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879B1 -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 - Google Patents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879B1
KR100692879B1 KR1020007001878A KR20007001878A KR100692879B1 KR 100692879 B1 KR100692879 B1 KR 100692879B1 KR 1020007001878 A KR1020007001878 A KR 1020007001878A KR 20007001878 A KR20007001878 A KR 20007001878A KR 100692879 B1 KR100692879 B1 KR 10069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ub
frame
loudspeaker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247A (ko
Inventor
쉬테인유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2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확성기는 샤시(104)와, 진동판(106)과, 액츄에이터(108)와, 서브-프레임(110)을 갖는다. 상기 액츄에이터(108)는 샤시(104)와 진동판(106)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서브-프레임(110)은 상기 샤시(104)와 진동판(106)에 가요성으로 결합된다. 상기 진동판(106)은 샤시(104)에 가요성으로 현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08)는 진동판(106)과 서브-프레임(110)에 부착된 코일(130,132)을 통해 상기 격막(106)과 서브-프레임(110) 양쪽을 직접 구동한다.
샤시, 액츄에이터, 진동판, 서브-프레임, 확성기

Description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Telescoping loudspeaker having multiple coaxial voice coils}
본 발명은 확성기, 특히 텔레스코핑 확성기(telescoping loudspeaker)를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스코핑 확성기는 출판된 CPT 특허 출원 제 IB97/00494(PBN 15.839) 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 출원은 여기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 텔레스코핑 확성기는 작은 사이즈로 조합된 공기의 큰 변위(displacement)를 조합한다. 확성기의 진동판(diaphragm), 또는 원뿔(cone)은 서브-프레임에 가요성으로 현수되며(suspend), 서브-프레임은 가요성으로 샤시에 현수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서브-프레임들은 샤시와 원뿔 사이에 결합된다. 이 원뿔은 서브-프레임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이 서브-프레임은 샤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이 원뿔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원뿔의 개별 진폭의 축적(accuulation)에 의해 비교적 작은 직경의 원뿔로 큰 변위 볼륨(volume)을 얻어질 수 있다.
텔레스코핑 확성기는 작은 크기와 고성능을 겸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비록 제한된 주파수 범위를 초과한다 하더라도, 한편으로 서브-프레임의 대부분(the mass)과 다른 한편으로 원뿔, 서스펜션 및 음향 코일 조합의 대부분이, 반대 위상의 편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음압(sound-pressure) 반응에서 원치않는 강하(dip)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25" 드라이버 크기를 갖는 확성기의 경우에, 이러한 공진 현상은 대략 80㎐와 대략 130㎐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공진은 관련된 변수를,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과 그 조합의 질량(the masses)의 비율, 이러한 질량과 관련된 방사 표면적의 비율을, 적절할 값으로 주의하여 선택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 문제에 대한 다른 해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샤시, 진동판(diaphragm), 액츄에이터 조립체 및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진동판과 샤시 사이에 결합된다. 이 서브-프레임은 샤시와 진동판에 가요성으로 결합된다. 이 진동판은 샤시에 가요성으로 현수된다(suspend). 이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서브-프레임과 진동판 양쪽을 직접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동판과 서브-프레임 모두는, 구동 액츄에이터 조립체와 구동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에 기능적으로 비가요성 연결이 있다는 점에서, 액츄에이터 조립체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따라서, 진동판과 서브-프레임에 발휘된 힘은, 더 넓은 주파수에 걸쳐서 위상이 동일하다. 서브-프레임과 진동판 양자의 변위(displacement)은 따라서 양호하게 조절된다.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 부분에서 참조된 확성기의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서브-프레임이 진동판에 가요성으로 결합된다는 점에 때문에, 간접적으로만 서브-프레임을 구동한다. 이러한 공지된 확성기의 원치않는 공진은, 주요부들(the masses) 사이의 가요성 결합에 기인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제 2 항 내지 7 항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확성기, 특히 텔레스코핑 확성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는 제 8 항에서 청구되며 제 2 항 내지 7 항중 어느 한 항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를 갖는 장치의 다이아그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다이아그램이다. 장치(100)는 예를 들어 확성기(102)를 구비한, PC, 가정용 극장, 카 오디오 시스템, 휴대용 CD 플레이어나 라디오, 스피커 박스 등이거나, 또는 확성기(102)를 주변 기기에 물리적으로 부착하는 장착 구조를 갖는 확성기(102)이다. 확성기(102)는 단면으로 도시된다. 확성기(102)는 샤시(104), 진동판(diaphragm)(106), 액츄에이터 조립체(108), 및 서브-프레임(110)을 갖는다. 액츄에이터 조립체(108)는 샤시(104)와 진동판(106) 사이에 결합된다. 서브-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가요성 요소들(112,114)을 통해, 샤시(104)에 결합되고, 예를 들어 가요성 요소(116,118)를 통해, 진동판(106)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진동판(106)은 가요성 요소(112 내지 118)를 통해 샤시(104)에 탄력적으로 현수된다(suspend). 액츄에이터 조립체(108)는 진동판(106)과 서브-프레임(110) 모두를 직접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조립체(108)는 자석(120), 및 공기 간극(126)과 공기 간극(128)을 가로지르는 자장을 모으는 것을 돕는 철제부들(122,124)을 갖는 자석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 1 코일(130)은 진동판(106)에 연결되며 간극(126) 내에서 움직인다. 제 2 코일(132)은 서브-프레임(110)에 연결된다. 제 1 코일과 제 2 코일(130,132)은 본 실시예에서 동축이다. 제 1 코일과 제 2 코일(130,132)은 재생될 사운드를 나타내는 전류를 전도한다. 공기 간극(126,128) 내에서 자장과 전류의 상호작용은 진동판(106)과 서브-프레임(110)이 움직이도록 한다. 신호 전류는 접촉부(134)와 배선(136)을 통해 코일(130)로 공급된다. 신호 전류는 접촉부(138)와 배선(140)을 통해 코일(132)로 공급된다. 진동판(106)과 서브-프레임(110)의 기능상 동축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안내부(142,144)는 진동판(106)과 서브-프레임(110)이 배열되는 것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안내부(144)는, 부품(136)이 서브-프레임(110)의 고정된 연장부일 때, 코일(132)의 움직임을 서브-프레임(110)에 직접 결합시킨다.
확성기(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코일(130,132)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코일과 제 2 코일(130,132)은 동위상인 유사한 신호 전류를 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막과 서브-프레임상에 발휘된 힘은 공지 기술에서보다 넓은 주파수에 걸쳐 위상이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전류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130,132)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된 신호와 조합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도록 서로 상이해진다. 이것은 격막(106)과 서브-프레임(1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위상차에 걸쳐 다른 제어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후자의 실시예에 있어서, 확성기(102)는 음향 전류 자체의 제어하에서 음향 전류와 혼합될 적절한 제어 전류를 발생시키는 내장 전기 회로(146)를 갖는데, 상기 전기 회로는 외측으로부터 단자(148)에 수용된다. 제어 전류는 장치(102)의 설계 인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면, 제 1 코일과 제 2 코일(130,132)의 축방향 길이와, 그들 배선의 권선 조밀도는 소정 전류의 자장에 대한 코일의 반응을 결정한다. 따라서, 회로(146)는 원하는 입력 전류 및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도록 제작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된다. 이는 더 남아있는 원하지 않는 공진 효과를 전기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돕는 것에 접근한다. 이와 달리, 각 전류의 개별 제어는 진동판(106)과 서브-프레임(110)의 움직임 사이의 위상차를 활발히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면 소정 주파수 범위 또는 범위들에서 위상차를 증가시킴으로써 재생된 음향에 다른 크기를 추가하도록 원조할 수도 있다.

Claims (8)

  1. 샤시(104), 상기 샤시에 가요성으로 현수되는(suspend) 진동판(106), 상기 샤시와 상기 진동판에 가요성으로 결합되는 서브-프레임(110), 및 상기 진동판을 직접 구동하기 위해 상기 진동판과 상기 샤시 사이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108)를 포함하는 확성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직접 구동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비가요성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102)를 구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제 1, 제 2 및 제 3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품(130)은 상기 진동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부품(132,144)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부품(120,122,124)은 상기 샤시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부품은 상기 진동판과 상기 서브-프레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과 협동하는, 확성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품은 상기 진동판과 상기 서브-프레임을 실질적으로 동기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과 협동하는, 확성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품은,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진동판의 편위들(excursions) 사이의 위상차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진동판과 상기 서브-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과 협동하는, 확성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146)을 포함하는, 확성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은 제 1 코일(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품은 제 2 코일(132)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부품은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의 동축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자석 시스템(120)을 포함하는, 확성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14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진동판의 편위들 사이의 위상차를 제한하기 위해 각각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확성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확성기를 갖는 장치.
KR1020007001878A 1998-06-25 1999-06-10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 KR100692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04,490 US6031925A (en) 1998-06-25 1998-06-25 Telescoping loudspeaker has multiple voice coils
US09/104,490 1998-06-25
PCT/IB1999/001086 WO1999067975A1 (en) 1998-06-25 1999-06-10 Telescoping loudspeaker having multiple coaxial voice co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247A KR20010023247A (ko) 2001-03-26
KR100692879B1 true KR100692879B1 (ko) 2007-03-12

Family

ID=2230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878A KR100692879B1 (ko) 1998-06-25 1999-06-10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31925A (ko)
EP (1) EP1033062B1 (ko)
JP (1) JP2002519901A (ko)
KR (1) KR100692879B1 (ko)
DE (1) DE69917881T2 (ko)
TW (1) TW453128B (ko)
WO (1) WO1999067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4632B1 (en) * 2001-06-11 2009-07-29 Panasonic Corporation Speaker
GB0219106D0 (en) * 2002-08-16 2002-09-25 Kh Technology Corp Improvements in loudspeakers
US7551749B2 (en) * 2002-08-23 2009-06-23 Bose Corporation Baffle vibration reducing
TW562363U (en) * 2002-10-11 2003-11-11 Merry Electronics Co Ltd Dual magnetic loop voice transceiver
TW562362U (en) * 2002-10-14 2003-11-11 Merry Electronics Co Ltd Dual magnetic loop voice transceiver
US6735323B1 (en) * 2003-01-30 2004-05-11 Sun Technique Electric Co., Ltd. Speaker
US7116795B2 (en) * 2003-02-06 2006-10-03 Michael P Tuason Self-aligning self-sealing high-fidelity portable speaker and system
JP3651472B2 (ja) * 2003-10-14 2005-05-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0799008B1 (ko) * 2004-03-31 2008-01-2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피커와, 이를 이용한 모듈, 전자 기기 및 장치, 스피커의제조 방법
KR100643765B1 (ko) * 2005-03-11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장치
JP4470768B2 (ja) * 2005-03-15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JP4626462B2 (ja) * 2005-09-21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JP4569477B2 (ja) * 2006-01-17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JP4735376B2 (ja) * 2006-04-04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用ダンパ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WO2008004293A1 (fr) * 2006-07-06 2008-01-10 Pioneer Corporation Dispositif de haut-parleur
WO2008023419A1 (fr) * 2006-08-24 2008-02-28 Pioneer Corporation Haut-parleur
US8180076B2 (en) * 2008-07-31 2012-05-15 Bos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affle vibration
US8325968B2 (en) * 2009-12-21 2012-12-04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Speaker
US9025798B2 (en) 2010-06-09 2015-05-05 Stephen Saint Vincent Multi-coaxial transducers and methods
CN103281655A (zh) * 2013-04-16 2013-09-04 沙文金 一种双音圈动圈式扬声器
FR3058021B1 (fr) * 2016-10-25 2019-07-26 Cabasse Moteur de haut-parleur, haut-parleur et procede de centrage d'une membrane de haut-parleur
CN208369831U (zh) * 2018-05-04 2019-01-11 惠州超声音响有限公司 一种对称双折环的扬声器
CN112449290A (zh) * 2019-08-30 2021-03-05 宁波升亚电子有限公司 扬声器及其制造方法和发声方法
FR3133718B1 (fr) * 2022-03-16 2024-03-08 Devialet Haut-parleur avec moteur magnétique comprenant une pluralité de pièces et procédé d’assembl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1898A1 (de) * 1982-11-12 1984-07-19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Elektrodynamischer wandler
WO1997046046A1 (en) * 1996-05-31 1997-12-04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dynamic loudspeaker and system comprising the loud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9452U1 (ko) * 1991-07-31 1991-10-17 Nokia Unterhaltungselektronik (Deutschland) Gmbh, 7530 Pforzheim, De
WO1994003026A1 (en) * 1992-07-17 1994-02-03 Linaeum Corporation Audio transducer with etched voice co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1898A1 (de) * 1982-11-12 1984-07-19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Elektrodynamischer wandler
WO1997046046A1 (en) * 1996-05-31 1997-12-04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dynamic loudspeaker and system comprising the loud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3062B1 (en) 2004-06-09
WO1999067975A1 (en) 1999-12-29
JP2002519901A (ja) 2002-07-02
US6031925A (en) 2000-02-29
DE69917881T2 (de) 2005-06-30
DE69917881D1 (de) 2004-07-15
EP1033062A1 (en) 2000-09-06
KR20010023247A (ko) 2001-03-26
TW453128B (en)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879B1 (ko)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
AU2020229695B2 (en) A multi-range speaker containing multiple diaphragms
EP1679936B1 (en) Baffle vibration reduction in a loudspeaker housing
WO2010025351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ed distortion balanced armature devices
US4295006A (en) Speaker system
KR20110051642A (ko) 리본형 스피커
US6067364A (en) Mechanical acoustic crossover network and transducer therefor
KR20030039926A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JP4601410B2 (ja) スピーカ装置
JP2005503091A (ja) 2つのダイヤフラムを有する電気音響トランスデューサ
KR100761591B1 (ko) 스피커 장치
JPH11234778A (ja) スピーカ装置
CN113993041A (zh) 宽带扬声器及其控制方法
JP3510094B2 (ja) スピーカ装置
KR102658276B1 (ko) 자성체 진동판을 이용한 평판형 트위터 스피커
JP2007124241A (ja) スピーカ装置
KR102374602B1 (ko) 솔레노이드 스피커
US20050180591A1 (en) Speaker
CN110708641B (zh) 声学面板组件
KR100428360B1 (ko) 음압 가변 스피커
KR200145349Y1 (ko) 헤드폰의 일체형 바이브레이션 유니트
JP2004187234A (ja) スピーカ装置
CN115119118A (zh) 声音/信号转换器
CN116233705A (zh) 扬声器模组和电子设备
KR20110051643A (ko) 리본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