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705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705B1
KR100690705B1 KR1020010010514A KR20010010514A KR100690705B1 KR 100690705 B1 KR100690705 B1 KR 100690705B1 KR 1020010010514 A KR1020010010514 A KR 1020010010514A KR 20010010514 A KR20010010514 A KR 20010010514A KR 100690705 B1 KR100690705 B1 KR 10069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bwa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922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지하철 노선 안내 시스템에서는 설치 장소가 많지 않고, 시스템의 내용을 업그레이드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주로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만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행 중이거나 이동중인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철 정보가 필요한 경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고,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와 소요시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자나 초행자들이 목적지까지 시행착오없이 빠른 시간내에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하철 정보를 신속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모든 지역의 지하철 정보를 일관된 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익숙한 방법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SUBWAY INFORMATION GUID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의 지하철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 인터넷망 접속하여 지하철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지하철 노선의 최단 경로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지하철 노선의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3의 지하철 노선을 경로별 소요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지하철 노선 정보 서비스의 이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중에도 출발지와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 및 소요시간을 안내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의 경우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인해 지하철의 교통 분담률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서울 지역의 경우 지하철을 이용해 닿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많은 지하철이 개통되었으며, 앞으로도 지하철의 개통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하철의 개통이 증가할수록 그 노선 또한 더욱 복잡해져 목적지가 초행이거나 익숙하지 않을 경우에는, 노선도를 소지하거나 지하철역 구내에 설치된 지하철 노선 안내 시스템을 이용해 미리 노선을 계획하지 않으면 목적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없게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지하철 노선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 자신이 출발할 지하철 역과 도착할 지하철 역을 입력하면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등 기타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이 화면으로 출력되는 형태의 시스템으로서, 지하철 역사의 특정 지역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시 효과는 있지만, 그 설치비용에 비해 이용자들에게 큰 실효성이 없다.
또한, 확장되는 지하철 노선에 따른 시스템 내용들의 신속한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일부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지하철 관련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출발역과 도착역을 입력하면 서비스업체가 운영하는 서버에서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되어 있으나, 이동성이 결여되어 있어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지하철 노선 안내 시스템에서는 설치 장소가 많지 않고, 시스템의 내용을 업그레이드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주로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만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행 중이거나 이동중인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지하철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지하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와 소요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하철 정보를 얻기 위해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지하철 정보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지하철 정보 서비스에 대한 부메뉴가 있을 경우, 그 부메뉴를 출력하여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선택된 지하철 정보가 단말기 자체에서 검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단말기 자체에서 검색 가능한 정보일 경우는 직접 검색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직접 검색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 사업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련정보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형태로 지하철 안내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직접 지하철 정보를 검색하거나,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을 통해 지하철 정보 제공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지하철 정보를 다운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지하철 안내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직접 검색하는 방법은, 지하철 정보가 업그레이드될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그 내용을 수신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해 둠으로써, 추후 기지국과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지역에서도 지하철 노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하철 정보 검색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지하철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지하철 정보 검색을 위한 프로그램을 따로 내장하지 않고도 원하는 지하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정보를 제공하는 지하철 노선 안내 프로 그램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지하철 정보 제공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는 최단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음 몇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1) 출발역과 도착역 사이의 각 역에서의 소요시간을 계산한다.
2) 가능한 환승 구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한 최단 경로를 찾기 위해서는 트리구조를 이용한 검색이론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울지역 지하철 노선이 있을 경우, 출발역을 시청으로 지정하고 도착역을 선릉으로 지정할 때, 시청에서 선릉까지 이동 가능한 모든 경로를 도시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3가지 경로가 선택 가능하게 된다.
그 중에서 최단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고려할 우선 순위는 정차역의 개수, 환승 여부 및 환승시 소요 시간, 역 사이의 소요시간 등이 있으며, 경로1의 정차역 개수가 19개, 경로2의 정차역 개수가 24개, 경로3의 정차역 개수가 15개일 경우, 정차역 개수에 의해서만 최단경로를 설정하게 되면 경로3이 설정되는 오류를 범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각 경로에 역 사이에서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해주게 되면, 경로3에는 2개의 환승역이 있고 각 환승역에서 5분 이상의 환승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 소요시간에 의해서는 경로1이 최단경로로 판명된다.
이때, 상기 각 경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환승여부 및 환승역 개수[A]를 총 정거장 개수[B]보다 우선순위에 두어 먼저 A값을 비교하여 후보군을 추출하고, 다시 B값에 의해 정거장 개수가 최소화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럼,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지하철 노선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과정을 도5의 예시도 및 도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 사용자는 도5의 (a)와 같이 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메뉴키 버튼을 누르면 도5의 (b)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지하철 정보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그에 대한 각종 부메뉴가 출력되고, 그 중 "지하철 노선검색" 메뉴를 선택하면 도5의 (c)와 같이 출발역을 묻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여기에 출발역을 입력한 다음 선택 버튼을 누르면 도5의 (d)와 같이 도착역을 묻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여기에 도착역을 입력하고 선택 버튼을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최단경로 선택방법에 의해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의 최단경로가 검색되어진다.
즉, 출발역이 경복궁이고 도착역이 잠실이라고 할 경우 두 역사이에서 선택 가능한 경로는 다음 4가지가 된다.
경로1 : 경복궁(3호선) → 을지로 3가(2호선 환승)→잠실도착[환승역:1개][정차역:16]
경로2 : 경복궁(3호선) → 교대(2호선 환승) → 잠실도착[환승역:1개][정차역:20]
경로3 : 경복궁(3호선) → 종로3가(1호선 환승) → 신설동(환승) → 성수(2 호선 환승) → 잠실도착[환승역:2개][정차역:12]
경로4 : 경복궁(3호선) → 종로3가(5호선 환승) → 왕십리(2호선 환승) → 잠실도착[환승역:2개][정차역:16]
여기에, 환승역과 각 정차역 사이의 소요시간을 고려하면 경로3은 경로1보다 정차역 개수는 4개나 적지만, 실제로 이동하는 사람들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경로1이 최적의 최단경로로 판명된다.
상기와 같이 경로1이 선택되어지면 경로1의 모든 정차역을 화면으로 표시해 주고, 만약 지리정보 시스템을 결합할 경우에는 현재 정차역의 표시 및 각 환승역에서는 환승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정보 검색 서비스는 단말기 자체에 관련정보를 탑재하고 있으면서 기지국과의 송수신 과정없이 직접 수행할 수도 있고,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기 자체에서 직접 검색 가능한 정보는 일정 주기로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거나, 필요시 해당 서비스 업체에서 기지국을 통해 업그레이드된 정보를 자동 전송하여 업그레이드 시킬 수도 있다.
다음, 무선 인터넷을 통해 지하철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에는, 지하철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지하철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를 수정하는 것만으로 서비스의 추가 및 삭제가 쉽게 이루어지므로, 단순히 지하철 탑승시간만 얻는 것이 아니라 지하철 공사의 열차 안내 시스템의 배차 간격을 통하여 효율적인 지하철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사업자 홈페이지의 지하철 정보 서비스 메뉴에 접속하여 특정 역에서의 지하철 운행시간을 검색할 수도 있고, 위치추적 메뉴를 이용해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의 위치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추적은 3개의 기지국을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사용하면 쉽게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은 안내가 필요한 경우에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고,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와 소요시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자나 초행자들이 목적지까지 시행착오없이 빠른 시간내에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철 정보를 신속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모든 지역의 지하철 정보를 일관된 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익숙한 방법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공위성 또는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과 연계할 경우, 특정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 보다 향상된 지상교통 수단과 지하철을 연계한 종합 교통 정보 안내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하철 정보를 얻기 위해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지하철 정보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지하철 정보 서비스에 대한 부메뉴가 있을 경우, 그 부메뉴를 출력하여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선택된 지하철 정보가 단말기 자체에서 검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단말기 자체에서 검색 가능한 정보일 경우는 직접 검색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직접 검색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 사업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련정보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자체에서 검색 가능한 정보는 일정 주기로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업그레이드하거나, 필요시 해당 서비스 업체에서 기지국을 통해 업그레이드된 정보를 자동 전송하여 업그레이드 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서비스 사업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은, 상기 서비스 메뉴 선택시 자동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먼저 인터넷 접속을 한 후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지하철 정보 서비스가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 검색 서비스일 경우, 출발역과 도착역 사이의 정차역의 수 및 각 역에서의 소요시간, 환승 구간 등을 고려하여, 환승역이 가장 적은 구간에서 가장 소요시간이 짧은 경로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KR1020010010514A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KR10069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14A KR100690705B1 (ko)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14A KR100690705B1 (ko)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22A KR20020069922A (ko) 2002-09-05
KR100690705B1 true KR100690705B1 (ko) 2007-03-09

Family

ID=2769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14A KR100690705B1 (ko)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79B1 (ko) 2021-03-02 2022-03-15 주식회사 광림엔지니어링 지하철 행선지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57B1 (ko) * 2002-11-14 2009-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하철 노선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0840978B1 (ko) * 2007-05-07 2008-06-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의 지하철 운행시각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142A (ja) * 1996-10-07 1998-06-26 Katsuyuki Totsu 移動端末機による電波文字信号を利用したページングおよびラジオ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19980043007A (ko) * 1998-05-20 1998-08-17 김시중 지하철 환승정보 및 출구정보 안내 시스템
KR20010084802A (ko) * 2000-02-29 2001-09-06 이광우 휴대용 데이타 저장 및 검색장치
KR20010094872A (ko) * 2000-04-07 2001-11-03 박경용 지하철관련정보 제공 시스템
KR20010109365A (ko) * 2000-05-29 2001-12-10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행선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KR20020061785A (ko) * 2001-01-18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지하철 최단노선과 도착시간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142A (ja) * 1996-10-07 1998-06-26 Katsuyuki Totsu 移動端末機による電波文字信号を利用したページングおよびラジオ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19980043007A (ko) * 1998-05-20 1998-08-17 김시중 지하철 환승정보 및 출구정보 안내 시스템
KR20010084802A (ko) * 2000-02-29 2001-09-06 이광우 휴대용 데이타 저장 및 검색장치
KR20010094872A (ko) * 2000-04-07 2001-11-03 박경용 지하철관련정보 제공 시스템
KR20010109365A (ko) * 2000-05-29 2001-12-10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행선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KR20020061785A (ko) * 2001-01-18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지하철 최단노선과 도착시간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79B1 (ko) 2021-03-02 2022-03-15 주식회사 광림엔지니어링 지하철 행선지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22A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6805B2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経路案内方法
JP4297513B1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
US20010027375A1 (en) Geographic information output system
EP2418459A1 (en)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agent server, and navigation method
JP200431716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旅行時間算出方法及び交通情報表示方法
KR20030041157A (ko) 교통정보 검색방법, 교통정보 검색시스템, 이동체통신기기 및 네트워크 네비게이션 센터
JP201015183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0091367A (ja) 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経路情報案内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情報配信方法
JP2002296070A (ja) 携帯通信装置、経路案内情報配信方法、経路案内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00715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2009020070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用端末装置、サーバ装置、携帯用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誘導方法
KR1006907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 안내방법
CN1823259B (zh) 导航设备
JP200910365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4851402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JP460405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2011001514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환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H06120877A (ja) 道案内システム
KR100418827B1 (ko)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EP1137303B1 (en)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hat communicat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ocation of th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CN102326051A (zh) 路径向导系统、路径检索服务器及路径向导方法
JP3845724B2 (ja) 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00833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100682315B1 (ko) 항법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61436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