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705B1 - 공기호흡기 - Google Patents

공기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705B1
KR100687705B1 KR1020050071264A KR20050071264A KR100687705B1 KR 100687705 B1 KR100687705 B1 KR 100687705B1 KR 1020050071264 A KR1020050071264 A KR 1020050071264A KR 20050071264 A KR20050071264 A KR 20050071264A KR 100687705 B1 KR100687705 B1 KR 10068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irator
transparent window
air
air respirato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516A (ko
Inventor
임창영
송하율
최민영
최원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데크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7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70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Abstract

공기호흡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면체와 함께 마스크를 구성하는 투명창이 면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면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창의 유지 보수 및 착용한 상태에서의 환기 등이 용이하며 위급한 상황하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W'자 형상의 투명창을 채용함으로써 시야각이 증가되어 상황 파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등받침대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고, 신호 발생기 및 신호 검출기가 구비됨으로써 각종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 및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호흡기, 투명창, 면체, 등받침대, 신호 발생기, 신호 검출기

Description

공기호흡기{Air inhaler}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안면 마스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안면 마스크부에 있어서 투명창과 면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등지게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 및 신호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 도면 중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안면 마스크부 110 : 투명창
120 : 면체 130 : 호흡기
140 : 힌지 150 : 고무 패킹
210 : 등받침대 310 : 신호 발생기
320 : 신호 검출기
본 발명은 공기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 방재 등 재난 사고시에 사용되어지는 공기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기호흡기는 소방법규에 따른 무게와 성능에 대한 규제에 맞게 개발, 생산되고 있으며, 소방서 등의 방재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과 다양한 집적시설의 안전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소방수를 위한 제품은 그 사용빈도와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어둠 속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램프의 작동장치, 공기탱크의 압력을 점검하여 위기상황을 미리 알려주는 장치 등의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공기호흡기의 구성은 크게, 공기탱크를 지지하여 어깨에 매는 등지게부와 안면에 밀착하여 공기를 호흡하는 안면 마스크부로 나뉘며, 점멸램프, 압력계, 구조용 호루라기, 보조 안면 마스크 등의 부가적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는 방재시 빈번하게 휴대용 공기호흡기를 착용해야 하는 소방수에게 안면 마스크 부위에서 발생하는 김서림, 언어전달의 어려움, 착용시의 답답함 등과 같은 불편함을 주었고, 본인이 위기에 처했을 때를 대비한 단순점멸장치에 대해 불안감을 주었다. 또한 소방 방재시 많은 장애물이 있음에도 마스크의 시야각이 적어 아래쪽을 보기 힘든 점과 위기시에 호루라기 등의 경보장치를 사용하려면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센서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경보기와 김서림 방지 코팅제, 안면부의 교체구조 등의 제품설계가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제품들도 휴대용 호흡기의 사용상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 및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하고, 각종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 및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호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호흡기는: (a)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과 더불어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주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면체와, 상기 투명창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면체에 설치되는 호흡기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부와, (b) 상기 호흡기와 연결된 공기탱크 및 상기 공기탱크를 사용자가 맬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 등받침대를 포함하는 등지게부가 구비되는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양측 단부 사이에 상기 호흡기가 위치되도록 정면에서 보면 'W'자 형상으로 상기 면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면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등받침대는 사용자의 등 및 허리에 밀착되도록 일면이 'S'자 형상이며,
상기 등받침대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날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양측 단부 사이에 상기 호흡기가 위치되도록 상기 투명창은 정면에서 보면 'W'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사용자의 등 및 허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등받침대의 일면은 'S'자 형상이며, 상기 등받침대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날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등받침대에는 당해 공기호흡기의 가동과 함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되며, 당해 공기호흡기이외의 공기호흡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신호를 발생시킨 공기호흡기와 당해 공기호흡기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변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검출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안면 마스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안면 마스크부에 있어서 투명창과 면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등지게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 및 신호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는 안면 마스크부(100), 등지게부, 신 호발생기(310) 및 신호검출기(320)가 구비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안면 마스크부(10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물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명창(110)과, 투명창(1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투명창(110)과 더불어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주는 마스크를 형성하며 고무로 이루어진 면체(120)와, 투명창(1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면체(120)에 설치되는 호흡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두상은 투명창(110)과 면체(120)로 이루어진 마스크에 의하여 보호되어 지며, 마스크에 설치된 끈 등에 의하여 안면 마스크부(100)가 사용자에게 고정된다.
이 때 종래의 공기호흡기의 투명창은 면체에 고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는 투명창(110)이 면체(120)로부터 상하로 착탈 또는 개폐되도록 면체(120)에 힌지(140)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투명창(110)에 김서림 방지액을 바르는 등의 유지 보수에 매우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마스크 자체를 잠시 벗고서 환기를 시킨 후에 다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완전히 벗을 필요 없이 투명창(110)만을 면체(12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다시 투명창(110)을 면체(120)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며 위급한 상황하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는 투명창(110)과 면체(120) 사이의 틈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투명창(110)의 외측 테두리 또는 면체(120)의 내측 테두리에 고무 패킹(150)을 설치하여 마스크 내부가 외기로부터 완전 차단되도록 하였다. 이 때, 고무 패킹(150)으로는 표면에 작은 돌 기들이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투명창(110)과 면체(120)의 접촉면에서의 형상 변화와 뒤틀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투명창(110)과 면체(120)의 완전 결합을 위하여 클립(161) 방식 또는 스냅링(162) 방식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투명창(110)에는 홈을 형성하고, 면체(120)에는 힌지 결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투명창(110)에 마련된 홈과 결합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투명창(110)에 마련된 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강한 복원력을 가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이루어진 클립(161)을 설치한다. 스냅링(162)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면체(120)에 붙어있는 잠금 부위를 투명창(110)쪽으로 올리면 투명창(110)의 돌출부에 키의 구멍이 걸리게 되어 손쉽게 투명창(110)과 면체(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공기호흡기의 투명창은 사각형 또는 변형된 사각형이어서 시야각이 적어 아래쪽을 보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는 정면에서 볼 경우에 'W'자 형상의 투명창(110)을 사용하여 시야각을 최대한 확보하였다. 호흡기(130), 엄밀하게는 공기 필터가 'W' 자 투명창(110)의 양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W'자 투명창(110)을 채용함으로써 시야각이 50% 이상 증가되며, 특히 바닥면에 있는 장애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술한 투명창과 면체의 결합을 위한 클립(161) 및 스냅링(162)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도 1c를 참조하면, 등지게부는 안면 마스크부(110)에 설치된 호흡기(130)와 연결되는 공기탱크(미도시)와 그 공기탱크를 사용자가 맬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 등받침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받침대(210)는 사용자의 등 및 허리에 밀착되도록 일면은 'S'자 형상이며, 기본적으로 공기탱크를 무리없이 지지하면서도 무게의 감소를 위하여 소정영역, 예컨대 중앙과 좌우에 구멍을 뚫어 주었다. 그리고 공기탱크가 설치된 등받침대(210)를 사용자가 걸쳤을 때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사용자의 몸통을 감쌀 수 있는 날개(212)가 설치된다. 날개(212)의 단부를 포함한 소정영역은 내측으로 굽어져 있다. 또한, 공기탱크가 별도의 장치없이도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공기탱크에 마련된 고리가 걸릴 수 있는 구멍(213)을 등받침대(210)에 형성하였다.
한편 도 1c와 결부하여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는 다른 사람들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당해 공기호흡기의 가동과 함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310)가 등받침대(210)에 설치된다. 또한, 당해 공기호흡기이외의 공기호흡기, 즉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공기호흡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320)가 더 구비된다. 신호 검출기(320)에서는 검출된 신호를 발생시킨 공기호흡기와 당해 공기호흡기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변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예를 들어 검출된 신호를 발생시킨 공기호흡기와 당해 공기호흡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멸 신호와 경고음이 빠르게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당해 공기호흡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호 검출기(320)는 사용자가 손에 들거나 공기호흡기에 걸치고서 사용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310)와 신호 검출기(32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핸드폰의 신호대역을 포함 하는 3~4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대중성과 다양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에는 공기 탱크 내의 공기량이 부족하면 점등하는 경고등(400)과 공기호흡기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부(500) 등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흡기에 의하면, 투명창이 면체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투명창의 유지 보수 및 착용한 상태에서의 환기 등이 용이하며 위급한 상황하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W'자 형상의 투명창을 채용함으로써 시야각이 증가되어 상황 파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등받침대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신호 발생기 및 신호 검출기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 상호간의 위치 파악 및 연락이 용이하여 각종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 및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6)

  1. (a)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과 더불어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주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면체와, 상기 투명창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면체에 설치되는 호흡기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부와, (b) 상기 호흡기와 연결된 공기탱크 및 상기 공기탱크를 사용자가 맬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 등받침대를 포함하는 등지게부가 구비되는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양측 단부 사이에 상기 호흡기가 위치되도록 정면에서 보면 'W'자 형상으로 상기 면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면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등받침대는 사용자의 등 및 허리에 밀착되도록 일면이 'S'자 형상이며,
    상기 등받침대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날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의 외측 테두리 또는 상기 면체의 내측 테두리에는 고무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대에는 당해 공기호흡기의 가동과 함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
  6. 제 1항에 있어서, 당해 공기호흡기이외의 공기호흡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신호를 발생시킨 공기호흡기와 당해 공기호흡기 사이의 거리에 따른 가변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검출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
KR1020050071264A 2005-08-04 2005-08-04 공기호흡기 KR10068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264A KR100687705B1 (ko) 2005-08-04 2005-08-04 공기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264A KR100687705B1 (ko) 2005-08-04 2005-08-04 공기호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516A KR20070016516A (ko) 2007-02-08
KR100687705B1 true KR100687705B1 (ko) 2007-03-02

Family

ID=4162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264A KR100687705B1 (ko) 2005-08-04 2005-08-04 공기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7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972A (en) 1991-08-12 1993-08-17 Strong Michael A Breathing mask apparatus
JPH05235972A (ja) * 1992-02-17 1993-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会議通話システム
US5492110A (en) * 1994-12-23 1996-02-20 Golden West Communications Switched alert circuit for fireman's breathing system
KR19990008251A (ko) * 1995-05-03 1999-01-25 데이빗 알. 클리브랜드 호흡 마스크용 보안 차폐 부재
KR200344909Y1 (ko) 2003-12-26 2004-03-18 (주)기도산업 시일드의 회전중심 가변형 헬멧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972A (en) 1991-08-12 1993-08-17 Strong Michael A Breathing mask apparatus
JPH05235972A (ja) * 1992-02-17 1993-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会議通話システム
US5492110A (en) * 1994-12-23 1996-02-20 Golden West Communications Switched alert circuit for fireman's breathing system
KR19990008251A (ko) * 1995-05-03 1999-01-25 데이빗 알. 클리브랜드 호흡 마스크용 보안 차폐 부재
KR200344909Y1 (ko) 2003-12-26 2004-03-18 (주)기도산업 시일드의 회전중심 가변형 헬멧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235972 *
05492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516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603B1 (ko) 고글 마스크
CN102958571A (zh) 一种用于papr的全面罩
CN104970477A (zh) 一种全护式智能消防头盔
CN206525621U (zh) 一种抢险救援消防头盔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KR101136999B1 (ko) 비상용 방독면
KR100687705B1 (ko) 공기호흡기
CN205549275U (zh) 一种具有语音增强和除雾功能的正压式空气呼吸器面罩
KR101692524B1 (ko) 다기능 안전면체
CN206808757U (zh) 一种抢险救援消防头盔
CN210302098U (zh) 一种消防化学防护服
CN213074657U (zh) 一种消防防护装置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KR102080261B1 (ko)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CN209154920U (zh) 一种自带发声功能的过滤式消防自救呼吸器
CN215775837U (zh) 一种森林防火头盔
JP2000350790A (ja) 消防用安全帽
CN213760267U (zh) 一种过滤式消防自救呼吸器
KR200143326Y1 (ko) 구조용 헬멧
CN218248172U (zh) 一种过滤式消防自救呼吸器半面罩
KR200485320Y1 (ko) 휴대용 방연 마스크
LU103120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CN216533996U (zh) 一种基于NB-loT多功能消防头盔
CN212814628U (zh) 一种高过滤性能的消防头盔
CN211268811U (zh) 一种安全消防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