성하여 작성 완료를 하면, 서식 작성 관리부가 제어하여 이를 업무 DB(180)에 일시 저장하고, 결재권자에게 자동 통지하여 전자결재가 완료된 후에 업무 DB로서 저장 관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의 감리업무 처리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상에서 감리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현장 아이디를 부여하여 해당 현장의 업무처리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제1과정(S10)과, 현장 시스템에서 상기 개설된 현장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하여 업무 처리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업무에 대한 실무 사례에 대한 정보를 자동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업무 처리를 위한 서식을 제공하는 제2과정(S20)과, 상기 현장 웹페이지의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적용 법령 및 현장 조건등을 체크하여 감리 업무에 대한 기본 절차를 생성하고, 그 절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2과정의 메뉴 선택에 따른 업무 처리 절차를 자동 안내하는 제3과정(S30)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공되는 업무처리를 위한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면, 전자결재에 의해 결재를 하고, 상기 현장 웹페이지에 해당 업무 DB로 저장관리하는 제4과정(S40)과, 상기 제2과정(S20)에서부터 제4과정(S40)을 반복수행하면서 감리업무 일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업무절차에 따라 보고서를 자동 및 메뉴얼 제어에 의해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과정(S50)과, 상기 제5과정(S50)에서, 해당 현장의 업무자료와 참고자료등의 관련 자료를 구동프로그램과 함께 CD롬으로 기록저장하는 제6과정(S60)을 수행한다.
상기 제1과정(S10)은, 인사관리 시스템(본사시스템)으로부터 신규 현장에 대한 관리자의 인사이동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신규 현장의 관리자 인사이동 정보에 의거하여 현장 명칭에 대한 신규 현장 웹페이지를 신설함과 아울러 해당 웹페이지의 사용자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현장의 관리자들이 로그인하여 입력하는 현장의 정보에 의거하여 건설업무 관련 적용 법령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단계; 현장의 실질정보와 설계자료 및 각종 현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관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는 현장 개설관리부(150)가 새로운 현장에 대한 인사이동 정보가 입력되 면, 자동으로 해당 현장명의 웹페이지를 개설하여 현장 관리를 시작하게 된다. 인사이동 정보는 본사시스템(10)으로부터 로딩되어 신규 현장의 관리자가 지정되면, 그 인사이동 정보에 의해 새로운 현장명으로 웹페이지를 개설하는 것이다.
현장 시스템(300)에서 인사이동에 의해 지정된 관리자 아이디로 인터넷을 통해 감리업무 시스템(100)에 접속한 후, 해당 현장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해당 현장의 업무권한을 설정하고, 아울러 현장의 각종 정보 및 설계도면등의 현장 정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감리업무 처리를 위한 현장 개설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현장 특성에 따른 법령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법령에 따른 현장의 감리업무 절차를 자동관리하게 되며, DB매칭부(140)가 실무사례DB(110)로부터 해당 업무절차에 따른 각종 실무 사례를 서비스 할 수 있도록 매칭시키게 된다.
상기 제2과정은, 인터넷을 통해 감리업무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현장의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시도하면 사용자 권한을 확인후 로그인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권한에 따른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메뉴화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현재까지의 업무진행에 따른 처리해야할 업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메뉴에 따라 진행하는 업무처리를 위한 서식과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서식 제공단계와 더불어 해당 업무와 매칭시킨 실무사례를 별도의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현장 시스템(300)에서 인터넷을 통해서 웹서버(200)에 접속하면 웹서버(200)가 로그인 관리를 하여 현장 웹 페이지의 접속을 제어하게 되고,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170)는, 기 설정된 사용자 권한에 의거하여 접근이 허용되는 메뉴등을 제어하여 초기 메뉴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메뉴에 대한 메뉴 화면과, 실무 사례 정보 및 해당 메뉴에서의 업무처리 서식이 있는 경우 업무 처리 서식을 화면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3과정(S30)은, 현장정보와 적용 법령에 따라 해당 현장에 적용되는 업무진행 절차를 생성하는 단계와; 그 업무진행절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2과정(S20)의 실무사례를 각 메뉴에 매칭시켜주는 단계와; 현재까지 처리된 업무와 기 생성된 업무진행절차에 의거하여 현재 처리해야할 업무와 미처리 업무에 대한 안내를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뉴를 선택하면 실무 사례DB(110)에 있는 해당 메뉴에서의 실무 사례를 DB 매칭부(140)가 매칭시키게 되고, 그 매칭된 실무 사례 정보가 브라우저로서 제공되며, 업무 서식이 있는 경우 해당 업무 서식을 제공하여 다운로드 없이 직접 화면상의 업무 서식에 작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4과정(S40)은, 제공된 서식에 따라 현장 및 감리 담당자가 서식을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문서가 해당 현장 웹페이지에 업로드되고, 그 업로드된 문서에 대해 결재권자에게 전자결재 요청을 하는 단계와; 결재권자의 전자결재가 이루어지면, 햐당 문서가 업무처리 DB에 저장됨과 아울러 처리결과를 문서 작성을 한 업무 담당자에게 통지되는 단계를 수행한다.
현장 시스템(300)의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되는 실무 사례를 보고 서식에 맞추어서 서식을 작성하게 되며, 그 작성된 서식은 서식 작성 관리부(190)에 의해 작성 및 작성 완료된 업무 서식이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180)에 저장 관리된다.
이때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현장 시스템(300)으로부터 업로드된 업무서식에 대해서 결재 관리자에게 자동 통보하고, 결재관리자가 해당 업무 서식에 대해서 전자결재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전자결재과 완료되면 이를 담당자에게 통보함과 아울러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180)에 업무 처리 결과로서 저장 관리 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60)는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180)의 업무 처리 현황을 체크하여 미처리 업무와 현재 처리해야할 업무등을 자동 안내하고, 아울러 업무 일지 관리와 보고서 관리등을 하게 된다.
제5과정(S50)은, 업무 진행에 따라 주간 보고와 월간 보고 및 이벤트 보고등의 기본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보고서를 로딩 시킴과 아울러, 메뉴얼 보고서 생성 모드를 제공하여 메뉴얼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메인 제어부(160)가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180)를 관리하면서 현재 업무 진행에 대한 업무일지를 자동 생성하여 관리자가 이를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종 보고서등을 자동생성하거나 수동 제어에 의해 원하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감리 업무가 종료되면, 제6과정(S60)으로서, 해당 감리 업무의 일지와 모든 업무 처리 자료들을 실행 프로그램과 함께 CD롬에 저장하여 CD롬을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감리업무의 각 파일들을 실행해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성자가 양식(서식)을 다운로드 하지 않고, 화면에 로딩된 서식에 직접 작성하면, 그 작성된 서식에 대해 자동으로 결재권자에 게 통보되고, 결재권자가 전자결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자결재는, 본 발명의 시스템중 메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전자 결재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업무 서식 작성에 대해 3 - 4개의 문서등록 대장이 자동으로 처리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나 감리 실무사례가 메뉴별로 자동으로 제공됨과 아울러 검색을 통해서 원하는 실무사례를 제공할 수 있고, 기술검토, 공문서 작성등의 행정업무에 적용할 수 있으며, DB 업/데이트 에이젼트(130)의 제어에 의해 최근까지 업그레이드 된 감리 실무사례를 바로 적용할 수 있으며, 추가 공법변경, 법규 변경에 따른 지속적 업그레이드 등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감리원 1인 다역으로 행정업무는 프로그램으로 신속 정확하게 처리가 가능하고, 주요업무인 현장 검측등의 시간배정이 가능하여 실질적 감리 업무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감리 업무 시스템의 확장된 개요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사 시스템(10)과 감리 업무 시스템(100)이 인터넷을 통해서 발주 관서(20)와 현장 시스템(300)에 연결되며, 아울러 감리 업무 DB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감독관청 및 지방 자치단체(30)와 연구기관 및 일반인(40)등에 공개 자료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감리 업무시스템(100)은, 크게 본사관리 메뉴와, 현장 메뉴로 구성할 수 있고, 본사 관리 메뉴에서는 메인화면, 경영관리, 현장관리, 기술지원, 자료관리, 전자결재, 고객센터, 시스템 관리등의 메뉴를 구비하여 관리자가 관리 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 메뉴구성으로서는 계약관리, 공사관리, 품질관리, 안전환경, 자료관리, 기술자료, 도면관리, 사진관리, 고객센터, 시스템관리, 현장 개요, 감리업무, 공무행정 등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감리업무 뿐만 아니라 건설공사에 관련된 업무의 본사와 현장 업무 전반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 착수 단계에서부터 준공단계 및 사용승인까지 감리업무를 온라인 시스템으로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확장개념으로 기 감리 자료를 공개함으로써, 다른 현장이나 일반인들이 해당 감리자료들을 참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감리 현장의 업무 절차에 대해서 문서작성 및 기술검토 등의 사례를 통한 전산화로 업무 지연 방지, 누락 방지 효과가 있다. 감리 행정업무의 전산화에 의해 시간 단축과 간소화로 1인 다역의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현장 검측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술검토 사례 등 최신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타 현장의 실제 기술 검토의견서 등을 공유하여 기술 능력의 업그레이드 효과가 있다. 프로젝트별 감리종료후 사례축적 및 개인 업무자료 공유로 현장적응력 극대효과가 있으며, 감리업계 전체 감리원의 감리기술 향상 효과가 기대되고, 현장의 감리 업무 진행 상황에 대한 전자결재와 보고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발주자, 시공사 등과 관련한 클레임 제기 및 방지 효과가 있으며, 발주청 등에서 당해 감리현장 등을 원격 관리 할 수 있으며, 정부의 전자정부 정책에 부응하여 감리업무의 투명성 및 최신공법 등의 기술 자료를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건설 감리 업무를 위한 본사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인 현장 시스템 사이에 인터넷 또는 전용 네트워크로 연결됨과 아울러 웹서버를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신규 현장 개설에 따른 인사이동 명령에 의거하여 현장 웹페이지를 개설하고, 감리업무 실무사례와 법령 및 기술 자료를 DB로 구축하여 두고, 감리 업무 절차에 대한 자동 안내와 메뉴별로 자동으로 매칭시킨 감리업무 실무사례를 화면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업무서식을 제공하며, 작성된 업무 자료에 대해 전자 결재를 거쳐 저장 관리하고, 보고서와 감리일지의 생성을 제어하는 감리업무 시스템으로서,
    상기 감리업무 시스템은,
    감리 실무사례를 따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는 실무사례 DB와;
    각종 서식 및 건설 및 건축 관련 법령과 각종 자료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자료관리 DB와;
    관리자 PC로부터 신규 현장 개설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온라인 감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해당 현장 명칭의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현장개설 관리부와;
    상기 현장개설 관리부에 의한 개설된 현장의 웹페이지에 대해 기본 메뉴화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실무사례DB로부터 해당메뉴에 대한 실무사례 자료와, 해당 메뉴에서의 업무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와;
    인터넷과 접속하여 웹서비스를 제공하여, 현장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현장 웹페이지로의 로그인하고 상기 메뉴 및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감리업무를 온라인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웹서버와;
    그 웹서버를 통해 현장의 관리자가 감리업무를 위한 각종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도록 서식의 입력과 그 저장관리를 하는 서식작성관리부와;
    상기 현장개설 관리부에 의해 개설되는 현장의 웹페이지를 저장하고, 그 웹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입력되는 각종 업무처리 자료들과 현장관련 자료들을 해당 현장의 업무자료로 저장관리하는 현장 페이지 및 업무DB와;
    관리자 PC 또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실무사례 DB와 자료관리 DB의 각종 자료들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자료를 자동으로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따라 갱신처리된 정보로서 제공하게 하는 DB 업데이트 에이젼트와;
    상기 메뉴 및 정보 제공 관리부의 메뉴제공과 매칭시켜서 상기 실무사례 DB에서 해당 메뉴에 대한 실무사례를 자동으로 매칭시켜 제공하는 DB매칭부와;
    현장개설이 이루어지고 현장 페이지 및 업무 DB가 생성되어 감리 업무가 진행되는 과정을 체크하여, 각 현장 조건에 맞는 업무 절차에 따라 각종 업무진행 상황을 자동으로 안내 및 관리하면서 시스템 전반의 자료 입출력 관리를 수행하는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감리 업무 시스템.
  3. 본사 시스템과 감리업무 시스템 및 현장 시스템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감리 무 시스템의 감리업무 제어방법에 있어서,
    신규 현장에 대해 온라인상에서 감리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현장 아이디를 부여하여 해당 현장의 업무처리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현장의 정보에 의거하여 적용되는 법령을 선택하여 설정하고 현장의 실질정보와 설계자료 및 각종 현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관리하는 제1과정과;
    현장 시스템에서 상기 개설된 현장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하여 업무 처리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업무에 대한 실무 사례에 대한 정보를 자동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업무 처리를 위한 서식을 제공하는 제2과정과;
    상기 현장 웹페이지의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적용 법령 및 현장 조건등을 체크하여 감리 업무에 대한 기본 절차를 생성하고, 그 절차에 의거하여 상기 제2과정의 메뉴 선택에 따른 업무 처리 절차를 자동 안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공되는 업무처리를 위한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면, 전자결재에 의해 결재를 하고, 상기 현장 웹페이지에 해당 업무 DB로 저장관리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부터 제4과정을 반복수행하고, 상기 업무절차에 따라 해당 현장의 감리 업무처리가 종료되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자동 보고서를 자동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2과정은,
    인터넷을 통해 감리 업무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현장의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시도하면 사용자 권한을 확인 후 로그인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 권한에 따른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메뉴화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현재까지의 업무진행에 따른 처리해야할 업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메뉴에 따라 진행하는 업무처리를 위한 서식과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서식 제공단계와 더블어 해당 업무와 매칭시킨 실무사례를 별도의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감리 업무 시스템의 감리 업무 제어방법.
  4. 삭제
KR1020050019726A 2005-03-09 2005-03-09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KR100693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26A KR100693220B1 (ko) 2005-03-09 2005-03-09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26A KR100693220B1 (ko) 2005-03-09 2005-03-09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10A KR20060097410A (ko) 2006-09-14
KR100693220B1 true KR100693220B1 (ko) 2007-03-12

Family

ID=3762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726A KR100693220B1 (ko) 2005-03-09 2005-03-09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56B1 (ko) * 2017-01-10 2018-09-10 주식회사 한화건설 검측 업무용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9093591A1 (ko) * 2017-11-09 2019-05-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 프로젝트 정보 관리 자동화를 위한 정보 관리시스템 및 채팅 플랫폼을 이용한 건설 프로젝트 정보 관리방법
CN110347988B (zh) * 2019-07-03 2023-06-30 广东至衡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工程监理的模板建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60A (ko) * 2000-03-31 2001-11-01 박승일 웹 전용 건설감리실무 네트웍 시스템
KR20040060809A (ko) * 2002-12-27 2004-07-06 (주)테크노비전 온라인을 통한 건설 감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60A (ko) * 2000-03-31 2001-11-01 박승일 웹 전용 건설감리실무 네트웍 시스템
KR20040060809A (ko) * 2002-12-27 2004-07-06 (주)테크노비전 온라인을 통한 건설 감리 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94660 *
10200400608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10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4767B2 (en) Rapid knowledge transfer among workers
US8880436B2 (en)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web-based implementation portal
US7640165B2 (en) Web 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mpliance assurance information
US7006978B2 (en) Method and systems for developing an acquisition integration project plan
US20040030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virtual enterprise
US200200073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ngineering design
CN102982396A (zh) 通用过程建模框架
CN109961264A (zh) 一种企业信息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1628318B1 (ko) 건설 프로젝트 관리 방법
Margatama Employee self service-based human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ase study: BCP Indonesia
KR1006932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US20080222550A1 (en) System for capturing project information over a network
CN104408568A (zh) 用于业主项目部的任务信息处理方法和装置
Srg et al. Blackbox Test on Web Based Employed Attendance Information System Design
CN105955718A (zh) 一种软件定制方法及系统
US20160034908A1 (en) Employee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US20150370773A1 (en) System for Generating and Completing Safety Evaluation Forms
Anis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icensing Information Systems In The Outside Of Employees At PT. Sintech Berkah Abadi
Tasew Incident Management System
KR20050001557A (ko) 일정기능을 갖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Sudradjat et al. MVC Concept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 for Rental Office Utilities Cost
Ghofari et al. Design of a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mployee monitoring and evaluation on the internet in Indonesia
Ranjan et al. Office Management and HR Portal
Spanoudakis et al. Applying BPMS to the Public Sector Using OSS
CN117993873A (zh) 一种基于链股的人力资本数智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