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592B1 -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 Google Patents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592B1
KR100690592B1 KR1020060106201A KR20060106201A KR100690592B1 KR 100690592 B1 KR100690592 B1 KR 100690592B1 KR 1020060106201 A KR1020060106201 A KR 1020060106201A KR 20060106201 A KR20060106201 A KR 20060106201A KR 100690592 B1 KR100690592 B1 KR 100690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ar band
fusion
filter pap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장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공급기(30)를 통해 방진마스크(10)의 필터지(11) 측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공급되는 이어밴드(15)에서 불필요한 제거밴드(15a) 부분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융착및플럭롤러(44)의 일측에는 벨트(46)를 감아 걸 수 있는 구동풀리(45)가 일체로 형성되고, 융착및플럭롤러(44)와 일정거리 평행 이동된 지점에는 설치블럭(47)을 통해 종동풀리(48)가 설치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공급되는 이어밴드(15)가 필터지(11)의 측부에 열융착됨과 동시에 불필요한 제거밴드(15a) 부분을 회전하는 구동풀리(45)와 벨트(46)에 개재된 상태로 필터지(11)로부터 잡아 뜯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마스크(10)의 이어밴드(15) 플럭(Pluck)장치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 제안한 특허 제544894호의 기술내용 중 이어밴드(15)를 절단하기 위한 상향 경사진 가이드줄(23) 및 커팅톱(22)의 구성과는 별도로, 이어밴드(15)를 제거한다는 목적하에 벨트(46), 융착및플럭롤러(44), 종동풀리(48) 및 누름구(50) 등의 새로운 구성을 제안하여 방진마스크 제조업계의 기술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방진마스크, 이어밴드, 융착

Description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Plucking machine of ear band for a dustproof mask}
도 1은 방진마스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방진마스크의 측부마감지 공급 및 이어밴드 접지장치의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방진마스크의 측부마감지 공급 및 이어밴드 접지장치의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이어밴드 절단시 가이드줄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Pluck)장치의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밴드공급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융착및플럭(Pluck)롤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8은 절단롤러의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진마스크 11 : 필터지
12 : 테두리 13 : 측부마감지
14 : 주름부 15 : 이어밴드(Ear band)
15a: 제거밴드 16 : 융착부
17 : 절곡와이어 20 : 접지구
21 : 압착롤러 22 : 커팅톱
23 : 가이드줄 24 : 고정구
25 : 절단롤러 26 : 칼날
30 : 밴드공급기 31 : 회동로드
32 : 수평로드 33 : 밴드공급관
40 : 측부융착롤러 41 : 초음파진동구
42 : 융착팁 43 : 밴드융착팁
44 : 융착및플럭(Pluck)롤러 45 : 구동풀리
46 : 벨트 47 : 설치블럭
48 : 종동풀리(Pulley) 50 : 누름구
51 : 설치봉 52 : 연결구
53 : 베어링 60 : 제1컨베이어
61 : 제2컨베이어 62 : 밴드걸림구
본 발명은 방진마스크의 생산라인 중 필터지의 측부에 측부마감지 및 이어밴드를 부착하는 공정에서 공급되는 이어밴드를 필터지에 융착함과 동시에 이어밴드의 불필요한 부분을 잡아 뜯어내는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Pluck)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방진마스크(10)는 유독가스 배출이 심한 화학공장이나, 금속가루 및 용접흄(Fume)등이 발생되는 금속제련 현장 또는 제지관련이나 방직공장에서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분진 발생이 극히 제한적이어야 할 반도체 연구실(또는 반도체 제조현장)에서 반도체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방진마스크(10)가 착용되고 있다.
방진마스크(10)의 제조공정은 내피, 중간피 및 외피를 중첩하는 합지단계와, 중첩된 필터지(11)의 테두리(12)를 소정폭으로 접지하는 접지단계, 테두리(12) 접지단계와 동시에 절곡와이어(17)의 삽입단계, 필터지(11)를 여러차례 접어 계단식 주름부(14)를 형성하는 단계, 필터지(11)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절단된 필터지(11)의 측부에 측부마감지(13)를 부착하는 단계 및 이어밴드(15)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공정 중 마지막 단계내에서 공급되는 이어밴드(15)를 필터지(11)에 융착함과 동시에 이어밴드(15)의 불필요한 부분을 잡아 뜯어내는(Plucking)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Pluck)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분야의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기 제안한 바 있는 특허 제544894호이며, 특허 제544894호의 기술내용중 이어밴드(15) 절단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은 종래 방진마스크(10)의 측부마감지(13) 공급 및 이어밴드(15) 접지장치의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내피, 중간피 및 외피가 하나로 합지된 필터지(11)는 전(前) 공정에서 테두리(12)가 접지되고 접지된 테두리(12) 내부로 일정길이로 절단된 절곡와이어(17)가 삽입되며, 필터지(11)의 중앙부는 3단의 계단식 주름부(14)가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절단된 낱개의 방진마스크(10)로 준비된다.
장방형 방진마스크(10)의 작은 변(邊) 측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폭을 갖는 측부마감지(13)가 접지구(20)에 의해서 접힌 상태를 유지한 채 통과되어 밴드공급기(30)를 통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공급되는 이어밴드(15)와 함께 측부융착롤러(40)의 초음파 압착력에 의해 열융착 된다.
이처럼 밴드걸림구(62)를 통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걸려 있던 이어밴드(15)가 필터지(11)의 측부에 열융착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커팅톱(22)의 작동에 의해서 필터지(11) 측부에 열융착된 이어밴드(15)와 필터지(11)를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60)의 밴드걸림구(62)에 걸린 이어밴드(15)의 사이를 잘라내야 하는바, 절단시 커팅톱(22)이 오직 이어밴드(15)만을 절단할 수 있도록 도 4의 가이드줄(23)이 설치된다.
도 4는 이어밴드(15) 절단시 가이드줄(23)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단면도로서, 필터지(11)에 근접해 있는 이어밴드(15)를 커팅톱(22)으로 절단시 커팅톱(22)이 필터지(11)는 건드리지 않고 오직 이어밴드(15)만을 절단할 수 있도록 가 이드줄(23)을 설치하되, 이어밴드(15)가 공급되는 밴드공급기(30) 부근에서부터 커팅톱(22)의 위치까지 도 4에서와 같이 상향 경사진 형태로 고정구(24)에 계지한다. 이 고정구(24)는 컨베이어, 압착롤러(21) 등 다른 장치의 이송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결국 상향 경사진 가이드줄(23)을 따라 이어밴드(15)가 도 4에 표시된 "h"만큼 상승되므로 절단시 커팅톱(22)이 필터지(11)를 건드리지 않고 오직 이어밴드(15)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기 제안한 특허 제544894호의 기술내용 중 상기 이어밴드를 절단하기 위한 상향 경사진 가이드줄 및 커팅톱의 구성과는 별도로, 벨트를 이용한 융착및플럭롤러와 종동풀리의 구성을 통해 이어밴드의 불필요한 부분을 잡아 뜯어내는(Plucking)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Pluck)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방진마스크(10)를 제작함에 있어서, 마지막 단계인 측부마감지 공급 및 이어밴드 접지장치내에서 공급되는 이어밴드(15)를 필터지(11) 에 융착함과 동시에 이어밴드(15)의 불필요한 부분을 잡아 뜯어내는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Pluck)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먼저 방진마스크(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피, 중간피 및 외피로 구성된 필터지(11)가 구비되되, 필터지(11)의 테두리(12)는 접지되고 접지된 사이로 절곡와이어(17)가 삽입된다. 절곡와이어(17)는 방진마스크(10) 착용시 밀착력을 증진시켜 방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코부위의 굴곡에 따라 밀착되도록 자유절곡이 가능한 가소성(可塑性) 재질을 사용한다. 한편, 필터지(11)의 양측에는 측부마감지(13) 및 신축성이 우수하며 보푸라기 발생이 전무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의 이어밴드(15)(Ear band)가 부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Pluck)장치의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내피, 중간피 및 외피가 하나로 합지된 필터지(11)는 전(前) 공정에서 테두리(12)가 접지되고 접지된 테두리(12) 내부로 일정길이로 절단된 절곡와이어(17)가 삽입되며, 필터지(11)의 중앙부는 3단의 계단식 주름부(14)가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절단된 낱개의 방진마스크(10)로 준비된다.
장방형 방진마스크(10)의 작은 변(邊) 측부에는 일정폭을 갖는 측부마감지(13)가 접지구(20)에 의해서 접힌상태를 유지한 채 통과되어 공급되고, 이후 밴드공급기(30)를 통해 공급되는 이어밴드(15)와 함께 융착및플럭롤러(44)의 초음파 압착력에 의해서 필터지(11)의 측부에 열융착되어 융착부(16)가 형성된다.
도 6은 일정구간 좌.우 회동하는 밴드공급기(30)가 제1컨베이어(60) 및 제2 컨베이어(61)와 조화를 이루면서 이어밴드(15)를 연속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장방형의 방진마스크(10)가 제1컨베이어(60)의 밴드걸림구(62) 사이에 안착되어 큰화살표 방향으로 공급된다.
제1컨베이어(60) 및 제2컨베이어(61)는 모두 체인(Chain) 타입의 합성수지 컨베이어를 채용하였으며, 도 6에서 보듯이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밴드걸림구(62)로 구성된다.
이어밴드(15)(Ear band)는 신축성이 우수하고 보푸라기 발생이 전무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이며, 도 6에서와 같이 제1컨베이어(60) 및 제2컨베이어(61)의 밴드걸림구(62)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걸리게 된다.
이어밴드(15)를 거는 방법으로는 한 곳에 고정된 밴드공급기(30)의 회동로드(31)가 일정구간 좌.우 회동하게 되고, 동시에 제1컨베이어(60) 및 제2컨베이어(61)는 큰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수평로드(32)를 관통하는 밴드공급관(33)을 통해 이어밴드(15)가 공급되되, 종래의 구성(도 2 참조)과 같이 상부의 롤러를 타고 저 인장상태를 유지한 채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즉, 고정된 밴드공급기(30)의 회동로드(31)가 일정구간 좌.우로 회동하면서 이어밴드(15)를 좌.우로 공급하면, 수평 이동중인 제1컨베이어(60) 및 제2컨베이어(61)의 밴드걸림구(62)에 이어밴드(15)가 자연스럽게 걸리게 되면서 결국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이어밴드(15)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컨베이어(60)와 제2컨베이어(61)의 이송속도 및 밴드공급기(30)의 좌.우 회동속도는 유기적으로 일치되어야 하는바, 이에 대한 제어는 통상적인 전기적 제어시스템 장치에 의해 이루 어진다.
전술한 측부마감지(13)의 공급 및 이어밴드(15)의 공급이 완료되면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융착및플럭롤러(44)와 종동풀리(48)에 의해서 측부마감지(13) 및 이어밴드(15)가 필터지(11)에 열융착됨과 동시에 이어밴드(15)의 불필요한 부분을 잡아 뜯어내는(Plucking)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융착및플럭롤러(44)는 도 7에서와 같이 외주면에 융착팁(42)과 밴드융착팁(42)이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벨트(46)를 감아 걸 수 있도록 구동풀리(45)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하부의 초음파진동구(41)와 접하면서 설치된다.
초음파진동구(41)는 전기적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것이며, 측부마감지(13)가 접지된 필터지(11)가 융착및플럭롤러(44)와 초음파진동구(41) 사이로 통과될 때, 눈에 보이지 않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서 필터지(11)와 측부마감지(13)의 접촉면에 열을 발생하여 녹인 후 융착및플럭롤러(44)의 융착팁(42)을 통해 융착부(16)가 형성되고 아울러, 도 7의 타원형 확대도와 같이 이어밴드(15) 또한 열융착되되, 융착및플럭롤러(44)의 밴드융착팁(42)을 통해서 열융착 된다.
이처럼 지그재그 형상으로 걸려 있던 이어밴드(15)가 필터지(11)의 측부에 열융착됨과 동시에, 필터지(11) 측부에 열융착된 이어밴드(15)와 필터지(11)를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60)의 밴드걸림구(62)에 걸린 이어밴드(15)의 사이를 잡아 뜯어내어 제거해야 하는바, 이어밴드(15)의 불필요한 부분을 잡아 뜯어내는(Plucking) 작업을 융착및플럭롤러(44)와 종동풀리(48) 및 벨트(46)의 구성이 담당하게 된다.
즉, 융착및플럭롤러(44)의 일측에는 구동풀리(45)가 일체로 형성되고, 융착및플럭롤러(44)와 일정거리 평행 이동된 지점에는 설치블럭(47)을 통해 종동풀리(48)가 설치되어 벨트(46)를 감아 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융착및플럭롤러(44)와 종동풀리(48) 사이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밴드공급기(30)가 설치됨에 따라 이어밴드(15)는 벨트(46)위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계속 공급되고 공급된 이어밴드(15)는 이송되면서 회전하는 벨트(46)와 구동풀리(45) 사이에 개재되어 결국에는 정위치 회전하는 융착및플럭롤러(44)의 구동풀리(45)와 벨트(46)에 개재된 상태로 필터지(11)로부터 잡아 뜯어지므로(Plucking) 방진마스크(10) 제조공정에서 불필요한 제거밴드(15a)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하게 된다. 이 제거밴드(15a)는 이후 통상의 진공호스(도면 미도시)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융착및플럭롤러(44)의 구동풀리(45)와 벨트(46)에 개재된 제거밴드(15a)를 잡아 뜯어내는 과정에서 필터지(11)가 이어밴드(15)에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융착및플럭롤러(44)의 직후방에 부동의 설치봉(51)을 통해 누름구(50)가 설치되며, 누름구(50)의 측면에는 선단에 베어링(53)이 장착된 연결구(52)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필터지(11)의 측부마감지(13) 부분을 베어링(53)이 눌러주므로 제거밴드(15a) 제거시 필터지(11)가 딸려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절단롤러(25)의 발췌 사시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낱개로 하나씩 공급된 장방형의 방진마스크(10)는 연속적으로 공급된 측부마감지(13)에 의해서 도 8의 하부 원내확대도와 같이 필터지(11)와 필터지(11)가 측부마감지(13)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바, 이에 절단롤러(25)의 칼날(26)이 밴드걸림구(6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는 필터지(11)와 필터지(11)의 사잇공간 측부마감지(13) 부분을 절단하면 방진마스크(1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기 제안한 특허 제544894호의 기술내용 중 이어밴드를 절단하기 위한 상향 경사진 가이드줄 및 커팅톱의 구성과는 별도로, 이어밴드를 제거한다는 목적하에 벨트, 융착및플럭롤러, 종동풀리 및 누름구 등의 새로운 구성을 제안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이어밴드 제거에 대한 또다른 기술이 제안되는 것이므로 이는 방진마스크 제조업계의 다양한 기술 개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밴드공급기(30)를 통해 방진마스크(10)의 필터지(11) 측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공급되는 이어밴드(15)에서 불필요한 제거밴드(15a) 부분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융착및플럭롤러(44)의 일측에는 벨트(46)를 감아 걸 수 있는 구동풀리(45)가 일체로 형성되고, 융착및플럭롤러(44)와 일정거리 평행 이동된 지점에는 설치블럭(47)을 통해 종동풀리(48)가 설치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공급되는 이어밴드(15)가 필터지(11)의 측부에 열융착됨과 동시에 불필요한 제거밴드(15a) 부분을 회전하는 구동풀리(45)와 벨트(46)에 개재된 상태로 필터지(11)로부터 잡아 뜯어내는(Pluck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융착및플럭롤러(44)의 직후방에는 부동의 설치봉(51)을 통해 누름구(50)가 설치되고, 누름구(50)의 측면에는 선단에 베어링(53)이 장착된 연결구(52)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필터지(11)의 측부를 베어링(53)이 눌러주므로 제거밴드(15a) 제거시 필터지(11)가 딸려 올라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KR1020060106201A 2006-10-31 2006-10-31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KR100690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201A KR100690592B1 (ko) 2006-10-31 2006-10-31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201A KR100690592B1 (ko) 2006-10-31 2006-10-31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592B1 true KR100690592B1 (ko) 2007-03-12

Family

ID=3810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201A KR100690592B1 (ko) 2006-10-31 2006-10-31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59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924B1 (ko) * 2020-07-31 2021-02-25 김호진 마스크 걸이끈 절단 공급장치
KR102238593B1 (ko) * 2020-10-26 2021-04-08 안인성 마스크 제조시스템용 마스크끈 정렬 공급장치
KR102238591B1 (ko) * 2020-08-10 2021-04-09 주식회사 인성이엔지 마스크 제조용 이어링부 형성장치
KR102265288B1 (ko) * 2020-07-07 2021-06-16 둥관 포커스 오토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이어밴드 고속 초음파 용접 방법 및 기기
KR102276238B1 (ko) * 2020-11-04 2021-07-13 (주)앤피에스 용착 장치
KR20210148592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대양기술 마스크 이어 밴드 부착장치
KR102344916B1 (ko) * 2020-08-20 2022-01-03 주식회사 앤피홀딩스 용착 장치 및 방법
KR20220018237A (ko) * 2020-08-06 2022-02-15 임영서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융착 모듈
KR20220078547A (ko) * 2020-04-20 2022-06-10 (주)우인기연 마스크의 귀걸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533A (ko) * 2000-01-24 2001-08-04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일회용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64885A (ko) * 1999-10-19 2002-08-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호흡 마스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여과 재료에 부품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KR100544894B1 (ko) * 2005-06-02 2006-01-24 김태규 방진마스크의 측부마감지 공급 및 이어밴드 접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885A (ko) * 1999-10-19 2002-08-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호흡 마스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여과 재료에 부품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KR20010074533A (ko) * 2000-01-24 2001-08-04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일회용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0544894B1 (ko) * 2005-06-02 2006-01-24 김태규 방진마스크의 측부마감지 공급 및 이어밴드 접지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547A (ko) * 2020-04-20 2022-06-10 (주)우인기연 마스크의 귀걸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58707B1 (ko) * 2020-04-20 2023-07-25 (주)우인기연 마스크의 귀걸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10148592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대양기술 마스크 이어 밴드 부착장치
KR102394247B1 (ko) 2020-06-01 2022-05-09 주식회사 대양기술 마스크 이어 밴드 부착장치
KR102265288B1 (ko) * 2020-07-07 2021-06-16 둥관 포커스 오토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이어밴드 고속 초음파 용접 방법 및 기기
KR102220924B1 (ko) * 2020-07-31 2021-02-25 김호진 마스크 걸이끈 절단 공급장치
KR20220018237A (ko) * 2020-08-06 2022-02-15 임영서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융착 모듈
KR102432137B1 (ko) * 2020-08-06 2022-08-16 임영서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238591B1 (ko) * 2020-08-10 2021-04-09 주식회사 인성이엔지 마스크 제조용 이어링부 형성장치
KR102344916B1 (ko) * 2020-08-20 2022-01-03 주식회사 앤피홀딩스 용착 장치 및 방법
KR102238593B1 (ko) * 2020-10-26 2021-04-08 안인성 마스크 제조시스템용 마스크끈 정렬 공급장치
KR102276238B1 (ko) * 2020-11-04 2021-07-13 (주)앤피에스 용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592B1 (ko) 방진마스크의 이어밴드 플럭장치
KR100544894B1 (ko) 방진마스크의 측부마감지 공급 및 이어밴드 접지장치
KR100550225B1 (ko) 방진마스크의 절곡와이어 공급 및 테두리 접지장치
JP5481007B2 (ja) マスクの耳掛け紐取付け装置
US20150328727A1 (en) Rubber band machine
KR100685665B1 (ko)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231376B1 (ko) 마스크 제조장치
CN104937642B (zh) 分配装置
EP2573226B1 (en) Draft device and spinning machine
KR100511070B1 (ko) 방진마스크 필터지의 계단식 접지장치
KR101979474B1 (ko) 실재 절단 장치
CN201347515Y (zh) 裁剪机
ATE494251T1 (de) Einrichtung zum sammeln von druckprodukten entlang einer aus fördervorrichtung und zuführvorrichtungen für die druckprodukte gebildeten sammelstrecke.
CN103350914B (zh) 橡筋机的送料装置
KR100745047B1 (ko) 초음파 재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음파 재단방법
FR2648736A1 (fr) Machine d&#39;usinage par decharge electrique a rouleau de guidage de fil d&#39;electrode
US6467488B2 (en) Method for cutting the tie-leaf on bundled leaf tobacco
DE602005020090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von Coupons in einer Verpackungsmaschine
JP2005111564A (ja) 板状要素を機械加工するワーキングステーション
ATE154652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ühren einer materialbahn
DE59908630D1 (de) Verfahren zum Aufführen einer Materialbahn auf einen Tambour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550544B2 (ja) 塵埃、繊維屑等を取り除くための吸込装置を含む練条機の構造
KR100450589B1 (ko) 자동 납땜장치
US11185939B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JP2013230526A (ja) シート材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