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385B1 -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385B1
KR100690385B1 KR1020060098305A KR20060098305A KR100690385B1 KR 100690385 B1 KR100690385 B1 KR 100690385B1 KR 1020060098305 A KR1020060098305 A KR 1020060098305A KR 20060098305 A KR20060098305 A KR 20060098305A KR 100690385 B1 KR100690385 B1 KR 10069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abric
nano
manufacturing
section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최동환
김성군
공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주)퓨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주)퓨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2006009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의 청정성, 대전방지성 및 고투습방수도를 충족하면서도 특히 착용감이 우수하고 비침성이 없을 뿐 아니라 봉제성이 더욱 향상된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이형 단면사로 제직된 원단, 나노 웹 필름 및 편직물을 접합하여 3 레이어(layer)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무진의 제품은 이형 단면사로 제직된 원단, 나노 웹 필름 및 편직물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각 층 간의 접합은 도트 라미네이션(dot lamination) 공법에 의해, 수분 경화형 접착제를 5-20g/sm 사용하여 80 내지 130℃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은 가벼운 착용감과 피부와의 소프트한 접촉감을 가지면서도 비침성이 없는 다층 구조의 무진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노 웹 필름, 이형 단면사, 무진의, 투습저항성, 착용성, 비침성.

Description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ust-resistant fabric having a multi-layer}
본 발명은 나노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고도의 청정성, 대전방지성 및 고투습방수도를 충족하면서도 특히 착용감이 우수하고 비침성이 없을 뿐 아니라 봉제성이 더욱 향상된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밀산업 분야에서는 정전기 발생에 의한 장애 및 방전 쇼크에 의한 인체 장애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와 제품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제조분야는 정전기에 의한 제품 사고뿐만 아니라, 정전기가 대전된 직물에 먼지와 같은 외부입자(particle)가 부착되어 있다가 제조공정 중 탈락하거나 또는 인체에서 분비된 땀이나 각질화된 피부 등 각종 오물의 입자가 의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됨으로서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여 수율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활동에 의해 인체에서 발생한 땀이나 수분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면 의복에 땀이 차는 현상이 발생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여러 장애로 인하여 고청정 크린룸용 무진의는 고도의 청정성 및 대전방지성과 고투습도가 요구되므로 무진의용 소재는 파티클 제어능력이 우수해야 하고, 인체로부터 발생한 오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 효과가 커야하며, 외부의 파티클이 부착되지 않게 제전성이 있어야 하고, 세탁 내구성 및 착용 쾌적성이 있어야 하는 등의 제반 조건을 충족할 것을 요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는 투습방수포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에는 라미네이팅 방식, 습식방식 및 건식방식을 사용하여 다공질 필름 등을 부직포 상에 열압착, 또는 코팅 등으로 하여 투습방수포를 제공하여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그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아니라 기공분포가 불균일하고 기공밀도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50381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동일 용매에 혼합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방사용액을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4)을 통해 컬렉터(4)로 전기방사 하고, 컬렉터(4) 상에 집적된 나노섬유 웹을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완전 용융체 가공온도 이상인 온도로 열처리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피부에 대한 감촉이 좋지 않고 따라서 착용감이 떨어질 뿐 아니라, 광 투과성 또한 높아 비침성이 높아 언더 웨어를 별도로 착용하여야 하므로 활동성을 제약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 나노 부직포(이하, '나노 웹 필름'이라 칭합니다) 양 표면에 특정한 특성을 갖는 섬유를 부착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의 청정성, 대전방지성 및 고투습방수도를 충족하면서도 착용감이 우수하고 비침성이 없어 별도의 언더 웨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용이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mesh)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은;
이형 단면사로 제직된 원단, 나노 웹 필름 및 편직물을 접합하여 3 레이어(layer)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무진의 제품은 이형 단면사로 제직된 원단, 나노 웹 필름 및 편직물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각 층 간의 접합은 도트 라미네이션(dot lamination) 공법에 의해, 수분 경화형 접착제를 5-20g/sm 사용하여 80 내지 130℃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합 후 30±5℃에서, 80±5% 상대습도(RH)에서 12 내지 14시간 숙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형 단면사 원단은 경사 100-150 x 위사 70-90본/inch로 하여 강도와 파티클 제어 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로 밀도를 낮추어 제직 시간과 물자를 절약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직물은 피부와의 접촉으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나이론 편직물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사용된 상기 도트 라미네이션 공법은 원단 상에 접착제를 일정 간격으로 점적하여 필름을 접합하는 것으로, 종래의 전면접착 라미네이션 공법에 대비하여 공정이 컴팩트(compact)하고, 효율적인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도트 라미네이션 공법은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전면에 도포하지 않고 점적하여 사용함으로 손실 발생이 적어 폐수/폐기물 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환경친화적일 뿐 아니라 소프트한 터치(Soft touch) 발현에도 유리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접착제 도포량은 5 내지 20g/sm가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범위를 벗어나 도포량이 너무 많으면 표면 원단에 롤러(roller)의 도트(dot) 자국이 생길 수 있고, 원단 밖으로 접착제가 배어나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대로 도포량이 너무 적으면 접착력이 약하여 접착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접착 온도는 80 내지 120℃가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범위를 벗어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접착제의 점성이 너무 높아져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량이 너무 많아져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대로 온도가 너무 낮으면, 접착량이 적어져 접착력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숙성 조건을 30℃, 80% RH(상대습도)에서 12HR 이상 숙성시킴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숙성의 편이성과 시간 및 가장 양호한 접착성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조건에서 모든 것이 가장 양호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은 가벼운 착용감과 피부와의 소프트한 접촉감을 가지면서도 비침성이 없는 다층 구조의 무진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나노 웹 필름을 사용하여 가볍고, 공기투과도와 투습도가 높으며, 투습저항도가 낮아 착용감이 좋은 무진의 제품을 제공한다. 즉, 나노 웹 필름의 미세한 기공들을 통해 땀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체온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미세입자(particle)가 나노 웹 필름의 미세한 기공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입자 제어 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나노 웹 필름의 양면에는 각각 이형단면사 원단과 편직물이 접합되어 지므로 비침성이 완전히 방지되고, 피부에 닿는 면이 부드러 워 별도로 언더 웨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활동성이 더욱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50381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나노 웹 필름을 얻고 그 양면에 수분 경화형 접착제를 5g/sm로 점적하고, 그 일 면에는 이형 단면사를 경사 100 x 위사 70본/inch로 하여 제직하여 얻은 원단을 그 타 면에는 나이론 편직물(mesh)을 적층하여, 80℃에서 롤러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팅하였다.
상기 접합 작업 후 30℃에서, 80% 상대습도(RH)에서 12시간 숙성시켜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수분 경화형 접착제를 10g/sm로 점적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수분 경화형 접착제를 20g/sm로 점적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접합 온도를 100℃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5
상기 접합 온도를 120℃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수분 경화형 접착제를 30g/sm로 점적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2
상기 접합 온도를 70℃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3
상기 접합 온도를 130℃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얻었다.
실험예 1. 접착성 시험
상기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진의 제품은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의 원단 및 및 편직물의 각 층 간에 접착성이 우수하고 접착 흔적이 전혀 없이 깨끗하게 접착이 되었으나, 비교예 1 및 3에 따른 제품은 접착흔적이 발견되어 깨끗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2의 제품은 제품의 군데 군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며 전반적으로 각 층 간의 접착 상태가 불량하였다.
실험예 2. FITI 시험연구원 테스트 결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무진의 제품에 대한 0.1㎛ 입자에 대한 파티클 포집효율(EN 1822 규격)은 각각 99% 이상으로 측정되어 우수한 입자 제어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3. 투습저항도(ISO 11092 규격) 테스트
투습저항도(Resistance to Evaporative Transmission)는 땀 혹은 수증기 배출에 대한 저항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류의 투습도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착용감의 쾌적성으로 나타내는 수치로, 수치가 낮을수록 쾌적감이 우수한 것으로 각 실 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무진의 제품에 대한 투습저항도는 5 내지 10 m2·PA/W를 나타내어 종래의 폴리우레탄이 도포된 것의 18.45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원단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은 가벼운 착용감과 피부와의 소프트한 접촉감을 가지면서도 비침성이 없는 다층 구조의 무진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진의 제품은 가볍고, 공기투과도와 투습도가 높으며, 투습저항도가 낮아 착용감이 좋고, 입자 제어 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나노 웹 필름의 양면에는 각각 이형단면사 원단과 편직물이 접합되어 지므로 비침성이 방지되고, 피부에 닿는 면이 부드러워 별도로 언더 웨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활동성이 더욱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이형 단면사로 제직된 원단, 나노 웹 필름 및 편직물을 접합하여 3 레이어(layer)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무진의 제품은 이형 단면사로 제직된 원단, 나노 웹 필름 및 편직물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각 층 간의 접합은 도트 라미네이션(dot lamination) 공법에 의해, 수분 경화형 접착제를 5-20g/sm 사용하여 80 내지 130℃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mesh)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후 30±5℃에서, 80±5% 상대습도(RH)에서 12 내지 14시간 숙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mesh)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은 나이론 편직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mesh)의 다층으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KR1020060098305A 2006-10-10 2006-10-10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KR100690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05A KR100690385B1 (ko) 2006-10-10 2006-10-10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05A KR100690385B1 (ko) 2006-10-10 2006-10-10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385B1 true KR100690385B1 (ko) 2007-03-12

Family

ID=3810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305A KR100690385B1 (ko) 2006-10-10 2006-10-10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830B1 (ko) * 2019-02-28 2019-09-30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421A (ko) * 2004-06-29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형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421A (ko) * 2004-06-29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형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830B1 (ko) * 2019-02-28 2019-09-30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8047B2 (ja) 防風性、防水透湿性に優れる積層シート、それを用いた生地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197363B1 (ko)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60990B1 (ko) 오염 제어 의류
EP3607124B1 (en) Nonwoven cellulose fiber fabric with different sets of pores
KR20070106013A (ko) 흡수에 의해 입체적으로 구조 변화하는 복합 포백 재료 및섬유 제품
KR101011245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5442074B2 (ja) 複合ファブリック
JP2007030175A (ja) 積層体及び濾過材
JP2016052721A (ja) 複合ファブリック3次元構造体
JP2009024272A (ja) 冷感に優れた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2020007697A (ja) 親水性嵩高不織布
KR100690385B1 (ko)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 및 편직물의 다층으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KR100690386B1 (ko)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로 구성된 무진의 제품의제조방법
Knížek et al. Lamination of nanofibre layers for clothing applications
CN101560734A (zh) 隔菌防螨纺织品及其生产方法和装置
KR20100004141A (ko) 방진마스크
KR101011246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90382B1 (ko) 봉제성이 향상된 나노 웹 필름과 이형 단면사로 구성된무진의 제품의 제조방법
KR20090079646A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73944A1 (ja) 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マスク
KR102599732B1 (ko) 신축성 다층 부직포 웹
KR102533129B1 (ko) 투습방수 나노섬유 멤브레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0414675Y1 (ko) 청정실용 나노 웹 필름 라미네이팅 방진 원단
JPH06339542A (ja) 防塵マスク
CN213441548U (zh) 一种用改性腈纶制备的吸湿发热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