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035B1 -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 Google Patents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035B1
KR102375035B1 KR1020200120055A KR20200120055A KR102375035B1 KR 102375035 B1 KR102375035 B1 KR 102375035B1 KR 1020200120055 A KR1020200120055 A KR 1020200120055A KR 20200120055 A KR20200120055 A KR 20200120055A KR 102375035 B1 KR102375035 B1 KR 10237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ensor
imaging unit
area
mo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우
조관현
심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Priority to KR102020012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04N5/23219
    • H04N5/2324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은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제1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제2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의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객체의 방향성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Door-Cam using PIR(Passive InfraRed) sensor}
본 발명은 도어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에 설치되어 배터리로 동작하는 도어캠에 관한 발명이다.
아파트, 사무실 또는 주택에서 누가 현관에 방문했을 때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실내에서 현관 밖에 누가 왔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나, 부재시, 누가 방문했는지 알 수 없고, 도둑에 의해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외부에서 알수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관문을 촬영하여 현관문 앞을 감시할 수 있는 도어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어캠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경우, 배터리 전력의 한계에 따라 감시를 위한 구성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적은 용량의 배터리만으로 장시간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하되,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에 설치되어 배터리로 동작하는 도어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은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제1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제2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의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객체의 방향성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감지 거리가 먼 영역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도어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도어 바깥쪽으로 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중복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동시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 중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대상 객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거리 감지 센서를 동작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객체의 방향성 또는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움직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배터리를 이용하는 도어캠의 객체인식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저전력 동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감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촬상부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은 촬상부(110), 배터리(120), 움직임 감지 센서(130), 및 처리부(140)로 구성되고, 거리 감지 센서(150), 모션 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110)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한다. 촬상부(11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거나,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RGB 이미지 센서 또는 IR 센서를 포함하여, RGB 영상 또는 IR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깊이(depth)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20)는 촬상부(110)를 포함하여 도어캠(100)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도어캠(10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유무선 방식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일반 동작시에는 도어캠은 배터리(120)로부터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IR 센서는 피동형 적외선 센서로, 객체에서 방출하는 복사선 중 적외선에 따른 적외선 변화량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적외선이 초전소자에 입사되면 소자 표면에 온도상승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평형이 깨지고, 비평형분의 전하를 전압 변화로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PIR 센서는 매우 적은 전류 소모량으로 장기간 운영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제1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및 제2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및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를 포함하되,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영역과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감지하는 영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은 현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와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는 제1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는 제2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감지 거리가 먼 영역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1 영역은 L1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2 영역은 L2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각도에 따라 θ1과 θ2로 구분될 수 있다.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과 같이 공동주택의 경우, 같은 공간에 형성되는 앞집과 현관이 서로 마주볼 수 있고, 도어캠(100)의 화각에 따라 앞집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앞집에서 자신의 집을 촬영하는 것에 대한 민원을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가 감지하는 제1 영역은 앞집의 현관(300)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은 앞집 현관(300)을 포함하더라도 제2 영역은 앞집 현관(300)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움직임 감지에 따른 촬영시 앞집 현관(300) 부분 영역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촬상부(11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촬상부(110)에 따른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촬상부(110)의 화각은 상기 앞집 현관(300)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되거나, 앞집 현관의 일부 영역만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집에 출입하는 사람을 촬영하지 않아,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버시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거나, 앵글 브라켓(angle bracket)과 같은 물리적 가림막을 촬상부의 화각 내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중복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1 영역에 해당하는 L1과 제2 영역에 해당하는 L2가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영역 θ1과 제2 영역의 θ2가 서로 겹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감지를 방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처리부(140)는 움직임 감지 센서(130)의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객체의 방향성을 감지하고, 배터리(120)로부터 촬상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수행하거나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4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및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의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객체의 방향성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영역이 도 3과 같이, 제2 영역보다 감지 거리가 먼 영역인 경우, 처리부(14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객체가 도어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객체가 도어 바깥쪽으로 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어캠(100)은 현관(200)을 출입하는 객체를 감시함에 있어서,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와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의 움직임 감지 순서를 이용할 수 있다.
현관에서 먼 제1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현관에서 가까운 제2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움직임이 감지된 객체가 현관으로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현관이 열리고 닫힌후 움직임 감지가 중지되면, 해당 객체는 현관 안으로 들어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현관에서 가까운 제2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현관에서 먼 제2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움직임이 감지된 객체가 현관에서 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기 전에 현관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한 경우, 해당 객체가 현관 안에서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움직임 감지가 중지되면 객체는 현관에서 밖으로 나가 외부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상 객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처리부(14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또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거리 감지 센서(150)를 동작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객체의 방향성 또는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 객체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움직임 감지 센서(130)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거리 감지 센서(150)를 이용하여 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의 변화 내지 각도의 변화를 통해 객체의 방향성 또는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15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시영역에 객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처리부(140)는 해당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배터리(120)로부터 촬상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촬상부(110)는 객체가 감시영역에 위치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상부(110)를 이용하여 상시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경우, 배터리(120)로 동작하는 도어캠(100)의 특성상 배터리(120)가 빨리 방전할 수 있는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감시영역을 촬영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하에서는 촬상부(110)에 대한 제어모드를 슬립(sleep) 모드로 제어한다. 역기서, 슬립 모드는 절전 모드로 촬상부(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스탠바이(standby) 모드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지는 않으나, 바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슬립모드는 배터리(120)의 잔량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움직임 감지 센서(130)의 움직임 감지에 따라 웨이크업(wake-up)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부에 대한 제어 모드를 슬립(sleep)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변경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부(140)가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촬상부(1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웨이크업 조건은 움직임 감지 센서(130)의 움직임 감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바로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설정하거나, 움직임 감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상 지속되는 경우,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130)가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및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및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모두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서로 연속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현관(200)에서 가까운 제2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120)로부터 촬상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처리부(140)에 의해 촬상부(110)가 동작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촬상부(110)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40)는 복수의 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각 제어모드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40) 도 6과 같이, 4 개의 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면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제1 제어모드,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 상기 객체의 영역을 설정하는 제3 제어모드,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4 제어모드로 상기 촬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촬상부(110)로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처리부(140)는 각 단계별로 배터리 전원 사용을 단계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제어모드별로 촬상부(110)의 촬영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움직임을 감지하면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제1 제어모드에서는 촬상부의 촬영속도를 느린 속도인 제1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인식은 동영상이 아닌 정지영상으로 충분한 바,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만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에서는 촬상부(110)의 촬영이 불필요한 바, 촬상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바로 촬상부(1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스탠바이 모드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에서는 객체를 인식함에 있어서, 현관에 가까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에 대해서만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시대상 이외의 객체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 모드, 기계학습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지능 모드,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 모드,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함에 있어서, 기계학습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영상 내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가 사람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인공지능으로 사람을 인식하고, 사람 영역을 확인한 이후, 해당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는,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모션을 감지하고, 모션을 분석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모션을 분석함에 있어서, 모션이 사람의 모션인 경우, 해당 객체를 사람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거리 감지 센서(150)를 이용하여 객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정확하고 보안성 높은 감시영역의 감시를 위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130)의 움직임 감지와 함께 다른 정보들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의 움직임 감지와 함께, 영상분석을 수행하거나, 인공지능을 이용하거나, 영상분석 또는 인공지능과 함께 모션감지를 수행할 수 있고, 거리 측정 센서와 인공지능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온도 보정 또는 조도 센서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이후, 객체의 영역을 설정하는 제3 제어모드에서도 촬상부(110)의 촬영이 불필요한바, 촬상부(110)에 대한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객체의 영역은 ROI(Region of Interest) 설정 방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객체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마스킹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집 촬영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킹을 이용할 수 있다. 감시하고자 하는 객체를 제외한 영역에는 마스킹을 설정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4 제어모드에서는 촬상부(110)가 설정된 객체의 영역을 계속 촬영해야 하는바, 촬상부(110)에 계속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에서 해당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겨우, 처리부(140)는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의 영상 재생 장치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상기 각 제어모드에 따라 촬상부(110)의 동작여부 내지 생성해야 하는 영상이 달라지는바, 각 제어모드에 맞게 촬상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움직임 감지가 중지되고, 상기 객체가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촬상부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객체에 대한 감시가 중지되거나 불필요한 경우, 처리부(140)는 바로 촬상부(1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의 촬상면(300)에는 복수의 구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에 형성되는 다양한 구성들에 대응되는 구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RGB 이미지를 생성하는 RGB 촬상부(111) 및 IR 이미지를 생성하는 IR 촬상부(112)를 포함하는 촬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촬상부(111, 112)는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와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는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310)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외에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PIR 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PIR 센서 등으로 구현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상당히 민감하고 감시대상이 아닌 객체의 작은 움직임에 의해서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오작동의 문제가 있다. 잦은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촬상부(110)가 불필요하게 동작하게 되어 배터리 소모가 커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와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의 영역을 중복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중복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4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및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동시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촬상부(1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객체가 현관으로 향해 이동하는 경우, 제1 영역을 지나 제2 영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가 먼저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움직임을 감지한다. 반대로, 객체가 현관으로부터 밖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영역을 지나 제1 영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먼저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가 움직임을 감지한다. 하지만,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와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가 동시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이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겹치는 위치에 갑자기 객체가 나타난 것인바, 이는 노이즈나 오류로 판단하고, 촬상부(1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처리부(140)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또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 중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를 하나의 감도로 동작시키지 않고, 제1 감도 및 제2 감도로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감도는 움직임을 코아스(coarse)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감도로, 미리 설정된 감도일 수 있다. 제2 감도는 파인(fime)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감도로, 역시 미리 설정된 감도일 수 있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슬립 모드에서는 제1 감도로 동작하다,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또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 중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1 움직임 감지 센서(131) 또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32) 중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조건으로, 해당 움직임 감지 센서(130) 및 다른 움직임 감지 센서(130) 모두를 제2 감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의 움직임 감지가 중지된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가 중지된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2 감도에서 제1 감도로 변경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캠(100)을 제어함으로써 초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동작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은 도 7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의 도어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S21)로 동작한다. 슬립 모드는 배터리로부터 촬상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움직임이 감지(S22)되면, 해당 움직임이 웨이크업(wake-up)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S23)한다.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슬립모드(S21)를 유지하고, 웨이크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변경(S24)하고,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S25)하여 움직임을 감지한 객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이후, 움직임 감지가 중지(S26)되면, 촬상부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S27)하고 다시 슬립 모드(S21)로 변경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어캠
110: 촬상부
120: 배터리
130: 움직임 감지 센서
131: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132: 제2 움직임 감지 센서
140: 처리부
150: 거리 감지 센서

Claims (6)

  1.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제1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제2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의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객체의 방향성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중복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움직임을 감지하면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제1 제어모드,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 상기 객체의 영역을 설정하는 제3 제어모드,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4 제어모드로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제어모드에서 상기 촬상부가 하나의 정지영상을 촬영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 및 상기 제3 제어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대해 스탠바이 모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4 제어모드에서 상기 촬상부가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제어모드 내지 상기 제4 제어모드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는 다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동시에 초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감지 거리가 먼 영역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도어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도어 바깥쪽으로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 중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6. 제1항에 있어서,
    대상 객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거리 감지 센서를 동작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객체의 방향성 또는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KR1020200120055A 2020-09-17 2020-09-17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KR10237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55A KR102375035B1 (ko) 2020-09-17 2020-09-17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55A KR102375035B1 (ko) 2020-09-17 2020-09-17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035B1 true KR102375035B1 (ko) 2022-03-17

Family

ID=8093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55A KR102375035B1 (ko) 2020-09-17 2020-09-17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0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799A (ko) * 2006-11-23 2006-12-14 (주)유한프리젠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KR20170115310A (ko) * 2016-04-07 2017-10-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34862A (ko) * 2018-04-27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79770B1 (ko) * 2019-09-20 2020-02-20 주식회사 토브넷 이동형 cctv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799A (ko) * 2006-11-23 2006-12-14 (주)유한프리젠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KR20170115310A (ko) * 2016-04-07 2017-10-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34862A (ko) * 2018-04-27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79770B1 (ko) * 2019-09-20 2020-02-20 주식회사 토브넷 이동형 cctv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7152B2 (ja) セキュリティ監視システム及び相応な警報触発方法
GB2400999A (en) Camera system with motion-dependent resolution
KR102357965B1 (ko) 객체 인식 방법 및 장치
CN107181907A (zh) 控制装置、处理装置和控制方法
WO2020248543A1 (zh) 异常目标的检测方法、设备及存储介质
Sanoob et al. Smartphone enabled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US10930126B1 (en) Motion sensing for electronic devices
US20220246005A1 (en) Security cameras with thermal imaging sensors
CN109963046A (zh) 移动侦测装置以及相关移动侦测方法
KR20170140954A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375035B1 (ko)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CN111917967A (zh) 门监控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39548B1 (ko) 저전력 도어캠
US7545953B2 (en) Apparatus for setting image monitoring area and method therefor
TW202036378A (zh) 監控裝置與監控方法
JP2009140407A (ja) 通過者監視装置
JP2004220224A (ja) 物体検知装置および方法
KR102423930B1 (ko) 듀얼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캠
KR102455506B1 (ko)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KR102455503B1 (ko) 버퍼를 포함하는 도어캠
KR102395440B1 (ko) 클라우드 기반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I716921B (zh) 偵測裝置、偵測系統及偵測方法
KR20160077402A (ko) 도어상태 알림장치
KR101778863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대 방범시스템
KR102628414B1 (ko) 프라이버시 모드를 지원하는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