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287B1 -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287B1
KR100689287B1 KR1020060116567A KR20060116567A KR100689287B1 KR 100689287 B1 KR100689287 B1 KR 100689287B1 KR 1020060116567 A KR1020060116567 A KR 1020060116567A KR 20060116567 A KR20060116567 A KR 20060116567A KR 100689287 B1 KR100689287 B1 KR 10068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alue
unit
sens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799A (ko
Inventor
신중식
Original Assignee
(주)유한프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한프리젠 filed Critical (주)유한프리젠
Priority to KR102006011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28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shing fo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센서를 강사가 밟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강사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복수의 강의자 또는 학생들이 바닥센서를 밟게 되어 복수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다중 감지를 처리하여 카메라를 줌 아웃하여 여러명을 한꺼번에 촬영할 수 있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설치 구성되어 있는 곳의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담당자 혹은 외부기관에 상황을 전송하여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 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바닥센서를 강사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강사를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복수자가 바닥센서를 밟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줌 아웃하여 복수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나믹한 수업 진행을 할 수 있어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진행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다.
또한,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제어수단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외부기관에게 메세지를 전송하여 침입상황을 알리도록 할 수 있으며, 어떤 시설 환경 하에서도 침입 물체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고, 침입 물체를 정확히 확인하고 아울러 침입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침입 물체를 근접 촬영하는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 주변 장치들과 연동되어 침입에 시각적, 청각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강사추적, 바닥감지, 위치추적.

Description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Camera Control System In Use Of Tile Sensing and a Method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복수를 감지할 경우 카메라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제어수단 110 : 센서통신부
120 : 카메라통신부 130 : 저장부
140 : 메인제어부 150 : 다중감지처리부
160 : 침입상황전송부 200 : 센싱수단
210 : 바닥센서부 220 : 통신부
230 : 아이디셋팅부 300 : 카메라
400 : 외부기관
본 발명은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센서를 강사가 밟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강사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복수의 강의자 또는 학생들이 바닥센서를 밟게 되어 복수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다중 감지를 처리하여 카메라를 줌 아웃하여 여러명을 한꺼번에 촬영할 수 있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설치 구성되어 있는 곳의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담당자 혹은 외부기관에 상황을 전송하여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단 멀티미디어 원격 강의실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각종 세미 나실에서 비디오 카메라가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운영자가 일일이 리모콘 아니면 카메라 컨트롤러로 조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강의가 끝날 때까지 강사의 위치를 수동으로 추적해야 함으로 쓸데없이 시간을 운영자가 소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비디오 카메라 추적시스템을 운영자 없이 자동으로 추적하기 위해선 강사용 유선 마이크로폰의 터치에 의한 유선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추적하지만 일일이 강사의 화면을 모니터에 출력하기 위해서 유선 마이크로폰을 터치해야 하며 한정된 유선 마이크로폰 주위에서만 강사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으므로 강사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고 있다.
한편, 좌,우 이동만 감지할 수 있어서 앞, 뒤로 이동하는 것은 감지할 수 없어 만약 앞으로 강사가 움직일 경우 초점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화면에 제대로 강사의 화면이 잡히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보안 및 방범에 관한 장비들은 침입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센서를 강사가 밟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강사를 자동으로 촬영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센서를 복수가 밟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줌 아웃하여 복수를 촬영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제어수단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외부기관에게 메세지를 전송하여 침입상황을 알리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 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바닥센서부마다 아이디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셋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 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제어수단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하여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중감지처리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중감지처리부를 통해 다중 감지처리 데이터를 수신받게 되면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하여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중감지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복수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 카메라에 포착범위와 관련된 줌 인, 줌 아웃 동작을 통하여 복수의 감지 신호에 따른 각각의 위치를 모두 포착할 수 있도록 카메라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200)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220)와,
바닥센서부마다 아이디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셋팅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200)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혹은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110)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120)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130)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장치와 연동되어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장치연동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장치는 조명수단(미도시), 사이렌 발생장치(미도시), 경광등 동작 장치(미도시), 음성녹음재생장치(미도시)등이 있으며, 외부장치연동부를 통해 연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한 외부장치의 동작원리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실시간으로 바닥센서부(210)로부터 아이디 값 및 감지 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의 동작 데이터를 카메라로 전송하여 카메라(300)가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통신부(110)는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센싱수단의 통신부(220)와는 일반적인 RS485, RS422, RS 232C, RS 232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하게 되며, 센싱수단과 제어수단간의 통신방식의 구성원리 및 동작원리는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하겠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과 카메라간의 통신방식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하게 된다.
바닥센서부의 해당 아이디값에 활성화되는 카메라의 동작값 세팅방식은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세팅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바닥센서부의 해당 아이디값에 카메라의 팬, 틸트, 줌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화면에 맞추고 이에 대해 카메라로부터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을 읽어 들여 저장부(130)에 저장하게 된다.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은 기준좌표에 대한 절대값으로 인식되며 저장부에 저장되어 전원이 꺼져도 다시 사용자가 세팅하기 전까지 지워지지 않도록 한다.
저장되는 원리는 카메라의 초기값(P(pan)=0, T(tilt)=0, Z(zoom)=0)과 센서의 초기값(S(sensor)=0)을 설정하고,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이 저장되는 공간의 이름을 N이라고 가정하여 저장공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N(S,P,T,Z)에 각각 값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센서부마다 아이디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셋팅부(230)의 셋팅방법은 일반적인 센서 셋팅 방법을 채택하게 되며, 세팅 방법에 관한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점인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는 타일 모양의 바닥재 형태를 갖춘 센서를 의미하며 본원 발명에서는 이를 바닥센서라 정의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자면, 상기한 바닥센서부를 강사가 강의하는 강단에 설치 구성하게 되며, 바닥센서부는 조각 조각 이루어져 있으며, 각 조각마다 아이디값을 아이디셋팅부를 통해 셋팅을 하게 되며, 아이디값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동작값에 따라 카메라가 동작하도록 하게 되는데, 만약 강단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바닥센서부 위를 강사가 밟게 되면 바닥센서부는 강사의 발이 누르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수단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수단에서는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전송받아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게 동작값을 보내게 된다.
카메라는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동작값에 따라 상하좌우, 회전 및 줌 확대, 축소 등을 하여 침입자를 촬영하게 되며, 외부녹화장치로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중에 하나인 외부연동장치와의 연동을 위해 외부장치연동부(미도시)를 구성하게 된다.
외부연동장치란 예를 들어 조명장치, 싸이렌 장치, 경광등 장치, 비상음 발생장치, 메세지 전송 장치등이 있으며, 바닥센서부중 일부를 지정하여 지정된 바닥센서부를 밟게 되면 조명이 켜지거나, 싸이렌이 울리거나, 경광등을 동작시키거나, 아니면 사람의 음성이 녹음된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제어수단은,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하여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중감지처리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중감지처리부를 통해 다중 감지처리 데이터를 수신받게 되면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제어수단은,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다중감지처리부는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하여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메인제어부는 상기 다중감지처리부를 통해 다중 감지처리 데이터를 수신받게 되어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강의 장소에 여러명의 강의자 또는 학생이 올라와 바닥센서부가 여러개 감지될 경우 다중감지처리부를 통해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후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를 줌 아웃하여 여러명의 사용자를 한꺼번에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다중감지처리부를 구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구성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를 한꺼번에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 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210)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200)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110)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120)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30)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160)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 하는 카메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하여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중감지처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복수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 카메라에 포착범위와 관련된 줌 인, 줌 아웃 동작을 통하여 복수의 감지 신호에 따른 각각의 위치를 모두 포착할 수 있도록 카메라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센서부 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160)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 혹은 전화단말기 또는 경찰서 및 보안업체의 모바일 단말기 혹은 전화단말기로 문자메세지, 전화발송, 음성메세지, 메일 등을 전송하게 된다.
만약, 문자메세지 전송이라면 이동통신 전송수단 중에 하나인 SMS서비스 장치를 통해 전송하게 되는데 전송 방식 및 동작 원리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화발송 및 음성메세지, 메일링 서비스 또한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복수를 감지할 경우 카메라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감지처리부와 메인제어부가 구성되어 있거나 메인제어부의 기능이 다중감지 처리가 가능할 경우에 복수의 감지 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에 줌 인, 줌 아웃 카메라의 포착 범위와 관련된 것으로 복수의 감지 신호에 따른 각각 위치로 모두 포착할 수 있도록 줌을 조절하게 된다.
도 4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a)와 같이 최초 한 명의 강사가 감지되어 카메라가 촬영을 하고 있다가 두 명이 감지되게 되면 카메라의 최초 좌표값이 복수의 경우 설정된 좌표값으로 변경되어 좌표가 이동되게 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카메라가 줌 아웃을 하게 되어 넓은 범위에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 한 명은 움직이지 않고 다른 한 명이 움직이게 되면 이에 따른 동작값을 미연에 세팅하여 움직이는 사람의 좌표로 이동하여 미리 세팅된 카메라 동작을 하게 되어 좀 더 다이나믹한 형태의 수업을 지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은 센싱수단, 제어수단, 카메라, 외부기관연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센싱수단으로부터 아이디 및 감지상태 신호를 제어수단에서 전송받아 해당하는 센서부의 아이디값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동작값을 제어수단에서 카메라로 전송하여 카메라는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바닥센서부는 장판형, 카페트형, 타일형, 악세스플로어형으로 바닥에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형태의 변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닥센서부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5에 도시한 대로 1번 부터 9번까지 바닥센서부를 바닥에 설치하였다고 가정하게 되면, 바닥센서부의 1번부터 9번까지 각 센서부의 중심위치값을 기억시키게 된다. 따라서, 강사 혹은 침입자가 감지되면 바닥센서부의 기억값으로 카메라를 이동하여 추적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로서 바닥센서부는 센서 한개의 크기는 보통 45CM X 45CM로 설정한다면 1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는 1개에서 4개 정도 이내 일 것이다.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1개 일때 감지센서값을 1로 하고, 2개 일때는 2개 감지센서값을 플러스하여 1/2하고, 3개 일 때는 3개 감지센서값을 플러스하여 1/3하고, 4개 일때는 4개 감지센서값을 플러스하여 1/4하여 값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카메라에 위치값을 명령하게 된다.
예를 들어 1번 감지센서가(10,10), 2번 감지센서가 (20,20)이면 플러스하면 (30,30)이 되고, 1/2로 나누면 (15,15)가 감지센서값이 되어 이에 해당하는 카메라의 동작값을 세팅하게 되는데 이때 동작값을 예를 들어 (15,15,2)라 하면 좌로 15도 회전, 위로 15도 조정, 2배 줌으로 카메라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줌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한 개 이상의 센 서를 밟고 있다면 포커스를 멀리서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세팅값에 따라 동작시 강사 혹은 침입자의 특정 부위만 촬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접촬영이 가능한 범위 내로 포커스를 잡아줌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닥 센서부의 동작 원리는 +판과 절연판과 -판을 합쳐서 일체형 장판 혹은 개별 타일을 형성하여 사림이나 기타 압력에 의해 +판과 -판이 합쳐지는때에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센싱수단과 제어수단간의 통신 방식을 유선으로 연결하고 있으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일 경우에는 센싱수단의 통신부 대신 무선 통신부를 구성하고, 제어수단 또한 무선센서통신부를 구성하게 되면 된다.
무선 통신 방식의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활용으로 원격지에 있는 강의장에 있는 학생들에게도 강사의 생생한 강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을 이용하면
바닥센서를 강사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강사를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복수자가 바닥센서를 밟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줌 아웃하여 복수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나믹한 수업 진행을 할 수 있어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진행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다.
또한, 바닥센서를 침입자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영하고, 제어수단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외부기관에게 메세지를 전송하여 침입상황을 알리도록 할 수 있으며, 어떤 시설 환경 하에서도 침입 물체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고, 침입 물체를 정확히 확인하고 아울러 침입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침입 물체를 근접 촬영하는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 주변 장치들과 연동되어 침입에 시각적, 청각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2.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바닥센서부마다 아이디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셋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해당 아이디값에 부여되어 있는 카메라 동작값을 활성화하여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하여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중감지처리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중감지처리부를 통해 다중 감지처리 데이터를 수신받게 되면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5.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카메라에 줌 아웃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6. 강사추적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디값을 가지고 있으며, 시설물의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피사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닥센서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어 무감지에서 감지로 혹은 감지에서 무감지로 변화하는 순간에 그 결과를 아이디값과 함께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과 통신을 하기 위한 센서통신부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통신부와,
    한 개이상의 아이디값마다 부여되는 카메라 동작값을 저장하며,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며, 괸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바닥센서부중 지정된 바닥센서부가 피사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는 침입상황전송부와,
    센서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바닥센서부의 아이디값 및 감지상태를 분석하여 피사체가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해당 아이디에 부여된 카메라 동작값을 전송받아 카메라에 동작값을 전송하여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아이디값을 체크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 리자 혹은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침입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값을 전송받아 센싱수단에 감지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바닥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여러 개일 경우 다중 감지여부를 체크하여 처리하여 메인제어부로 전송하는 다중감지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복수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 카메라에 포착범위와 관련된 줌 인, 줌 아웃 동작을 통하여 복수의 감지 신호에 따른 각각의 위치를 모두 포착할 수 있도록 카메라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KR1020060116567A 2006-11-23 2006-11-23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KR10068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67A KR100689287B1 (ko) 2006-11-23 2006-11-23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67A KR100689287B1 (ko) 2006-11-23 2006-11-23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99A KR20060128799A (ko) 2006-12-14
KR100689287B1 true KR100689287B1 (ko) 2007-03-02

Family

ID=3773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567A KR100689287B1 (ko) 2006-11-23 2006-11-23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61B1 (ko) * 2006-09-15 2007-02-22 (주)파비스 매트형 강사위치 추적 시스템
KR101287019B1 (ko) * 2012-01-05 2013-07-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판서 내용도 함께 촬영하여 제공하는 판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KR102060129B1 (ko) 2013-08-05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면 센싱을 이용한 동작 인식방법 및 장치
KR101839456B1 (ko) * 2016-11-15 2018-03-16 (주) 유에이썬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외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102375035B1 (ko) * 2020-09-17 2022-03-17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4185A (ja) * 1987-10-27 1989-05-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移動物体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4185A (ja) * 1987-10-27 1989-05-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移動物体監視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 평1-11418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99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5656B2 (en) Virtual enhancement of security monitoring
US6714236B1 (en) Security camera system and displaying method by security camera
US8094193B2 (en) Presentation video control system
JP2015089119A (ja) 物体を追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2014033307A (ja) 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505265A (ja) 動画像カメラを制御、調整および監視する装置
US9288452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shutter
KR100689287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JP4722537B2 (ja) 監視装置
US10957174B2 (en) Communication-linked floodlight controllers with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features
CN107437063A (zh) 用于感测环境的装置和方法、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US20150093102A1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1839456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외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JP4960270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101841993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JP2006086671A (ja) 自動追尾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672268B1 (ko)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KR20140136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KR100977537B1 (ko) 홈네트워크 솔루션을 탑재한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JP2004289779A (ja) 移動体撮像方法、移動体撮像システム
US10999495B1 (en) Internet of things-based indoor selfie-supporting camera system
JP2006229450A (ja) ネットワーク型監視カメラ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監視カメラシステム
WO2012008553A1 (ja) ロボットシステム
JP3846553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