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434B1 - 다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백신 - Google Patents

다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434B1
KR100688434B1 KR1020017001236A KR20017001236A KR100688434B1 KR 100688434 B1 KR100688434 B1 KR 100688434B1 KR 1020017001236 A KR1020017001236 A KR 1020017001236A KR 20017001236 A KR20017001236 A KR 20017001236A KR 100688434 B1 KR100688434 B1 KR 10068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virus
composition
recombinant
serotype
bov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096A (ko
Inventor
카피키안알버트에이치.
챠노크로버트엠.
호시노야스타카
Original Assignee
더 가번먼트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아메리카,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디파트먼트 오브 헬스 앤드 휴먼 서비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가번먼트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아메리카,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디파트먼트 오브 헬스 앤드 휴먼 서비시즈 filed Critical 더 가번먼트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아메리카,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디파트먼트 오브 헬스 앤드 휴먼 서비시즈
Publication of KR2001007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5Reoviridae, e.g. calf diarrhe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2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RNA viruses
    • C12N2720/00011Details
    • C12N2720/12011Reoviridae
    • C12N2720/12311Rotavirus, e.g. rotavirus A
    • C12N2720/123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각한 반응유전성 없이 인간의 로타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항하여 보호를 생산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인간 로타바이러스의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네개의 각 VP혈청형을 포함하는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가 다가의 배합물로 혼합되고 이것은 일시적인 발열 증세 없이 높은 감염성 및 면역성을 제공한다. 일시적인 발열 증세 없이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을 또한 제시한다.

Description

다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백신{MULTIVALENT HUMAN-BOVINE ROTAVIRUS VACCINE}
로타바이러스는 유아 및 어린 아이에서 탈수의 급성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다. 로타바이러스 질병은 유아 및 어린 아이에서 위장염 사인의 25 내지 30%를 차지하고 미국에서 5세 이하의 입원 중인 어린 아이 중 약 50,000-100,000명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한 유효 백신이 유아와 어린 아이에서 심각한 로타바이러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요구되어 왔다.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개발을 위한 첫번째 방법은 "제네리안(Jennerian)" 접근에 기초한 것이며, 이것은 인간과 동물 로타바이러스의 항원성 관계와 인간에서 동물 로타바이러스 균주의 감소된 독성을 이용한 것이다. Kapikian 등, in Vaccines, Chanock 등, ed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ew York, pp.151-159(1987). 이 접근을 이용하여 후보가 되는 수개의 살아있는 경구용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였고, 여기서 비인간 숙주로부터 유도한 항원적으로-연관된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대응이 되는 인간의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화를 위해 백신으로서 사용한다. 인간을 백신 접종하기 위해 이용되어온 동물 로타바이러스의 예로는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NCDV(RIT4237, Vesikari 등, Lancet, 2:870-811(1983)),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WC3(Clark 등, Am.J.Dis.Child., 140:350-356(1986)) 및 리서스(rhesus) 원숭이 로타바이러스(RRV) 균주 MMU 18006(미국 특허 제 4,571,385호, Kapikian 등, Vaccine 85, eds., Lerner 등,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ew York, pp.357-367(1985))를 들 수 있다.
다른 일가의 소 및 일가의 시미안(simian) 로타바이러스 백신에서 다양한 보호 효능이 입증되었다(Vesikari in Viral Infection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Kapikian, Ed., Marel Dekker, Inc.,pp 419-442(1994); Kapikian ibid. pp. 443-470(1994). 또한 인간에서 만족스러운 면역 반응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소의 로타바이러스가 요구되어 왔다(107-108 플라크 형성 유닛(pfu))(Vesikari 등, Ped.Inf.Dis. 4:622-625(1985); Bernstein 등, J.Infect.Dis. 162:1055-1062(1990)). 이러한 조성물의 다양한 효능은, 2 내지 5개월령 유아로 이루어진 목적 모집단이 특징적으로 백신 접종 이후에 동일한 면역 반응을 발현시킨다는 사실에 부분적으로 귀착되어진다(Kapikian 등, Adv.Exp.Med.Biol., 327:59-69(1992); Bernstein 등, J.Infect.Dis., 162:1055-1062(1990); Green 등, J.Infect.Dis., 161:667-679(1990); 및 Vesikari, Vaccine, 11:255-261(1993)).
임상적으로 적절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는 그룹 A 로타바이러스의 일원이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중간체 셀(shell)위에 위치하는 단백질, VP6에 의해 매개되는 공통 작용기 항원을 공유한다. 또한 혈청형 특이성은 바이러스의 외피(또 한 종종 바이러스 캡시드로 언급한다)에 위치하는 VP4(프로테아제 감응성 또는 P 타입)와 VP7(당단백질 또는 G 타입)의 존재에 의존하고, 두가지 모두 독립적으로 중화 항체를 유발한다. Kapikian 등, In Virology, Fields, ed. pps. 1353-1404(1995).
인간을 감염시키는 그룹 A 로타바이러스는 중화 분석에 의해 별개의 VP7 혈청형 10개로 분류된다. 아미노산 서열 분석은 두개의 주요한 가변영역 내에서 각 혈청형의 아미노산 동일성이 높다(85-100%)는 것을 지적한다; 그러나 다른 혈청형의 균주간에 아미노산 동일성은 현저하게 낮다(Green 등, Virol. 168:429-433(1989); Green 등, Virol. 161:153-159(1987); 및 Green 등, J.Virol. 62:1819-1823(1988)). 로타바이러스 간에 관계의 일치성이 바이러스 중화 분석 또는 VP7의 서열 분석에 의해 입증되었다. 따라서, 참고 균주가 그 혈청형내에서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대표하여 임상 실험에 관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유행성의 임상적으로 중요한 4개의 G 혈청형(VP7)(1,2,3 및 4로 번호를 매긴다)에 대항하는 보호를 달성하기 위하여, 재조합(reassortant) 로타바이러스의 생산으로 제네리안 접근을 보완하였다.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균주는 동물원의 로타바이러스(즉, 리서스 또는 소의 로타바이러스)와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함께 조직 배양 세포에 공동 감염시킴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공동 감염으로 제공되는 재조합 바이러스는 인간 균주로부터 VP7을 코딩하는 단일한 인간 로타바이러스 유전자와 동물 균주로부터 10개의 잔여 로타바이러스 유전자를 포함하고 동물 균주의 VP7로 유도된 단일클론의 항체 세트에 공동 감염의 후대를 노출시킴으로써 선택되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4,571,385호; Midthun 등, J.Clin.Microbiol. 24:822-826(1986); 및 Midthun 등, J.Virol. 53:949-954(1985)).
인간 균주의 VP7 유전자를 포함하는 인간 x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reassortant)와 인간 x 소 재조합체의 연구를 통해, 동물의 로타바이러스를 모체로 하는 VP4 중화 단백질이 이러한 인간 x 동물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에 의해 백신화된 유아의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것은 아마도 자궁내에서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수송되는 항체 중에 동물의 로타바이러스 VP4 항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체로부터 유래된 VP7 항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둔화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7에 대한 면역반응이 보호를 제공하기에 충분하고 따라서 VP7 항체가 보완된 제네리안 접근의 근거를 형성한다(Flores 등, J.Clin.Microbiol. 27:512-518(1989); Perez-Schael 등, J.Clin.Microbiol. 28:553-558(1990); Flores 등, J.Clin.Microbiol. 31:2439-2445(1993); Christy 등, J.Infect.Dis. 168:1598-1599(1993); Clark 등, Vaccine 8:327-332(1990); Treanor 등, Pediatr.Infect.Dis.J. 14:301-307(1995); Madore 등, J.Infect.Dis. 166:235-243(1992); 및 Clark 등, J.Infect.Dis. 161:1099-1104(1990)).
단일의 인간 로타바이러스 유전자, 즉 VP7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단일의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이용하는 연구에서, 그러한 재조합체의 보호성 면역 반응이 6개월령 미만의 유아에서 특징적으로 동형(homotypic)임이 관찰되었다(Green 등, J.Inf.Dis. 161:667-679(1990)). 이 관찰은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대항하는 면역에서 VP7-관련 면역의 중요성을 추가로 입증한다.
일가 및 사가의 인간 x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을 이용하는 경우, 백신화 3-4일 이후 어린 유아의 약 1/3에서 일시적인 저-수준의 열 에피소드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Bernstein 등, JAMA 273:1191-1196(1995); Flores 등, Lancet 336:330-334(1995); Perez-Schael 등, J.Clin.Microbiol. 28:553-558(1990); Flores 등, J.Clin.Microbiol. 31:2439-2445(1993); Halsey 등, J.Infect.Dis. 158:1261-1267(1988); Taniguichi 등, J.Clin.Microbiol. 29:483-487(1991); Simasathien 등, Pediatr.Infect.Dis.J. 13:590-596(1994); Madore 등, J.Infect.Dis. 166:235-243(1992); 및 Joensuu 등, Lancet 350:1205-1209(1997).
인간에서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NCDV와 WC3(VP7 혈청형 6)을 이용하는 연구 결과, 소의 이러한 특정 로타바이러스 균주가 발열 또는 다른 반작용을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있어서 중요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중에 혈청형 6 VP7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리서스 로타바이러스를 면역유전자로서 인간에게 투여할 때 소의 로타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아 및 어린 아이에서 5배 이상의 효능 실험으로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NCDV(RIT4237 백신)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실험에서, 소의 RIT4237 백신을, 108.0TCID50을 초과하는 통상의 투여량으로, 투여량 107.8 내지 108.3 범위의 조직 배양 감염성 투여량50(TCID50)으로 투여하였다. 또한, 투약-반응 연구에서, Vesikari 등(Ped.Infect.Dis. 4:622-625(1995))은, 백신을 106.3TCID50의 투여량 으로 투여했을 때 4 내지 6개월령 유아의 15%(2/13); 107.2TCID50의 투여량으로 투여했을 때 71%(10/14) 그리고 108.3TCID50의 분량으로 투여했을 때 100%가 동형 항체 반응을 전개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최적의 면역 유전성을 제공하는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의 투여량이 108.0 TCID50의 범위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인간에서 리서스 로타바이러스와 소의 로타바이러스의 감염성 및 면역원성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리서스 로타바이러스(RRV 백신)의 105 플라크 형성 유닛(pfu) 또는 RIT4237 108.3 pfu를 6 내지 8개월령 유아에게 투여하였다(Vesikari 등, J.Infect.Dis. 153:832-839(1986)). RRV 백신이 81%의 백신 접종자에서 동형의 중화 항체 반응을 유발하였고, 반면 소의 RIT4237 백신이 이천배 이상의 투여량으로 단지 45%의 백신 접종자에서 동형의 중화 항체 반응을 유발하였다.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이다.
또한 WC3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이용하여 효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WC3 균주를 투여 범위 107.0 내지 107.3 pfu로 유아 및 어린 아이에게 투여하였다(Clark 등, Am.J.Dis.Child. 140:350-356(1986)). 비록 현저한 면역원성을 위한 투여량의 수치가 제공되지 않을지라도, Clark 등은 WC3균주가 소의 RIT4237보다 적어도 5배 미만의 투여량으로 면역성을 갖고, 이 면역성이 여전히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백신에 비해 상당하게 많은 투여량을 요구할지라도, WC3 균주가 RIT4237 과 유사한 안전성을 갖는 것을 주목하였다.
다양한 인간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이용하여 재조합체를 생성하기 위해 WC3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모체 균주 중 하나로 이용하였다(Clark 등, J.Infect.Dis. (suppl.) 174:73-80(1996)). 한 효능 실험에서, 107.3 pfu의 WC3 일가 재조합체와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1을 유아와 어린 아이에게 3회 분량의 스케쥴로 투여하였다(Treanor 등, Ped.Inf.Dis.J. 14:301-307(1995)). 이 실험에 대한 면역성 수치는 보고되지 않았다. 또 다른 효능 실험에서, 혈청형 1, 2 또는 3의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7과 함께 소의 로타바이러스 WC3의 세가지 인간의 VP7 재조합체를 포함하고, 네번째 성분으로서, 소의 로타비이러스 WC3으로부터 유도된 잔여 유전자와 함께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4 단백질을 갖는 인간 x 소의 재조합체를 포함하는 4가의 배합물을 이용하였다. VP4 재조합체를 5 x 106.0pfu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반면, 세개의 VP7 재조합체 각각을 107.0pfu 투여량으로 이용하였다(Clark 등, Arch.Virol. (suppl.) 12:187-198(1996); Clark 등, J.Infect.Dis.(suppl.) 174:73-80(1996); Vesikari 등, Arch.Virol. (suppl.) 12:177-186(1996)). 이 실험의 면역성 수치가 또한 보고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연구들로부터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또는 인간 x 리서스 재조합체 백신으로 얻어지는 유사한 보호성 반응을 특징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107 내지 108.3pfu의 투여량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Clark 등, Arch.Vriol. (suppl.) 12:187-198(1996); Vesikari 등, Arch.Vriol. (suppl.) 12:177-186(1996)). 이 투여량은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및 인간 x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 조성물보다 10 내지 100배 높은 것이다.
다가의 로타바이러스 백신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특히, 인간 혈청형 1, 2 및 4를 대표하는 세개의 인간 x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균주(RRV)에 결합시켜(후자는 인간의 혈청형 3과 중화 특성을 공유함) 4가의 백신 조성물을 형성하였다(Perez-Schael 등, J.Clin.Microbiol. 28:553-558(1990), Flores 등, J.Clin.Microbiol. 31:2439-2445(1993)). 일가의 리서스 로타바이러스를 이용할 때, 백신화된 유아의 약 15 내지 33%에서 인간 x 리서스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백신 조성물이 저 수준의 일시적인 열병 증세를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Perez-Schael 등, supra). 이 일시적인 열병 에피소드 또는 상태는, 일반적으로 부모 및 임상 실험의 건강 관리 제공자가 용인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나, 특정 상황, 예컨대 수동적으로 획득한 저 수준의 모계 항체 내지 로타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조산아일 경우, 장애가 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식품 의약청에 의해 곧 승인되는 동물의 로타바이러스-기재 로타바이러스 백신 조성물이 인간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는 중요한 보호 수준을 제공할지라도, 높은 감염성과 특히, 특정한 임상 조건에서 열병 반응을 거의 또는 전혀 일으키지 않는 다가의 백신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 및 다른 관련된 요구들을 만족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의 면역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인간 x 소의 재조합체는, 인간 숙주에서 저 수준의 일시적인 열을 야기하지 않으며 당해 분야의 이전의 실행적인 한계들을 극복하는 충분한 감염성 투여량으로 현재 및 미래에서 임상적인 중요성을 갖는 인간 로타바이러스 각 혈청형에 대하여 면역 반응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양의 다가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면역성 조성물의 추가적인 성분으로는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숙주의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임의의 보조제를 들 수 있다. 특정 구체에에서, 인간 모체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예컨대 혈청형 1, 혈청형 2, 혈청형 3, 혈청형 4, 혈청형 5, 혈청형 9, 또는 혈청형 10의 소 모체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VP7 항원을 유도하였다. 다른 로타바이러스 단백질을 코딩하는 잔여 유전자를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유도하였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소의 로타바이러스 UK-콤프톤(Compton) 균주를 이용한다. VP7 혈청형 1, 2, 3 및 4를 위한 유효 범위를 제공하는 특히 바람직한 면역성 조성물로는 각각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D x UK, DS-1 x UK, P x UK 및 ST3 x UK를 갖는 사가의 조성물이 있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5, 및/또는 9에 상응하는 부가적인 인간 x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또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10에 교차반응성인 소 x 소 재조합체, 또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4 혈청형 1A를 포함하는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가 보다 넓은 범위의 응용을 위한 면역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이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D x UK, DS-1 x UK, P x UK, ST-3 x UK 및 Wa(VP4) x UK 균주를 포함하는 5가 조성물; 상기 기술한 5가 조성물 플러스 VP7, 혈청형 9 x UK 균주를 포함하는 6가 조성물, 그리고 상기 기술한 6가 조성물 플러스 VP7 혈청형 5 x UK 균주를 포함하는 7가 조성물 또는 상기 7가 조성물 플러스 VP7 혈청형 10 x UK 균주이다. 인간에게 심각한 질병을 유발시키는 부가적인 로타바이러스 균주가 또한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로 제조되고 본 발명의 면역성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면역성 조성물이 각 로타바이러스 VP7 또는 VP4 혈청형 재조합체의 약 106.0 플라크 형성 유닛 미만의 분량으로 제제화될 것이다. 이 양이 약 105 내지 약 106 플라크 형성 유닛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저 수준의 일시적인 열을 거의 또는 전혀 수반하지 않으며 인간 로타바이러스 항원에 면역 반응이 일어나도록 면역계를 자극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인간 로타바이러스의 네개 이상의 VP7 혈청형을 포함하는 다가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조성물을 면역을 위해 충분한 양으로 개인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에 포함된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가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1 x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UK,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2 x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UK,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3 x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UK 및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4 x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UK일 수 있다. 다가의 조성물이 또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즉, 혈청형 5, 및/또는 혈청형 9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또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10 특이적인 소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또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VP4 1A x 소의 로타바이러스 UK 재조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인간의 질병에서 부가적인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이 중요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그들을 충분히 본 발명의 면역성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고 현재 그리고 앞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될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성 반응을 제공하기 위하여 면역계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의 설명
본 발명은 인간에게 사용하는 면역성 로타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시적인 저 수준의 열병 반응을 수반하지 않고 로타바이러스-특이적인 항체 반응을 유발하는 배합물에서 인간 로타바이러스 그룹 A 중 가장 임상적으로 적절한 각 하나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가의 재조합 인간 x 동물 로타바이러스를 결합시킴으로써 여기서 기술한 조성물을 생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성 조성물은 특히 재조합 인간 x 소의 로타바이러스 결합물과 다가의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다가의 면역성 조성물이 4가의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가장 일반적이며 임상적으로 적절한 인간 혈청형의 네가지 재조합 인간 x 소의 로타바이러스의 결합물을 포함한다. 로타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적인 보호가 요구되는 개인, 예컨대 유아, 어린이 또는 성인에게 본 면역성 조성물을 면역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조성물은 이후에 개인이 야생-형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에 감염되었을 때, 심각한 로타바이러스 질병의 증상, 예컨대 극심한 설사와 탈수에 대항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호적인 면역 반응을 생산한다. 면역성 조성물의 재분류된(reassorted) 바이러스가 숙주의 소화계를 감염시키기 때문에 백신화 결과 약간의 가벼운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면역성 조성물은 백신 접종자에게 임상적으로 관련된 열 또는 반응을 야기시키지 않을 것이다. 백신화에 이어서, 숙주에서 발생한 혈청 항체가 면역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을 중화시킬 수 있는 탐지 가능한 수준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다가 면역성 조성물은 다른 셋팅에서 통용되는 임상적으로 관련된 그룹 A 인간 로타바이러스, 전부가 아니라면, 대부분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킬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은 임상적으로 관련되는 현재 인식가능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출현할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가 면역성 조성물의 성분인 재분류된 로타바이러스는 분리되고 통상적으로 정제된 형태이다. 분리된다는 것은 그 제조에서 다른 세포 및 바이러스 생성물, 예컨대 야생형 바이러스 및 세포 배양액 또는 다른 시스템의 이종성 성분들로부터 분리된 재분류 로타바이러스를 언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직 배양-적응된 동물 로타바이러스, 즉 소, 리서스 등을 이용한 배양액에서 포유류 세포의 공동 감염에 의해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생산하였다. 통상적으로, 아프리카의 그린 원숭이 신장(AGMK) 세포를 공동-감염을 위한 숙주 세포로서 이용한다. 둥물과 인간 로타바이러스 균주의 공동-감염에 이어,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유전자로 대체된 동물의 로타바이러스 유전자의 단백질 생산을 위해 공동-감염된 배양액의 성장 산출을 특이적인 중화 항체에 노출시킴으로써 통상적으로 소망하는 재조합체를 선별한다(미국 특허 제 4,571,385호, 여기서 참조로써 관계함). 특히, 소의 로타바이러스 VP7 및/또는 VP4 단백질에 특이적인 다중클론의 혈청 또는 단일클론의 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 플라크의 정제와 2차 배양을 수차례 회전시킨 후, 선택된 재조합체의 혈청형과 유전자형에 대하여 특성을 부여한다. 혈청형은 통상적으로 플라크 감소 중화(PRN) 분석 또는 효소 면역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자형은 통상적으로 겔 전기영동 및 바이러스 게놈의 RNA-RNA 혼성화에 의해 결정된다. 단지 인간의 VP7 또는 VP4를 갖는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통상적으로 본 다가의 면역성 조성물을 위해 선택한다. 다가의 인간 로타바이러스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체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흥미있는 재조합 로타바이러스가 특히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7 및/또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VP4 유전자 생성물을 코딩하는 것들이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및 VP7을 코딩하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유전자와 소의 로타바이러스 유래의 10개의 잔여 로타바이러스 유전자를 포함하는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이다.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UK (Woode 등, Res.Vet.Sci. 16:102-105 (1974); Brindger와 Woode, Br.Vet.J., 131:528-535(1975))가 그 유래와 본 발명에서 입증된대로 인간에서 높은 수준의 감염성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증된대로 UK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높은 감염성 수준이란 저투여량을 요구하고, 결과적으로 투여량 당 제조 비용이 현재 알려진 다른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성물을 각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에 대해 106.0 플라크 형성 유닛 미만의 투여량으로 투여할 때 백신 접종자에게 혈청 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고, 저 수준의 일시적인 열병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한, 재조합 로타바이러스의 제조를 위해 다른 동물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체예에서 재조합 로타바이러스가 인간의 VP7 혈청형 10과 면역적으로 교차-반응성인 동물의 VP7 항원을 포함한다. 이 재조합 로타바이러스가 소 x 소의 재조합체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체예에서, 이전에 얻어진 재조합체를 이용하여 특정 혈청형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소의 UK 재조합체를 제공하기 위해 소의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1D 균주 x 소의 UK 재조합체 HD/BRV-1(ATCC VR-2069)를 이용하여 인간의 VP7 혈청형 2, 3, 4, 9, 및/또는 소의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10을 포함하는 인간 로타바이러스 x 소의 UK 재조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소망하는 인간(및/또는 소)의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의 신규한 재조합체를 선택하기 위해 모체인 인간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VP7 혈청형에 대해 특이적인 다중클론의 또는 단일 클론의 중화 항체를 제외하고 상기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신규하게 발견된 로타바이러스의 재조합체가, 임상적으로 적절한 인간의 다른 VP4 또는 VP7 혈청형으로서, 분리 및 동정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일부로서 고려된다.
재분류된 로타바이러스의 증식은 로타바이러스의 성장을 지탱하는 수많은 세포 배양액에서 가능하다. 백신 용도를 위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증식에 바람직한 세포 배양액은 일차 또는 이차 시미안(simian) 아프리칸 그린 원숭이 신장(AGMK), 제한된 2중 시미안 FRhL-2 세포 및 제한된 시미안 이종배수성 베로(Vero)세포를 포함한다. 세포들을 통상적으로 세포 당 약 0.1 내지 1.0 범위, 또는 그 이상의 감염 다수성으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이용하여 접종하고, 약 3-5일 동안, 또는 바이러스가 충분한 적정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한 만큼 바이러스 복제를 위한 적절한 조건하에 배양한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감염된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하고,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분류 방법, 예컨대 원심 분리에 의해 세포 성분들로부터 분리하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바에 따라 정제할 수 있다.
면역성 조성물의 이용을 위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혈청형 1, 혈청형 2, 혈청형 3 및 혈청형 4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4가의 백신으로서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각 네가지 혈청형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혼합하여 동시에 투여하기 위한 혼합 조성물을 형성한다. 각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의 최종 비율은 개별적인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면역성에 의해 결정된다. 비록 바람직하지 않을지라도, 유효한 백신 배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각 인간 x 소의 재조합체, 또는 그 혼합물을 또한 연속적인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혈청형 1, 혈청형 2, 혈청형 3 및 혈청형 4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혈청형 5 및/또는 9 VP7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10 VP7의 소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및/또는 혈청형 1A VP4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와 혼합하여 다가의 면역성 조성물을 생산한다. 다만 기술된 부가적인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들을 육가, 칠가 또는 팔가의 면역성 조성물로서 이용하기 위해 어떠한 조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다가의 면역성 조성물은 여기서 기술한 적어도 네 개의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인간 로타바이러스의 VP7 혈청형 각각을 활성 성분으로서 면역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한다. 특히, 항원적으로 뚜렷한 각각의 인간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106.0 플라크 형성 유닛 미만의 투여량으로 투여한다.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보조제를 이용하여 숙주, 특히 인간에게 면역성 조성물을 도입한다. 유용한 담체로는, 예컨대 시트레이트-비카르보네이트 완충액, 완충물이 된 물, 표준 살린 등이 있다. 사용을 위해 생성된 수성액을 소망에 따라 패키지하거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동결 건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결 건조시킨다. 동결 건조된 바이러스는 통상적으로 약 4℃에서 보존된다. 사용을 위한 준비 단계에서, 동결 건조된 제조물을 상기 언급한대로 투여에 앞서 무균의 용액과 혼합시킨다.
본 조성물은 요구되는 생리적 조건에 부합하기 위해, 예컨대 pH 조절제와 완충제 등, 예를 들어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락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포타슘 클로라이드, 칼슘 클로라이드,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이트, 시트레이트 비카르보네이트 등과 같은 약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조성물을 경구 투여시, 위산을 부분적으로 중화하고 장을 지나는 동안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보호하기 위해 개별적인 완충액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용도를 위해 적절한 완충액은 소듐 비카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비카르보네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조성물을 이용한, 특히 경구적인 경로를 통하는 면역화에서, 숙주의 면역계가 국부적인 분비물 및 로타바이러스 단백질에 특이적인 혈청 항체 모두를 생산함으로써 조성물에 반응한다. 조성물의 투여 결과, 숙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면역용 혈청형(들)에 상응하는 야생-형 균주에 의해 야기되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면역된다. 야생-형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한다면, 숙주는 특히 위장관의 온화한 또는 극심한 로타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 저항을 갖는다.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가의 면역성 조성물을 개인 본인의 면역 반응력으로 용인할 수 있는 선 또는 로타바이러스 질병의 유발 위험선까지 사람, 특히 유아에게 투여한다. 그러한 양을 "면역적으로 유효한 복용량"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면역성 또는 "면역적으로 유효한 복용량"은 백신 조성물에 대하여 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세포의 및/또는 항체의 백신 접종자에서 전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반응은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에 포함된 항원 또는 항원들에게 특이적으로 지배되는 혈청 항체를 생산하는 백신 접종자, B 세포, 헬퍼 T 세포, 서프레서 T 세포 및/또는 세포독성 T 세포로 구성된다. 상기 항체 적정이 접종 전보다 네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 로타바이러스 그룹-특이성 또는 로타바이러스 혈청형-특이성 분석에 의해 측정한 면역화가 현저한 반응을 일으킨다고 고려된다.
이러한 사용에서, 특정 면역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각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의 정확한 양은 환자의 연령, 건강 상태 및 체중, 투여 방법, 배합물의 특성 등에 의존하나, 일반적으로 환자 당 각 혈청형의 약 104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 바람직하게는 약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pfu) 미만의 범위이다.
어떠한 상황에서, 면역성 조성물을 위한 배합물이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대항하여 개인의 면역 반응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양의 본 발명의 각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제공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도, 이 면역 반응은 "반응유전적(reactogenic)"이지 않으며 심각한 또는 생사가 달린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항할 것이다. 여기서, "반응적" 또는 반응유전적이란 것은 면역성 조성물의 투여에 이어 한주 동안 발생하는 약간의 일시적인 열병을 지적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열병은, 성인에서 입안의 온도가 38℃와 동일하게 또는 그 이상까지 올라가는 것을 의미하고 소아 접종자에서 직장의 온도가 38.1℃와 동일하게 또는 그 이상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경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가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조성물을 다른 혈청형의 인간 로타바이러스 또는 다른 감염성 시약, 특히 다른 위장성 바이러스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가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조성물은 추가로, 예를 들어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5(Timenetsky 등, J.General Virol. 78:1373-1378(1997)), 및/또는 혈청형 9(Nakagomi 등, Microbiol. Immunol. 34:77-82(1990)), 및/또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10 및/또는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VP4 혈청형 1A와 교차 반응성인 소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는 또 다른 가능한 위장성 바이러스 백신, 예컨대 인간의 캘리시바이러스(calicivirus)(예컨대, Norwalk 바이러스) 또는 관련된 백신과 함께 동시에(그러나 통상적으로 분리하여)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성 조성물을 단일 또는 다중 투여할 수 있다. 신생아 및 유아에서, 특히 로타바이러스에 특이적인 항체가 모체로부터 높은 수준으로 유도된 경우, 면역의 충분한 수준을 유도하기 위해 다중 투여가 요구될 수 있다. 투여는 생후 처음 2-4개월 내에 시작하고 최초의 면역화 이후 예컨대 1 내지 2개월 또는 그 이상의 간격으로 지속되어야 하며, 또는 인간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는 충분한 수준의 면역을 유발 및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만큼 지속된다. 유사하게, 반복적으로 또는 심각한 로타바이러스 질병을 얻을 수 있는 특정 성인, 예컨대 헬스 케어 종사자, 데이케어 종사자, 어린 아이의 가족, 노인 등은 유효한 면역 반응을 확립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 다중 면역을 요구한다. 유발된 면역 수준은 혈청 및 분비물에서 로타바이러스 그룹-특이적인 항체 또는 혈청형-특이적인 중화 항체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투여량을 조절하고 소망하는 면역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본 발명의 다가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조성물의 한가지 이상의 혈청형을 이용하여 백신화를 반복한다.
다음 구체예는 예를 들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이 구체예는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D(VP7:1), DS-1(VP7:2), P(VP7:3) 및 ST3(VP7:4), 및 소의 UK 콤프톤(UK) 로타바이러스로부터 유도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생산 그리고 성인, 어린이 및 유아에서 개별적으로 각 재조합체의 안전성, 면역성 및 반응유전성의 측정에 대해 기술한다.
VP7 혈청형 1, 2, 3 및 4를 대표하는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소의 UK 콤프톤(UK) 균주와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D(VP7 혈청형 1, ATCC VR-970), DS-1(VP7 혈청형 2; Wyatt 등, Perpect.Virol. 10:121-145(1978)) 및 P(VP7 혈청형 3; Wyatt 등, Sience 207:189-171(1983)), 및 ST3(VP7 혈청형 4; Banatvala 등, J.Am.Vet.Med.Assoc. 173:527-530(1978))로부터 유도하였다.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D, DS-1 및 P를 설사로 입원중인 어린이의 대변으로부터 회수하였다; 균주 D와 DS-1을 증식시키고 무균의 칼브(calves)에 통과(Wyatt 등, 1978, supra; 및 Midthun 등, 1985, J.Virol. 53:949-954)시킨 후, 균주 P가 단지 AGMK 조직 배양으로 증식하는 동안, 단지 조직 배양으로 증식시켰다.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ST3을 무증상의 신생아 대변으로부터 분리하고 AGMK 세포로 통과시켰다. 소의 UK 콤프톤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설사중인 초유-박탈된 송아지의 대변으로부터 일차 송아지 신장 세포에서 분리하였다(Woode 등, Res.Vet.Sci. 16:102-105(1974)). Flewett 등에 의해, Regional Virus Laboratory, East Birmingham Hospital, Birmingham, England에서, 일차 송아지 신장 세포에 존재하는 이 바이러스의 추가의 통과를 수행하였고 내쇼날 인스티튜츠 오브 헬스, 베데스다, MD로 옮겼다. NIH에서 이 바이러스를 일차 소의 배아 신장 세포, 일차 AGMK 세포 및 이중의 시미안 DBS-FRhL 세포에 차례로 통과시켰다. 종자 풀(pool)은 AGMK 세포에서 정제된 플라크로서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일차 송아지 신장 세포 배양으로 진행된다.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D, DS-1, P 또는 ST3 균주로부터 유도한 유전자와 소의 UK 균주로부터 유도한 10개의 잔여 유전자(lot BR-3, 클론 22)를 코딩하는 단일의 VP7과 함께 개별적인 인간 x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에 대해 기술한다(Midthun 등, J.Clin.Microbiol. 24:822-826(1986) 및 Midthun 등, J.Virol. 53:949-954(1985), 미국 특허 제 4,571,385호가 여기서 모두 참조로써 관계한다). 임상적인 실험에 이용하는 D x UK, DS-1 x UK, P x UK 및 ST3 x UK 백신 현탁액, 즉 lot HD BRV-1, 클론 47-1-1(ATCC VR-2069 및 ATCC VR-2617), 105.8 pfu/ml; lot HDS1 BRV-1, 클론 66-1-1(ATCC VR-2616), 105.3 pfu/ml; lot HP BRV-2, 클론 22-1-1(ATCC VR-2611), 105.3; 및 lot ST3 BRV-2, 클론 52-1-1(ATCC VR-2612), 105.8 pfu/ml 각각을 제조하였고 당업자에게 알려진대로 미국 식품의약청의 지침에 따라 외래의 작용제가 부재함을 확인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안전성을 실험하였다.
후보가 되는 각 로타바이러스 백신 균주의 안전성과 면역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적인 플라세보(placebo)-대조 수단을 이용하여 D x UK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이용한 모든 소아과적 연구와 성인에서의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의 안전성을 18 내지 45세의 성인, 6 내지 60개월령의 어린이 그리고 최종적으로 1.5 내지 5.9개월령의 유아에서 차례로 측정하였다. 다양한 연구가 Johns Hopkins University Center for Immunization Research, Baltimore, MD 또는 Vaccine Clinic, Vanderbilt University, Nashville, TN에서 수행되었다.
로타바이러스 백신 실험에서 성인 및 소아 대상의 선별 기준이 Halsey 등, J.Infect.Dis. 158:1261-1267(1988)에 기술되어 있다. 각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희석되지 않은 투여량을 최초로 성인에서 평가하였다. 이어서, 각 재조합체의 1:10 희석물과 이후에 P x UK의 희석되지 않은 투여량(105.3 pfu)을 6 내지 60개월령 어린이에게 평가하였다. 이들 어린이에서 각 재조합체의 안전성이 입증된 후, 1:10 투여량과 희석되지 않은 D x UK 및 DS-1 x UK의 투여량을 또한 <6개월령 유아에서 차례로 평가하였다. 어린 유아의 대부분을 감염시키기 위해 이들 재조합체의 희석되지 않은 투여량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6개월령 유아에게 P x UK 또는 ST3 x UK 재조합체를 희석시키지 않고 투여하였다.
최초로, 그 혈청에 저 수준의 VP7 혈청형 1 특이적인 중화 항체를 갖는 다섯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D x UK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105.8 pfu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성인에서 임상 연구를 위한 방법은 약간의 예외가 있으나 앞에 언급한 Halsey 등, supra와 같다. 간단하게, 모든 대상자는 각 로타바이러스의 주입 전과 이후에 적어도 1시간 동안 금식한다. 각 성인 지원자가 2g의 NaHCO3와 함께 120ml의 증류수를 마시고 이어서 1분 후에 30ml 완충 용액에 현탁된 1ml의 희석되지 않은 후보 백신 또는 31ml의 플라세보(백신 없는 완충용액)를 마셨다. 입안의 온도를 일당 2회 기록하고 상승된 온도는 20분 내에 다시 확인하였다. 로타바이러스 투여에 이어 7일 동안 대변을 회수하고 대변의 농도와 횟수를 기록하며 백신화 이후 7일 동안 모든 증상을 또한 매일 기록하였다.
소아 연구를 위한 대부분의 임상 방법은 약간의 예외가 있으나 Halsey(supra.)에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간단하게, 어린이의 연령에 적절한 일상적인 초기단계의 면역을 로타바이러스 또는 플라세보의 투여 전후 적어도 2주에서 계획대로 수행하였다. 한시간 금식 후, 각 소아 대상자에게 임의로 로타바이러스 또는 플라세보를 2:1 비율로 수용하게 하였다. 각 어린이가 0.4g의 NaHCO3와 혼합시킨 30ml의 유아용 배합물(Similac; Ross Laboratories, Columbus, OH)을 마시고 나서 1ml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또는 플라세보를 마셨다(완충된 배합물 또는 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105.8 pfu의 D x UK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수용한 <6개월령 유아의 면역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첫 번째 투여 이후 4 내지 12주에 이 바이러스를 두 번째 투여하였다.
D x UK 및 DS-1 x UK 재조합체의 연구에서, 직장의 온도를 일당 한번 또는 두 번 측정하고, 매일 모든 증상들을 기록하였다. 부모는 매일 대변 시료를 수집하도록 지시받고 아이가 매일 배출하는 대변의 횟수와 농도를 기록하였다. 소아 연구를 위한 P x UK 및 ST-3 x UK의 실험 방법은 약간 보완시킨 유사한 방법이다.
실험 대상자는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즉, 로타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질병)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며, 그것은 설사, 또는 순수한 구토증의 모든 에피소드 또는 로타바이러스의 경구 투여 후 7일 동안 열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설사는 48시간 이내에 세 번 이상의 무형 배변으로 정의된다. 열은 성인에서 10-20분동안 확인되는 경구 온도 ≥37.8℃ 또는 소아 대상자에서 직장 온도 ≥38.1℃로서 정의된다.
로타바이러스-특이적인 항체 및 혈청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T)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실험 참가자로부터 로타바이러스 투여전과 투여후 4-6주에서 혈액을 회수하였다; 백신이 간 기능에 역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후자를 이용하였다. 또한 로타바이러스 투여 후 1주에서 추가적인 혈액 견본을 성인에서 회수하고 ALT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하였다.
로타바이러스-특이적인 IgA 와 IgG 항체에 대하여 ELISA에 의해 백신화 전과 후의 혈청을 실험하고, 그룹-특이적인 항체로서 Midthun 등, J.Clin.Microbiol. 27:2799-2804(1989) 및 Hoshino 등, J.Clin.Microbiol. 21:425-430(1985)에 기술한대로 리서스 로타바이러스를 이용하였다; 각각이 여기서 참조로써 관계한다. Midthun 등, J.Clin.Microbiol. 27:2799-2804(1989)에서 기술한 플라크 감소 중화(PRN) 항체 분석에 의해 쌍을 이룬 혈청을 또한 실험하였다. PRN 분석에 이용된 로타바이러스는 Wa(혈청형 1), DS-1(혈청형 2), P(혈청형 3) 및 ST3 또는 VA70(혈청형 4)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 플러스 D x UK, DS-1 x UK, P x UK 및 ST3 x UK 재조합체 균주 및 UK(콤프톤) 소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포함한다. 백신화 이전의 혈청에 비교하여, ELISA IgA 또는 ELISA IgG 또는 PRN 항체 분석에 의해, 백신화 이후 혈청에서 4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측정되는 항체 적정을 현저한 반응으로 고려하였다.
동결된 대변 시료를 녹여서 송아지 고기 융합 배양액에서 10% 대변 현탁액으로 제조하였다. 대변 현탁액을 시미안 MA 104 세포 배양 튜브에 접종하고 롤러 드럼에서 37℃로 7일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상등액을 새로운 시미안 MA 104 세포 배양 튜브로 임의로 옮기고 37℃에서 7일동안 배양하였다. 10% 대변 현탁액과 각 배양액 세트로부터 얻은 상등액을 이후에 녹여서 ELISA에 의해 로타바이러스 실험을 수행할 때까지 -20℃에 저장하였다. 백신화에 이어서 회수한 선택된 로타바이러스 양성 대변 견본에 대해 로타바이러스 산출의 혈청형을 결정하기 위해 폴리머라제 체인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혈청형을 결정하였다(Gouvea 등, J.Clin.Microbiol. 28:276-282(1990) 및 Gouvea 등, J.Clin.Microbiol. 32:1333-1337 (1994), 각각이 여기서 참조로써 관계한다).
실험 대상자의 설사 대변에서 난자(ova)와 기생충을 검사하고, 살모넬라, 시겔라, 캄피로박터(campylobacter), 에어로모나스(aeromonas), 어시니아(yersinia),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및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로타바이러스와 다른 바이러스 입자에 대하여 설사 대변을 전자 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병발성 질병과 연관된 외래의 작용제를 검출하기 위하여, P x UK 및 ST3 x UK 재조합체 연구에서 7일의 관찰기간 동안 열병 및 호흡 증후를 갖는 실험 대상자로부터 코의 스웝(swabs)과 코의 세척 견본을 회수하고 이 견본들을 호흡 바이러스에 대하여 세포 배양으로 실험하였다.
백신 접종자와 플라세보 수용자의 질병률 및 각 연령 그룹과 각 실험에서 이들 그룹에 대한 혈청학의 반응률을 2-테일드(tailed) 피셔스(Fisher's) 정밀 테스트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VP7-혈청형-특이적인 인간 x UK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각각 단일 경구 투여시킨 후 혈청 항체 적정(들)이 4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한 성인, 어린이 및 유아의 백분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성인 백신 접종자, 희석되지 않은 P x UK 재조합체를 주입한 <6개월령 유아 또는 플라세보 수용자의 대변에서 얻은 세포 배양액 어느 것에서도 로타바이러스가 회수되지 않았다. 단지 i)1:10 희석의 D x UK, DS-1 x UK 또는 P x UK 재조합체를 수용한 6-60개월령 어린이 또는 ii)희석되지 않은 D x UK 또는 DS-1 x UK 균주의 적량을 투여한 6개월령 미만의 유아에서 소량의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대변 시료의 두 번째 세포 배양 통과후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대조적으로 유아와 어린 아이의 대변에서 ST3 x UK 바이러스가 보다 자주 그리고 오랜 기간(일반적으로 3일 이상의 기간에 걸쳐, 특히 백신화 이후 5-7일 동안 회수한 대변) 동안 회수되었다. 백신화 이후 30일째에서 한명의 23개월된 어린이의 대변으로부터 ST3 x UK 바이러스를 분리하고 PCR로 확인하였다. 아홉명의 ST3 x UK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수용자의 대변으로부터 회수한 바이러스 정량 결과, 10% 대변 현탁액 ml 당 최대 바이러스 산출량 4.7 x 102 플라크 형성 유닛(pfu)을 나타내었다.
열명의 백신 수용자로부터 얻은 10% 대변 현탁액(9 중 9) 또는 대변의 조직 배양액 통과(1 중 1)의 PCR에 의한 실험으로 열명의 모든 백신 접종자에서 ST3 x UK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산출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또한 이들 백신 접종자 중 세명에서 야생-형 로타바이러스 : VP7 혈청형 1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유아 한명) 또는 VP7 혈청형 3 균주(어린이 한명 및 유아 한명)가 산출되었다.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나타내지 않은 이들 세명의 소아 환자로부터 얻은 수치는 혈청학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혈청학 반응이 어린 유아보다 성인 및 보다 나이가 많은(아마도 야생-형 로타바이러스에 의해 이전에 감염되었다) 어린이에서 보다 적은 빈도로 탐지되었다(표 1). D x UK, DS-1 x UK 또는 ST3 x UK 재조합체를 투여한 성인에서 각각 23%, 18% 및 15%의 혈청학 반응이 탐지되었으나, P x UK 재조합체를 접종한 성인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1:10 희석액을 수용한 6-60개월령 어린이 중에서, D x UK 수용자의 33%, DS-1 x UK 수용자의 40% 및 ST3 x UK 수용자의 57%에서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혈청학 반응이 탐지되었다.
P x UK 재조합체의 104.3 pfu의 투여량은 6 내지 60개월령 어린이에서 어떠한 항체 반응도 유발하지 못했으나 이 조성물의 열배가 되는 높은 투여량을 이용하면, 이 재조합체를 경구로 수용한 연령 그룹에서 11 중 5(45%)명의 어린이가 항체 반응을 나타내며 약간의 면역성을 갖는다.
Figure 112001001845733-pct00001
주의: pfu - 플라크 형성 유닛; NT = 실험 안함
감염은, ELISA IgA 또는 IgG 분석 또는 플라크 감소 중화 분석으로 측정된 로타바이러스-특이적인 항체에 대한 혈청의 적정에서 네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한 바이러스 산출로서 입증되었다.
* 플라크 감소 중화 분석에 이용된 로타바이러스 백신 및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는 D x UK 및 Wa; DS-1 x UK 및 DS-1; P x UK 및 P; 그리고 ST3 x UK 및 ST3 균주이다.
† 한명의 유아와 두명의 어린이에서 얻은 혈청 견본이 실험되지 않았다.
** 한명의 어린이와 두명의 유아에서 산출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가 PCR 분석에 의해 대변에 존재하는 야생-형 로타바이러스임이 입증되었다. 이들 세명 백신 접종자의 혈청 결과를 항체 반응 분석으로부터 제외시켰다.
로타바이러스를 받아들인 <6개월령 유아에서, D(50-63%), DS-1(82%) 또는 P(63-80%)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유도된 1:10 희석의 또는 희석되지 않은 인간 x 소의 UK 재조합체를 복용하는 경우보다 ST3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유도된 희석되지 않은 인간 x 소의 UK 재조합체 수용자에서 보다 자주(93%) 혈청 반응(면역성의 측정)이 탐지되었다. 복용의 관점에서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전체로서, IgA ELISA에 의해 보다 자주 항체 반응이 탐지된 D x UK 백신 그룹을 제외한 모든 백신 그룹에서 ELISA IgA 또는 IgA 분석(그룹-특이적인 항원으로서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이용) 보다 플라크 감소 중화(PRN) 분석(항원으로서 이종성 재조합 바이러스 이용) 에 의해 항체 반응이 보다 자주 탐지되었다. 세개의 재조합체에서, 백신화된 유아의 면역후 혈청에 존재하는 중화 항체는 소의 로타바이러스의 VP4 중화 항원이 면역 우성임을 시사하며,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모체 균주보다 재조합 로타바이러스에 대항하여 보다 자주 유도되었다. 이것은 105.3pfu의 DS-1 x UK를 투여한 후 UK 소의 로타바이러스 모체 균주(수치를 표시안함) 또는 DS-1 x UK 재조합체에 대항하는 중화 항체가 각각 55% 및 82%로 현저하게 증가한, 11명 유아의 면역후 혈청에 대한 PRN 실험 결과에서 특히 명백하게 보여진다. 반면 그들 중 누구도 DS-1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모체 균주에 대한 중화 항체는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타입 1(D) 인간 x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단일 투여한 유아 백신 접종자의 50%에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1에 대한 VP7-특이적인 중화 항체 반응이 나타났기 때문에, VP7과 VP4 반응의 이러한 완전한 분리는 관례적인 것이 아니다. 게다가, 보다 낮은 빈도이긴 하나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타입 3(10%)과 타입 4(8%)에 대하여 단일형 VP7 중화 항체 반응이 또한 관찰되었다. 후술하는 실시예 2의 사가 배합물에서, 2개월의 간격으로 재조합체를 삼회 연속 복용시키는 경우 인간 x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면역성이 상당하게 증가하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따라서, 이 확대된 면역 스케쥴이 재조합체의 단일 투여에 이어서 혈청형 2, 3 및 4에서 현저하게 초과된 반응을 나타내며 재조합체의 각 인간 로타바이러스 모체에 대해 VP7-특이적인 중화 항체 반응을 유도하였다. 특히, 유아 백신 접종자의 32%가 혈청형 2에 반응하고, 혈청형 3에 33% 및 혈청형 4에 42% 반응하였다. 이 재조합체의 단일 투여 이후 이미 높은 면역성을 나타내는 혈청형 1에 대해서는 개선점이 지적되지 않았다.
로타바이러스가 플라세보 수용자의 대변에서 발견된다는 입증이 없고 또한 ELISA IgG 항체의 적정에서 4배가 증가한 한명의 6개월령 플라세보 수용자를 제외하고 이 그룹에서 로타바이러스 혈청 반응이 입증되지 않았고, 이외의 분석들에서 다른 혈청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성인에서 위장내 질병의 부재에 의해 입증된대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각각이 안전하고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인 유의성의 부족이 각 백신 그룹과 연령 그룹에서 소아 백신 접종자와 플라세보 수용자간에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의 비율을 증가시킨다(표 2). 단지 세명의 성인 지원자(P x UK 또는 ST3 x UK 백신)가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의 기준에 부응하는 증상(열)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들 중 누구도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이라는 입증이 없다. 로타바이러스 투여후 열이 난 세명의 성인 모두가 부수적인 호흡기 질환을 갖거나 비인두 스웝의 조직 배양에 의해 검출되는 호흡기 바이러스를 산출한다. 정맥두염, 기침 및 비루를 갖는 한명의 P x UK 수용자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가 양성 배양이었고; 또 다른 P x UK 수용자는 호흡기 합포체성 바이러스(RSV)가 양성 배양이었으며; 그리고 한명의 ST3 x UK 수용자는 기침, 비루 및 목이 쉬는 증상을 나타냈다. 이들 지원자의 부수적인 호흡기 질병, 호흡기 병원성 균의 회수 및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입증 부족으로 인해 이들의 열이 아마도 병발성 호흡계 감염에 의한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후보가 되는 네개의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실험에서 병발성 질병이 발생하였다. 기침을 동반하는 구토 및 중이 매개를 통한 열 또는 호흡기 증후는 일반적인 것이었다. 병발성 질병의 높은 원인에도 불구하고 각 백신 그룹내에서 6-60개월령 어린이와 <6개월령 유아의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열, 설사 또는 구토)률은 플라세보 수용자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2). 전체로서,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투여한 6-60개월령 어린이 48명 중 8명 그리고 플라세보 수용자 27명 중 3명이 접종 후 7일 이내에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경험하였다. 이들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 중 단지 두 경우가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연관이 있었다. DS-1 x UK 재조합체의 경구 투여후 발생하는 두 경우의 질병 모두 미약하고 스스로 제어할 수 있었다: 한 어린이는 2일 째 열(최대 38.5℃)이 있었고: 다른 한명은 2일과 3일에서 3번 구토하였다.
Figure 112001001845733-pct00002
Figure 112001001845733-pct00003
주의: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이란 방법 부분에서 정의한 열, 설사 또는 구토로서 정의된다. *결과는 접종 4-6주 후 회수된 혈액으로 측정한 ALT 수치에 기초 한다.
ST3 x UK를 투여한 6-60개월령의 어린이 두명으로부터 콕새키(Coxsackie) B5 또는 에코바이러스 및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에서 세명의 플라세보 수용자로부터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파라인플루엔자 타입 3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6개월령의 실험 대상자 중에서, 백신 수용자 71명 중 23명 및 플라세보 수용자 36명 중 8명이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첫번째 경구 투여 이후 7일 이내에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경험하였다. 호흡기 증후 또는 중이 매개 없이 유아에서 발생한 열(38.2-38.3℃ 범위)은 호흡기 증후 또는 중이 매개에 의한 것(38.4-40℃)보다 낮았다. 구토를 일으키는 유아의 대부분(12 중 8명)이 단지 한가지 또는 두가지의 에피소드를 가졌다; 식사에 장애가 있거나 탈수를 일으키는 구토 증상은 없었다. 유아에서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 및 호흡계 질병 또는 중이 매개의 비율을 표 3에 나타내었다. 감염된 백신 접종자는 백신화 이후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입증된 백신 수용자이다; 감염되지 않은 백신 접종자는 백신화 이후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입증되지 않은 백신 수용자이다. 감염된 백신 접종자는 어떠한 일관된 증후 패턴을 나타내지 않았고 또한 각 백신 그룹에서 감염된 백신 접종자와 감염되지 않은 백신 접종자 또는 플라세보 수용자 간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자세하게 후술하는대로 관찰된 증후가 병발성 질병의 조짐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갖는 <6개월령 백신 접종자 중에서 14명이 백신 반응자였다. 백신 반응자 중 3명을 제외한 모두가 한가지 또는 두가지 증후의 약한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일으켰다; 두명은 단지 열이 났고; 세명은 호흡기 질병 또는 중이 매개와 함께 열이 났으며; 아홉명은 한번 이상(최대 6회) 구토하고 이들 중 세명은 기침 후 구토하였다. 세명의 백신 반응자는 105.8 pfu ST3 x UK 투여 후 중간-내지-심한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일으켰으나, 또한 그들은 병발성 호흡기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아데노바이러스와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를 코의 세척 견본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게다가, 3일 동안 고열(최대 40℃)이 나는 한 어린이의 대변에서 적절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회수하였고, 그러나 또한 이 어린이는 5일동안 비루, 기침 및 중이 매개 증상을 나타냈다. 이 어린이를 입원시키고 패혈증이 치료될때까지 반코마이신 및 세팔로스포린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치료하였다; 그녀는 무사히 치료되었다. 이틀 동안 열(최대 39.3℃)과 중이 매개 증상을 나타내는 한 어린이의 코에서 얻은 견본 중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를 배양하였다; 이 어린이는 또한 대변에서 적절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산출하였다. 3일에 걸쳐 열(최대 38.6℃)과 설사(물같은 대변 9회), 그리고 3-4일 동안 협착음(wheezing), 기침 및 비루 증상을 나타내는 또 다른 유아에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로타바이러스가 아닌)를 분리하였다.
Figure 112001001845733-pct00004
주의: 로타바이러스를 산출하고 및/또는 혈청 로타바이러스-특이적인 항체 적정에서 네배 또는 그 이상 증가한 경우, 투여된 로타바이러스 재조합 바이러스에 의해 유아가 감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은 열, 구토 또는 설사로 정의된다. RSV = 호흡기 합포체성 바이러스; CMV =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표 3에 표시한대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입증되지 않은 <6개월령 백신 접종자의 22명 중 아홉명이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경험하였다. 105.3 pfu의 DS-1 x UK를 수용한 후 열과 34 이질성 대변을 배출하는 한 유아에서 캄피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를 분리하였다. 105.8 pfu의 D x UK를 수용한 후 또한 열과 중이 매개 증상을 나타내는 또 다른 유아의 설사에서 에어로모나스 하이드로필리아(Aeromonas hydrophila)를 분리하였다. 또한 각각이 협착음을 내거나 내지않으며 비루 증상을 나타내는, 한명의 플라세보 수용자 뿐 아니라 D x UK를 수용한 두명의 유아로부터 호흡기 합포체성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의 감염으로 야기되는 간의 손상은 입증된 바가 없다. 접종 후 4-6주에서 ALT 증가를 나타내는 소아 참가자의 비율은 플라세보 수용자보다 백신 접종자에서 보다 높지 않았다. 단지 두명의 소아 백신 접종자가 증가된 ALT 수치를 나타내었다(한명의 유아는 ST3 x UK로 1회 백신화 그리고 또 다른 한명은 D x UK 2회 투여). 이 수치는 표준의 두배 미만이고 1주 이내에 반복할 때 표준이었다. 또한 두명의 플라세보 수용자가 접종 후 4-6 주에서 다소 증가된 ALT 수치를 가졌다. ALT 수치의 일시적인 약간의 증가는 D x UK 또는 ST3 x UK 재조합체의 투여 후 성인 지원자(그들 중 몇몇은 알코올 소비가 보고되었다)에서 종종 탐지되었다. 이들 지원자 중 누구도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입증되지 않았다. 네명의 성인은 D x UK 투여후 1주에서 ALT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들의 ALT 수준은 3주 후 반복할 때 표준이거나 표준 수치의 2배 미만(두명의 지원자)이었다. 다른 두명의 성인은 ST3 x UK 재조합체 수용 후 1주에서 증가된 ALT 수준을 가졌다; 그들의 ALT 수치는 로타바이러스 투여 후 4주에서 표준이었다.
비록 105.8 pfu D x UK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수용한 유아 20명 중 단지 10명(50%)이 1회 복용 후 로타바이러스-특이적인 항체를 산출했을지라도, 이 재조합체를 이용하여 4-12주에서 14명의 유아를 두번째 면역화했을 때, 1회 복용후 항체 반응이 일어난 7명의 유아를 포함하여, 14명 유아 중 12명(86%)의 항체 적정에서 네배 또는 그 이상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두번 모두를 복용한 14명의 유아 중에서, 두번째 복용의 순 효과는 14명 백신 접종자 모두에서 항체를 유발하고,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에 대항하는 중화 항체의 수준을 첫번째 복용 후 1:66의 기하학적 평균 적정으로부터 두번째 복용 후 1:336까지 증가시킨 것이다.
D x UK를 이용한 2차 면역 후, 단지 한명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수용자가 로타바이러스를 산출하였고, 이것은 바이러스가 어린이로부터 회수될 수 없었던 이후 단지 하루 동안이었다. 14명 유아 중 단지 두명(그들 중 5명은 첫번째 복용 후 감염되지 않았다)이 두번째 복용 후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을 경험하였다. 첫번째 복용 후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에 의해 감염되지 않았던 한명의 어린이는 두번째 복용 후 비루에 동반하여 약간의 열(최대 38.1℃)이 있었다. 첫번째 복용 후 재조합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었던 또 다른 어린이는 두번째 복용 후 4회 구토하였다. 이 그룹에서 백신 접종자 중 한명이 2차 접종 후, 반복될 때 표준이 되는, 증가된 ALT 수치를 가졌다.
실시예 2
이 구체예는 사가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면역 조성물을 설명한 것으로 그 임상적 안전성과 성인, 어린이 및 유아에서 면역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네개의 인간 x 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동일한 부피로 혼합하여 단일의 사가 백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 조성물의 안전성과 면역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든 실험을 플라세보-대조 실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혈청 검사 및 미생물 검사를 실시예 1에 기술한 대로 수행하였다.
재조합체 당 105.3 내지 105.8 pfu를 포함하는 희석되지 않은 사가의 인간(VP7 혈청형 1, 2, 3 및 4)-소의 UK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단일 투여가, Johns Hopkins University Center for Immunization Research에서 17명의 성인(11명 백신 수용자 그리고 6명 플라세보 수용자)에 대하여 평가되었다. 실험 대상자들은 백신 또는 플라세보 투여 전후 적어도 1시간 동안 금식하였다. 그들은 위산을 중화시키기 위해 완충 용액(소듐 비카르보네이트) 120ml를 마시고 이어서 1분 후에 완충액에 혼합된 사가의 면역성 조성물, 또는 플라세보를 마셨다. 11명의 성인 백신 접종자 중 한명이 구토의 단일 에피소드를 보고하였고 세명이 2-3일 동안 설사와 같은 대변을, 그리고 4일과 5일간에 인두염과 비루를 보고하였다. 이들 지원자가 로타바이러스 감염이라는 입증이 없고, 이들의 대변을 배양하고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 결과 로타바이러스 음성이었으며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혈청 반응이 탐지되지 않았다. 설사성 대변의 박테리아 배양 또한 음성이었다. 다른 10명의 백신 접종자와 6명의 플라세보 수용자가 백신화 이후 무증상을 보고하였다. 백신 또는 플라세보 수용자 중 누구도 백신화 이후 ALT가 증가하지 않았고 그들의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로타바이러스 항체 반응이 열한명 백신 접종자 중 6명(55%)에서 탐지되었다(ELISA IgA 분석에 의해 5명 그리고 ELISA IgG 분석에 의해 4명). 따라서, 본 사가의 백신이 6 내지 60개월령의 어린이에서 추가로 평가될 수 있으며 안전하고 면역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의 실험 중에, 20명의 유아와 6-60개월령 어린이가 완충 배합물을 마셨고 이어서 개인의 연령에 적절한 관례적인 초기 단계 면역 주사를 놓기 전 또는 후의 적어도 2주에서 희석되지 않은 사가의 인간 VP7 혈청형 1 x UK, 인간 VP7 혈청형 2 x UK, 인간 VP7 혈청형 3 x UK 및 인간 VP7 혈청형 4 x UK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어린이 12명) 또는 플라세보(어린이 8명)를 단일 복용하였다. 한명의 백신 접종자(바이러스 수용 후 처음 24시간 동안 열이 났고 4일째 구토의 한가지 증상)와 한명의 플라세보 수용자(2-7일에서 비루 및 기침 뿐 아니라 2일에서 열 남)에서 "로타바이러스-같은 질병"이 관찰되었다. 또 다른 백신 접종자가 7일에서 비루 증상을 나타냈다. 질병을 나타낸 어린이 중 누구에서도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입증되지 않았다. 단, 하루에서 두명의 무증상 백신 접종자로부터 회수한 두개의 대변 견본에서 단지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전자 현미경, 또는 백신 수용자의 동기인 네명의 어린이를 포함하여 다른 백신 접종자 또는 플라세보 수용자의 대변 배양에 의해서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백신 접종자 또는 플라세보 수용자의 누구도 사가의 로타바이러스 제조물 투여 이후 ALT가 증가하지 않았다. 로타바이러스 항체 반응이 백신 접종자 12명 중 6명에서 탐지되었다(ELISA IgA 분석에 의해 4명 그리고 ELISA IgG 분석에 의해 6명). 12명 중 총 7명의 백신 접종자가 로타바이러스 감염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후보가 되는 백신이, 백신을 세번 복용한 6개월령 미만인 유아로 구성된 목적 집단을 개선시키며, 안전성과 면역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삼회 복용의 희석되지 않은 사가의 인간 x 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 또는 플라세보의 안전성과 면역성을 동시적으로 그들의 관례적인 소아 면역 주사를 수용한 30명의 약 2, 4 및 6개월령의 어린 유아에서 평가하였다. 20명의 유아가 임의로 후보가 되는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수용하고 열명의 유아가 플라세보를 수용하였다. 한명의 백신 접종자와 한명의 플라세보 수용자가 의학적 이유로 두번째 백신화 이전에 실험에서 제외되었다. 관례적인 초기 단계 면역화(모든 세포 백일해 백신화를 포함하여)에 수반한 첫번째, 두번째 또는 세번째 백신 또는 플라세보의 투여 이후, 각각 20명 중 1명, 19명 중 6명, 그리고 백신 접종자 19명 중 6명, 그리고 플라세보 수용자 10명 중 2명, 9명 중 0명 및 9명 중 3명에서 열이 보고되었다. 열의 모든 에피소드는 다수의 관례저인 소아 면역 주사와 동시에 발생하는 사가 로타바이러스 배합물의 경구 투여 이후 처음 48시간 이내에 발생하였다. 여기서 세개의 열병 에피소드가 제외되며, 그들 중 둘은 백신 접종자의 호흡기 질병에 의해 수반된 것이고 한편 세 번째 에피소드는 플라세보 수용자에서 발생하였다. 한명의 플라세보 수용자에서 설사가 보고되었으나 백신 접종자에서는 없었다. 한명의 백신 접종자가 이차 복용 후 7일에서 호흡기 증후 및 결막염 뿐 아니라 구토의 2 에피소드를 가졌다. 또 다른 어린이가 백신화 이후 처음 24시간 동안 기침에 의한 구토의 단일 에피소드를 가졌다. 약한 열(38.2℃)이 나는 단지 한명의 백신 접종자의 대변 시료에서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이 열이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두번째와 세번째 복용 이후 19명의 백신 접종자 중 4명에서 호흡기 증후 및 발진이 나타났고 첫번째 복용 이후 플라세보 수용자 10명 중 1명에서 그리고 두번째와 세번째 복용 이후 플라세보 수용자 9명 중 1명에서 호흡기 증후 및 발진이 나타났다. 모든 징후가 약하게 보고되었다. 첫번째 백신화 전후에 각각 백신 접종자 20명 중 5명 그리고 20명 중 2명에서, 그리고 플라세보 수용자 10명 중 1명 그리고 10명 중 2명에서 ALT가 약간 증가하였다. 첫번째 복용 이후 백신 접종자 20명 중 2명, 두번째 복용 이후 백신 접종자 19명 중 0명, 그 뿐 아니라 세번째 복용 이후 백신 접종자 19명 중 2명에 대한 대변의 세포 배양 실험에서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로타바이러스 산출 및/또는 바이러스-특이적인 혈청 항체 반응에서 입증된 대로, 첫번째 복용 이후 백신 접종자 19명 중 12명(63%) 그리고 세번째 복용 이후 19명 중 19명(100%)이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두번째 백신화 이후 혈청을 회수하지 않음). 첫번째 복용 이후 3, 5 및 7일째 및 두번째와 세번째 복용 이후 4일째에서 회수한 단지 몇몇 유아의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특히 백신의 첫번째 복용 이후 20명 중 3명(15%)이 로타바이러스를 산출하였고 세번째 복용 이후에는 19명 중 1명(11%)이었다. 첫번째 복용 전후에 ALT의 상승으로 실험에서 제외된 두명의 유아 모두(백신 접종자 한명과 플라세보 수용자 한명)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어떠한 입증을 갖지 않았다. 3회 백신을 수용한 19명의 백신 수용자 중에서, 첫번째 및/또는 세번째 백신 복용에 이어서 다음 분석에 의해 항체 반응을 탐지하였다: ELISA IgA(50%), ELISA IgG(63%), 그리고 UK 소의 균주(100%) 및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타입 1 (Wa, 32%), 2(DS-1, 32%), 3(P,32%) 또는 4(VA70, 32%)에 대항하는 플라크 감소 중화 분석.(표 4)
Figure 112001001845733-pct00005
a 이어서 첫번째 및/또는 세번째 복용
* 로타바이러스 그룹 특이적인 반응
** VP7 혈청형
실험을 마침에 있어, 8.25 내지 9.25개월령의 플라세보 수용자 7명에게 사가의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단일 투여하였다. 이 백신은 매우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부터 7일까지 비루 증상 뿐 아니라 3, 4 및 7일에서 열이 나며 로타바 이러스-같은 질병이 단지 한 유아에서 관찰되었다. 다른 다섯명의 백신 접종자에서 호흡기 질병(열 또는 위장염 없이)이 관찰되었다. 보다 연령이 증가한 이 그룹에서 소의 UK 로타바이러스-기재 백신에 대하여 현저한 열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6 내지 8개월령의 유아에서, 전부는 아니지만,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수동적으로 얻은 모체 항체의 대부분을 잃을 때 일가의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열병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보다 상당하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소의 UK-기재의 사가 조성물에 대한 이러한 혈청 반응을, 리서스 로타바이러스-기재의 사가 백신을 각 조성물의 105.0 pfu로 투여하여 2, 4 및 6개월령의 백신화된 유아에서 유발시킨 중화 항체 반응과 비교할 때(Rennels 등, Pediatrics 97:7-13(1996)), 몇가지 중요한 특성을 지적할 수 있다. 리서스 로타바이러스-기재의 백신에 의해 유발된 중화 항체 반응은, 백신화된 유아의 90%에서, 재조합체 모체 균주 중의 하나인 리서스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반응을 포함한다. 또한, 중화 항체 반응은 어린이 중 14%에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1로, 31%에서 인간의 혈청형 2로, 29%에서 인간의 혈청형 3으로 그리고 14%에서 인간의 혈청형 4로 유발되었다. 따라서, 소의 UK 로타바이러스-기재의 인간 재조합체 면역 조성물은 리서스 로타바이러스의 사가 조성물보다 혈청형 1(P<0.005 피셔 정밀 테스트)과 혈청형 4(P<0.05 피셔 정밀 테스트)에 대하여 현저하게 높은 빈도의 중화 항체 반응을 유발하였다.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2와 3 균주 및 단일형 동물의 로타바이러스 모체 균주에 대한 반응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리서스 로타바이러스-기재의 백신에 의한 높은 수준의 보호 효능을 고려할 때, 면역성에서 인간 x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과 비교되는 사가 인간 x 소의 UK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의 등가성과 우수성은 중요하게 고려된다.
미국의 다기관(multicenter) 효능 실험에서,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매우 심한 로타바이러스 설사에 대해 80% 그리고 로타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탈수에 대해 100% 보호 효능을 갖는 것이 입증되었다(Rennels 등, Pediatrics 97:7-13(1996)). 이 백신은 1997년 12월 FDA 자문 위원회에서 그 임상적 프로파일이 승인된 이후 1998년 8월 식품 의약청에 의해 인가되었다. 이 백신은 면허를 계류중이며, 1997년 6월 면역화 실행(Immunization Practice)을 위해 미국 자문 위원회에 의해 2, 4 및 6개월령의 유아의 관례적인 면역화를 위해 추천되었다. 1999년 5월, 유럽 공동체의 15 국가에서 인가되었다.
소의 UK 로타바이러스-기재의 다가 면역성 조성물은 인간에서 일시적인 저 수준의 열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소의 UK 로타바이러스-기재의 다가 조성물은 몇몇 임상 조건에서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의 UK 로타바이러스-기재의 다가 면역성 조성물이 다음 특성들을 포함하는 유일한 그룹을 제공한다: (1)인가된 사가의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백신과 유사한 감염성 및 면역성; (2)일시적인 저 수준의 열을 감소시키는 효력; (3)앞서 기술한 소의 로타바이러스-기재의 백신 조성물과 유사한 감소성(attenuation)을 가지나 적은 복용량으로 현저하게 높은 감염성 및 면역성 유발; 그리고 (4)극심한 로타바이러스 질병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모두에 대한 항원성 적용 범위.
실시예 3
이 구체예에서, 본발명의 바람직한 사가의 인간-소의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조성물과 인가된 사가의 리서스-인간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 로타쉴드(ROTASHIELD)를 비교할 수 있는, 진행중인 임상 실험으로부터 얻은 수치를 예비 중간 분석하여 그 개요를 제공한다. 본 분석은 저 수준의 열 반응률과 두 조성물의 로타바이러스성 설사에 대한 보호 효능을 측정하였다.
안전성과 로타바이러스성 설사에 대한 보호 효능에 대하여 본 발명의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조성물과 사가의 리서스-인간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로타쉴드, 최근에 미국과 유럽 공동체의 15국가에서 그 용도가 인가됨)을 비교하는 2년의 가(interim)임상 실험이 현재 진행중이다. 본 실험은 핀랜드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172명의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수용자, 86명의 상응하는 플라세보 수용자, 161명의 로타쉴드 백신 접종자와 79명의 상응하는 플라세보 수용자를 포함한다. 논리상의 이유로 본 실험을 인접한 두개의 작은 도시, 핀랜드의 탬퍼러(Tampere)와 라티(Lahti)에서 수행하였고 따라서 두개의 플라세보 그룹을 이용하는 것이 부득이하였다. 또한 양 실험 그룹의 개인들이 같은 장소에 있을 때 조성물을 담은 용기의 외형이 다르기 때문에 두개의 플라세보 그룹이 필요하였다.
조성물의 열병 반응에 대해 80% 감소(30%부터 15%까지)된 발병력을 탐지할 수 있는 각 조성물에 대한 충분한 실험 대상자를 모집하기 위해 본 실험을 두개의 도시에서 동시에 실시하였다(0.05 유의 수준과 10% 드롭아웃에서 2-테일드 테스트, 플라세보 그룹간에 유의성 없다고 간주).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과 그 상응하는 플라세보를 단지 탬퍼러에서 무작위로 이용한 반면, 로타쉴드 백신과 그 상응하는 플라세보를 라티와 탬퍼러에서 무작위로 이용하였다.
각 조성물 복용에서, 면역 후 7일 동안 38℃와 동일한 또는 그 이상의 직장 온도로서 정의되는 열을 대상으로 실험 대상자를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면역후 7일 동안 구토, 설사, 자극성 및 다른 전신적인 상태의 에피소드에 대해 모니터링을 유지하였다. 2년의 가실험을 통털어 위장염, 심각한 역작용 또는 병원 수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본 실험은 두 시즌의 위장염을 포함하도록 계획된다.
실험팀의 비맹(unblinding) 일원없이 각 사가의 재조합체 조성물 또는 플라세보를 첫번째 복용시킨 이후 열병 반응률의 예비 자료를 얻었다. 추가로, 단지 각 그룹의 자료를 전체로서 고려하여 발열과 보호 효능에 대한 두개의 조성물, 즉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과 로타쉴드를 비교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제한된 2중 시미안 태아의 리서스 폐(FRhL) 세포에서 성장시킨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도록 두개의 조성물을 배합시킨 세포 배양 기질이라는 점에서 실험 그룹간에 동등성을 유지하였다.
무작위화에 이어서,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성분 당 105.3 내지 105.8 pfu), 로타쉴드(성분 당 105 pfu), 또는 플라세보를 건강한 2개월령의 유아에게 투여하고 2달 후 재투여하였다. 유아의 부모는 하루에 한번 또는 두번 직장 온도를 기록하고, 매일의 증후를 기록하였다. 대변 시료를 회수하고 배설되는 대변의 회수와 농도를 계속하여 기록하였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의 첫번째 투여 이후 7일 동안 발생하는 열의 누적율을 요약한 유효한 수치와 로타바이러스성 위장염의 첫번째 시즌 동안의 보호 효능을 요약한 예비 자료를 표 5와 표 6에 표시하고 아래에 요약하였다.
로타쉴드 수용자 중 46.2%가, 재조합체 조성물의 첫번째 투여 이후 한주동안 저수준의 일시적인 열 반응(≥38℃(100.4。F))을 경험하였다(표 5). 이 빈도는 플라세보 그룹의 발열률 11.4%(p<0.0001) 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이다. 대조적으로,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 수용자에서 관찰된 발열률(≥38℃)(15.2%)은 플라세보 그룹(11.0%)과 현저하게 구별되지 않았다. 로타쉴드 백신 수용자에서 나타난 >38.4℃(101.1。F)의 발열 빈도는 상당한(20.3%) 것이고 플라세보 그룹(1.3%)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0.0001). 대조적으로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의 수용자가 경험한 >38.4℃의 발열 빈도는 1.8%이었고, 이것은 플라세보 그룹(0%)과 현저하게 다르지 않았다. 따라서, 이 두 조성물에서, 로타쉴드가 그 플라세보 그룹보다 현저하게 높은 상당한 발열 빈도를 유발한 반면,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로 인한 발열 반응은 그 플라세보와 다르지 않았고 로타쉴드에 의한 것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전체적으로, 로타쉴드는, 발열의 정의가 ≥38℃ 또는 >38.4℃ 이든간에, 본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보다 면역화 이후 7일동안 보다 상당한 발열과 관계가 있었다(p<0.0001). 핀랜드 실험에서 인간 x 소의 재조합체 조성물에 대한 발열 반응의 전체적인 감소는 본질적으로 실험 그룹에 원인이 되는 질병이 없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것은 원인이 되는 질병이 상당히 빈번한 실시예 1과 2에 뚜렷하게 대조적이다. 핀랜드 실험에서, 원인이 되는 질병의 상대적인 부재로 인해 이전의 임상 실험보다 정밀한 발열, 또는 발열 반응의 측정이 가능했다.
또한 로타바이러스성 설사에 대항하는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과 로타쉴드의 비교적인 보호 효능에 관련된 예비 자료를 얻었다. 이 자료는, 이전에 소의 로타바이러스 및 인간-소의 재조합체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10 내지 100배 낮은 바이러스 투여량을 이용하여 전자(the former) 조성물의 발열 반응을 감소시키므로 특히 중요하고, 이것은 자연히-발생하는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대항하는 보호를 유발하기 위해 현 조성물의 독소를 크게 감소시킨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에, 인간-리서스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백신, 로타쉴드는 특징적으로 극심한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대항하여 80% 내지 100%의 보호 효능을 나타내었다.
첫번째 시즌을 진행하는 동안 실험 대상자 중에서 입증된 로타바이러스성 위장염의 심함 정도에 따른 총 48 에피소드의 분배 분석을 통하여 본 실험의 보호 효능을 평가하였다. 위장염을 갖는 실험 대상자의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를 동정함으로써 로타바이러스성 위장염을 진단하였다. 동정은 (1)로타바이러스 그룹-특이적인 그리고 혈청형-특이적인 항혈청을 이용한 표준 면역학 방법, ELISA 기술(Joensuu 등, Lancet 350:1205-1209 (1997); 및 Hoshino 등, J.Clin.Microbiol. 21:425-430 (1985))과 (2)로타바이러스 그룹-특이적인 보존 서열 또는 로타바이러스 혈청형-특이적인 보존 서열을 인식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Gouvea 등, J.Clin.Microbiol. 28:276-282(1990))에 의해 이루어졌다.
첫번째 시즌 동안 보호 효능의 분석은, 임상 스태프 및 실험 모니터링 스태프 뿐 아니라 해당 실험 그룹에서 개인 대상자들이 할당된 실험 그룹(즉,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 로타쉴드 또는 상응하는 플라세보 그룹)을 모르는채 지속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고 그들은 실험 기간 동안 블라인드로 유지될 것이다. 두번째 위장염 시즌의 끝에서 실험 종료까지 관리를 계속하며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이 제한을 예비 분석에 적용시켰다. 결과적으로, 질병의 심함 정도에 의한 백신 효능의 분석이 2년 동안의 실험 종료 이후 완성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번째 시즌동안 각 실험 그룹에서 모든 심함 정도의 로타바이러스성 위장염률을 측정하였고 비맹 실험이 아닌 다른 그룹과 비교하였다.
첫번째 시즌 동안 두 플라세보 그룹의 어떠한 심함 정도에 대한 로타바이러스성 위장염 에피소드의 비율은 주목할 정도로 유사한 17.7%와 17.4%이었고, 이것은 두 실험 그룹의 동등성과 이 그룹들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전염성을 표시한 것이다. 그 플라세보 그룹과 비교할 때, 로타쉴드는 어떠한 심함 정도의 로타바이러스성 위장염에 대해 65%의 보호 효능을 나타내었다. 사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의 필적하는 측정치는 70%이었고, 이것은 인가된 백신과 유사한 보호 효능이다. 이러한 보호 효능 수준은, 효능이 질병의 심함에 따라 분석될 수 없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보다 만족스럽다. 이전의 로타쉴드 임상 실험에서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효능이 질병의 심함에 따라 증가한 경험칙을 기초로 할 때, 심한 질병에 대항하는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조성물의 보호 효과가 상당하게 70% 이상일 수 있다.
특징적으로 로타쉴드를 이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심한 질병에서 80% 내지 100%의 보호 효능이 관찰되는 한편, 어떠한 심함 정도의 모든 로타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 계산된 보호 효능은 단지 48% 내지 68%에 이른다.
Figure 112001001845733-pct00006
1 사가의 백신 성분 당 105 pfu
2 사가의 조성물 성분 당 105.3-105.8 pfu
NS = 의미 없슴
a 로타쉴드 대 TBRC 그룹에서 발열 비교
Figure 112001001845733-pct00007
본 발명의 백신은 면역성 및 보호 효능의 관점에서 사가의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배합물의 모든 이로운 특성들을 갖는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다가의 면역성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소의 로타바이러스 배합물이 나타냈던 상당한 열병 반응의 감소라는 이점을 공유한다. 그러나, 사가의 리서스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단점으로 지적된 일시적인 저 수준의 발열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앞서 기술한 소의 로타바이러스 배합물에서 지적된 낮은 감염성을 해소하였다.
미생물 기탁 정보
부다페스트 조약하에 인간의 로타바이러스 균주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10801 University Boulevard, Manassas, Virginia 20110-2209, 1998년 6월 4일에 기탁하였고 다음의 수탁 번호를 받았다.
재조합체 지정 ATCC 수탁 번호
HD x BRV, 클론 47-1-1(VP7:1[D]) ATCC VR-2617
HDS1 x BRV-1, 클론 66-1-1(VP7:2[DS-1]) ATCC VR-2616
HP x BRV, 클론 22-1-1(VP7:3[P]) ATCC VR-2611
HST3 x BRV-2, 클론 52-1-1(VP7:4[ST3]) ATCC VR-2612
IAL28 x UK, 클론 33-1-1(VP7:5[IAL28]) ATCC VR-2613
AU32 x UK, 클론 27-1-1(VP7:9[AU32]) ATCC VR-2614
KC-1 x UK, 클론 32-1-1(VP7:10[KC-1]) ATCC VR-2615
본 발명의 이해를 명확히 할 목적으로 실례와 구체예에 의해 다소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특정한 변경과 보완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을 참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등한 전 범위와 함께 본 청구항을 참조로 결정되어야 한다.
이 출원에서 언급한 모든 발행물과 특허가, 개별적인 발행물 또는 특허 문서에서 그렇게 개별적으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한도까지 모든 목적을 위해 완전하게 참조로써 관계한다.

Claims (120)

  1. 적어도 네 개의 인간 x 소 (bovine) 균주의 재조합 (reassortant) 로타바이러스 (rotaviruses)와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다가 면역성 조성물로서,
    상기 각각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는 VP7 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VP7 혈청형 4, VP7 혈청형 5, 및 VP7 혈청형 9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원적으로 별개인 인간의 VP7 혈청형을 포함하는 것이고, VP7을 제외한 모든 로타바이러스 단백질이 UK 소 로타바이러스 균주에 의하여 제공된 것이고,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reassortant) 성분을 106.0 플라크 형성 유닛 미만의 투여량으로 투여 시, 일시적인 저 수준의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각각의 항원적으로 별개인 인간 로타바이러스의 VP7 혈청형에 대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인 다가 면역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인간 x 소 로타바이러스의 VP7 혈청형 항원이 모체인 인간의 로타바이러스에 의하여 제공된 것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인간 x 소 로타바이러스의 VP7 혈청형 항원은 인간 x 동물 재조합 로타바이러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인 인간 로타바이러스가 인간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VP7 혈청형 4, VP7 혈청형 5 및 VP7 혈청형 9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된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 VP7 단백질이 인간 VP7 혈청형 10에 면역학적으로 교차반응성인 소 로타바이러스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KC-1 x UK(ATCC VR-2615)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VP7 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및 VP7 혈청형 4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사가 면역원성 조성물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P7 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및 VP7 혈청형 4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및 VP7 혈청형 5, VP7 혈청형 9 및 VP7 혈청형 1A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가 조성물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VP7 혈청형 10의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KC-1 x UK (ATCC VR-2615)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HD x BRV (혈청형 1; ATCC VR-2617), HDS1 x BRV-1 (혈청형 2; ATCC VR-2616), HP x BRV (혈청형 3; ATCC VR-2611) 및 HST3 x BRV-2 (혈청형 4; ATCC VR-2612)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VP7 혈청형 10의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KC-1 x UK (ATCC VR-2615)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시트레이트 완충액인 것인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결 건조된 형태인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19. 적어도 네 개의 인간 x 소 균주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예방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각각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는 VP7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VP7 혈청형 4, VP7 혈청형 5, 및 VP7 혈청형 9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원적으로 별개인 인간의 VP7 혈청형을 포함하는 것이며, VP7을 제외한 모든 로타바이러스 단백질이 UK 소 로타바이러스 균주에 의하여 제공된 것이고,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 성분을 106.0 플라크 형성 유닛 미만의 투여량으로 투여 시, 일시적인 저 수준의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각각의 항원적으로 별개인 인간 로타바이러스의 VP7 혈청형에 대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인간 x 소 로타바이러스의 VP7 혈청형 항원은 모체 인간 로타바이러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x 소 로타바이러스의 VP7 혈청형 항원은 인간 x 동물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인간 로타바이러스는 인간 로타바이러스 VP7 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VP7 혈청형 4, VP7 혈청형 5 및 VP7 혈청형 9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 VP7 단백질이 면역학적으로 인간 VP7 혈청형 10에 대하여 교차반응성인 소 로타바이러스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KC-1 x UK (ATCC VR-2615)인 것인 약학 조성물.
  25.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VP7 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및 VP7 혈청형 4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사가 면역성 조성물인 약학 조성물.
  26.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VP7 혈청형 1, VP7 혈청형 2, VP7 혈청형 3 및 VP7 혈청형 4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및 VP7 혈청형 5, VP7 혈청형 9 및 VP7 혈청형 1A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VP7 혈청형 10의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KC-1 x UK (ATCC VR-2615) 것인 약학 조성물.
  29.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x 소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 HD x BRV (혈청형 1; ATCC VR-2617), HDS1 x BRV-1 (혈청형 2; ATCC VR-2616), HP x BRV (혈청형 3; ATCC VR-2611) 및 HST3 x BRV-2 (혈청형4; ATCC VR-2612)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간 x 소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소 VP7 단백질이 면역학적으로 인간 VP7 혈청형 10에 대하여 교차반응성인 소 로타바이러스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KC-1 x UK (ATCC VR-2615)인 것인 약학 조성물.
  32.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4.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5.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36.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37.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체 현탁액 형태로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다중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회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41. 제5항에 있어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시트레이트 완충액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2. 제7항에 있어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시트레이트 완충액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3. 제8항에 있어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시트레이트 완충액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4. 제2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시트레이트 완충액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5. 제5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6. 제7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7. 제8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8. 제6항,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9. 제14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5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형태인 조성물.
  5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형태인 조성물.
  5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형태인 조성물.
  53. 제6항,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형태인 조성물.
  5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형태인 조성물.
  5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형태인 조성물.
  5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57.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58.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59. 제6항,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0.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1.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2.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3.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4.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5.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6. 제6항, 제9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7.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8.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69.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70.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것인 조성물.
  71. 제25항에 있어서,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HD x BRV (혈청형 1; ATCC VR-2617), HDS1 x BRV-1 (혈청형 2; ATCC VR-2616), HP x BRV (혈청형 3; ATCC VR-2611) 및 HST3 x BRV-2 (혈청형 4; ATCC VR-2612)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2. 제26항에 있어서,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 HD x BRV (혈청형 1; ATCC VR-2617), HDS1 x BRV-1 (혈청형 2; ATCC VR-2616), HP x BRV (혈청형 3; ATCC VR-2611) 및 HST3 x BRV-2 (혈청형 4; ATCC VR-2612)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간 x 소 재조합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3. 제72항에 있어서, 소 VP7 단백질이 면역학적으로 인간 VP7 혈청형 10에 대하여 교차반응성인 소 로타바이러스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4. 제73항에 있어서, 소 x 소 로타바이러스 재조합체는 KC-1 x UK (ATCC VR-2615)인 것인 약학 조성물.
  75. 제23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6. 제25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7. 제26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8. 제24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9. 제29항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어쥬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3. 제24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3 내지 105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89. 제24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9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91.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5 내지 106 플라크 형성 유닛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9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9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9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95. 제24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9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9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9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9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각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개체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3. 제24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상기 재조합체 로타바이러스가 혼합 조성으로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0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2. 제27항, 제28항, 제29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개체의 소화관에 투여되도록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1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체 현탁액 형태로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12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체 현탁액 형태로 제제화된 것인 약학 조성물.
KR1020017001236A 1998-07-28 1999-07-27 다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백신 KR100688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42598P 1998-07-28 1998-07-28
US60/094,425 1998-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096A KR20010072096A (ko) 2001-07-31
KR100688434B1 true KR100688434B1 (ko) 2007-03-09

Family

ID=2224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236A KR100688434B1 (ko) 1998-07-28 1999-07-27 다가의 인간-소의 로타바이러스 백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932074B1 (ko)
EP (1) EP1100537B1 (ko)
JP (2) JP4414095B2 (ko)
KR (1) KR100688434B1 (ko)
CN (2) CN100387300C (ko)
AT (1) ATE315403T1 (ko)
AU (1) AU759123B2 (ko)
BR (1) BRPI9912485B8 (ko)
CA (1) CA2336875C (ko)
DE (1) DE69929443T2 (ko)
WO (1) WO20000061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15403T1 (de) * 1998-07-28 2006-02-15 Us Gov Health & Human Serv Multivalenter human-boviner rotavirus-impfstoff
WO2007009081A2 (en) * 2005-07-07 2007-01-18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 hexavalent bovine rotavirus reassortant composition designed for use in developing countries
US20090136545A1 (en) * 2005-07-11 2009-05-28 Yasutaka Hoshino Porcine rotavirus reassortant compositions
CN102695522B (zh) 2009-05-12 2016-10-19 美国政府(由卫生和人类服务部、疾病控制和预防中心的部长所代表) 新的人轮状病毒株和疫苗
SG190418A1 (en) 2010-12-02 2013-07-31 Oncolytics Biotech Inc Liquid viral formulations
ES2630012T3 (es) 2010-12-02 2017-08-17 Oncolytics Biotech Inc. Formulaciones virales liofilizadas
MA44557B1 (fr) 2016-06-16 2021-11-30 Bharat Biotech Int Ltd Vaccin contre le rotavirus sans tampon, stable en milieu acide, et d'un faible volume de dose à administrer
CN110903403B (zh) * 2019-12-16 2021-07-13 中国农业大学 一种牛轮状病毒嵌合抗原以及检测牛轮状病毒抗体的胶体金免疫层析试纸卡
CN113994925B (zh) * 2021-12-30 2022-04-26 北京赛尔富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轮状病毒攻毒动物模型及其建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1385A (en) 1983-06-27 1986-02-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Genetic reassortment of rotaviruses for production of vaccines and vaccine precursors
DE3685651T2 (de) * 1985-12-26 1993-01-21 Univ Saskatchewan Den antigenischen und immunogenischen determinanten von wichtigen neutralisierenden proteinen des rotavirus entsprechende peptide.
US5626851A (en) * 1987-11-30 1997-05-06 The Wistar Institute Of Anatomy And Biology Rotavirus reassortant vaccine
ATE315403T1 (de) * 1998-07-28 2006-02-15 Us Gov Health & Human Serv Multivalenter human-boviner rotavirus-impfst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14095B2 (ja) 2010-02-10
KR20010072096A (ko) 2001-07-31
JP2009209161A (ja) 2009-09-17
DE69929443D1 (de) 2006-04-06
AU759123B2 (en) 2003-04-03
AU5322199A (en) 2000-02-21
CN1315872A (zh) 2001-10-03
CN101318016A (zh) 2008-12-10
DE69929443T2 (de) 2006-07-27
CA2336875C (en) 2014-01-07
BR9912485A (pt) 2001-04-17
CA2336875A1 (en) 2000-02-10
EP1100537B1 (en) 2006-01-11
US7932074B1 (en) 2011-04-26
BRPI9912485B1 (pt) 2018-09-18
EP1100537A2 (en) 2001-05-23
WO2000006196A2 (en) 2000-02-10
CN100387300C (zh) 2008-05-14
WO2000006196A3 (en) 2000-06-15
CN101318016B (zh) 2013-06-19
ATE315403T1 (de) 2006-02-15
JP2002521459A (ja) 2002-07-16
BRPI9912485B8 (pt)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hares et al. Rotavirus vaccines and vaccination in Latin America
McNeal et al. Active immunity against rotavirus infection in mice is correlated with viral replication and titers of serum rotavirus IgA following vaccination
US4636385A (en) Vaccine,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in vaccinating humans against rotavirus infection
Clements-Mann et al.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live attenuated human–bovine (UK) reassortant rotavirus vaccines with VP7-specificity for serotypes 1, 2, 3 or 4 in adults, children and infants
JP2009209161A (ja) 多価ヒト−ウシ・ロタウイルス・ワクチン
JP2007319164A (ja) ワクチン
US5626851A (en) Rotavirus reassortant vaccine
US7150984B2 (en) Attenuated human rotavirus vaccine
US8168202B2 (en) Hexavalent bovine rotavirus reassortant composition designed for use in developing countries
MX2008002270A (es) Vacuna rotavirus que induce la proteccion cruzada heterotipica.
US20090136545A1 (en) Porcine rotavirus reassortant compositions
US743193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eventing reactogenicity associated with administration of immunogenic live rotavirus compositions
JPS62192325A (ja) ワクチン、その製造法及びヒトのロ−タウイルス感染症に対するワクチン接種における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