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506B1 -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 Google Patents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506B1
KR102455506B1 KR1020200142683A KR20200142683A KR102455506B1 KR 102455506 B1 KR102455506 B1 KR 102455506B1 KR 1020200142683 A KR1020200142683 A KR 1020200142683A KR 20200142683 A KR20200142683 A KR 20200142683A KR 102455506 B1 KR102455506 B1 KR 10245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ing unit
motion
operation mode
mo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727A (ko
Inventor
이찬우
조관현
심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Priority to KR102020014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5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41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은 촬상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문열림을 감지하는 문열림 감지 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상기 문열림 감지 센서가 감지한 문열림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부, 및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문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촬상부가 동작모드인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Door-Cam comprising door open sensor}
본 발명은 도어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문열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저전력 동작하는 도어캠에 관한 발명이다.
아파트, 사무실 또는 주택에서 누가 현관에 방문했을 때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실내에서 현관 밖에 누가 왔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나, 부재시, 누가 방문했는지 알 수 없고, 도둑에 의해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외부에서 알수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관문을 촬영하여 현관문 앞을 감시할 수 있는 도어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어캠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경우, 배터리 전력의 한계에 따라 감시를 위한 구성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특히, 촬영을 수행하거나, 영상을 외부로 전송시 많은 전력이 필요하게 되는데,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열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저전력 동작하는 도어캠, 감시 시스템, 및 도어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은 촬상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문열림을 감지하는 문열림 감지 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상기 문열림 감지 센서가 감지한 문열림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부; 및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문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촬상부가 동작모드인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문열림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제1 영상을 상기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2 영상 전송 이후, 상기 버퍼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초기 움직임 감지시 상기 촬상부를 제1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 상기 촬상부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상기 문열림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감도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도어벨로부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상기 도어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도어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은 문열림 감지 센서가 문열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문열림이 감지되면,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도어벨로부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문열림이 감지되면 제1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부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제1 영상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촬상부의 촬영이 필요한 시점 및 영상의 전송이 필요한 시점에만 동작모드로 효율적으로 동작하여 저전력 동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은 촬상부(110), 움직임 감지 센서(120), 처리부(130), 통신부(140), 및 버퍼(150)로 구성되고, 문열림 감지 센서(160), 배터리(미도시), 거리 감지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촬상부(110)를 포함하여 도어캠(100)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도어캠(10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유무선 방식을 통해 충전될 수 있으며, 일반 동작시 도어캠(100)은 배터리로부터만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촬상부(110)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한다. 촬상부(11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거나,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RGB 이미지 센서 또는 IR 센서를 포함하여, RGB 영상 또는 IR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깊이(depth)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IR 센서는 피동형 적외선 센서로, 객체에서 방출하는 복사선 중 적외선에 따른 적외선 변화량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적외선이 초전소자에 입사되면 소자 표면에 온도상승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평형이 깨지고, 비평형분의 전하를 전압 변화로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PIR 센서는 매우 적은 전류 소모량으로 장기간 운영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처리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수행하거나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30)는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촬상부(110)가 촬영한 제1 영상을 버퍼(150)에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상부(110)가 촬영한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즉, 움직임 감지 정보를 촬상부(110)의 웨이크업 조건으로 이용한다.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함에 있어서, 촬상부(110)가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촬상부(110)가 항상 촬영을 수행하고, 실시간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경우, 전력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그로 인해, 배터리로 동작하는 도어캠(100)은 동작 가능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하는 주기가 짧아져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전력소모를 줄이고 효율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촬상부(110) 또는 통신부(140)를 상시 동작모드로 동작시키지 않고, 필요시에만 동작모드로 동작시킨다. 처리부(130)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모드, 대기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모드,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드로 촬상부(110) 또는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촬상부(110) 및 통신부(140)를 슬립모드와 동작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동작이 필요한 상황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동작을 대기하는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배터리 전원이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절전을 위하여, 차단모드로 전환하여, 전력소모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차단모드, 슬립모드, 동작모드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전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처리부(130)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을 수행하되, 버퍼(150)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이후,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로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지 않고,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버퍼(150)에 저장한다.
버퍼(150)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한다. 버퍼(buffer)는 데이터를 전송시 시간의 차이나 데이터의 흐름의 속도 차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로, 버퍼(150)는 별도의 모듈로 도어캠에 형성되어, 영상을 일정 시간동안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150)는 신호를 일시저장하는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감지된 움직임이 외부로 영상을 전송해야 하는 움직임인지를 판단하고, 감지된 움직임이 외부로 영상을 전송해야 하는 움직임인 경우에 비로소 대상을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처리부(130)는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움직임이 소정의 시간이상 지속되는 경우, 통신부(140)를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한 것인지, 오류로 탐지한 것인지에 따라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도어캠(100)이 감시 영역에 사람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경우, 사람 이외에 다른 객체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노이즈나 오류에 의해 움직임 감지 센서가 오작동 한 경우에도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소모인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해당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움직임은 정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제1 감도로 동작하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2 감도로 감도를 높여 움직임을 좀 더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감도에서 감지된 움직임이 제2 감도에서도 감지되는 경우, 해당 움직임이 정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정상 감지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처리부(130)가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된 영상이 아닌 현재 촬상부(1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버퍼(150)에 저장되는 영상은 제1 영상이고,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전송하는 영상은 제2 영상일 수 있다. 즉, 제2 영상은 촬상부(110)가 현재 촬영하는 영상일 수 있다.
외부에 영상을 전송시, 감시 기능을 위해 현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통신부(140)는 동작모드로 전환시 현재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한다. 처리부(130)는 상기 제2 영상 전송 이후, 버퍼(150)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촬상부(110)가 동작모드로 전환시 촬영되는 제1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되고,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로 전환시 촬영되는 제2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되지 않고 통신부(140)가 바로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움직임 감지가 완료되어 촬상부(110)가 다시 슬립모드가 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이나 설정에 의해 제2 영상 전송이 완료된 이후에 제1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에 따른 것인지 오탐에 따른 것인지에 따라 전송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움직임 감지 정보가 오탐에 따른 경우, 제1 영상은 감시에 필요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바, 외부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부(140)의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외부로 전송되지않고,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압축파일이나, 정지영상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40)는 실시간 현재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하는데, 이때, 제1 영상을 제2 영상과 함께 전송하지 않고, 제2 영상 전송 이후에 버퍼(150)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이 아닌 이전 시간의 영상인 제1 시간은 리플레이시 중요한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터 촬상부(110) 및 통신부(140)의 동작은 도 3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저전력 소비를 위하여, 촬상부(110) 및 통신부(140)는 슬립모드로 동작한다. 보다 저전력을 위하여 차단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슬립모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촬상부(110)는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1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촬영된 제1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된다. 움직임 감지가 외부로 전송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통신부(140)가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이때 촬상부(110)가 촬영되는 제2 영상은 버퍼(150)가 아닌 통신부(140)에서 외부로 전송된다. 제2 영상은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가 종료되면, 촬상부(110)는 동작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되어 영상 촬영을 종료하고, 버퍼(15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은 제2 영상 이후 외부로 전송된다. 모드전환시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바,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제1 영상은 제2 영상과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시에 중요한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1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영상은 오탐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바,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으로 촬영되거나,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으로 촬영될 수 있다. 제2 영상은 감시에 중요한 영상인바, 제2 해상도를 가지는 감시용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보다 낮을 수 있다.
처리부(130)는 초기 움직임 감지시 촬상부(110)를 제1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 촬상부(110)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영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인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저화질의 영상일 수 있고, 제1 영상을 촬영시에 촬상부(110)는 자동초점 등 전력이 소모되는 기능을 제외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만을 이용하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촬영 주기로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간 전송에 필요한 제2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고화질의 영상이 필요한바, 촬상부(110)는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모든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촬상부(110)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로 이용함으로써 보다 저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은 제1 촬상부(111), 제2 촬상부(112), 움직임 감지 센서(120), 처리부(130), 및 통신부(140)로 구성되고, 버퍼(150), 문열림 감지 센서(160), 배터리(미도시), 거리 감지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11)는 제1 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제2 촬상부(112)는 제2 해상도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제1 해상도와 제2 해상도는 서로 다른 해상도이고,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해상도는 vga, HD 급 해상도일 수 있고, 제2 해상도는 FHD, UHD 급 해상도일 수 있다. 제1 촬상부(111)는 낮은 해상도의 저화질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로 높은 해상도의 고화질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촬상부(112)보다 전력소모가 작을 수 있다.
제1 촬상부(111) 및 제2 촬상부(112)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한다. 제1 촬상부(111) 및 제2 촬상부(112)는 촬영하는 영역이 같거나,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제1 촬상부(111) 및 제2 촬상부(112)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거나,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RGB 이미지 센서 또는 IR 센서를 포함하여, RGB 영상 또는 IR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깊이(depth)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IR 센서는 피동형 적외선 센서로, 객체에서 방출하는 복사선 중 적외선에 따른 적외선 변화량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적외선이 초전소자에 입사되면 소자 표면에 온도상승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평형이 깨지고, 비평형분의 전하를 전압 변화로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PIR 센서는 매우 적은 전류 소모량으로 장기간 운영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촬상부(111) 또는 제2 촬상부(112)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처리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수행하거나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제1 촬상부(111)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촬상부(112)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1 촬상부(111) 또는 제2 촬상부(112)가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촬상부(111) 또는 제2 촬상부(112)가 항상 촬영을 수행하고, 실시간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경우, 전력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필요시에만 영상을 촬영하더라도 고화질의 영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고화질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를 이용하는 경우, 전력소모가 필요이상으로 많아질 수 있다. 그로 인해, 배터리로 동작하는 도어캠(100)은 동작 가능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하는 주기가 짧아져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전력소모를 줄이고 효율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촬상부(111), 제2 촬상부(112) 또는 통신부(140)를 상시 동작모드로 동작시키지 않고, 필요시에만 동작모드로 동작시킨다. 처리부(130)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모드, 대기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모드,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드로 제1 촬상부(111), 제2 촬상부(112) 또는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제1 촬상부(111), 제2 촬상부(112) 및 통신부(140)를 슬립모드와 동작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동작이 필요한 상황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동작을 대기하는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배터리 전원이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절전을 위하여, 차단모드로 전환하여, 전력소모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차단모드, 슬립모드, 동작모드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전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처리부(130)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촬상부(111) 및 제2 촬상부(112) 중 전력소모가 적은 제1 촬상부(111)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을 수행하여, 제2 촬상부(112)를 ㅇ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이후, 제1 촬상부(111)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로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때, 제1 촬상부(111)가 촬영한 제1 영상을 버퍼(150)에 저장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감지된 움직임이 외부로 영상을 전송해야 하는 움직임인지를 판단하고, 감지된 움직임이 외부로 영상을 전송해야 하는 움직임인 경우에 비로소 대상을 촬영한 고화질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처리부(130)는 제2 촬상부(112)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제2 촬상부(112)가 촬영한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움직임이 소정의 시간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2 촬상부(112)와 통신부(140)를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한 것인지, 오류로 탐지한 것인지에 따라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도어캠(100)이 감시 영역에 사람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경우, 사람 이외에 다른 객체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노이즈나 오류에 의해 움직임 감지 센서가 오작동 한 경우에도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소모인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해당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움직임은 정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제1 감도로 동작하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2 감도로 감도를 높여 움직임을 좀 더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감도에서 감지된 움직임이 제2 감도에서도 감지되는 경우, 해당 움직임이 정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정상 감지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촬상부(112)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제2 촬상부(112)가 촬영한 고화질 영상인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처리부(130)가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제2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된 제1 영상이 아닌 현재 제2 촬상부(112)에서 촬영되는 영상일 수 있다. 버퍼(150)에 저장되는 영상은 제1 촬상부(111)에서 촬영된 제1 영상이고,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전송하는 영상은 제2 촬상부(112)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일 수 있다. 즉, 제2 영상은 촬상부(110)가 현재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고화질 영상일 수 있다.
외부에 영상을 전송시, 감시 기능을 위해 현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통신부(140)는 동작모드로 전환시 현재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한다. 처리부(130)는 상기 제2 영상 전송 이후, 버퍼(150)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1 촬상부(111)가 동작모드로 전환시 촬영되는 제1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되고,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로 전환시 제2 촬상부(112)에서 촬영되는 제2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되지 않고 통신부(140)가 바로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움직임 감지가 완료되어 제2 촬상부(112)가 다시 슬립모드가 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이나 설정에 의해 제2 영상 전송이 완료된 이후에 제1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에 따른 것인지 오탐에 따른 것인지에 따라 전송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움직임 감지 정보가 오탐에 따른 경우, 제1 영상은 감시에 필요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바, 외부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부(140)의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외부로 전송되지않고,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압축파일이나, 정지영상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40)는 실시간 현재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하는데, 이때, 제1 영상을 제2 영상과 함께 전송하지 않고, 제2 영상 전송 이후에 버퍼(150)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이 아닌 이전 시간의 영상인 제1 시간은 리플레이시 중요한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터 촬상부(110) 및 통신부(140)의 동작은 도 6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저전력 소비를 위하여, 제1 촬상부(111), 제2 촬상부(112) 및 통신부(140)는 슬립모드로 동작한다. 저전력을 위하여 차단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슬립모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촬상부(111)는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1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촬영된 제1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된다. 움직임 감지가 외부로 전송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촬상부(112)가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2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부(140)가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된다. 제2 촬상부(112)가 동작모드로 전환시 제1 촬상부(111)는 동작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촬상부(112)가 촬영되는 제2 영상은 버퍼(150)가 아닌 통신부(140)에서 외부로 전송된다. 제2 영상은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가 종료되면, 제2 촬상부(112)는 동작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되어 영상 촬영을 종료하고, 버퍼(15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은 제2 영상 이후 외부로 전송된다. 모드전환시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바,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제1 영상은 제2 영상과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시에 중요한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1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영상은 오탐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바,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으로 촬영되거나,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으로 촬영될 수 있다. 제2 영상은 감시에 중요한 영상인바, 제2 해상도를 가지는 감시용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보다 낮을 수 있다.
처리부(130)는 초기 움직임 감지시 제1 촬상부(111)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 제2 촬상부(112)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제1 촬상부(111)와 제2 촬상부(112) 두 개의 촬상부를 이용함으로써 저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100)은 촬상부(110), 문열림 감지 센서(160), 움직임 감지 센서(120), 처리부(130), 및 통신부(140)로 구성되고, 버퍼(150), 배터리(미도시), 거리 감지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110)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한다. 촬상부(11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거나,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화각의 영상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RGB 이미지 센서 또는 IR 센서를 포함하여, RGB 영상 또는 IR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깊이(depth)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IR 센서는 피동형 적외선 센서로, 객체에서 방출하는 복사선 중 적외선에 따른 적외선 변화량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적외선이 초전소자에 입사되면 소자 표면에 온도상승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평형이 깨지고, 비평형분의 전하를 전압 변화로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한다. PIR 센서는 매우 적은 전류 소모량으로 장기간 운영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문열림 감지 센서(160)는 문의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한다. 문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문측 및 벽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장치간의 신호변화를 감지하여 문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문열림 감지 센서(160)는 자이로 센서, 홀센서 등 문열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문열림 감지 센서(160)가 감지한 문열림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처리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수행하거나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30)는 문열림이 감지되면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촬상부(110)가 동작모드인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도어캠(100)을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함에 있어서, 촬상부(110)가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촬상부(110)가 항상 촬영을 수행하고, 실시간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경우, 전력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그로 인해, 배터리로 동작하는 도어캠(100)은 동작 가능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하는 주기가 짧아져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전력소모를 줄이고 효율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촬상부(110) 또는 통신부(140)를 상시 동작모드로 동작시키지 않고, 필요시에만 동작모드로 동작시킨다. 처리부(130)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모드, 대기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모드,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드로 촬상부(110) 또는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촬상부(110) 및 통신부(140)를 슬립모드와 동작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동작이 필요한 상황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동작을 대기하는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배터리 전원이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절전을 위하여, 차단모드로 전환하여, 전력소모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차단모드, 슬립모드, 동작모드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전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처리부(130)는 문열림이 감지되면,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문열림이 감지되면, 집에서 밖으로 또는 밖에서 집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상태인바, 이를 촬영하기 위하여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다만, 문을 열고닫기만 하고 사람이 출입하지 않을 수 있는바,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로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지 않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비로소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즉, 문열림 감지를 촬상부(110)의 웨이크업 조건으로, 움직임 감지를 통신부(140)의 웨이크업 조건으로 이용한다.
이때,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이후, 움직임이 감지되어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촬영된 영상은 외부로 전송하지 않고, 버퍼(150)에 저장할 수 있다. 버퍼(150)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한다. 버퍼(buffer)는 데이터를 전송시 시간의 차이나 데이터의 흐름의 속도 차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로, 버퍼(150)는 별도의 모듈로 도어캠에 형성되어, 영상을 일정 시간동안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150)는 신호를 일시저장하는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문열림이 감지된 이후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감지된 움직임이 외부로 영상을 전송해야 하는 움직임인지를 판단하고, 감지된 움직임이 외부로 영상을 전송해야 하는 움직임인 경우에 비로소 대상을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처리부(130)는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움직임이 소정의 시간이상 지속되는 경우, 통신부(140)를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한 것인지, 오류로 탐지한 것인지에 따라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도어캠(100)이 감시 영역에 사람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경우, 사람 이외에 다른 객체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노이즈나 오류에 의해 움직임 감지 센서가 오작동 한 경우에도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소모인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해당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움직임은 정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제1 감도로 동작하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2 감도로 감도를 높여 움직임을 좀 더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감도에서 감지된 움직임이 제2 감도에서도 감지되는 경우, 해당 움직임이 정상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정상 감지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처리부(130)가 통신부(14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된 영상이 아닌 현재 촬상부(1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버퍼(150)에 저장되는 영상은 제1 영상이고,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전송하는 영상은 제2 영상일 수 있다. 즉, 제2 영상은 촬상부(110)가 현재 촬영하는 영상일 수 있다.
외부에 영상을 전송시, 감시 기능을 위해 현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통신부(140)는 동작모드로 전환시 현재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한다. 처리부(130)는 상기 제2 영상 전송 이후, 버퍼(150)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촬상부(110)가 동작모드로 전환시 촬영되는 제1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되고,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로 전환시 촬영되는 제2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되지 않고 통신부(140)가 바로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움직임 감지가 완료되어 촬상부(110)가 다시 슬립모드가 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이나 설정에 의해 제2 영상 전송이 완료된 이후에 제1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문열림 감지 이후 움직임이 감지되는 여부 또는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에 따른 것인지 오탐에 따른 것인지 여부에 따라 전송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문열림 감지 이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움직임 감지 정보가 오탐에 따른 경우, 제1 영상은 감시에 필요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바, 외부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부(140)의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외부로 전송되지않고,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압축파일이나, 정지영상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문열림 감지 이후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움직임 감지 정보가 정상 감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40)는 실시간 현재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하는데, 이때, 제1 영상을 제2 영상과 함께 전송하지 않고, 제2 영상 전송 이후에 버퍼(150)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이 아닌 이전 시간의 영상인 제1 시간은 리플레이시 중요한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터 촬상부(110) 및 통신부(140)의 동작은 도 9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문열림 또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저전력 소비를 위하여, 촬상부(110) 및 통신부(140)는 슬립모드로 동작한다. 보다 저전력을 위하여 차단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슬립모드 상태에서 문열림이 감지되면, 촬상부(110)는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1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촬영된 제1 영상은 버퍼(150)에 저장될 수 있다. 문열림 감지 이후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통신부(140)가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이때 촬상부(110)가 촬영되는 제2 영상은 버퍼(150)가 아닌 통신부(140)에서 외부로 전송된다. 제2 영상은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가 종료되면, 촬상부(110)는 동작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되어 영상 촬영을 종료하고, 버퍼(15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은 제2 영상 이후 외부로 전송된다. 모드전환시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바, 통신부(140)가 동작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제1 영상은 제2 영상과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시에 중요한 영상인 제2 영상을 전송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1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영상은 움직임 감지 없이 문열림 감지에 의해서만 촬영되고,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으로 촬영되거나,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으로 촬영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된 제2 영상은 감시에 중요한 영상인바, 제2 해상도를 가지는 감시용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보다 낮을 수 있다.
처리부(130)는 초기 움직임 감지시 촬상부(110)를 제1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 촬상부(110)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영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인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저화질의 영상일 수 있고, 제1 영상을 촬영시에 촬상부(110)는 자동초점 등 전력이 소모되는 기능을 제외한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만을 이용하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촬영 주기로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간 전송에 필요한 제2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고화질의 영상이 필요한바, 촬상부(110)는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모든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촬상부(110)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로 이용함으로써 보다 저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어캠(100)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제2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도어벨(180)에서 감지되는 도어벨 동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통신부(14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로부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부(130)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상기 문열림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움직임 감지 센서(120)를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보다 문에서 먼 영역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는 도어캠(100) 외부의 센서로, 도어캠(100)의 전력이 아닌 별도의 전력으로 동작함으로써 도어캠(100)의 전력소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어캠(100)에 움직임 감지 센서(120)와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를 기준으로, 문 안쪽에서 밖으로의 움직임은 문열림 감지 센서(160)를 이용하여 먼저 감지할 수 있고, 문에서 더 먼 영역에서의 움직임은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를 이용하여 먼저 감지할 수 있다. 즉, 움직임 감지 센서(120)보다 문열림 감지 센서(160) 또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가 먼저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는바, 문열림 감지 센서(160)의 문열림 감지 정보 또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의 제2 움직임 감지 정보를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웨이크업 조건으로 이용함으로써 보다 저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동작모드를 유지하되,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감도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두 단계의 감도를 이용하여 저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셋 이상의 단계로 감도를 가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감도는 움직임을 코아스(coarse)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감도로, 미리 설정된 감도일 수 있다. 제2 감도는 파인(fime)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감도로, 역시 미리 설정된 감도일 수 있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슬립 모드에서는 제1 감도로 동작하다,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할 수도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 및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의 움직임 감지 정보에 따라 객체의 방향성을 감지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객체가 문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가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객체가 도어 밖으로 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현관에서 먼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현관에서 가까운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움직임이 감지된 객체가 현관으로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현관이 열리고 닫힌후 움직임 감지가 중지되면, 해당 객체는 현관 안으로 들어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현관에서 가까운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현관에서 먼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움직임이 감지된 객체가 현관에서 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기 전에 현관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한 경우, 해당 객체가 현관 안에서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움직임 감지가 중지되면 객체는 현관에서 밖으로 나가 외부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상 객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처리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거리 감지 센서를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객체의 방향성 또는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 객체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움직임 감지 센서(120)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거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의 변화 내지 각도의 변화를 통해 객체의 방향성 또는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가 아닌 도어벨(180)의 도어벨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저전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과 같이, 통신부(140)는 도어벨(180)로부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부(130)는 상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어벨(180)은 사람에 의해 버튼이 눌려지거나 터치 패널이 입력되어야 동작하는바, 도어벨 동작 정보는 문 앞에 사람이 위치하는 정확한 정보가 되는바, 도어벨(180)로부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촬상부(1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이때, 송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40)도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벨 동작 정보를 촬상부(110)의 웨이크업 조검으로 이용함으로써 저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처리부(130) 4 개의 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면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제1 제어모드,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 상기 객체의 영역을 설정하는 제3 제어모드,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4 제어모드로 상기 촬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촬상부(110)로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처리부(130)는 각 단계별로 배터리 전원 사용을 단계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제어모드별로 촬상부(110)의 촬영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움직임을 감지하면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제1 제어모드에서는 촬상부의 촬영속도를 느린 속도인 제1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인식은 동영상이 아닌 정지영상으로 충분한 바,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만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에서는 촬상부(110)의 촬영이 불필요한 바, 촬상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바로 촬상부(1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슬립 모드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에서는 객체를 인식함에 있어서, 현관에 가까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에 대해서만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시대상 이외의 객체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 모드, 기계학습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지능 모드,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 모드,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함에 있어서, 기계학습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영상 내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가 사람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 인공지능으로 사람을 인식하고, 사람 영역을 확인한 이후, 해당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는,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모션을 감지하고, 모션을 분석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모션을 분석함에 있어서, 모션이 사람의 모션인 경우, 해당 객체를 사람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거리 감지 센서(150)를 이용하여 객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정확하고 보안성 높은 감시영역의 감시를 위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움직임 감지와 함께 다른 정보들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의 움직임 감지와 함께, 영상분석을 수행하거나, 인공지능을 이용하거나, 영상분석 또는 인공지능과 함께 모션감지를 수행할 수 있고, 거리 측정 센서와 인공지능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온도 보정 또는 조도 센서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이후, 객체의 영역을 설정하는 제3 제어모드에서도 촬상부(110)의 촬영이 불필요한바, 촬상부(110)에 대한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객체의 영역은 ROI(Region of Interest) 설정 방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객체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마스킹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집 촬영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킹을 이용할 수 있다. 감시하고자 하는 객체를 제외한 영역에는 마스킹을 설정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4 제어모드에서는 촬상부(110)가 설정된 객체의 영역을 계속 촬영해야 하는바, 촬상부(110)에 계속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에서 해당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겨우, 처리부(130)는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의 영상 재생 장치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상기 각 제어모드에 따라 촬상부(110)의 동작여부 내지 생성해야 하는 영상이 달라지는바, 각 제어모드에 맞게 촬상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례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및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의 일부 구성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즉, 변형례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및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되고,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에의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례는 제1 촬상부(111) 및 제2 촬상부(112)로 구성되는 촬상부(110), 움직임 감지 센서(120), 처리부(130), 통신부(140), 버퍼(150), 문열림 감지 센서(160), 제2 움직임 감지 센서(170), 도어벨(180), 거리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도어캠(100), 사용자 단말(200), 서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캠(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0의 도어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도어캠(100)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휴대단말 또는 PC 단말 등일 수 있다. 서버(300)는 도어캠(100)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감시를 수행하는 서버로, CCTV 시스템 서버일 수 있다. 영상분석 등을 통해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이다. 도 12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고, 도 13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고, 도 14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은 도 12와 같이, S11 단계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S12 단계에서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S13 단계에서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제1 영상을 버퍼에 저장한다. S14 단계에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S15 단계에서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S16 단계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영상 전송 이후, 상기 버퍼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는 초기 움직임 감지시 제1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제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은 도 13과 같이, S21 단계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S22 단게에서 제1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S23 단계에서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한 제1 영상을 버퍼에 저장한다. S24 단계에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S25 단계에서 제2 촬상부 및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S26 단계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 촬상부가 촬영한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영상 전송 이후, 상기 버퍼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상부는 제1 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제2 촬상부는 제2 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보다 낮고, 상기 제1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캠 제어방법은 도 14와 같이, S31 단계에서 문열림 감지 센서가 문열림을 감지하고, 상기 문열림이 감지되면, S32 단계에서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S33 단계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S34 단계에서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S35 단계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도어벨로부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는, 상기 문열림이 감지되면 제1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2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제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부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제1 영상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촬상부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고,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어캠 110: 촬상부
111: 제1 촬상부 112: 제2 촬상부
120: 움직임 감지 센서 130: 처리부
140: 통신부 150: 버퍼
160: 문열림 감지 센서 170: 제2 움직임 감지 센서
180: 도어벨

Claims (11)

  1. 촬상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문열림을 감지하는 문열림 감지 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상기 문열림 감지 센서가 감지한 문열림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부; 및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문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촬상부가 동작모드인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처리부는,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제1 제어모드,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 상기 객체의 영역을 설정하는 제3 제어모드,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4 제어모드로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제어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촬영 주기로 정지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에 상기 주기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 및 상기 제3 제어모드에서는 상기 촬상부에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4 제어모드에서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문열림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제1 영상을 상기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2 영상 전송 이후, 상기 버퍼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 또는 상기 문열림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도를 제1 감도에서 제2 감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도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제2 감도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도어벨로부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도어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캠;
    상기 도어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도어캠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9. 문열림 감지 센서가 문열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문열림이 감지되면,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통신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부는,
    동작 모드를 시작하는 제1 제어모드, 객체를 인식하는 제2 제어모드, 상기 객체의 영역을 설정하는 제3 제어모드, 상기 설정된 객체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4 제어모드로 제어되되,
    상기 제1 제어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촬영 주기로 정지영상인 제1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에 상기 주기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제어모드 및 상기 제3 제어모드에서는 상기 촬상부에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제4 제어모드에서는 동영상인 제2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에 전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도어캠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제2 움직임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도어벨로부터 도어벨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촬상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캠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제1 영상을 전송하며,
    상기 제1 영상은 제1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제2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캠 제어방법.
KR1020200142683A 2020-10-30 2020-10-30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KR10245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83A KR102455506B1 (ko) 2020-10-30 2020-10-30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83A KR102455506B1 (ko) 2020-10-30 2020-10-30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27A KR20220057727A (ko) 2022-05-09
KR102455506B1 true KR102455506B1 (ko) 2022-10-19

Family

ID=8158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83A KR102455506B1 (ko) 2020-10-30 2020-10-30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5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872B1 (ko) * 2015-12-22 2017-06-12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저전력 영상감시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1958B1 (en) * 2013-05-08 2016-09-14 Axis AB Monitoring method and camera
KR20150042566A (ko) * 2013-10-11 2015-04-21 성우앤아이티(주) 클라우딩 블랙박스 및 클라우딩 블랙박스의 영상처리방법
KR102194903B1 (ko) * 2019-03-04 2020-12-24 박용덕 착탈식 가정용 현관 도어 블랙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872B1 (ko) * 2015-12-22 2017-06-12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저전력 영상감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27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771B1 (ko) 이벤트-기반 비전 센서를 위한 데이터 레이트 제어
US831988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101154A1 (en) Mobile assist device and mobile assist method
US10769442B1 (en) Scene change detection in image data
KR2016001491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56802A1 (en) Low Power Door-Lock Apparatus Based On Battery Using Face Recognition
KR100964886B1 (ko)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KR20140124287A (ko)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025621A1 (en) Fast responding camera surveillance system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low false alarm rate
CN108901108A (zh) 照明设备、照明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KR20070116714A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텔레비전의 개인별 설정,보호자 통제, 절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455506B1 (ko) 문열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도어캠
KR102455503B1 (ko) 버퍼를 포함하는 도어캠
KR102423930B1 (ko) 듀얼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캠
US8013926B2 (en) Digital photo fr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0396567Y1 (ko) 광역감시와 지역감시 자동전환 촬영 기능을 갖는감시카메라
JP2004220224A (ja) 物体検知装置および方法
KR102339548B1 (ko) 저전력 도어캠
KR102375035B1 (ko) Pir 센서를 이용하는 도어캠
KR20160077402A (ko) 도어상태 알림장치
CN107771390A (zh)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TWI716921B (zh) 偵測裝置、偵測系統及偵測方法
WO2020186506A1 (zh) 拍摄装置的控制方法和拍摄装置
KR100571876B1 (ko) 컴퓨터용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JP5854861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