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90B1 -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90B1
KR100690890B1 KR1020010025177A KR20010025177A KR100690890B1 KR 100690890 B1 KR100690890 B1 KR 100690890B1 KR 1020010025177 A KR1020010025177 A KR 1020010025177A KR 20010025177 A KR20010025177 A KR 20010025177A KR 100690890 B1 KR100690890 B1 KR 10069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case
remote control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598A (ko
Inventor
박용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이 수납되는 케이스를 별도로 형성하고, 이를 본체와 연결선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인접 위치에 케이스를 위치시키고, 케이스에서 리모콘이 이탈되면 가전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시키고, 케이스에 리모콘이 수납되어야만 가전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분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리모콘, 분실 방지, 케이스, 수납, 전원 제어

Description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REMOC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전 기기 2 : 리모콘
3 : 충전지 110 : 케이스
111 : 센서 112 : 충전부
120 : 연결선 130 : 가전 기기의 제어부
본 발명은 리모트 콘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 기기의 본체와, 리모콘이 수납되는 케이스를 신호 및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연결선을 통해 연결하고, 리모콘이 사용되다가 케이스에 리모콘이 수납되어야지만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리모콘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원거리에서 가전 기기로 적외선 신호를 방사하여 가전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리모콘은 가전 기기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차단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몇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첫 번째로는 가전 기기의 특정 위치에 리모콘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부착시켜 리모콘을 항상 정위치에 놓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는 가전 기기에 부착된 케이스에 센서를 달아 리모콘이 케이스에서 이탈되어 일정시간 동안 신호가 수신, 즉 리모콘이 동작하지 않으면 리모콘과 가전 기기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세 번째로는 리모콘의 케이스에 충전 장치를 부착하고, 케이스를 가전 기기의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리모콘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항상 케이스에 위치시켜야 하게끔하여 분실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가전 기기에 케이스를 부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전 기기에 체결공을 형성한다든지 테이핑을 한다든지 하기 때문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고, 단순히 케이스는 보관 또는 경보음 발생 또는 충전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리모콘의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모콘이 가전 기기에 부착된 케이스에 부착되기 때문에 리모콘을 사용하기에 불편한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콘이 수납되는 케이스를 별도로 형성하고, 이를 본체와 연결선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인접 위치에 케이스를 위치시키고, 케이스에서 리모콘이 이탈되면 가전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시키고, 케이스에 리모콘이 수납되어야만 가전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분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가전 기기에 사용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이 수납되고, 상기 리모콘의 수납 여부를 센싱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부착되며,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리모콘을 충전시키고,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로 출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전 기기를 연결시키며,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로 인가하는 연결선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가전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리모콘이 수납되면 상기 리모콘의 충전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리모콘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케이스의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상기 리모콘이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의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가전 기기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리모콘이 이탈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의해 제어되나,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 상기 리모콘이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경우에만 상기 가전 기기를 오프시키며, 상기 가전 기기의 조작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는 모든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연결선과 상기 가전 기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연결선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된 경우에만 상기 리모콘의 수납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100)은, 케이스(110)와, 연결선(120)과,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110)는 리모콘(2)이 수납되고, 리모콘(2)의 수납 여부를 센싱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111)가 설치되며, 가전 기기(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리모콘(2)을 충전시키고, 센서(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가전 기기(1)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센서(111)는 광센서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센서를 대신하여 딥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가전 기기(1) 의 전원을 공급받아 리모콘(2)의 충전지(3)를 충전시키는 충전부(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선(120)은 케이스(110)와 가전 기기(1)를 연결시키며, 가전 기기(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부(112)로 인가하거나 또는 케이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센서(111)의 신호를 가전 기기(1)로 인가한다.
또한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케이스(110)가 연결선(120)을 통해 가전 기기(1)가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110)에 리모콘(2)이 수납되면 리모콘(2)의 충전지(3)로 전원을 공급하며, 리모콘(2)이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되어 케이스(110)의 센서(111)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면 가전 기기(1)의 전원을 온시키고, 리모콘(2)이 케이스(110)에 수납되어 케이스(110)의 센서(111)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가전 기기(1)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또한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케이스(110)로부터 리모콘(2)이 이탈되어 리모콘(2)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의해 제어되나, 리모콘(2)으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가전 기기(1)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 리모콘(2)이 케이스(110)에 수납되는 경우에만 가전 기기(1)를 오프시키며, 가전 기기(1)의 조작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을 수행한다. 또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케이스(110)와 연결선(120)과 가전 기기(1)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선(120)에 의해 케이스(110)가 가전 기기(1)에 연착된 경우에만 리모콘(2)의 수납에 따라 가전 기기(1)의 전원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케이스(110)와 가전 기기(1)가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하여 케이스(110)와 가전 기기(1)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분실 방지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알고 일반적인 리모콘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케이스(110)와 가전 기기(1)가 연결선(120)을 통해 연결되면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센서(111)를 통해 리모콘(2)이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리모콘(2)이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되면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가전 기기(1)를 제어하여 이의 전원을 온시키고, 리모콘(2)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의해 가전 기기(1)를 제어한다. 이때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리모콘(2)으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가전 기기(1)를 오프시키지 않고, 리모콘(2)이 케이스(110)에 수납되면 이때 가전 기기(1)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리고 리모콘(2)이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전 기기의 제어부(130)는 케이스(110)의 충전부(112)를 통해 리모콘(2)의 충전지(3)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리모콘이 사용되다가 케이스에 수납되는 경우에만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리모콘이 항상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리모콘이 수납되는 케이스를 별도로 형성하고, 이를 본체와 연결선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인접 위치에 케이스를 위치시키고, 케이스에서 리모콘이 이탈되면 가전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시키고, 케이스에 리모콘이 수납되어야만 가전 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분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Claims (3)

  1. 가전 기기에 사용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이 수납되고, 상기 리모콘의 수납 여부를 센싱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부착되며,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리모콘을 충전시키고,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로 출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전 기기를 연결시키며, 상기 가전 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상기 가전 기기로 인가하는 연결선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연결선을 통해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리모콘이 수납되면 상기 리모콘의 충전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리모콘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케이스의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상기 리모콘이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의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가전 기기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리모콘이 이탈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의해 제어되나,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 상기 리모콘이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경우에만 상기 가전 기기를 오프시키며, 상기 가전 기기의 조작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는 모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연결선과 상기 가전 기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연결선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된 경우에만 상기 리모콘의 수납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KR1020010025177A 2001-05-09 2001-05-09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KR10069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177A KR100690890B1 (ko) 2001-05-09 2001-05-09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177A KR100690890B1 (ko) 2001-05-09 2001-05-09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598A KR20020085598A (ko) 2002-11-16
KR100690890B1 true KR100690890B1 (ko) 2007-03-08

Family

ID=2770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177A KR100690890B1 (ko) 2001-05-09 2001-05-09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8902B (zh) * 2019-11-11 2023-02-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及其遥控器
CN113301740B (zh) * 2021-05-07 2023-04-28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遥控器收纳装置、电子设备及遥控器收纳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876A (ko) * 1997-01-29 1998-10-15 손영호 막대형 섬유상 어묵의 조미건포 제조방법
KR19980066876U (ko) * 1997-05-20 1998-12-05 배순훈 전자제품용 리모콘 보관장치
KR20030042908A (ko) * 2001-11-2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믹 콘택층을 구비한 콘택플러그 형성 방법
KR200342908Y1 (ko) * 2003-11-27 2004-02-21 이하늘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876A (ko) * 1997-01-29 1998-10-15 손영호 막대형 섬유상 어묵의 조미건포 제조방법
KR19980066876U (ko) * 1997-05-20 1998-12-05 배순훈 전자제품용 리모콘 보관장치
KR20030042908A (ko) * 2001-11-2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믹 콘택층을 구비한 콘택플러그 형성 방법
KR200342908Y1 (ko) * 2003-11-27 2004-02-21 이하늘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429080000
20199800668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598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02219A1 (en) Monitoring and automating a network of independent wireless remote devices based on a mobile device location
US20100277306A1 (en) Wireless occupancy sensing with accessible location power switching
US8125107B2 (en) Switch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CA2249000A1 (en) Voice-controlled electrical adapter
KR100690890B1 (ko) 리모콘 분실 방지 시스템
KR101037682B1 (ko) 엘씨디 및 터치스크린 일체형 통합리모컨
CA2365700A1 (en) Remote controlled door lock system
RU2185040C1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блок питания регулятора для системы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бытовых электроприбор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яркостью свечения освети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JP2020188626A5 (ja) 電子機器
KR101937721B1 (ko) 차량용 무선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101650838B1 (ko) 캔 버스에 연결된 차량용 전장 유니트 및 상기 유니트를 웨이크-업 하는 방법
KR101088154B1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69962B1 (ko) 신발에 장착되는 분실방지용 무선 송수신장치
JP2004320146A (ja) 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リモコン制御方法
KR200256242Y1 (ko) 다기능 복합 콘센트
JP3837080B2 (ja) 燃焼制御装置
JP2668146B2 (ja) 電源オン・オフ制御回路
KR100906469B1 (ko) Urc 클라이언트 및 urc 클라이언트의 전력 관리 방법
KR200400348Y1 (ko) 가전 원격 조정용 리모콘 위치 인식 장치
JP6881048B2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0712956B1 (ko) 보일러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60036213A (ko) 카 오디오의 리모콘 겸용 전면판넬
KR950011079B1 (ko) 휴대용 전화기용 부스터의 전원스위칭 장치
KR0151188B1 (ko)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20200002786U (ko) 상향등 레버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