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541B1 -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 - Google Patents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541B1
KR100687541B1 KR1020050094885A KR20050094885A KR100687541B1 KR 100687541 B1 KR100687541 B1 KR 100687541B1 KR 1020050094885 A KR1020050094885 A KR 1020050094885A KR 20050094885 A KR20050094885 A KR 20050094885A KR 100687541 B1 KR100687541 B1 KR 10068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heat medium
heat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관
Original Assignee
최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관 filed Critical 최정관
Priority to KR1020050094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83Means for filling or sealin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제조방법이 단순하되, 투입되는 열매체의 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기에 같은 성능의 히트파이프를 생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 같은 히트파이프라도 그 발산되는 열량이 규칙적이지 않은 히트파이프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는 일측단에 체크밸브를 형성하고 있어, 스스로 열매체가 팽창하여 새어나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열매체의 투입 및 진공상태를 위해 공기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간혹 히트파이프의 열매체가 새어나가거나, 진공상태가 유지되지 못한 처분해야할 히트파이프라도, 그 체크밸브를 통해 열매체를 재차 투입하고 진공상태를 조절할 수 있기에 수리 가능성이 크다.
파이프, 주입테이블, 기화탱크부, 열매체주입밸브, 흡배기관, 체크밸브등

Description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nd the product method of The heat pipe}
도 1은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를 전체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를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를 타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에 열매체를 채우기 위한 열매체 기화탱크부를 전체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입테이블의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파이프 11; 하부마개
20; 체크밸브 21; 흡배기관
22; 관통공 23; 밸브몸체
24; 디스크핀 25; 디스크판
26; 밸브판 27; 탄성스프링
30; 주입테이블 31; 테이블
32; 스크류공 33; 고정판
34; 스크류 35; 밀개판
36; 고정구 40; 기화탱크부
41; 전기히터 42; 열매체탱크
43; 압력게이지 44'; 투입구
45; 연결관 46; 안전차단밸브
47; 압력게이지 50; 열매체주입밸브
100; 히트파이프
본 발명은 온실과 하우스용뿐만이 아니라 주택난방을 위한 히트파이프에 관한것으로 특히, 히트파이프의 일측은 "U"자형의 하부마개로 용접하여 압력에 대한 강도를 높이고 타측은 체크밸브를 체결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열매체를 주입할 수 있는 간편하고 열효율이 높은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파이프란 파이프 일측단을 용접이나 압착로링 방식으로 밀봉한 후 파이프의 타측은 열매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개구된 상태로 밀봉하며, 이 개구된 주입구를 통하여 진공작업을 실시한 다음 그 내부에 열매체인 메탄올, 증류수 및 알코올을 투입하여 난방용 기구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히트파이프의 경우는, 종래에는 그 제작공정도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높아 주택난방용으로 쉽게 접목시키지 못하고 난방 용으로 개발하여 시중에 공급된 지 10년 이상 지난 현재에도 복잡한 제조공정 때문에 제작원가를 줄이지 못하여 고급주택 난방용으로만 분류되어 한정적으로 소비가 되고 있으며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의 단점은 모든 히트파이프 내부진공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니 파이프 내부의 진공상태가 몇 퍼센트(%)로 이루어져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고 파이프 내부에 주입된 열매체 양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두 가지 부분 모두 정확하지 않으며 일정하지 않은 이러한 상태에서 파이프를 밀봉처리하니 히트파이프 제조과정 중 불량품이 발생하여 히트파이프 생산성이 떨어지고 불량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발명은, 온실과 하우스용뿐만이 아니라 주택난방을 위한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트파이프의 일측은 "U"자형의 하부마개로 용접하여 압력에 대한 강도를 높이고 타측은 체크밸브를 체결하여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열매체를 주입할 수 있는 간편하고 열효율이 높은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파이프 일단부에 "U"자 형태의 하부마개로 막는 단계와; 제2단계: 상기 원통형의 파이프 타단에는 체크밸브를 용접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파이프 내의 공기를 빼는 진공작업의 단계와; 상기 진공화된 파이프를 주입테이블에 설치하고, 그 내부에 열매체 기화탱크부의 열매체주입밸브를 통해 열매체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열매체가 주 입된 히트파이프의 끝단인 즉, 체크밸브의 끝단을 마감마개로 덮어 체결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져 밀봉처리하는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체크밸브는, 일측이 지름이 적은 흡배기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관통공에서 흡배기관의 끝단까지 이어진 디스크핀과, 그 중간부분에 원형으로 돌출 성형되는 디스크판으로 이루어진 밸브판과; 상기 디스크판 배면과 밸브몸체의 내부 흡배기관 쪽에 결합된 실리콘링이; 상기 디스크판 전면부 디스크핀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의 결합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크핀의 끝단이 흡배기관의 외부로 돌출된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에 있어서, 원통형의 동이나 스텐 재질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체결된 "U"자형의 하부마개와; 상기 파이프의 타단에 용접하되, 일측이 지름이 적은 흡배기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관통공에서 흡배기관의 끝단까지 이어진 디스크핀과; 그 중간부분에 원형으로 돌출 성형되는 디스크판으로 이루어진 탄성스프링을 가진 밸브판이 결합된 체크밸브가; 파이프의 좌우 양단에 하부마개와 체크밸브가 용접결합된 히트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히트파이프란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조방법의 단순함과 열매체 주입 후 주입구를 용접을 통해 밀봉해야 만 하던 공정을 타파하고 체크밸브를 통해 열매체를 주입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그 내구성이 높고 열매체 투입량의 측정이 정확하며 동일 품질의 히트파이프를 생산할 수 있다는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럼 본 발명을 도시된 도 1 내지 5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은 제1단계: 원통형의 파이프(10) 일단부에 "U"자 형태의 하부마개(11)로 막는 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상기의 파이프(10)는 그 재질과 제조시 발생되는 수명, 내구성, 인장강도등을 감안하여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제조함이 바람직하지만, 동파이프의 경우도 괜찮다.
그러나 동파이프의 경우는 제작공정상 가공성은 좋지만, 작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휘어지는 굽힘 현상이 발생되고, 재재의 이동시 주의가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으며, 수분과 접촉시에는 스테인레스의 파이프와 비교하여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아무튼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100)를 제조하기 위한 파이프(10)는 좌우양단이 관통된 형태의 파이프(10)이며, 그 길이는 일정하지가 않다.
대체로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50cm-4m 정도의 길이이다.
또한 파이프(10)의 지름은 그 설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소지가 많지만, 약 10-30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된 도 1의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의 파이프(10) 일측단에는 "U"자 형태의 하부마개(11)가 용접 결합되는 것이 좋다.
즉, 이유는 만일 원판형의 하부마개(11)를 이용하여 파이프(10)에 용접 결합시킨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하부마개(11)는 "U"자형으로 용접된 상태이기에 내부에서 발생될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2단계: 상기 원통형의 파이프(10) 타단에는 체크밸브(20)를 용접 결합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파이프(10)의 다른 한쪽은 특별하게 고안하여 물체의 흐름이 한쪽 방향으로만 가능한 체크밸브(20)를 용접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체크밸브(20)는, 일측이 지름이 적은 흡배기관(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 밸브몸체(23)가 있고, 상기 관통공(22)에서 흡배기관(21)의 끝단까지 이어진 디스크핀(24)과, 그 중간 부분에 원형으로 돌출성형 되는 디스크판(25)으로 이루어진 밸브판(26)가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판(25) 배면과 밸브몸체(23)의 내부 흡배기관(21) 쪽에 결합된 실리콘링(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판(25) 전면부 디스크핀(24)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27)의 결합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크핀(24)의 끝단이 흡배기관(21)의 외부로 돌출되어 가압하면 공기가 통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체크밸브(20)는 상기 디스크핀(24)이 흡배기관(21)의 외부로 약간 노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핀(24)의 끝단을 누르게 되면, 상기 디스크핀(24)이 흡배 기관(2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그 디스크핀(24)에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판(25)은 상기 실리콘링(A)과 접촉이 떨어져 히트파이프(100) 내부와 외부가 서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이렇게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100)에 도시된 체크밸브(20)를 용접시킨 이유는, 종래 히트파이프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키고, 열매체를 투입하는 방식이 상당히 까다로웠기 때문이다.
즉, 개구부만을 남겨둔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그 내부에 열매체를 투입해야 하기에 그 작업이 상당히 어렵다.
물론 이렇게 열매체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용접하는 과정을 더욱 까다롭고, 고가의 장비 및 히트파이프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체크밸브(20)가 일측단에 체결된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100)는 상기 디스크핀(24)을 가압하는 방식만으로 히트파이프(100)의 내, 외부 간의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디스크핀(24)에 가압하였던 가압력을 풀게 되면 탄성스프핑(27)의 인장력에의해 다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아무튼 이렇듯 본 발명의 2단계는 파이프(10)의 좌우 측단에 하부마개(11)와 체크밸브(20)를 용접하여 히트파이프(100)를 구조적으로 완성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3단계: 상기 파이프(10) 내의 공기를 빼는 진공작업의 단계를 거친다.
즉,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트파이프(100) 내부의 공기를 빼는 진공작 업을 2가지의 형태로 수행할 수 있는데, 그 첫 번째 방법은 메탄올을 이용한 방법과 진공펌프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전자인 메탄올을 이용한 진공처리 방법은, 파이프(10) 내부에 0.5-3CC의 메탄올을 주입하고, 상기 히트파이프(100)의 체크밸브(20)가 상향된 약 30-60도 경사를 유지하며, 히트파이프(100) 하단을 가열하여 메탄올이 기화 팽창되며 내부의 공기를 체크밸브(20)를 통해 빼내는 방법이다.
즉, 이를 더욱 상세히 풀어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체크밸브(20)를 통해 메탄올을 히트파이프(100)의 내부에 충진시킨다.
이때 충진되는 메탄올의 양은 히트파이프(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지만, 대략 0.5-3CC의 메탄올을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렇게 메탄올이 충진된 히트파이프(100)의 하단을 가열하되, 상기 체크밸브(20)가 상향된 상태에서 가열해주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메탄올이 기화하며 팽창하게 되며, 그 팽창력이 히트파이프(100) 내부의 공기를 밀어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20)의 디스크핀(24)을 가압해주게 되면, 체크밸브(20)는 개방되고 내부의 공기와 메탄올이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진공펌프를 이용한 방식은 공지된 진공펌프관에 상기 히트파이프의 상단에 구성된 체크밸브(20) 부위를 넣고, 디스크핀(24)을 가압한 상태에서 그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단계를 거치고 난 후 제4단계: 상기 진공화된 파이프 (10)를 주입테이블(30)에 설치하고, 그 내부에 열매체 기화탱크부(40)의 열매체주입밸브(50)를 통해 열매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주입테이블(30)에 위치 확보된 히트파이프(100)의 내부에 열매체를 주입하되, 열매체 기화탱크부(40)의 열매체주입밸브(50)를 통해 적정 압력으로 투입하게 된다.
그러나 그에 대한 자세한 구성과 작용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4단계를 거친 후 본 발명은 제5단계: 상기 열매체가 주입된 히트파이프(100)의 끝단인 즉, 체크밸브(20)의 끝단을 마감마개(17)로 덮어 체결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져 밀봉처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즉, 도 1과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히트파이프(100)의 내부에 열매체가 충진되고 난 후, 상기 히트파이프(100)의 체크밸브(20)가 용접된 부위에 캡을 씌우는 것이다.
즉, 도시된 것처럼, 컵 형태의 마감마개(17)를 덮어 완전밀봉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감마개(17)는 용접을 통해 결합시켜도 무방하며, 억지 끼움의 형태로 마감하여도 무방하다.
그럼 전술된 공정에서 그 설명을 미뤄놓은 주입테이블(30)과 열매체 기화탱크부(40)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도시된 도 4에서처럼, 본 발명 상기 제4단계의 주입테이블(30)은, 4개의 다리가 구성된 평판형의 테이블(31)이 있고, 상기 테이블(31)의 일측단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그 중심부에 스크류공(32)이 형성된 고정판(33)과, 상기 스크류공(32)에 스크류 체결하고 일측단에는 회전손잡이(33')와 타단인 스크류(34) 끝단에 체결된 밀개판(35)이 형성된 히트파이프 고정구(36)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트파이프(100)를 고정구로 밀어 열매체주입밸브(50)로 가압한 상태에서 열매체를 주입하는 것이다.
즉, 상기 테이블(31)의 일측단에는 고정구(36)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고정구(36)의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판(33)을 관통한 스크류(34)가 있고 이 스크류(34)의 좌우 양단에는 밀개판(35)과 회전손잡이(33')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손잡이(33')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34)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이 되고, 그 회전에 의해 스크류(34)는 전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34)의 끝단에는 밀개판(35)이 형성되어 있기에 이 밀개판(35)이 상기 히트파이프(100)의 일측단 즉, "U"자형의 하부마개(11)를 가압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가압작용은 히트파이프(100)를 밀어 열매체 기화탱크부(40)의 열매체주입밸브(50)와 밀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주입밸브(50)를 개폐하는 작용에 의해 상기 히트파이프(100)의 내부에 열매체는 주입되게 된다.
그럼 다음으로 상기 제4단계의 열매체 기화탱크부(4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열매체를 채우고 그 하단에 전기히터(41)가 형성 된 통형의 열매체탱크(42)가 있고, 상기 열매체탱크(42)의 상단에 고정되는 압력게이지(43)와 압력제동센서(44)가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탱크(42)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는 액화 열매체 투입구(44')가 있고, 상기 열매체탱크(42)의 측단에 연결되어 주입테이블(30)의 상단까지 연결된 연결관(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45)에 부착된 안전차단밸브(46), 압력계이지(47)와 열매체주입밸브(50)가 있고, 상기 열매체주입밸브(50) 끝단에 형성된 주입관(미도시)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매체탱크(42) 내부의 열매체를 상기 연결관(45)과 열매체주입밸브(50)로 히트파이프(100)의 체크밸브(20)로 주입하는 것이다.
즉, 상기 열매체탱크(42)의 액화 열매체 투입구(44')를 통해 액상의 열매체를 충진시키고, 상기 충진된 열매체탱크(42)의 하단에 마련된 전기히터(41)를 가동한다.
이 전기히터(41)는 가온이 되어 상기 열매체탱크(42) 내부의 열매체를 기화시켜 부피를 팽창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열매체탱크(42) 내부의 기압이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센싱하는 압력제동센서(44')가 감지하고, 전기히터(41)를 off하는 방식으로 적당한 압력을 제어한다.
이렇듯 제어가 된 상태의 열매체는 상기 연결관(45)을 통해 끝단에 비치된 열매체주입밸브(50)로 나가게 되는데, 상기 연결관(45)에는 도시된 것처럼 안전차 단밸브(46)와 압력게이지(4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45)에 흐르는 열매체의 기압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는 만일 열매체탱크(42)의 압력게이지(43)가 고장이 난 경우에 확인을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면서도, 열매체탱크(42) 내부의 압력과 연결관(45) 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정확한 압력의 열매체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압력 상태하에서 상기 히트파이프(100) 내부로 들어가는 열매체의 량은 열매체주입밸브(50)의 개방시간을 측정함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히트파이프(100)의 경우 이러한 측정은 할 수 없었다.
한편 본 발명은 공지된 제조방법만이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공지된 다른 방법과, 전술된 1항 내지 6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히트파이프(100)도 그 청구의 대상이다.
그럼 이를 도 1 내지 3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면, 원통형의 동이나 스텐재질의 파이프(10)가 있고, 상기 파이프(10)의 일단에 체결된 "U"자형의 하부마개(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에 용접하되, 일측이 지름이 적은 흡배기관(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 밸브몸체(23)와; 상기 관통공(22)에서 흡배기관(21)의 끝단까지 이어진 디스크핀(24)과; 그 중간 부분에 원형으로 돌출 성형되는 디스크판(25)으로 이루어진 탄성스프링(27)을 가진 밸브판(26)이 결합된 체크밸브(20)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10)의 좌우 양단에 하부마개(11)와 체크밸브(20)가 용접 결합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형태의 히트파이프(100)는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내구성이 강하고, 내부에 충진되는 열매체의 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같은 조건에서 발생되는 히트파이프(100)의 열량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는 아주 중요한 점으로 종래의 히트파이프(100)가 충진되는 열매체의 투입량을 측정할 수 없어서 발생되는 각각의 히트파이프(100)의 열발산 정도의 차이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그 제조방법이 단순하되, 투입되는 열매체의 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기에 같은 성능의 히트파이프를 생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 같은 히트파이프라도 그 발산되는 열량이 규칙적이지 않은 히트파이프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는 일측단에 체크밸브를 형성하고 있어, 스스로 열매체가 팽창하여 새어나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열매체의 투입 및 진공상태를 위해 공기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간혹 히트파이프의 열매체가 새어나가거나, 진공상태가 유지되지 못한 처분해야할 히트파이프라도, 그 체크밸브를 통해 열매체를 재차 투입하고 진공상태를 조절할 수 있기에 수리 가능성이 크다.

Claims (7)

  1. 히트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원통형의 파이프(10) 일단부에 "U"자 형태의 하부마개(11)로 막는 단계와;
    제2단계: 상기 원통형의 파이프(10) 타단에는; 일측이 지름이 적은 흡배기관(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 밸브몸체(23)와; 상기 관통공(22)에서 흡배기관(21)의 끝단까지 이어지고 탄성스프링(27)이 끼워진 디스크핀(24)과 그 중간부분에 원형으로 돌출성형되는 디스크판(25)으로 이루어진 밸브판(26)과; 상기 디스크판(25) 배면과 밸브몸체(23)의 내부 흡배기관(21) 쪽에 결합된 실리콘링(A)으로 결합구성된 체크밸브(20)를 용접 결합하는 단계와;
    제3단계: 상기 파이프(10) 내의 공기를 파이프(10) 내부에 0.5-3CC의 메탄올을 주입하고, 상기 히트파이프(100)의 체크밸브(20)가 상향된 약 30-60도 경사를 유지하며, 히트파이프(100) 하단을 가열하여 메탄올이 기화 팽창되며 내부의 공기를 체크밸브(20)를 통해 빼내는 메탄올을 이용한 진공처리 방법이나 또는 진공장치를 통해 히트파이프(100) 내부의 공기를 빼는 진공처리 방법이 사용되는 단계와;
    제4단계: 상기 진공화된 파이프(10)를 주입테이블(30)에 설치하고, 그 내부에 열매체 기화탱크부(40)의 열매체주입밸브(50)를 통해 열매체를 주입하는 단계와;
    제5단계: 상기 열매체가 주입된 히트파이프(100)의 끝단인 즉, 체크밸브(20)의 끝단을 마감마개(17)로 덮어 체결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져 밀봉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주입테이블(30)은,
    4개의 다리가 구성된 평판형의 테이블(31)과;
    상기 테이블(31)의 일측단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그 중심부에 스크류공(32)이 형성된 고정판(33)과, 상기 스크류공(32)에 스크류 체결하고 일측단에는 회전손잡이(33')와 타단인 스크류(34) 끝단에 체결된 밀개판(35)이 형성된 히트파이프 고정구(36)로 이루어져 히트파이프(100)를 밀어 열매체주입밸브(50)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열매체 기화탱크부(40)는,
    열매체를 채우고 그 하단에 전기히터(41)가 형성된 통형의 열매체탱크(42)와;
    상기 열매체탱크(42)의 상단에 고정되는 압력게이지(43)와 압력제동센서(44);
    상기 열매체탱크(42)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는 액화 열매체 투입구(44')와;
    상기 열매체탱크(42)의 측단에 연결되어 주입테이블(30)의 상단까지 연결된 연결관(45)과;
    상기 연결관(45)에 부착된 안전차단밸브(46), 압력계이지(47)와 열매체주입밸브(50);
    상기 열매체주입밸브(50) 끝단에 형성된 주입관(미도시)이;
    상기 열매체탱크(42) 내부의 열매체를 상기 연결관(45)과 열매체주입밸브 (50)로 히트파이프(100)의 체크밸브(20)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7. 히트파이프에 있어서,
    원통형의 동이나 스텐재질의 파이프(10)와;
    상기 파이프(10)의 일단에 체결된 "U"자형의 하부마개(11)와;
    상기 파이프(10)의 타단에 용접하되, 일측이 지름이 적은 흡배기관(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 밸브몸체(23)와; 상기 관통공(22)에서 흡배기관(21)의 끝단까지 이어진 디스크핀(24)과; 그 중간부분에 원형으로 돌출 성형되는 디스크판(25)으로 이루어진 탄성스프링(27)을 가진 밸브판(26)이 결합된 체크밸브(20)가; 결합하되, 상기 파이프(10)의 좌우 양단에 하부마개(11)와 체크밸브(20)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체크밸브(20)의 흡배기관(21) 끝단에는 마감마개(17)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KR1020050094885A 2005-10-10 2005-10-10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 KR10068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885A KR100687541B1 (ko) 2005-10-10 2005-10-10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885A KR100687541B1 (ko) 2005-10-10 2005-10-10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41U Division KR200416196Y1 (ko) 2005-10-10 2005-10-10 히트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541B1 true KR100687541B1 (ko) 2007-03-02

Family

ID=3810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885A KR100687541B1 (ko) 2005-10-10 2005-10-10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5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23B1 (ko) * 2010-03-16 2012-03-27 김영남 히트 파이프 난방장치
KR101168582B1 (ko) * 2011-02-10 2012-07-25 이아론 히트 파이프의 진공 형성 장치
KR101184050B1 (ko) 2011-02-10 2012-09-18 이아론 히트 파이프의 진공 형성 장치
CN105066752A (zh) * 2015-07-22 2015-11-18 宁波铭扬不锈钢管业有限公司 不锈钢导热管及其制造方法和用途
KR20170001107A (ko) 2015-06-25 2017-01-04 김상호 히트파이프의 제조방법과 그 히트 파이프
KR101918896B1 (ko) * 2018-05-28 2018-11-14 주식회사 지아체시스템즈 배전반용 소화기
CN111397411A (zh) * 2020-02-28 2020-07-10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航天器用圆柱型防逆流环路热管毛细泵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25A (ko) * 1999-11-29 2000-02-07 임화준 진공 및 작동물질 주입밸브장치가 설치된 히트파이프, 열교환기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0014022A (ko) * 2002-08-09 2004-02-14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히트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25A (ko) * 1999-11-29 2000-02-07 임화준 진공 및 작동물질 주입밸브장치가 설치된 히트파이프, 열교환기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0014022A (ko) * 2002-08-09 2004-02-14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히트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23B1 (ko) * 2010-03-16 2012-03-27 김영남 히트 파이프 난방장치
KR101168582B1 (ko) * 2011-02-10 2012-07-25 이아론 히트 파이프의 진공 형성 장치
KR101184050B1 (ko) 2011-02-10 2012-09-18 이아론 히트 파이프의 진공 형성 장치
KR20170001107A (ko) 2015-06-25 2017-01-04 김상호 히트파이프의 제조방법과 그 히트 파이프
CN105066752A (zh) * 2015-07-22 2015-11-18 宁波铭扬不锈钢管业有限公司 不锈钢导热管及其制造方法和用途
KR101918896B1 (ko) * 2018-05-28 2018-11-14 주식회사 지아체시스템즈 배전반용 소화기
CN111397411A (zh) * 2020-02-28 2020-07-10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航天器用圆柱型防逆流环路热管毛细泵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541B1 (ko) 히트파이프 제조방법과 그 히트파이프
WO2017166695A1 (zh) 血气分析仪
JP6060247B2 (ja) シール・ポンプアップ装置構造
FR2946428A1 (fr) Test d&#39;etancheite d&#39;un reservoir multi-membrane
TW201928242A (zh) 液體注射裝置及其製造方法
CN202372338U (zh) 一种呼吸阀校验台
US7552643B2 (en) Device and system for corrosion detection
CN103201581A (zh) 用于制造热管的方法及设备
KR200416196Y1 (ko) 히트파이프
CN103868381A (zh) 热管及热管组件的制造方法
KR100429773B1 (ko) 압력게이지 및 센서프로텍터의 압력 전달액 충진장치와이를 이용한 충진방법 및 니플이 구비된 다이아프램 하우징
EP1798324B2 (fr) sèche-linge comprennant un réservoir de liquide
CN112213045A (zh) 换热器单管氦检漏充氦装置及检测方法
CN106932284B (zh) 一种接触面大变形剪切渗流试验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898564B1 (ko) 히트파이프 및 이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방열기
KR20130046466A (ko) 누수시험용 배관 마개
JP5345251B2 (ja) 逆止弁の機能を有する測定ニードル
CN204202805U (zh) 一种与加热器密封连接的测量装置及用于连接压力或温度测量仪与加热装置的连接系统
KR20100100357A (ko) 히트파이프 및 그 제조장치
CN113092023A (zh) 一种专用于超细长管气密性检测装置
CN217762241U (zh) 一种球阀自闭阀
CN201273785Y (zh) 一种能准确测量管壁温度的热管
WO2019109287A1 (zh) 一种水密性测试装置
CN220452786U (zh) 一种高压高温三通气闸阀
CN220170669U (zh) 一种挥发性有机物标准吸附管的制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