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362B1 - 위생용 흡수체 - Google Patents

위생용 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362B1
KR100690362B1 KR1020040082527A KR20040082527A KR100690362B1 KR 100690362 B1 KR100690362 B1 KR 100690362B1 KR 1020040082527 A KR1020040082527 A KR 1020040082527A KR 20040082527 A KR20040082527 A KR 20040082527A KR 100690362 B1 KR100690362 B1 KR 10069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bsorbent body
absorber
fabric
hyg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414A (ko
Inventor
미 자 이
영 일 권
전보경
Original Assignee
전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보경 filed Critical 전보경
Priority to KR102004008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3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68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reu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4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urine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76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was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6Sanitary towels; Means for supporting or fastening th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8Panty-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및 요실금 패드 등으로 유용한 위생용 흡수체에 관한 것으로서, [ⅰ] 하단에 배면층(a)을 갖는 흡수체(b), 상기 흡수체의 세로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 형성된 2개의 홀더(c, c'),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 양측 각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스냅(d, d')이 부착된 2개의 날개(e, e') 및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타원형의 봉제선(f)으로 이루어진 본체(A); 및 [ⅱ] 상기 홀더(c, c')들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본체(A)상에 고정되며 흡수체(b)보다 소폭인 삽입용 흡수체(B)로 구성되는 위생용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날개(e, e')들이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상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h) 2매가 날개(e, e')의 표면과 이면 모두에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들이 위치하도록 일체(一體)로 봉제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생용 흡수체는 흡수효율이 높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일회용품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여도 흡수체가 갈라지지 않고, 착용시 피트니스가 우수하고, 불쾌감, 발진, 소양증, 피부염 등의 부작용 없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다.
흡수체, 위생대, 반복사용, 피트니스, 날개, 방수포.

Description

위생용 흡수체 {Absorbent for sanitary good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위생용 흡수체 본체의 날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와 동일한 폭을 갖는 삽입용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의 폭과 같이 6겹으로 포개어 질수 있는 광폭의 삽입용 흡수체를 펼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위생용 흡수체에 유체가 넓게 흡수되는 양태를 보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위생용 흡수체에 유체가 좁게 흡수되는 양태를 보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용 흡수체에 있어서 유체가 삽입용 흡수체(B)와 흡수체(b)로 차례로 흡수되는 양태를 보이는 모식도 이다.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 본체 B : 삽입용 흡수체
a : 배면층 b : 흡수체 c, c' : 홀더
d, d' : 스냅 e, e' : 날개 f, f' : 봉제선
h : 방수포 h1 : 방수포 내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
h2 : 폴리우레탄 코팅층 또는 필름층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한 위생대, 생리대, 팬티라이너, 요실금 패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위생용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교적 단시간 내에 반복되어 배출된 체액이나 혈액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각종 위생대, 생리대, 팬티라이너, 요실금 패드 등의 흡수체로 사용할 수 있는 반복 사용가능한 위생용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낮은 점도의 체액을 단시간 내에 다량 흡수할 수 있어서 요실금 패드로 특히 적합한 위생용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위생대, 생리대, 팬티라이너, 요실금용 패드 등의 위생용 흡수제용품은 가장 상부에 인체의 피부와 닿는 부분인 라이너(liner), 그의 하단에는 펄프와 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층, 인체로부터 방출되어 흡수층 내부로 흡 입된 유체를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용기 역할을 하는 배면층(backing layer), 선택적으로 양단에 형성된 날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팬티 등 속옷에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배면층 및 날개의 이면에 점착제인 핫멜트를 도포한 후 이형지를 점착시킨 후 접어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서 상업화 되어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은 상기의 구조를 갖고 한 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품이므로 소각시 환경오염 및 자연 분해시 장시간의 시간의 소요, 자원의 낭비 등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용시 사용자들에게 가장 큰 문제점이나 불편한 점은 가장 상부의 인체와 닿는 라이너 부분이 석유 소재에서 추출되어 제조된 후 천공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메쉬 필름(Mesh Film)이나, 레이온,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등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시 불쾌감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흡수층으로서는 나무에서 추출되어 표백된 펄프와 석유 소재에서 추출되어 합성된 폴리아크릴계의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장시간 착용시 고흡수성 수지의 분해 및 올리고머 등의 미반응물이 추출되어 인체에 부착되어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을 유발하며, 피부와의 직접 접촉 및 마찰로 인해 국부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고, 흡수체 내부를 구성하는 펄프와 고흡수성 수지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로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흡수체가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인티그리티(integrity) 약화로 장시간 착용시 새로운 체액이 흡수되었을 때 누수되는 현상 또는 갈라진 흡수층 부분들이 다시 떡처럼 뭉쳐서 한쪽으로 치우쳐 버리는 뭉침 현상 등이 발생한다.
배면층은 석유 소재에서 추출되어 제조된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사용하므로서 장시간 착용시 통풍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열거한 여러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 소양증, 발진 등을 유발하여 일회용 위생대의 사용이 점점 기피되는 실정이다.
한편, 고전적으로 사용되는 질 분비물이나 생리혈 처리 및 요실금 처리 방법은 겉옷으로 방출되는 체액이 묻지 않게 하기 위해서 단순히 기저귀형태로 광목 등의 면 소재의 천을 적당한 크기로 접어서 끈이나 고무줄을 이용하여 팬티에 얹어 입음으로써 체액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는 장시간 착용하여도 흡수체가 직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흡수체 부분들이 갈라지는 현상은 없으며, 착용이 상쾌한 장점이 있으나, 배면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다량의 체액이 인체에서 방출될 경우나 반복적으로 유출되는 경우 체액을 흡입 및 보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더우기, 고전적 기저귀타입의 위생대는 착용시 두껍기 때문에 겉옷으로 착용 흔적이 나타나며, 일반 팬티나 생리 팬티 등 속옷에 고정할 수 있는 핫멜트 등의 부착제가 없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시 처음에 고정시킨 상태로 존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서 오늘날 대부분의 여성들이 일회용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상기와 같이 일회용품의 심각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이의 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ⅰ) 합성섬유 직물상에 폴리우레탄이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합체된 방수포로 이루어진 배면층, 인체 친화력이 우수한 면직물로 이루어진 흡수체, 흡수체의 세로방향 양단에 형성된 2개의 홀더, 흡수체의 중앙부 양측 각각에 형성되고 스냅이 부착된 2개의 날개, 및 타원형의 봉제선 등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ⅱ) 그 본체상에 삽입용 흡수체가 부가된 구조를 갖고, 상기 본체의 날개(e, e')들이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상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h) 2매가 날개(e, e')의 표면과 이면 모두에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들이 위치하도록 일체(一體)로 봉제되어 있는 위생용 흡수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흡수효율이 높고, 세탁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어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완화하고 소모적 일회용품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여도 흡수체가 갈라지지 않고, 착용시 흡수체 내부로 흡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분배하여 불쾌감, 발진, 소양증, 피부염 등의 부작용 없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는 위생용 흡수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상태 및 착용감 즉, 피트니스(fitness)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날개의 길이, 폭, 위치를 이상적으로 최적화하여 속옷에 안착을 시켰 을 때 밀림현상 없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텐리스스틸 소재의 스냅으로써 속옷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트니스가 우수한 위생용 흡수체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ⅰ] 하단에 배면층(a)을 갖는 흡수체(b), 상기 흡수체의 세로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 형성된 2개의 홀더(c, c'),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 양측 각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스냅(d, d')이 부착된 2개의 날개(e, e') 및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타원형의 봉제선(f)으로 이루어진 본체(A); 및 [ⅱ] 상기 홀더(c, c')들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본체(A)상에 고정되며 흡수체(b) 보다 소폭인 삽입용 흡수체(B)로 구성되는 위생용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날개(e, e')들이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상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h) 2매가 날개(e, e')의 표면과 이면 모두에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들이 위치하도록 일체(一體)로 봉제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복 사용가능한 위생용 흡수체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 흡수체는 배면층(a), 흡수체(b), 홀더(c, c'), 2매의 방수포로 제작되고 스냅(d, d')이 부착된 날개(e, e'), 타원형 봉제선(f) 등으로 이루어진 본체(A); 및 별도의 삽입용 흡수체(B)로 구성된 2층 구조를 가진다.
배면층(a)은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h)로 이루어져 있어서 인체에서 유출되는 체액을 흡수한 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코팅량은 10~100g/㎡이고,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의 중량은 50~2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의 날개(e, e')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서 유출되는 저점도의 다량의 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상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h) 2매가 날개(e, e')의 표면과 이면 모두에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들이 위치하도록 일체(一體)로 봉제된 구조를 갖는다.
한면, 삽입용 흡수체(B)는 도 4 및 도 8과 같이 흡수체(b)의 폭보다 소폭인 1매의 면직물 또는 2매의 면직물이 봉제에 의해 흡수체(b)의 폭보다 소폭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일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흡수체(b)의 폭보다 소폭으로 2~10겹으로 포개어 질수 있는 광폭의 면직물 또는 면타월일 수도 있다.
도 5는 광폭의 면직물인 삽입용 흡수체(B)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삽입용 흡수체(B)의 중앙부에는 도 4와 같이 타원형의 봉제선(f')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봉제선(f')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봉제선(f')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과량의 체액이 흡수되거나 점도가 낮은 체액(소변등)이 한번에 흡수체 내로 다량유입된 경우 위생용 흡수체의 날개(e, e') 부분을 따라서 체액이 누수되어 겉옷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ⅰ)삽입용 흡수체(B)의 폭을 본체를 구성하는 흡수체(b)의 폭보다 소폭으로 하며 (ⅱ)흡수체 아래에 방수포인 배면층(a)을 형성하고, (ⅲ)날개(e,e') 부분도 방수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삽입용 흡수체(B)의 폭이 본체내 흡수체(b)의 폭보다 좁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체액이 흡입되어도 본체내 흡수체(b)에 폭넓게 확산되어 누수될 우려가 없으며, 흡수체(b) 바닥면과 양측면이 방수 포인 배면층(a)과 날개(e, e')들로 이루어져 흡입한 체액이 다량인 경우라도 속옷으로 전이되지 않는다.
날개(e, e') 및 배면층(a)을 구성하는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으로 제조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의 흡수체(b)와 삽입용 흡수체(B)는 인체 친화력이 우수한 면직물을 1매 또는 2매 이상으로 적층하여 제작된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실시예 2와 같이 배면층(a)상에 5매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본체의 흡수체(b)가 적층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적층되는 면직물 흡수체의 매수가 많을수록 흡수효율이 더욱 우수해진다.
위생용품에 체액이 닿았을 경우 흡수는 2가지의 양태로 이루어진다. 도 6과 같이 흡수체 표면 상부에서 넓게 퍼진 후에(퍼짐 전달성, wicking) 흡수체 표면 하부로 넓게 흡수되는 양태와, 도 7과 같이 흡수체 표면 상부에서 체액이 닿는 부분을 위주로 좁게 흡수되어 흡수체 표면 하부로 전달되는 흡수양태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전자(도 6)의 경우는 다량의 체액이 동시에 유출되면 흡수체 상부에서 퍼짐 전달성이 너무 높기기 때문에 흡수체의 하부로 흡수되는 시간(흡수속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하여 흡수체 밖으로 체액이 누수될 확률이 높아지나, 일단 유체가 다 흡수된 후에는 표면 건조성(dryness)이 우수한 장점을 나타내며, 이는 착용자로 하여금 표면이 건조하여 상쾌감을 줄 수 있다.
반면 후자(도 7)의 경우는 다량의 체액이 흡수체의 내부로 흡수될 때, 흡수체 외부로 누수될 확률은 적으나, 한 곳에 체액이 머물러 있어 장시간 착용시 착용자에게 불쾌감, 발진, 소양증, 피부염 등의 문제점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특히 요실금 패드와 같이 장시간 동안 체액이 소량씩 반복적으로 분비되는 체액을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소형 생리대 및 팬티라이너 등과 같이 생리양이 적을 때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지적된다.
또한 흡수체의 재료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흡수체의 조직이 조밀할수록 체액이 닿았을 경우 먼저 상부 수평방향으로 퍼진 후에 수직방향으로 흡수되는 경향이 있으며, 반면 흡수체의 조직이 조밀하지 않을수록 수직방향으로 흡수된 후에 흡수체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퍼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현상은 실의 굵기(번수)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실이 굵을수록 체액을 빨리 흡수하여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전달하고, 실이 가늘수록 수평방향으로 체액을 더 잘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합리적인 흡수를 위하여 적당한 수평방향 흡수 및 신속한 수직방향으로 체액을 전달할 수 있는 흡수체의 구조를 도출하기 위하여 적당한 굵기(번수)의 실로써 적당한 조직밀도를 갖도록 배열한다. 본발명의 위생용 흡수체를 구성하는 본체의 흡수체(b) 및 삽입용 흡수체(B)는 20~40 수의 면사로 구성되며, 조직밀도는 100 ~ 200 본/인치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용 흡수체를 구성하는 본체의 흡수체(b) 및 삽입용 흡수체(B)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면직물로 이루어진다. 배면층(a)은 합성섬유 직물 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로 이루어져 유체가 외부로 누수 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위생용 흡수체는 생리대로 사용될 경우 세탁 후에도 혈흔이 남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 흡수체에 사용된 면직물은 원단을 봉재한 후에 제직 및 정련 과정을 거친 후 건조시 텐터에서 장력(tension)을 가하지 않고, 건조 후 권취하여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봉제처리함으로써 세탁에 의한 수축(shrinkage)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A)를 구성하는 흡수체(b)내 중앙부에 타원형의 방수포를 삽입하여 흡수체(b)내로 흡입되는 체액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배시킬수도 있다. 다시말해 흡수체(b)내 중앙부에 삽입되는 방수포는 체액의 분배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방수포는 배면층(a)과 동일한 방수포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 흡수체를 속옷과 일체화시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의 흡수체(b)의 중앙부 양측 각각에 돌출된 형태로 날개(e, e')를 부착시키고, 1~2 년간 반복 세탁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날개상에 스냅(d, d')을 부착하였으며, 필요시 삶아 소독할 수 있도록 스냅의 소재는 스텐리스스틸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회용 위생대는 배면층과 날개의 이면에 핫멜트가 도포되어 착용시 속옷과 일체화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움직여도 누수의 염려가 적으나, 세탁가능 위생대는 스냅만을 이용하여 속옷과 일체화할 경우 일회용 위생대와 비교할 때 장시간 착용시 위생대가 헐거워지거나, 속옷과 분리되어 위생대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지닌 흡수체를 착용하면 체액이 외부로 누수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날개를 기준으로 앞과 뒤의 비율, 날개의 길이와 폭 등을 최상의 조건으로 하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한 위생용 흡수체를 스냅에 의존하여 속옷과 일체화하기 위한 날개(e, e')의 길이는 5~10㎝이고, 폭은 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 흡수체의 구조를 살펴보면, 날개(e, e')가 달린 본체의 흡수체(b)가 착용시 하부면에 배치되고, 삽입용 흡수체(B)를 본체의 흡수체 양단에 형성된 2개의 홀더(c, c')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본체(A)만을 착용할 경우 체액의 방출량이 많아 체액이 2매의 방수포로 이루어진 날개(e, e')쪽으로 흡입되어 속옷을 오염시킬 가능성을 대비한 특이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 및 삽입용 흡수체로 이루어진 2층 구조는 삽입용 흡수체(B)상에서는 혈액 등을 수직방향으로 1차 흡입을 적극 유도한 후, 본체의 흡수체(b)상에서는 혈액 등을 수평방향으로 2차 흡입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체의 흡수체(b)의 세로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 형성된 2개의 홀더(c, c')의 길이는 각각 3~6㎝가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용 흡수체로의 1차적인 원할한 흡수 및 속옷으로의 누수방지를 위해 삽입용 흡수체(B)는 본체의 흡수체(b) 보다 폭이 다소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생용 흡수체의 본체의 흡수체(b)의 중앙부에는 체액이 처음 닿는 부분을 중심으로 최장길이가 3~10㎝의 타원형 봉제선(f)으로 누빔처 리되어 있다. 이 타원형 봉제선(f)을 따라 체액이 흡수체 상부의 수평방향으로 퍼지고, 바늘구멍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적극적으로 흡입된다.
삽입용 흡수체(B)의 중앙부에도 도 4와 같이 타원형의 봉제선(f')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성 평가 시험〉
본 발명에 있어서 위생용 흡수체의 각종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 평가 한다.
돈혈에 대한 투과 시간(초)
흡수체(시료)에 신선한 돈혈 8g을 투입하여, 흡수체 표면에서 돈혈이 모두 흡입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수치가 낮을수록 돈혈에 대한 표면 흡입력 및 투과율이 우수하다. 이때 돈혈을 이용하여 측정한 이유는 여성의 생리대에서 생리혈 투입시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돈혈에 대한 표면 건조성(g)
돈혈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한 후에 시료를 상온에서 10분 방치한 후에 여과지 5장을 0.5 파운드/인치2(이하 "psi"라고 한다)로 가압하여 여과지에 묻어 나오는 양을 기록하며, 이때 수치가 낮을수록 돈혈에 대한 표면 건조성이 우수하다.
돈혈에 대한 표면 점유 면적(%)
돈혈에 대한 표면 건조성을 측정한 후에 흡수체 상부 표면에서 점유된 면적을 측정하여 전체 면적에 대한 백분율을 기록하며, 이때 수치가 높을수록 라이너 상부 표면에서 넓게 확산된 것이다.
돈혈에 대한 세탁성
돈혈 흡수 후 세탁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점유 면적을 측정한 흡수체를 20℃의 물에서 1시간 침적한 후 수돗물을 이용하여 손으로 10번 문질러 핏물을 제거한 후 1회 수세하고, 세탁기에 넣은 후 세제 5g을 넣은 후 1회 세탁, 3회 수세한 후에 탈수하고 50℃의 열풍 오븐에 넣어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세탁 상태를 육안으로 10명의 전문가들에게 평가하게 하여, 우수는 3점, 보통은 2점, 불량은 1점으로 하여 평균값을 측정하여 기입한다.
돈혈에 대한 세탁 후 치수 안전성(%)
돈혈에 대한 표면 점유 면적 측정 후 가로(x)와 세로(y)의 길이를 측정하고, 돈혈에 대한 세탁성 평가 후 가로(x')와 세로(y')를 측정한 후 하기식에 의하여 치수 안전성을 평가하여 백분율로 치수 안전성을 평가한다.
치수 안전성(%) = (x' + y')/(x + y) ㅧ 100
생리혈 흡수체 착용 후 쾌적도
생리혈 흡수체의 착용자에 대한 쾌적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 시료를 제조한 후에 10명의 착용자에게 쾌적도 및 피트니스를 조사하여 우수는 3점, 보통은 2점, 불량은 1점으로 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여 평가한다.
생리식염수(0.9%) 에 대한 투과 시간(초)
흡수체(시료)에 생리식염수 20㎖을 투입하여, 표면에서 모두 흡입되는 시간(초)을 측정하여 투과 시간으로 기록한다. 이때 수치가 낮을수록 생리식염수에 대한 표면 흡입력 및 투과율이 우수하며,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이유는 요실금 패드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생리식염수(0.9%)에 대한 표면 건조성(g)
흡수체(시료)에 생리식염수 10㎖를 5㎖/초의 속도로 흡입시킨 후에 상온에서 10분 방치한 후에 여과지 5장을 0.5 psi로 가압하여 여과지에 묻어 나오는 양을 기록하여 1차 기록하고, 다시 생리식염수 10㎖를 5㎖/초의 속도로 흡수체에 흡입시킨 후에 상온에서 10분 방치한 후에 여과지 5장을 0.5 psi로 가압하여 여과지에 묻어나오는 양을 2차 기록하고, 다시 생리식염수 10㎖를 5㎖/초의 속도로 상기 흡수체에 흡입시킨 후에 상온에서 10분 방치한 후에 여과지 10장을 0.5 psi로 가압하여 여과지에 묻어나오는 양을 3차 기록 한다. 이와 같이 1, 2, 3차 값을 평균하여 표면 건조성 수치로 한다. 이때 수치가 낮을수록 표면 건조성이 우수하다.
생리식염수(0.9%)에 대한 표면 점유 면적(%)
생리식염수에 대한 투과 시간을 측정한 후에 상부 표면에서 점유된 면적을 측정하여 전체 면적에 대한 백분율을 기록하며, 이때 수치가 높을수록 표면 상부에서 넓게 확산된 것이다.
생리식염수에 대한 세탁 치수 안전성(%)
생리식염수에 대한 표면 점유 면적 측정 후 가로(x)와 세로(y)의 길이를 측정하고, 생리식염수에 대한 표면 점유 면적을 측정한 흡수체를 20℃의 물로 세탁기에 넣어 세제 5g을 넣은 후 1회 세탁, 3회 수세한 후에 탈수하고 65℃의 열풍 오븐에 넣어 3시간 동안 건조한 후의 가로(x')와 세로(y')를 측정한 후 하기식에 의하 여 치수 안전성을 평가하여 백분율로 치수 안전성을 평가한다.
치수 안전성(%)= (x' + y')/(x + y) ㅧ 100
요실금 흡수체 착용 후 쾌적도
요실금용 흡수체의 착용자에 대한 쾌적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 시료를 제조한 후에 10명의 착용자에게 쾌적도 및 피트니스를 조사하여 우수는 3점, 보통은 2점, 불량은 1점으로 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여 평가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 구현예로서 예시적인 것을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 1
(1) 면직물 및 본체의 흡수체(b) 준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hol)의 호재로 사이징(sizing)처리된 20수의 면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 후, 제직된 직물을 발호와 정련처리하고, 장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100℃의 온도로 건조를 실시하여 조직밀도가 100본/인치2인 면직물을 제조한다.
상기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10㎝, 길이 30㎝의 직사각형 면직물 4매를 제조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중앙부에 최장길이가 10㎝이고 최단길이가 4㎝인 타원형 봉제선(f)이 형성되도록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1개의 흡수체(b)를 준비한다.
(2) 본체의 홀더(c, c') 준비
상기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10㎝, 길이 6㎝의 직사각형 면직물 4매를 제조한 다음, 2매씩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2개의 홀더(c, c')를 준비한다.
(3) 본체의 날개(e, e') 준비
폴리에스테르 직물(단위중량 70g/㎡)상에 폴리우레탄 필름(단위중량 30g/㎡)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를 재단하여 폭이 6㎝이고 길이가 10㎝인 타원형의 방수포 4매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준비된 타원형 방수포 2매씩을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표면과 이면 각각에 위치하도록 배열한 후 이들을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방수포 2매로 이루어진 날개(e, e') 2매를 준비한다.
(4) 본체의 배면층(a)의 준비
날개(e, e') 준비에 사용된 방수포를 재단하여 폭이 10㎝이고 길이가 30㎝인 직사각형의 배면층(a)을 준비한다.
(5) 삽입용 흡수체(B)의 준비
상기의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8㎝, 길이 25㎝의 직사각형 면직물 4매를 제조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중앙부에 최장길이가 10㎝이고 최단길이가 4㎝인 타원형 봉제선(f')이 형성되도록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1개의 삽입용 흡수체(B)를 준비한다.
(6) 위생용 흡수체의 제조
상기와 같이 준비된 배면층(a)위에 흡수체(b)를 올려놓고 이들을 재봉사로 박음질한 후, 상기 흡수체(b)의 세로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 준비된 홀더(c, c')들을 박음질하여 부착하고, 계속해서 흡수체(b)의 중앙부 양측에 준비된 날개(e, e')들을 박음질로 부착하여 본체(A)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A)의 홀더(c, c')들에 준비된 삽입용 흡수체(B) 양단을 각각 삽입시켜 위생용 흡수체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위생용 흡수체의 돈혈에 대한 물성을 시험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1) 면직물 및 본체의 흡수체(b) 준비
전분(Starch)의 호재로 사이징(sizing)처리된 30수의 면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 후, 제직된 직물을 발호와 정련처리하고, 장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90℃의 온도로 건조를 실시하여 조직밀도가 150본/인치2인 면직물을 제조한다.
상기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8㎝, 길이 25㎝의 직사각형 면직물 5매를 제조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중앙부에 최장길이가 7㎝이고 최단길이가 5㎝인 타원형 봉제선(f)이 형성되도록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1개의 흡수체(b)를 준비한다.
(2) 본체의 홀더(c, c') 준비
상기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8㎝, 길이 5㎝의 직사각형 면직물 4매를 제조한 다음, 2매씩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2개의 홀더(c, c')를 준비한다.
(3) 본체의 날개(e, e') 준비
폴리에스테르 직물(단위중량 100g/㎡)상에 폴리우레탄 필름(단위중량 50g/㎡)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를 재단하여 폭이 5㎝이고 길이가 7㎝인 타원형의 방수포 4매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준비된 타원형 방수포 2매씩을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표면과 이면 각각에 위치하도록 배열한 후 이들을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방수포 2매로 이루어진 날개(e, e') 2매를 준비한다.
(4) 본체의 배면층(a)의 준비
날개(e, e') 준비에 사용된 방수포를 재단하여 폭이 8㎝이고 길이가 25㎝인 직사각형의 배면층(a)을 준비한다.
(5) 삽입용 흡수체(B)의 준비
상기의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7㎝, 길이 23㎝의 직사각형 면직물 5매를 제조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중앙부에 최장길이가 7㎝이고 최단길이가 5㎝인 타원형 봉제선(f')이 형성되도록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1개의 삽입용 흡수체(B)를 준비한다.
(6) 위생용 흡수체의 제조
상기와 같이 준비된 배면층(a)위에 흡수체(b)를 올려놓고 이들을 재봉사로 박음질한 후, 상기 흡수체(b)의 세로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 준비된 홀더(c, c') 들을 박음질하여 부착하고, 계속해서 흡수체(b)의 중앙부 양측에 준비된 날개(e, e')들을 박음질로 부착하여 본체(A)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A)의 홀더(c, c')들에 준비된 삽입용 흡수체(B) 양단을 각각 삽입시켜 위생용 흡수체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위생용 흡수체의 돈혈에 대한 물성을 시험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1) 면직물 및 본체의 흡수체(b) 준비
초산비닐과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물의 호재로 사이징(sizing)처리된 40수의 면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 후, 제직된 직물을 발호와 정련처리하고, 장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110℃의 온도로 건조를 실시하여 조직밀도가 200본/인치2인 면직물을 제조한다.
상기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7㎝, 길이 20㎝의 직사각형 면직물 6매를 제조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중앙부에 최장길이가 5㎝이고 최단길이가 3㎝인 타원형 봉제선(f)이 형성되도록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1개의 흡수체(b)를 준비한다.
(2) 본체의 홀더(c, c') 준비
상기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7㎝, 길이 3㎝의 직사각형 면직물 4매를 제조한 다음, 2매씩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2개의 홀더(c, c')를 준비한다.
(3) 본체의 날개(e, e') 준비
폴리에스테르 직물(단위중량 70g/㎡)상에 폴리우레탄 필름(단위중량 30g/㎡)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를 재단하여 폭이 7㎝이고 길이가 7㎝인 타원형의 방수포 4매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준비된 타원형 방수포 2매씩을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표면과 이면 각각에 위치하도록 배열한 후 이들을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방수포 2매로 이루어진 날개(e, e') 2매를 준비한다.
(4) 본체의 배면층(a)의 준비
날개(e, e') 준비에 사용된 방수포를 재단하여 폭이 7㎝이고 길이가 20㎝인 직사각형의 배면층(a)을 준비한다.
(5) 삽입용 흡수체(B)의 준비
상기의 면직물을 재단하여 폭 6㎝, 길이 18㎝의 직사각형 면직물 6매를 제조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중앙부에 최장길이가 5㎝이고 최단길이가 3㎝인 타원형 봉제선(f')이 형성되도록 재봉사로 박음질하여 1개의 삽입용 흡수체(B)를 준비한다.
(6) 위생용 흡수체의 제조
상기와 같이 준비된 배면층(a)위에 흡수체(b)를 올려놓고 이들을 재봉사로 박음질한 후, 상기 흡수체(b)의 세로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 준비된 홀더(c, c')들을 박음질하여 부착하고, 계속해서 흡수체(b)의 중앙부 양측에 준비된 날개(e, e')들을 박음질로 부착하여 본체(A)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A)의 홀더(c, c')들에 준비된 삽입용 흡수체(B) 양단을 각각 삽입시켜 위생용 흡수체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위생용 흡수체의 돈혈에 대한 물성을 시험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본체의 흡수체 및 삽입용 흡수체를 구성하는 면직물의 매수를 9매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생용 흡수체를 제조하여 생리식염수에 대한 물성을 시험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본체의 흡수체를 구성하는 면직물의 매수를 5매로 변경하고, 삽입용 흡수체를 구성하는 면직물의 매수를 8매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생용 흡수체를 제조하여 생리식염수에 대한 물성을 시험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본체의 흡수체 및 삽입용 흡수체를 구성하는 면직물의 매수를 10매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생용 흡수체를 제조하여 생리식염수에 대한 물성을 시험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돈혈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
구 분 투과시간(초) 표면 건조성(g) 점유면적(%) 세탁성 치수안전성 쾌적도
실시예 1 8 1.0 32 3 94 3
실시예 2 10 1.0 35 3 95 3
실시예 3 12 0.9 40 3 99 3
생리 식염수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
구 분 투과시간(초) 표면 건조성(g) 점유면적(%) 치수안전성 쾌적도
실시예 4 5 1.4 40 97 3
실시예 5 6 1.1 49 98 3
실시예 6 7 1.2 48 99 3
본 발명에 따른 위생용 흡수체는 흡수효율이 높고, 세탁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어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완화하고 소모적 일회용품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여도 흡수체가 갈라지지 않고, 착용시 흡수체 내부로 흡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스냅으로써 속옷과 일체화할 수 있어 착용시 피트니스가 우수하고,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분배하여 불쾌감, 발진, 소양증, 피부염 등의 부작용 없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는 위생용 흡수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생용 흡수체는 점도가 낮은 체액이 단시간에 다량 배출될 경우에도 배출되는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요실금 패드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경이나 변형 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이하에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16)

  1. [ⅰ] 하단에 배면층(a)을 갖는 흡수체(b), 상기 흡수체의 세로방향 상단과 하단 각각에 형성된 2개의 홀더(c, c'),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 양측 각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스냅(d, d')이 부착된 2개의 날개(e, e') 및 상기 흡수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타원형의 봉제선(f)으로 이루어진 본체(A); 및 [ⅱ] 상기 홀더(c, c')들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본체(A)상에 고정되며 흡수체(b)보다 소폭인 삽입용 흡수체(B)로 구성되는 위생용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날개(e, e')들이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상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h) 2매가 날개(e, e')의 표면과 이면 모두에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h1)들이 위치하도록 일체(一體)로 봉제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2. 1항에 있어서, 삽입용 흡수체(B)가 흡수체(b)의 폭보다는 2~5㎝ 좁은 폭으로 2~10겹으로 포개어 질수 있는 광폭의 면직물인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3. 1항에 있어서, 삽입용 흡수체(B)가 흡수체(b)의 폭보다는 2~5㎝ 좁은 폭을 갖는 1매의 면직물 또는 2매의 면직물이 봉제에 의해 흡수체(b)와 동일한 폭으로 일체(一體)로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4. 1항에 있어서, 삽입용 흡수체(B)의 중앙부에 타원형 봉제선(f')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a)이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상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된 방수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a)이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상에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방수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7. 1항,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코팅량이 10~1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9. 제 5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 직물 또는 부직포의 중량이 50~2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b) 및 삽입용 흡수체(B)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면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b) 및 삽입용 흡수체(B)가 20~40수의 면사로 구성되며, 조직밀도가 100~200 본/인치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b) 및 삽입용 흡수체(B)가 1매 또는 2매 이상으로 적층된 면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c, c')의 길이가 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e, e')의 길이가 5~10㎝고, 폭이 3~7㎝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의 타원형 봉제선(f)의 최장길이가 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16.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체(b)내에 중앙부에 타원형의 방수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흡수체.
KR1020040082527A 2004-10-15 2004-10-15 위생용 흡수체 KR10069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527A KR100690362B1 (ko) 2004-10-15 2004-10-15 위생용 흡수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527A KR100690362B1 (ko) 2004-10-15 2004-10-15 위생용 흡수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414A KR20060033414A (ko) 2006-04-19
KR100690362B1 true KR100690362B1 (ko) 2007-03-09

Family

ID=3714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527A KR100690362B1 (ko) 2004-10-15 2004-10-15 위생용 흡수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683B1 (ko) * 2019-03-25 2021-07-12 주식회사 더밤부 대나무섬유를 이용한 생리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36Y1 (ko) * 2004-07-27 2004-10-15 전보경 위생용 흡수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36Y1 (ko) * 2004-07-27 2004-10-15 전보경 위생용 흡수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414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455B1 (ko) 흡수 용품용 신체측 커버
RU2614088C2 (ru) Экологически безопасная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труктура
KR100266492B1 (ko) 청결한외관및용량신호수단을갖는흡수제품
KR100369952B1 (ko) 개인위생 흡수성 제품용 액체 흡수성 재료
CN115038417A (zh) 耐用吸收裤
JPH05261129A (ja) 吸収性製品
CZ58897A3 (en) Absorption article
PL172233B1 (pl) Podpaska higieniczna PL PL PL PL
JP2002520090A (ja) 非対称の吸収性コアを備えた使い捨てパンツ
JP2008518660A (ja) 薄型防護下着
US20220354710A1 (en) Durable absorbent pant with improved absorbent gusset configuration
KR20130124950A (ko) 열 활성화가능한 팽창성 구조를 갖는 용품
JP2005520576A (ja) 個人ケアー製品のためのパルプ及び合成繊維の吸収性複合体
PL187874B1 (pl) Struktura chłonna do użycia w wyrobie chłonnym
KR100690362B1 (ko) 위생용 흡수체
MXPA02002666A (es) Tels plegadas fibrosas.
KR200365236Y1 (ko) 위생용 흡수체
BR112020020272A2 (pt) Artigo absorvente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artigo absorvente
KR100629844B1 (ko) 위생용 흡수체
KR101322200B1 (ko) 극세사 섬유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495614B1 (ko) 위생용 흡수체
KR100447426B1 (ko) 뭉침방지용 스크림을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
US20240050288A1 (en) Durable absorbent pant with improved seaming
KR20060010040A (ko) 올인원 타입의 위생용 흡수체
CA3233826A1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