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207B1 -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 - Google Patents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207B1
KR100692207B1 KR1020060098787A KR20060098787A KR100692207B1 KR 100692207 B1 KR100692207 B1 KR 100692207B1 KR 1020060098787 A KR1020060098787 A KR 1020060098787A KR 20060098787 A KR20060098787 A KR 20060098787A KR 100692207 B1 KR100692207 B1 KR 100692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ptomyces
salmonella
growth
probiotics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대
김홍집
이성태
안광도
김기세
윤정선
정상윤
Original Assignee
우리생명과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생명과학(주) filed Critical 우리생명과학(주)
Priority to KR1020060098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5Streptomyces
    • C12R2001/54Streptomyces fradi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장내 유해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나타내는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 및 이를 함유한 생균 활성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로서 가금티푸스 원인균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과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과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가축용 생균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프로바이오틱, 가금티푸스

Description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 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Novel microorganism streptomyces fradiae WR and probiotics containing thereof for preventing and treating fowl typhoid}
도 1은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a는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배양액의 살모넬라 플로룸, 살모넬라 갈리나룸, 2종류의 대장균(자체 분리한 병원성 대장균 즉 대장균성 복막염을 일으킨 것과 대장균성 출혈성 장염을 일으킨 것에서 분리한 균주)에 대한 항균능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b는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배양액의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대한 항균능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1차 동물사양실험 중 분변에서 재분리한 원인균의 그람염색사진이다.
도 4는 공격접종 후 분리된 균주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이동시킨 사진이다. M; 마아커, 레인 1, 2: 분리된 균주.
도 5는 토양에서 분리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것이다.
도 6은 토양에서 분리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의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결과로부터 추정한 계통도이다. 붉은 색 WR자가 본 발명의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을 나타낸다. 스케일 바(scale bar)는 뉴클레오타이드 위치당 0.01의 치환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로서 가금티푸스 원인균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과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과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가축용 생균 활성제 및 이를 이용한 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양계산업에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전염성 질환 중 세균성 질병으로는 집단누적폐사율이 높은 대장균증, 가금티푸스, 복막염, 살모넬라 증 등을 들 수 있다. 가금 사육현장에서 발생하는 가금티푸스(Fowl typhoid)는 급·만성 전염병으로서, 패혈증에 의한 높은 폐사율이 특징이며, 살모넬라 갈리나룸이 원인균이다. 가금티푸스는 모든 일령의 닭에 감염되어 높은 폐사를 일으키는 것이 특징 으로서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다.
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 방안으로는 첫째, 항생제나 설파제로서 가나마이신, 겐타마이신, 아미카신, 스펙티노마이신, 폴리믹신(콜리스틴), 트리메토프림, 설파퀴녹살린, 후라조리돈, 린코마이신, 앰피실린, 아목시실린, 카베니실린, 테트라싸이클린,옥시테트라사이클린, 타이로신, 타이로신 유도체, 티아물린 유도체 등, 노프록사신,엔로프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아미플록사신, 페플록사신 등을 널리 사용하고 있고, 둘째, 사균백신으로 예방하는 방법, 기타의 방법으로 병원성에 관여하는 특정유전자(InvA 등)를 제거하거나, 닭 이외의 동물(사람)에서는 증식하지 못하게 하는 유전자(cya, crp, gal E, aro A등)를 인공적으로 삽입 또는 제거하는 방법, 특정 영양물질이 없이는 생존 및 증식속도가 느려지도록 하는 조작 기술 등이 있다. 최근에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p.), 바실러스(Bacillus spp.),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spp.),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등 생균을 이용한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살모넬라 원인균에 의한 질병은 통상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나 완치가 어려우며, 예방은 사균 백신을 이용하나 사균 백신은 체액성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혈중항체의 생산에는 도움이 되지만, 살모넬라균의 예방에 필수적인 세포성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역할은 미약하여 완벽한 예방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들은 체외로 완전히 배설이 되지 않고 숙주 내에 잔존하여 지속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경우 병원균들이 내성을 가지게 되어 효과적인 치료가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항생제 남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생균 활성제(본 명세서에서 "생균제"와 혼용함)를 의미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익한 미생물을 분리하여 제제화한 것으로 호기성균군, 혐기성균군, 유산균, 효모균 등을 들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장내 유해 세균의 이상발효를 억제하여 안정된 장내 균총을 유지하며 유해 미생물의 감염으로 인한 질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생균활성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면역력이 증대되고, 가축 체중이 증대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는 특허공고공보 제1985-166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람 양성균과 마이코플라즈마에 대해 활성이 있는 마크로라이드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람 음성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입증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생균활성제보다 가금티푸스 원인균 등의 유해 미생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탐색하던 중 토양으로부터 유해 미생물 억제활성이 뛰어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을 분리,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막고, 가금티푸스에 효과 적인 미생물을 탐색하여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항생제의 대체용으로 가축에게 투여하거나, 의약품, 사료첨가제, 동물약품 등으로 사용하여 가금티푸스의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생육을 탁월하게 억제할 수 있는 생균활성제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분리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금 티푸스 유발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의한 질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가금티푸스(Fowl typhoid)의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생육을 탁월하게 억제하고,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 상기 신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약품, 사료첨가제 등의 식품학적 또는 약리학적 조성물,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금티푸스(Fowl typhoid)의 원인균인 살모넬라 및 장내 서식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은 토양에서 유래한 세균으로, 가금티푸스(Fowl typhoid)의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다른 해로운 장내 세균들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축의 설사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금류, 특히 닭의 급,만성 전염병으로 패혈증에 의한 높은 폐사율이 특징인 살모넬라균 감염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개선 방법을 연구한 것으로, 현재 살모넬라에 의한 질병은 항생제 및 사균 백신으로는 치료 및 예방이 불가능하고, 항생제의 경우는 체내 잔류 및 내성 숙주 출현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아직 완벽한 예방이나 치료방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가금티푸스 원인균인 살모넬라 및 장내 유해 미생물들의 감염과 관련된 가금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잠재력 있는 프로바이오틱 신균주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 신균주 및 이를 함유한 생균 활성제는 가축의 장내에 서식하거나 침입하는 가금티푸스 원인균 및 장내 유해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을 대상으로 한 유해미생물 생장억제실험은 구로이와 등의 문헌(Kuroiwa et al., 感染症學紙, 64, 257, 1990)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배양 후 나타난 억제환의 직경을 측정하여 분리 균주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능을 비교하였다. 평가에 사용되는 미생물 6종은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inarum), 살모넬라 풀로륨(Salmonella pullorum), 스테필로코커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이콜라이(E.coli),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이다. 위의 유해 미생물들을 NB(nutrient broth) 액체 배지에서 37℃, 18시간의 조건으로 배양한 후 배양액 0.1㎖를 취하여 NA(nutrient agar)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건조한 다음 지름 8mm의 실 린더를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분리한 미생물들은 MRS 액체 배지에서 혐기적으로 37℃, 18시간의 조건으로 배양한 후, 분리 균주 배양액에 같은 양의 차가운 아세톤(4℃)을 넣고, 24시간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감압 농축하여 항균력 측정에 사용하였다. 위의 NA(nutrient agar) 배지에 올려놓은 지름 8mm의 실린더에 농축액 30㎕를 접종하고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일정 시간의 배양이 끝난 다음 형성된 생육 억제환(clear zone)을 측정하여 대조구와 비교하고,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WR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이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억제환의 지름은 다음과 같다.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inarum), 살모넬라 풀로룸(Salmonella pullorum), 스테필로코커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는 5~10mm, 이콜라이(E.coli),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에 대하여는 1~5mm,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서는 생육 억제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에서 선별된 균주를 배양한 후, 형태; 생리·생화학적 특성; 16S r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 결정 및 분석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신균주의 형태 및 생리·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본 발명의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은 구형의 포자가 나선형 사슬을 형성하며 포자의 표면이 부드럽고, 운동성이 없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3 으로 기재된다. 16S r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에서 WR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에 속하는 균주로서 99%의 16S rDNA 상동성으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의 표준 균주에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나타내는 균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신균주 WR을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의 균주로 동정하고,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ACC 91271P). 본 발명 신균주는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글리세롤 성분을 포함하여 영하 80℃에 보관하거나 멸균된 10% 탈지유에 현탁하여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신균주는 통상적인 물리화학적 돌연변이 방법 등에 의해 이와 동등한 활성을 갖고 필드 안정성이 뛰어나거나 또는 보다 뛰어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도록 개선 또는 개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의 특성을 조사해본 결과, 가금티푸스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생육을 탁월하게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장내 유해 미생물 생육억제 실험결과 이들 위장관 내 유해 미생물들에 대해서도 생장 억제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을 함유하는 동물약품,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 미생물은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독립적으로, 또는 첨가되어 사용되거나 가금류가 섭취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미생물은 다른 프로바이오틱 세균을 함유하지 않은 식품에 첨가되어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몇 가지의 프로바이오틱 세균을 함유한 식품에 첨가되어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증강시키거나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수의학적 또는 영양학적 조성물은 분리된 프로바이오틱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과 적당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신균주 외에도 다른 유용 미생물들을 1종 이상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유용 미생물의 예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칸디다 속을 포함하는 효모, 아스퍼질러스 등의 곰팡이 및 락토바실러스 등의 세균들이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 식품학,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담체로서는 증량제, 식이섬유 첨가제, 캡슐화제, 지질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충분히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신균주는 동결건조되거나 캡슐화된 형태 또는 배양현탁액이나 건조분말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신균주는 통상적인 항생제 대신 생균 활성제로 동물에 투여되거나 식품, 의약품, 동물약품, 또는 사료첨가제와 함께 동물에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생균 활성제는 기존 화학합성 항생제를 대체하여 장내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여 동물을 건강하게 하고 체중을 증가시키며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신균주는 가금티푸스 및 장내 유해 미생물 감염에 의해 유발된 대부분의 증상 완화나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또는 이를 유효량 함유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에 의한 가금티푸스의 발생을 저지하거나 장내 유해 미생물 감염에 의한 위장염 및 설사 등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장내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 유효량 및 수의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에 유산균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에 베타글루칸, 프락토올리고당 중 1종 이상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유산균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베타글루칸, 프락토올리고당 중 1종 이상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 또는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장내 유해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장내 유해 미생물에 의한 설사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의 분리와 보전>
충남 천안 일대의 토양을 수집하여 0.85% NaCl 식염수에 10진 희석하여 효모 추출물-맥아 한천 배지(0.4% 효모 추출물, 1.0% 맥아 추출물, 0.4% 덱스트로즈(dextrose), 2% 한천)에 도말하여 30℃, 5일간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순수 분리하였다(도 1). 생균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는 방선균을 평판에서 사면배지(slant)로 순수 분리하여 세균이나 사상균이 혼입된 경우는 평판에 도말하여 재분리한 후 30% 글리세롤을 이용하여 4℃ 냉동보관방법과 -70℃ 동결건조방법으로 순수분리된 균주를 보전하였다.
< 실시예 2: 스트렙토마이세스의 분류 및 형태학적 특징관찰>
다양한 생육 배지에서 성장 양상 실험과 그 배양 특징으로 기중 균사, 영양 균사, 색소 등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균주의 생장양상 특징은 다음 표와 같다.
배지 성장 기중균사 (색) 영양균사의 배지중에 확산된 색소
Yeast extract - malt agar 양호 풍부(회색) 연노랑 적노랑
oatmeal agar 양호 풍부(회색) 연노랑 -
Inorganic salt - starch agar 양호 풍부(핑크회색) 연노랑 -
Glycerol - asparagine agar 양호 풍부 연갈색 -
Peptone - yeast extract - iron agar 보통 보통(회색) 연노랑 적노랑
Tyrosine agar 보통 보통(회색) 진갈색 핑크노랑
Glucose - asparagine agar 양호 풍부(회색) 갈색
Bennet's agar 양호 풍부(회색) 갈색
Nutrient's agar 보통 보통(회색) 연노랑 -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형태학적 특징은 다음 표 2와 같다.
포자형태 구형 포자 사슬 형태 나선형(구슬)
포자 크기( ㎛ ) 0.7-0.8×0.8-1.0 사슬 당 포자수 20-30개 이상
포자 표면 부드러움 포자 운동성 없다.
분리된 균주의 16S rDNA에 대하여 DNA 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NCBI blast 결과에서 기존의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에 NBRC 12215균주와 본 균주의 염기서열을 alignment 하였을 때 99%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계통도에서 분석한 결과 도 6과 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NBRC 12215 균주와 가장 높은 유연관계를 나타내어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로 최종적으로 동정하였다.
< 실시예 3: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프라디애 WR 의 생리 실험>
방선균의 생리적 성질 가운데 비교적 안정한 성질(멜라닌 색소생성, 질산 환원능, 프로테아제 생성) 등은 분류의 기준이 되며 탄소화합물의 이용성도 조사하였다.
① 멜라닌 색소의 생성은 펩톤 효모 추출물 한천(Pepton yeast extract agar), 티로신 한천(tyrosine agar) 등을 사용하여 농갈색, 흑색의 색소성분을 조사한 결과 수용성 색소에서 각각 붉은 노랑(Redish yellow), 핑크빛이 도는 노랑(Pinkish yellow)으로 나타났다.
②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배지에서 질산칼륨을 환원하여 NO2 또는 N2를 생성하는 균의 환원능력을 실험한 결과 핑크 또는 적색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③ 쾨엔(Kohn) 젤라틴 배지와 영양 젤라틴 천자 배지를 사용하여 분리 균주의 젤라틴 액화능력을 관찰하였다. 젤라틴 배지를 37℃에서 배양한 후 4℃ 냉장고에 두었다가 시험관을 기울여 응고 유무로 액화능력을 측정한 결과 스킴밀크의 가수분해와 우유의 응고가 나타났다. 그러나 우유의 펩톤화(peptonnization)는 없었다.
④ 탄소화합물 이용의 생리적 특징
탄소원 이용성 배지를 살균하여 -60℃로 냉각시키고 밀리포어 필터로 살균한 탄소원(L-이노시톨과 셀룰로스의 경우는 알코올로 소독하거나 에틸렌 옥사이드로 살균)을 1% 혼합하여 평판을 만든 후 균주를 접종하여 16일째 생육도를 글루코스를 사용하여 배양한 것과 비교하여 산 생성능 실험 결과 D-글루코스, L-아라비노스, D-자일로스, D-만니톨, D-프락토스, L-람노스, 설탕, 라피노스(Raffinose)와 같은 탄소화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셀룰로스, 이노시톨은 미약하게 이용하였고(±), 이눌린은 이용하지 않았다. 방선균의 생리적 성질 가운데 비교적 안정한 성질(멜라닌 색소생성, 질산 환원능, 프로테아제 생성) 등은 분류의 기준이 되며 탄소화합물의 이용성도 조사하였다(표 3).
탄소원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균주 비고
D- glucose +
L- Arabinose +
D- xylose +
Inositol ±
D- Mannitol +
D- Fructose +
L- Rhamnose +
Sucrose +
Raffinose +
D- Galactose 이용하지 않음
Salicin 이용하지 않음
Cellobise 이용하지 않음
Cellulose ±
Inulin -
Melibiose 이용하지 않음
< 실시예 4: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길항 미생물에 대한 기능 및 특징조사>
① 가금티푸스에 대한 생육 저해효과는 살모넬라 갈리나룸, 이콜라이(E. coli) 등의 항균스펙트럼을 이용한 균주 탐색을 실시하였다(도 2, 표 4).
② 항균스펙트럼을 이용한 균주 탐색
미생물 억제활성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inarum) ++
살모넬라 풀로륨(Salmonella pullorum) ++
스테필로코커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
이콜라이(E.coli) +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
++ : 생육 억제환(clear zone)의 크기 5 ~ 10 mm,
+ : 1 ~ 5 mm,
- : 활성 없음
③ 분리 미생물에 대한 내열성 실험은 70℃의 항온 수조에서 15분 동안 균체액을 정치시킨 후 100㎕ DMF 페트리디쉬에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균체 수를 측정하여 생존율을 확인하였는데 10% 이상으로 나타나 우수하였다.
< 실시예 5: 사료첨가용 생균제의 제조>
신균주 스트랩토마이세스 프라디에 WR을 0.4%포도당, 1%맥아추출물, 0.4%효모추출액이 함유된 30℃ 액상 배지에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액상 배지에 동량의 탈지강을 혼합하여 40℃에서 3일간 열풍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섭틸리스(Lactobacillus subtilis) 1.0×107 cfu/g, 바실러스 플란타룸(Bacillus plantarum) 2.0×107 cfu/g을 혼합하여 사료첨가용 생균제를 제조하였다(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2×108 cfu/g 함유).
< 실시예 6: 1차 동물 임상실험 결과>
①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산란용 닭으로 7주령인 닭을 준비하였다. 1주간의 적응기를 보낸 후 8주령 닭으로 본 실험을 하였다. 가금티푸스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실험 전 적응기에 채혈하여 가금티푸스 항체 역가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가금티푸스 음성 B, C그룹은 4.2%의 양성율을 보였다(표 9).
② 실험그룹은 A, B, C 3그룹으로 그룹당 24마리씩 대조군(A),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로 제조한 생균제 0.1%(B), 0.2%(C)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즉,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로 제조한 생균제를 0.1% 또는 0.2% 첨가하고, 1차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실험기간 동안 일일 급이량은 매일 확인하였고, 증체량은 1주일에 한 번 확인하였다. 3그룹간 닭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표 5).
③ 사양실험 3주 후 가금티푸스 원인균(S. gallinarum)를 4×1010개 공격 접종하였다. 공격접종 후, 닭들의 행동양상, 분변양상(세균검사 및 분자생물학적검사, 형태관찰 등)을 관찰하였다. 공격접종 이전에는 정상적인 분분을 보이고, 공격접종 이후 6일째에는 질병 발생에 따라 설사분변이 관찰되었고, 10일째에는 녹변 및 설사분변이 관찰되었다. 공격접종 이후 16일째에는 회복기의 정상적인 분변을 나타내었다. 공격접종 4일 후 2차 채혈하여 공격 접종 후 생존한 계군은 가금티푸스의 항체역가를 유지하였다(표 6). 공격접종 후 분변의 양상관찰결과 3일 이후부터 전형적인 감염증상을 나타내어 설사 및 녹변을 배설하였다. 분변을 채취하여 가금티푸스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S. gallinarum)을 재분리하였고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세균검사는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SS(살모넬라-쉬겔라)배지에서 37℃,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머캡테스트(Mucap test)용 시약을 점적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여 형광을 띠는 살모넬라의 특성을 확인하여 재분리하였고, 재분리된 검체는 다시 그람염색법으로 염색한 결과 그람음성 간균이 확인되었다(도 3).
분자생물학 검사방법은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DNA를 추출하여(Takara DNA prep kit) 프라이머 작성 후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 5'-AGCCCATTGCTAAATTGGCGCA-3', 역방향 프라이머 5'-GGTAGAAATTCCCAGCGGGTACTG-3'으로 94℃ 1분, 57℃ 1분, 72℃ 2분간 PCR을 수행하여 살모넬라균주(429bp)를 확인하였다(도 4).
④ 사양실험 동안 죽은 닭은 해부병리검사를 통하여 원인을 규명하였고, 사양실험 6주 후 해부병리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동물 사양 실험결과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신균주로 제조한 생균제를 급이한 그룹(B, C)에서 면역 활성의 증대에 의한 항병력이 강화되어 대조군(A)에 비해서 시험군의 생존율이 높게 증가하였으나 완벽한 방어 능력은 발휘하지 못하였다. 1차 실험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스트렙토마이세스의 첨가비율을 개선하고 베타-글루칸의 첨가가 방어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베타-글루칸을 첨가하여 2차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구분 개시체중 (7주령) 종료체중 (14주령) 증체량 (g) 섭취량(g) 요구율 (F/G)(%) 비고
마리당 일일 증체량 증체량 마리당 일일 섭취량 총 섭취량
대조군(A) 375.42 696.67 3.17 321.25 66.72 39700 0.81
375.42 696.67 3.17 321.25 66.72 39700 0.81
B 393.75 680.00 1.88 286.25 58.71 41100 0.70 0.1%
C 411.25 800.00 6.66 388.75 63.14 38450 1.01 0.2%
402.5 / 805.00 740.00 / 1480.00 4.27 / 8.54 337.5 / 675.00 60.77 / 1309 39775 / 79550 0.86 / 1.71
A: 일반사료(대조군)
B: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1%
C: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2%
⑤ 면역증강 효과 실험 및 항체역가 조사
항목 구분 최초 가금티푸스 양성율 (양성/ 총계체수 ) 공격 접종 후 생존율 및 항체역가 (양성/ 총계체수 ) 공격접종량 (개)
대조군(A) 0 / 24 ( 0% ) 4 / 24 ( 16.7% ) 4×1010
실 험 군 B 1 / 24 ( 4.2% ) 11 / 24 ( 45.8% ) 4×1010
C 1 / 24 ( 4.2% ) 6 / 24 ( 25.0% ) 4×1010
A: 일반사료(대조군)
B: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1%
C: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2%
< 실시예 7: 2차 동물 임상실험 결과>
①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산란용 닭으로 7주령인 닭을 준비하였다. 1주간의 적응기를 보낸 후 8주령 닭으로 본 실험을 하였다. 가금티푸스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실험 전 적응기에 채혈하여 가금티푸스 항체 역가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 실험군 모두 가금티푸스 음성으로 가금티푸스에 대한 병력은 없었다(표 8).
② 실험그룹은 7그룹으로 그룹당 20마리씩 대조군,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로 제조한 생균제, 면역증강제인 베타-글루칸(β-Glucan)을 첨가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그룹당 첨가성분은 아래 ⑤에 기술함).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WR로 제조한 생균제를 첨가하고, 베타-글루칸과 장내 유익미생물총의 성장촉진과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하는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이하 "FOS"와 혼용함)을 첨가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실험기간 동안 일일 급이량은 매일 확인하였고, 증체량은 1주일에 한 번 확인하였다. 7그룹간 닭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표 7).
③ 사양실험 3주 후 가금티푸스 원인균 살모넬라 갈리나룸(S. gallinarum)을 4×1012개 공격 접종하였다. 공격접종 후, 닭들의 행동양상, 분변양상(세균검사 및 분자생물학적 검사, 형태관찰 등)을 관찰하였다. 공격접종 전에는 정상적인 분변을 나타내며 건강한 모습이었다. 공격접종 3일 후부터 설사변과 녹변이 관찰되고, 밝은 환경조건에서도 조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공격접종 12일 후 설사변과 녹변이 뚜렷이 보이고 모든 계군에서 닭들이 조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폐사양계에 대한 부검 실시 결과 간에서 살모넬라 갈리나룸이 검출되었다. 공격접종 후 16일째 많은 계군에서 정상적인 분변이 관찰되었고, 점차적으로 건강한 모습을 되찾았다. 공격접종 4일 후 2차 채혈하여 가금티푸스 항체 형성을 확인한 결과 공격 접종 후 생존한 계군은 가금티푸스의 항체역가를 유지하였다(표 8). 공격 접종 후 분변 양상 관찰결과 3일 이후부터 전형적인 감염증상을 나타내어 설사 및 녹변을 배설하였다. 분변을 채취하여 가금티푸스 원인균 살모넬라 갈리나룸(S. gallinarum)을 재분리하였고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세균검사는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SS(살모넬라-쉬겔라)배지에서 37℃,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머캡테스트(Mucap test)용 시약을 점적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여 형광을 띠는 살모넬라의 특성을 확인하여 재분리하였고, 재분리된 검체는 다시 그람염색법으로 염색한 결과 그람음성 간균이 확인되었다(도 3).
분자생물학 검사방법은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DNA를 추출하여(Takara DNA prep kit) 프라이머 작성 후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 5'-AGCCCATTGCTAAATTGGCGCA-3', 역방향 프라이머 5'-GGTAGAAATTCCCAGCGGGTACTG-3'을 작성하여 94℃ 1분, 57℃ 1분, 72℃ 2분간 PCR을 수행하여 살모넬라 균주를 확인하였다(도 4).
④ 사양실험 동안 죽은 닭은 해부병리검사를 통하여 원인을 규명하였고, 사양실험 6주 후 해부병리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면역 활성의 증대에 의한 항병력이 강화되어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군의 생존율이 4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이 생존율이 높았으나 완벽한 방어능력은 발휘하지 못하여 원인을 살펴본 결과 공격 접종량이 높은(4×1012) 것이 하나의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며, 베타-글루칸은 200g 주는 것보다 100g 주는 것이 훨씬 양호하여(D, F군)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다시 3차 실험을 하였다.
⑤ 첨가량(사료 1톤당)
A: 일반사료(대조군)
B: β-글루칸 300g
C: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5%
D: 프락토올리고당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5% + β-글루칸 100g
E: 프락토올리고당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5% + β-글루칸 200g
F: 프락토올리고당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1% + β-글루칸 100g
G: 프락토올리고당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1% + β-글루칸 200g
⑥ 임상실험
구분 개시체중(g) (7주령) 종료체중(g) (14주령) 증체량(g) 섭취량(g) 요구율 (%) (F/G) 비고
일일증체량 총증체량 일일섭취량 총섭취량
대조군(A) 452.11 980.00 15.08 527.89 998.86 34960 1.51
452.11 980.00 15.08 527.89 998.86 34960 1.51
실 험 군 B 457.37 837.50 10.86 380.13 982.57 34390 1.11
C 452.11 920.00 13.37 467.89 974.00 34090 1.37
D 481.11 798.57 9.07 317.46 955.71 33450 0.95
E 447.78 750.00 8.63 302.22 973.43 34070 0.89
F 455.00 780.00 9.29 325.00 955.71 33450 0.97
G 455.56 680.00 6.41 224.44 935.71 32750 0.69
458.16/ 2748.93 794.35/ 4766.07 9.61/ 57.63 336.19/ 2017.14 962.86/ 5777.13 33700/ 202200 1.00/ 5.98
⑦ 면역증강 효과 실험 및 항체역가 조사
항목 구분 최초 가금티푸스 양성율 (양성/ 총계체수 ) 공격 접종 후 생존율 및 항체양성율 (양성/ 총계체수 ) 공격 접종량 비 고
대조군(A) 0 / 20 ( 0% ) 2 / 20 ( 10% ) 4×1012 생존개체 52수 모두에서 항체양성 (생존율,양성율동일)
실 험 군 B 0 / 20 ( 0% ) 8 / 20 ( 40% )
C 0 / 20 ( 0% ) 6 / 20 ( 30% )
D 0 / 20 ( 0% ) 14 / 20 ( 70% )
E 0 / 20 ( 0% ) 8 / 20 ( 40%)
F 0 / 20 ( 0% ) 10 / 20 ( 50% )
G 0 / 20 ( 0% ) 4 / 20 ( 20% )
< 실시예 8: 3차 동물실험>
①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산란용 닭으로 7주령인 닭을 준비하였다. 1주간의 적응기를 보낸 후 8주령 닭으로 본 실험을 하였다. 가금티푸스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실험 전 적응기에 채혈하여 가금티푸스 항체 역가 측정 결과 대조군은 1수가 양성이었고, 실험군은 모두 가금티푸스 음성으로 가금티푸스에 대한 병력은 없었다(표 10).
② 실험그룹은 6그룹으로 그룹당 20마리씩 대조군,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로 제조한 생균제, 면역증강제인 베타-글루칸(β-Glucan)을 첨가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그룹당 첨가성분은 아래 ⑤에 기술함).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로 제조한 생균제를 첨가하고, 베타-글루칸과 장내 유익미생물총의 성장촉진과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하는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을 첨가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실험기간 동안 일일 급이량은 매일 확인하였고, 증체량은 1주일에 한번 확인하였다. 여섯 그룹간 닭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표 9).
③ 사양실험 3주 후 가금티푸스 원인균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4×108개 공격 접종하였다. 공격접종 후, 닭들의 행동양상, 분변양상(세균검사 및 분자생물학적 검사, 형태관찰 등)을 관찰하고, 공격접종 4일 후 2차 채혈하여 가금티푸스 항체 형성을 관찰한 결과 공격 접종 후생존한 계군은 가금티푸스의 항체역가를 유지하였다(표13). 공격접종 후 분변의 양상관찰 결과 3일 이후부터 전형적인 감염증상을 나타내어 설사 및 녹변을 배설하였다. 분변을 채취하여 가금티푸스 원인균(S. gallinarum)을 재분리하였고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세균검사는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SS(살모넬라-쉬겔라)배지에서 37℃,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머캡테스트(Mucap test)용 시약을 점적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여 형광을 띠는 살모넬라의 특성을 확인하여 재분리하였고. 재분리된 검체는 다시 그람염색법으로 염색결과 그람음성 간균을 확인하였다.
분자생물학 검사방법은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DNA를 추출하여(Takara DNA prep kit) 프라이머 작성 후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 5'-AGCCCATTGCTAAATTGGCGCA-3', 역방향 프라이머 5'-GGTAGAAATTCCCAGCGGGTACTG-3'로 94℃ 1분, 57℃ 1분, 72℃ 2분간 PCR을 수행하여 살모넬라 균주를 확인하였다.
④ 사양실험 동안 죽은 닭은 해부병리검사를 통하여 원인을 규명하였고, 사양실험 6주 후 해부병리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면역 활성의 증대에 의한 항병력이 강화되어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군의 생존율이 높았다.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생존율이 높았으나 완벽한 방어능력은 발휘하지 못하였다. 그 원인을 조사한 결과 다른 조건은 괜찮으나 들어가는 생균제 양이 살모넬라의 방어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생각되어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생균제 양을 조절하여 다시 실험을 디자인하여 4차 실험을 하였다.
⑤ 첨가량(사료 1톤당)
A: 일반사료(대조군)
B: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5%
C: FOS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1% + β-글루칸 100g
D: FOS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0.5% + β- 글루칸 100g
E: FOS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1% + β-글루칸 100g
F: FOS 5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5% + β-글루칸 100g
임상실험구분 개시체중 (g) (7주령) 종료체중 (g) (12주령) 증체량(g) 섭취량(g) 요구율 (F/G) 비고
일일증체량 총증체량 일일섭취량 총섭취량
대조군(A) 487.37 880.00 0.68 392.63 62.02 35600 1.10
487.37 880.00 0.68 392.63 62.02 35600 1.10
실 험 군 B 481.00 882.50 0.63 401.50 59.34 37800 1.06
C 494.00 854.00 0.55 360.00 57.29 37700 0.96
D 489.00 896.67 1.58 407.67 58.07 37400 2.72
E 482.50 802.00 0.51 319.50 56.67 35700 0.90
F 474.50 838.33 0.55 363.83 53.23 35400 1.03
484.2 / 2421 854.7 / 4273.5 0.76 / 3.82 370.5 / 1852.5 56.92 / 284.6 36800 / 184000 1.33 / 6.67
⑦ 면역증강 효과 실험 및 항체 역가 조사
항목 구분 최초 가금티푸스 양성율 (양성/ 총계체수 ) 공격 접종 후 생존율 및 항체양성율 (양성/ 총계체수 ) 공격접종량 비 고
대조군(A) 1 / 20 ( 5% ) 4 / 20 ( 20% ) 4×108 생존개체 74수 모두에서 항체양성 (생존율,양성율동일)
실 험 군 B 0 / 20 ( 0% ) 7 / 20 ( 35% )
C 0 / 20 ( 0% ) 14 / 20 ( 70% )
D 0 / 20 ( 0% ) 16 / 20 ( 80% )
E 0 / 20 ( 0% ) 16 / 20 ( 80% )
F 0 / 20 (05% ) 17 / 20 ( 85% )
< 실시예 9: 4차 동물 임상실험>
①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산란용 닭으로 7주령인 닭을 준비하였다. 1주간의 적응기를 보낸 후 8주령 닭으로 본 실험을 하였다. 가금티푸스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실험 전 적응기에 채혈하여 가금티푸스 항체 역가 측정 결과 대조군, 실험군 모두 가금티푸스 음성으로 가금티푸스에 대한 병력은 없었다.
② 실험그룹은 5그룹으로 그룹당 20마리씩 대조군,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로 제조한 생균제, 면역증강제(베타-글루칸)를 첨가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그룹당 첨가성분 ⑤에 기술).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로 제조한 생균제를 첨가하고, 베타-글루칸과 장내 유익미생물총의 성장촉진과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실험기간 동안 일일 급이량은 매일 확인하였고, 증체량은 1주일에 한 번 확인하였다. 5그룹간 닭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③ 사양실험 3주 후 가금티푸스 원인균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4×108개 공격 접종하였다. 공격접종 후, 닭들의 행동양상, 분변양상(세균검사 및 분자생물학적 검사, 형태관찰 등)을 관찰하고, 공격접종 4일 후 2차 채혈하여 가금티푸스 항체 형성을 측정한 결과 공격접종 후 생존한 계군은 가금티푸스의 항체역가를 유지하였다(표 12). 공격접종 후 분변의 양상관찰결과 3일 이후부터 전형적인 감염증상을 나타내어 설사 및 녹변을 배설하였다. 분변을 채취하여 가금티푸스 원인균을 재분리하였고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세균검사는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SS(살모넬라-쉬겔라)배지에서 37℃,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머캡테스트용 시약을 점적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여 형광을 띠는 살모넬라의 특성을 확인하여 재분리하였고. 재분리된 검체는 다시 그람염색법으로 염색결과 그람음성 간균을 확인하였다.
분자생물학검사방법은 부검 닭의 장 및 분변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DNA를 추출하여(Takara DNA prep kit) 프라이머 작성 후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 5'-AGCCCATTGCTAAATTGGCGCA-3', 역방향 프라이머 5'-GGTAGAAATTCCCAGCGGGTACTG-3'으로 94℃ 1분, 57℃ 1분, 72℃ 2분간 PCR을 수행하여 살모넬라 균주를 확인하였다.
④ 사양실험 동안 죽은 닭은 해부병리검사를 통하여 원인을 규명하였고, 사양실험 6주 후 해부병리검사를 실시하고 항생제 잔류검사를 위하여 검체의 일부를 국가공인 항생제 잔류검사기관에 의뢰결과 잔류항생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잔류검사시험성적서 발급번호: 중부0505-27~30호).
실험결과 면역 활성의 증대에 의한 항병력이 강화되어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군의 생존율이 높았다. 공격접종 후 생존한 계군은 가금티푸스의 항체역가를 유지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완벽한 방어능력을 발휘하였다. E구에서 1수가 폐사가 났는데 폐사의 원인은 대장균증으로 판명났다.
⑤ 첨가량 (사료 1톤당)
A: 일반사료 (대조군)
B: FOS 500g + β-글루칸 1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10%
C: FOS 500g + β-글루칸 1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20%
D: FOS 500g + β-글루칸 1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40%
E: FOS 500g + β-글루칸 100g + 생균제(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50%
⑥ 임상실험
구분 개시체중 (g) (7주령) 종료체중 (g) (12주령) 증체량(g) 섭취량(g) 요구율 (F/G) 비고
일일증체량 총증체량 일일섭취량 총섭취량
대조군(A) 480.47 881.89 0.52 401.42 58.00 44600 0.90
480.47 881.89 0.52 401.42 58.00 44600 0.90
실 험 군 B 481.25 975.12 0.52 493.87 55.49 53100 0.93
C 479.17 995.27 0.51 516.10 54.74 54900 0.94
D 472.50 1005.03 0.53 532.53 55.12 54900 0.97
E 470.83 1004.80 0.56 533.97 54.26 54700 1.03
475.94 / 1903.75 992.83 / 3971.31 0.52 / 2.08 516.89 / 2067.56 54.90 / 219.61 54400 / 217600 0.95 / 3.80
⑦ 면역증강 효과 실험 및 항체 역가 조사
항목 구분 최초 가금티푸스 양성율 (양성/ 총계체수 ) 공격 접종 후 생존율 및 항체양성율 (양성/ 총계체수 ) 공격접종량 비 고
대조군(A) 0/ 24 ( 0% ) 4/ 24 ( 19.9% ) 4×108 생존개체 89수 모두에서 항체양성
실 험 군 B 0/ 24 ( 0% ) 20/ 24 ( 83.3% )
C 0/ 24 ( 0% ) 21/ 24 ( 87.5% )
D 0/ 24 ( 0% ) 21/ 24 ( 87.5% )
E 0/ 24 ( 0% ) 23/ 24 ( 95.8% )
< 실시예 10: 닭고기 생체 내 잔류물질검사>
국가지정공인 잔류검사기관에서 검사한 결과 항생제가 전혀 검출되지 않아 계육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페니실린 및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검사한 결과 음성으로 나타나 잔류항생제는 검출되지 않았다. 설파메다진 외 4종에 대한 검사 결과 또한 음성으로 잔류항생제는 검출되지 않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신균주는 가금티푸스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병원성 세균을 억제하는 미생물로서 동물 체내의 유해균을 억제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가축에게 투여하여 가금티푸스 등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9)

  1.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장내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
  2. 상기 제1항의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 유효량 및 수의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유산균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타글루칸, 프락토올리고당 중 1종 이상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5. 상기 제1항의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유산균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타글루칸, 프락토올리고당 중 1종 이상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8. 상기 제1항의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WR(KACC 91271P)를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장내 유해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장내 유해미생물에 의한 설사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9. 상기 제2항의 조성물 또는 상기 제5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장내 유해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장내 유해미생물에 의한 설사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0060098787A 2006-10-11 2006-10-11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 KR100692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87A KR100692207B1 (ko) 2006-10-11 2006-10-11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87A KR100692207B1 (ko) 2006-10-11 2006-10-11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207B1 true KR100692207B1 (ko) 2007-03-12

Family

ID=3810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787A KR100692207B1 (ko) 2006-10-11 2006-10-11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26B1 (ko) 2008-05-27 2011-06-09 (주)비온디 살모넬라균에 대한 길항균 불크홀데리아 세파시아se―490 및 이들 배양액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난좌제조방법
CN102329754A (zh) * 2011-09-29 2012-01-25 北京可力美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弗氏链霉菌新菌株及其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052A (en) * 1988-03-28 1992-12-01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20-deoxotylosin
JPH06105696A (ja) * 1992-09-25 1994-04-19 Mercian Corp タイロノライド誘導体の製造方法
KR100266471B1 (ko) 1991-09-09 2000-09-15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항생물질ll-e19020감마,및이의생산방법
KR100523264B1 (ko) 2003-09-05 2005-10-24 재단법인한국간연구재단 항진균 및 항세균 물질을 생산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
KR100523255B1 (ko) 2003-01-14 2005-10-24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훼시움 Probio-048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052A (en) * 1988-03-28 1992-12-01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20-deoxotylosin
KR100266471B1 (ko) 1991-09-09 2000-09-15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항생물질ll-e19020감마,및이의생산방법
JPH06105696A (ja) * 1992-09-25 1994-04-19 Mercian Corp タイロノライド誘導体の製造方法
KR100523255B1 (ko) 2003-01-14 2005-10-24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훼시움 Probio-048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KR100523264B1 (ko) 2003-09-05 2005-10-24 재단법인한국간연구재단 항진균 및 항세균 물질을 생산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26B1 (ko) 2008-05-27 2011-06-09 (주)비온디 살모넬라균에 대한 길항균 불크홀데리아 세파시아se―490 및 이들 배양액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난좌제조방법
CN102329754A (zh) * 2011-09-29 2012-01-25 北京可力美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弗氏链霉菌新菌株及其应用
CN102329754B (zh) * 2011-09-29 2014-03-12 北京可力美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弗氏链霉菌新菌株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o et al. Bacillus amyloliquefaciens G1: a potential antagonistic bacterium against eel-pathogenic Aeromonas hydrophila
Latha et al. In vitro probiotic profile based selection of indigenous actinobacterial probiont Streptomyces sp. JD9 for enhanced broiler production
CN112011481B (zh) 一株防治畜禽细菌性腹泻的罗伊氏乳杆菌及其应用
CN113999797B (zh) 一株改善肉鸡生产性能和免疫水平的乳酸片球菌及其筛选方法与应用
CN113249255B (zh) 一种防控禽肠炎的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KR20130113037A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N113040390B (zh) 一株益生、耐盐约氏乳杆菌及其在畜禽水产养殖中防治病原菌的应用
CN109136126B (zh) 一株用于预防断奶仔猪腹泻的戊糖片球菌
CN114134083A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应用
CN109652334A (zh) 一种微生物复合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989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0692207B1 (ko)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 wr 및 이를 함유하는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용 가축용 생균활성제
CN116064324B (zh) 一株鼠李糖乳杆菌及其培养方法和在防治腹泻和肠炎方面的应用
KR101201338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CN115925832A (zh) 一种乳酸菌素及其在防控畜禽细菌感染的应用
KR20050041808A (ko) 항암효과 및 항균활성이 뛰어난 신규 유산균 류코노스톡시트리움 km20
Lavany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the soil samples of the coastal areas of (Gudur division, Nellore Dt.) for utilization in Shrimp farming
CN114085789A (zh) 戊糖片球菌ma.wtpqj01及其应用
KR100720025B1 (ko)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l-Sayed et al. Characterization, encapsulation and evaluation of the newly isolated Enterococcus faecium as a probiotic for ruminants
KR100513167B1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 Probio-053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KR100969398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웨이셀라 비리데스켄스 젠2 및 이를포함하는 미생물제제
KR100593255B1 (ko) 신규한 바실러스 균주 및 그 용도
Fitriad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Proteus spp. isolated from the rice-fish farming system cultivation area against A. hydrophila
KR100553377B1 (ko) 가축설사 및 혈변억제용 생균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