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864B1 -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864B1
KR100692864B1 KR1020040071530A KR20040071530A KR100692864B1 KR 100692864 B1 KR100692864 B1 KR 100692864B1 KR 1020040071530 A KR1020040071530 A KR 1020040071530A KR 20040071530 A KR20040071530 A KR 20040071530A KR 100692864 B1 KR100692864 B1 KR 100692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ata
data lines
pads
data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787A (ko
Inventor
김석주
신성환
김상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8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79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 표시패널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전계발광 셀 매트릭스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n(n > 2 인 정수)분할되어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1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과 인접한 표시영역의 주변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2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선 Ⅰ-Ⅰ', Ⅱ-Ⅱ'를 따라 절취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1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선 Ⅰ-Ⅰ', Ⅱ-Ⅱ'를 따라 절취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2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2, 52 : 표시패널 4, 4a, 4b, 54a, 54b : 데이터 패드부
60 : 제1 데이터 패드 61 : 제2 데이터 패드
6, 56 : 스캔 패드부 20 : 기판
26 : 절연막 28 : 격벽
36 : 제1 절연막 46 : 제2 절연막
62, 62a, 62b : 연결배선 64 : 컨택홀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면적 표시패널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전계발광(Electro Luminescence : 이하 "EL"라 함) 표시장치 등이 있다.
PDP는 구조와 제조 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대면적화에 가장 유리하지만 발광효율과 휘도가 낮고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LCD는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장치로 주로 이용되면서 수요가 늘고 있지만, 대면적화에 어렵고 백라잇 유닛으로 인하여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LCD는 편광필터, 프리즘시트, 확산판 등의 광학표시장치들에 의해 광손실이 많고 시야각이 좁은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EL 표시장치는 무기 EL과 유기 EL로 대별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EL 표시장치는 대략 10[V] 정도의 전압으로 수만[cd/㎡]의 높은 휘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EL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EL 표시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데이터라인들(DL)과 스캔라인들(SL)과, 그 교차부마다 형성되어 매트릭스타입으로 배열된 EL 셀(미도시)을 구비하는 표시패널(2)과, 표시패널(2)의 데이터라인들(DL)이 신장되어 데이터라인들(DL)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데이터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데이터 패드부(4)와 표시패널(2)의 스캔라인들(SL)이 신장되어 스캔라인들(SL)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스캔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스캔 패드부(6)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라인들(DL)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스캔라인들(SL)에 부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 구동부(미도시)와, 데이터 구동부와 스캔 구동부에 구동전압과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때,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패드부(4)와 접속되며, 스캔 구동부는 스캔 패드부(6)와 접속된다.
타이밍 제어부는 표시패널(2)의 스캔라인들(SL)에 부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 구동부에 부극성 전압을 인가한다.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스캔 구동부에 부극성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부극성 전압은 스캔 구동부와 접속된 스캔 패드부(6)를 통해 스캔라인들(SL)에 인가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는 표시패널(2)의 데이터라인들(DL)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한다.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데이터 구동부에 정극성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정극성 전압은 데이터 구동부와 접속된 데이터 패드부(4)를 통해 데이터라인들(DL)에 인가된다. EL 셀은 스캔라인들(SL)에 부극성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데이터라인들(DL)에 정극성 전압이 인가될 때 순방향 바이어스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서 발광한다.
이러한 유기 EL 표시장치에는 데이터라인들(DL)과 스캔라인들(SL)에 의한 라인 저항이 존재한다. 특히, 데이터라인들(DL)은 알루미늄(Al)과 같은 저항이 낮은 금속을 이용하는 스캔라인들(SL)과 달리 높은 저항을 가지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의 투명전도성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기 EL 표시장치의 표시패널(2)을 대면적화하기 위해 데이터라인들(DL)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유기 EL 표시장치의 대면적 표시패널(2)은 높은 저항을 가지는 데이터라인들(DL)에 의해 큰 휘도 차를 나타내게 된다.
다시 말해,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데이터 패드부(4)에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면 데이터 패드부(4)로부터 가까운 데이터라인들(DL)에 흐르는 전류와 데이터 패드부(4)로부터 먼 데이터라인들(DL)에 흐르는 전류는 데이터라인들(DL)의 높은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현상에 의하여 큰 전류편차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라인들(DL)에 나타나는 전류편차에 의하여 유기 EL 표시장치의 대면적 표시패널(2)은 큰 휘도 차를 나타내게 되며, 이에 따라, 화질은 크게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이 높은 데이터라인들(DL1 및 DL2)의 배선이 분리된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유기 EL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유기 EL 표시장치는 도 1과 비교해서, 유기 EL 표시패널(2)의 제1 데이터라인들(DL1)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제2 데이터라인들(DL2)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때,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제1 데이터라인들(DL1)이 신장되어 제1 데이터라인들(DL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데이터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제1 데이터 패드부(4a)와 접속되며, 제2 데이터 구동부는 제2 데이터라인들(DL2)이 신장되어 제2 데이터라인들(DL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부(4b)와 접속된다.
즉, 유기 EL 표시장치의 표시패널(2)은 2개의 서브패널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유기 EL 표시장치의 표시패널(2)을 대면적화함에 따른 데이터라인들(DL1 및 DL2)이 길어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류편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에도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들(DL1 및 DL2)의 높은 저항으로 인하여 무한정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들(DL1 및 DL2)을 연장할 수 없으므로 대면적 표시패널을 구현하는데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면적 표시패널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전계발광 셀 매트릭스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n(n > 2 인 정수)분할되어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1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과 인접한 표시영역의 주변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2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및 연결배선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절연막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절연막은,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연결배선과 접속될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구비하는 제1 절연막과; 상기 연결배선 및 상기 제1 절연막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절연막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은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들은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배선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들은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보다 좁은 선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유기 전계발광 셀 매트릭스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n(n > 2 인 정수)분할된 데이터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1 데이터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과 인접한 표시영역의 주변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2 데이터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유기 전계발광 셀 매트릭스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n(n > 2 인 정수)분할된 데이터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1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과 인접한 표시영역의 주변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2 데이터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및 연결배선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연결배선과 접속될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구비하는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배선 및 상기 제1 절연막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은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는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배선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들은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보다 좁은 선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기 EL 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DL)이 ITO, IZO, ITZO 등의 높은 저항을 가지는 투명전도성물질로 형성됨으로써 데이터라인들(DL)이 길어짐에 따라 유발되는 전류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을 구비한다.
유기 EL 표시장치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 지 DL3)과,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과 교차하는 스캔라인들(SL)과, 그 교차부마다 형성되어 매트릭스타입으로 배열된 EL 셀(미도시)을 구비하는 표시패널(52)을 구비한다.
또한, 유기 EL 표시장치는 표시패널(52)의 제1 데이터라인들(DL1)이 신장되어 제1 데이터라인들(DL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1 데이터 패드부(54a)와, 제2 데이터라인들(DL2)이 신장되어 제2 데이터라인들(DL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부(54b)와, 스캔라인들(SL)이 신장되어 스캔라인들(SL)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스캔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스캔 패드부(56)를 구비한다.
이 때, 제1 데이터 패드부(54a)는 제1 또는 제2 데이터 패드부(54a 또는 54b)에 접속되지 않은 제3 데이터라인들(DL3)을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을 구비한다. 제3 데이터라인들(DL3)은 연결배선(62)을 통해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형성된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접속된다.
또한, 유기 EL 표시장치는 제1 및 제3 데이터라인들(DL1 및 DL3)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제2 데이터라인들(DL2)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스캔라인들(SL)에 부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 구동부(미도시)와,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스캔 구동부에 구동전압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제1 데이터 패드부(54a)와 접속되고, 제2 데이터 구동부는 제2 데이터 패드부(54b)와 접속되고, 스캔 구동부는 스캔 패드부(56)와 접속된다.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제3 데이터라인들(DL3)을 연결하는 연결배선(6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라인(DL1)과 제1 데이터라인(DL1) 사이의 비발광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인가되는 정극성 전압은 연결배선(62)을 통하여 제3 데이터라인들(DL3)에 인가된다. 연결배선(62)은 계면특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도전성물질인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EL 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DL)이 ITO, IZO, ITZO 등의 높은 저항을 가지는 투명전도성물질로 형성됨으로 유발되는 전류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4)을 구비한다.
유기 EL 표시장치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4)과, 제1 내지 제4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4)과 교차하는 스캔라인들(SL)과, 그 교차부마다 형성되어 매트릭스타입으로 배열된 EL 셀(미도시)을 구비하는 표시패널(52)을 구비한다. 또한, 유기 EL 표시장치는 표시패널(52)의 제1 데이터라인들(DL1)이 신장되어 제1 데이터라인들(DL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1 데이터 패드부(54a)와, 제2 데이터라인들(DL2)이 신장되 어 제2 데이터라인들(DL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부(54b)와, 스캔라인들(SL)이 신장되어 스캔라인들(SL)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스캔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스캔 패드부(56)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3 데이터라인들(DL1 및 DL3)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제2 및 제4 데이터라인들(DL2 및 DL4)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스캔라인들(SL)에 부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 구동부(미도시)와,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스캔 구동부에 구동전압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제1 데이터 패드부(54a)와 접속되고, 제2 데이터 구동부(58b)는 제2 데이터 패드부(54b)에 접속되며, 스캔 구동부(60)는 스캔 패드부(56)와 접속된다.
이 때, 제1 데이터 패드부(54a)는 제1 또는 제2 데이터 패드부(54a 또는 54b)에 접속되지 않은 제3 데이터라인들(DL3)을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을 구비한다. 또한, 제2 데이터 패드부(54b)는 제1 또는 제2 데이터 패드부(54a 또는 54b)에 접속되지 않은 제4 데이터라인들(DL4)을 제2 데이터 패드부(54b)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을 구비한다. 제3 데이터라인들(DL3)은 제1 연결배선(62a)을 통해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형성된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접속되고, 제4 데이터라인들(DL4)은 제2 연결배선(62b)을 통해 제2 데이터 패드부(54b)에 형성된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접속된다.
제1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인가되는 정극성 전압은 제1 연결배선(62a)을 통하여 제3 데이터라인들(DL3)에 인가되며, 제2 데이터 구동부로부터의 제2 데이터 패드부(54b)에 인가되는 정극성 전압은 제2 연결배선(62b)을 통하여 제4 데이터라인들(DL4)에 인가된다. 이 때, 제1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정극성 전압을 제3 데이터라인들(DL3)에 인가하는 제1 연결배선(62a)은 제1 데이터라인(DL1)과 제1 데이터라인(DL1) 사이의 비발광영역을 따라 형성된다. 제2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정극성 전압을 제4 데이터라인들(DL4)에 인가하는 제2 연결배선(62b)은 제2 데이터라인(DL2)과 제2 데이터라인(DL2) 사이의 비발광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결배선(62a, 62b)은 계면특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도전성물질인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지 않은 데이터라인들은 제1 및 제2 연결배선(62a 및 62b)을 통하여 데이터 패드부에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들(6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면적 표시패널을 가지는 유기 EL 표시장치를 구현 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e와 결부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제2 실시 예의 경우는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같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선 Ⅰ-Ⅰ', Ⅱ-Ⅱ'를 따라 절취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판(20) 상에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동일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 판(20) 상에는 제1 데이터라인들(DL1)이 신장되어 제1 데이터라인들(DL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1 데이터 패드부(54a)가 형성되고, 제2 데이터라인들(DL2)이 신장되어 제2 데이터라인들(DL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부(54b)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는 후속 공정으로 형성될 연결배선(62)과의 접속을 위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이 제1 데이터 패드들(60)과 함께 형성된다. 제1 및 제2 데이터 패드들(60, 61)은 ITO, IZO, ITZO 등의 투명전도성물질 또는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물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데이터 패드들(60, 61)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은 제1 데이터 패드들(60)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제3 데이터라인들(DL3)의 연결을 위한 연결배선(62)이 형성된다. 연결배선(62)은 계면특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도전성물질인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된다. 연결배선(62)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EL 셀(미도시) 영역마다 개구부를 가지며 연결배선(62)을 덮은 절연막(26)이 형성된다. 절연막(26)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유기발광층(30) 및 스캔라인들(SL)의 분리를 위한 격벽(28)이 형성된다. 격벽(28)은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격벽(28)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유기발광물질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증착됨으로써 유기발광층(30)이 형성되며, 연이어, 스캔라인들(SL)이 전극물질의 전면 증착을 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3 데이터라인들(DL3)은 연결배선(62)을 통하여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형성된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접속되게 되며, 연결배선(62)은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제3 데이터라인들(DL3)에 인가시켜준다. 이에 따라, 데이터라인들(DL)의 높은 저항으로 인하여 데이터라인들(DL)이 길어짐에 따른 전류편차는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로 데이터라인들(DL)을 짧게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제1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은 기판(20) 상에 투명전도성물질이 증착된 후 패터닝됨으로써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며, ITO, IZO, ITZO 등의 투명전도성물질로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동일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판(20) 상에는 제1 데이터라인들(DL1)이 신장되어 제1 데이터라인들(DL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제1 데이터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 데이터라인들(미도시)이 신장되어 제2 데이터라인들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데이터 패드부에는 후속 공정으로 형성될 연결배선(62)과의 접속을 위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이 제1 데이터 패드들과 함께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은 제1 데이터 패드들(60)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과 제1 데이터 패드들 및 제2 데이터 패드들(61)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도 8b와 같이, 금속물질이 전면 증착된 후 패터닝됨으로써 제1 데이터라인(DL1)과 제1 데이터라인(DL1) 사이의 비발광영역을 따라 제1 데이터 패드부(미도시)에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제3 데이터라인들(DL3)의 접속을 위한 연결배선(62)이 형성된다. 연결배선(62)은 계면특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도전성물질인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된다. 연결배선(62)이 형성된 기판 상에는 도 8c와 같이, 절연물질이 전면 증착된 후 패터닝됨으로써 비발광영역을 따라 EL 셀(미도시) 영역마다 개구부를 가지며 연결배선(62)을 덮는 절연막(26)이 형성된다. 이어, 절연막(26)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도 8d와 같이, 유기발광층(30) 및 스캔라인들(SL)의 분리를 위한 격벽(28)이 형성된다. 격벽(28)은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들(DL1 및 DL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격벽(28)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물질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증착됨으로써 유기발광층(30)이 형성되며, 연이어, 스캔라인들(SL)이 전극물질의 전면 증착을 통하여 형성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선 Ⅰ-Ⅰ', Ⅱ-Ⅱ'를 따라 절취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기판(20)상에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동일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판(20) 상에는 제1 데이터라인들(DL1)이 신장되어 제1 데이터라인들(DL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1 데이터 패드부(54a)가 형성되고, 제2 데이터라인들(DL2)이 신장되어 제2 데이터라인들(DL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60)이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부(54b)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는 후속 공정으로 형성될 연결배선(62)과의 접속을 위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이 제1 데이터 패드들(60)과 함께 형성된다. 제1 및 제2 데이터 패드들(60, 61)들은 ITO, IZO, ITZO 등의 투명전도성물질 또는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물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데이터 패드들(60, 61)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은 제1 데이터 패드들(60)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이 형성된 기판(20) 상에 비발광영역을 따라 EL 셀(미도시) 영역마다 개구부를 갖는 제1 절연막(36)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절연막(36) 상에는 마스크를 통하여 패터닝됨으로써 제3 데이터라인들(DL3) 상에 후속 공정으로 형성될 연결배선(62)과 제3 데이터라인들(DL3)의 접속을 위한 컨택홀(64)이 형성된다. 제1 절연막(36) 상에 제1 데이터라인(DL1)과 제1 데이터라인(DL1) 사이의 비발광영역을 따라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제3 데이터라인들(DL3)의 접속을 위한 연결배선(62)이 형성된다. 연결배선(62)은 제1 절연막(36)에 의하여 인접한 제1 데이터라인들(DL1)과 절연되므로, 제1 절연막(36) 상에 연결배선(62)을 더 넓게 형성할 수 있게됨으로써 더욱 넓은 선 폭을 확보하여 연결배선(62)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연결배선(62)은 제1 절연막(36) 상에 형성된 컨택홀(64)을 통해서 제2 데이터라인들(DL2)과 접속된다. 연결배선(62)은 계면특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도전성물질인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된다. 이어, 연결배선(62) 상에는 EL 셀(미도시) 영역마다 개구부를 가지며 연결배선(62)을 덮는 제2 절연막(46)이 형성된다. 이어, 제2 절연막(46)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유기발광층(30) 및 스캔라인들(SL)의 분리를 위한 격벽(28)이 형성된다. 격벽(28)은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격벽(28)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유기발광물질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증착됨으로써 유기발광층(30)이 형성되며, 연이어, 스캔라인들(SL)이 전극물질의 전면 증착을 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3 데이터라인들(DL3)은 연결배선(62)을 통하여 제1 데이터 패드부(54a)에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연결되게 되며, 연결배선(62)은 제1 데이터 구동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제3 데이터라인들(DL3)에 인가시켜준다. 이에 따라, 데이터라인들(DL)의 높은 저항으로 인하여 데이터라인들(DL)이 길어짐에 따른 전류편차는 연결되지 않는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을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절연막(36)에 의하여 연결배선(62)이 인접한 제1 데이터라인들(DL1)과 절연됨으로 인하여 연결배선(62)을 더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연결배선(62)이 길어질 경우, 연결배선(62)의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2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은 기판(20) 상에 투명전도성물질이 증착된 후 패터닝됨으로써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 되며, ITO, IZO, ITZO 등의 투명전도성물질로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동일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판(20) 상에는 제1 데이터라인들(DL1)이 신장되어 제1 데이터라인들(DL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제1 데이터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 데이터라인들(미도시)이 신장되어 제2 데이터라인들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데이터 패드들(미도시)이 형성된 제2 데이터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데이터 패드부에는 후속 공정으로 형성될 연결배선(62)과의 접속을 위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이 제1 데이터 패드들과 함께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데이터 패드들(61)은 제1 데이터 패드들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3)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도 10b와 같이, 절연물질이 전면 증착된 후 패터닝됨으로써 비발광영역을 따라 EL 셀(미도시) 영역마다 개구부를 갖는 제1 절연막(36)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절연막(36) 상에는 제3 데이터라인들(DL3) 상에 후속 공정으로 형성될 연결배선(62)과 제3 데이터라인들(DL3)의 접속을 위한 컨택홀(64)이 형성된다. 이어, 제1 절연막(36) 상에는 도 10c와 같이, 금속물질이 전면 증착된 후 패터닝됨으로써 제2 데이터 패드들(61)과 제3 데이터라인들(DL3)의 연결을 위한 연결배선(62)이 형성된다. 연결배선(62)은 제1 절연막(26) 상에 형성된 컨택홀(64)을 통해서 제3 데이터라인들(DL3)과 접속된다. 연결배선(62)은 계면특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도전성물질인 크롬(Cr),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된다. 이어, 연결배선(62) 상에는 절연물질이 전면 증착된 후 패터닝됨으로써 도 10d와 같이, EL 셀(미도시) 영역마다 개구부를 가지며 연결배선(62)을 덮는 제2 절연막(46)이 형성된다. 제2 절연막(46)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층(30) 및 스캔라인들(SL)의 분리를 위한 격벽(28)이 형성된다. 격벽(28)은 제1 및 제2 데이터라인들(DL1 및 DL)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격벽(28)이 형성된 기판(20) 상에는 유기발광물질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증착됨으로써 유기발광층(30)이 형성되며, 연이어, 스캔라인들(SL)이 전극물질의 전면 증착을 통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여러 개의 데이터라인들과, 데이터 패드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들과 직접 접속되지 않은 데이터라인들을 해당 데이터 패드들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라인들은 짧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데이터라인들에 나타나는 전류편차를 감소시켜 유기 EL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이 대면적화됨에 따른 표시패널의 휘도 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 표시패널 가지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막을 통하여 연결배선과 인접한 데이터라인들을 절연시킴으로써 연결배선을 더욱 넓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연결배선이 길어질 경우, 연결배선의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 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유기 전계발광 셀 매트릭스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n(n > 2 인 정수)분할되어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1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과 인접한 표시영역의 주변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2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및 연결배선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절연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연결배선과 접속될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구비하는 제1 절연막과;
    상기 연결배선 및 상기 제1 절연막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절연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은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들은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 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들은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보다 좁은 선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8. 유기 전계발광 셀 매트릭스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n(n > 2 인 정수)분할된 데이터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1 데이터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과 인접한 표시영역의 주변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2 데이터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유기 전계발광 셀 매트릭스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부에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n(n > 2 인 정수)분할된 데이터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중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1 데이터 패드들과,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과 인접한 표시영역의 주변부를 제외한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접속되는 제2 데이터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된 데이터라인들과 해당 제2 데이터 패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및 연결배선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 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연결배선과 접속될 상기 데이터라인들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구비하는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배선 및 상기 제1 절연막을 덮으면서, 상기 n분할된 데이터라인들 상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은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는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들은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보다 좁은 선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40071530A 2004-09-08 2004-09-08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530A KR100692864B1 (ko) 2004-09-08 2004-09-08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530A KR100692864B1 (ko) 2004-09-08 2004-09-08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787A KR20060022787A (ko) 2006-03-13
KR100692864B1 true KR100692864B1 (ko) 2007-03-09

Family

ID=3712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530A KR100692864B1 (ko) 2004-09-08 2004-09-08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1548B2 (en) 2014-10-08 2018-01-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shielding por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78B1 (ko) * 2006-03-24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2455327B1 (ko) 2015-06-15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7119069A1 (ja) * 2016-01-05 2017-07-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1548B2 (en) 2014-10-08 2018-01-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shielding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787A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14504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40530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1302620B1 (ko)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JP2006128110A (ja) 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582850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有机发光二极管对置基板
US8164544B2 (en) Pixel array layout
KR10069286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4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59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13615B1 (ko) 투명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217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92858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45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051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1904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14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357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145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1547A (ko) 평판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14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503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270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46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242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56697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