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399B1 -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399B1
KR100687399B1 KR1020050093293A KR20050093293A KR100687399B1 KR 100687399 B1 KR100687399 B1 KR 100687399B1 KR 1020050093293 A KR1020050093293 A KR 1020050093293A KR 20050093293 A KR20050093293 A KR 20050093293A KR 100687399 B1 KR100687399 B1 KR 10068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cm
gas
memory device
nand flash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9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를 형성한 후, 재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측벽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간에 공간이 생기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을 증착하여 유전율이 1인 진공-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채널 상부는 오픈 되지 않고, 상기 유전체막 상부만 식각되도록 식각하여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 전체 구조 상부에 SAC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유전율을 낮출 수 있다.
유전율, 진공-채널, PECVD, interference coupling ratio

Description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Nand flash memor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선 A-A를 절취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선 B-B를 절취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리콘 산화막 스페이서 및 실리콘 질화막 스페이서에 대하여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의 스페이스 치수에 따른 플로팅 게이트 간섭 커플링비(floating-gate interference coupling ratio)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02 : 제1 폴리실리콘막
104 : 제1 유전체막 106 : 제2 폴리실리콘막
108 : 텅스텐실리사이드막 110 : 실리콘산화질화막
112 : 게이트 114 : 산화막
116 : 제2 유전체막 118 : 스페이서
120 : SAC 질화막
본 발명은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채널(vacuum-channel)을 형성하여 유전율을 낮추기 위한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은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디자인 룰에 따라 최소 선폭이 좁아지고, 메모리 셀 어레이 간의 스페이스가 좁아져 인접한 메모리 셀 간의 간섭 캐패시턴스(interference capacitance)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1개의 셀에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MLC(multi-level cell)의 경우는 셀 간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줄여서 Vt 분포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대해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도이다.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필드 영역(1)에 의해 분리되는 다수의 셀 액티브 패턴(2)과, 셀 액티브 패턴(2) 상부에 셀 액티브 패턴(2)과 직교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 되도록 반복하는 다수의 워드 라인(WL)을 포함한다. 첫번째 워드 라인(WL1) 바깥쪽에 드레인 선택 라인(Drain Select Line; DSL)이 배치되고, n번째 워드 라인(WLn) 바 깥쪽에 소오스 선택 라인(Source Select Line; SSL)이 배치된다. DSL 사이의 셀 액티브 패턴(2) 상부에 드레인 콘택(Drain Contact; DC)이 형성된다.
도 2a는 도 1의 선 A-A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P웰 타입의 반도체 기판(3) 내에 소자분리막(4)을 형성한다. 소자분리막(4)과 소자분리막(4) 사이의 영역은 도 1의 액티브 영역(2)과 대응하고, 소자분리막(4) 영역은 도 1의 필드 영역 (1)과 대응한다. 전체 구조 상부에 터널 산화막(5) 및 플로팅 게이트(6)를 형성한 후, 플로팅 게이트(6) 상부에 유전체막(7) 및 컨트롤 게이트인 워드 라인(8)을 형성한다. 워드 라인(8) 상부에 층간 절연막(9)을 증착하고, 층간 절연막(9)의 일부를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이를 매립하여 비트 라인(10)을 형성한다.
도 2b는 도 1의 선 B-B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P웰 타입의 반도체 기판(3) 상부에 터널 산화막(5), 플로팅 게이트(6), 유전체막(7) 및 컨트롤 게이트인 워드 라인(8)을 형성한다. 이온 주입하여 반도체 기판(3) 내에 n+ 접합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막(9)을 형성한다. 전체 구조 상부에 비트 라인(10)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섭 캐패시턴스의 증가로 인해 메모리 셀 간의 문턱 전압(Vt) 쉬프트 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할 때 RC 지연이 발생되고 그로 인해 프로그램 또는 독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산화막이나 질화막으로 좁은 워드 라인(WL) 간을 매립할 경우 메모리 셀의 간섭을 피할 수 없으며, 기존에 백-앤드 (back-end) 배선에 적용중인 SiOC등의 저유전율(Low-k)들을 갖는 재료들은 열안정성과 갭필(gap-fill) 특성이 좋지 않으므로 기존의 스페이서 유전체막을 대체하기 힘들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에 유전율이 1인 진공-채널을 형성하여 유전율을 낮추기 위한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를 형성한 후, 재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측벽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간에 공간이 생기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을 증착하여 유전율이 1인 진공-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채널 상부는 오픈 되지 않고, 상기 유전체막 상부만 식각되도록 식각하여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 전체 구조 상부에 SAC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 명하기 위해 나타낸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제1 폴리실리콘막(102), 제1 유전체막(104), 제2 폴리실리콘막(106), 텅스텐실리사이드막(108) 및 실리콘산화질화막(110)으로 이루어진 게이트(112)를 형성한 후, 재산화 공정(re-oxidation)을 실시하여 게이트(112) 측벽에 산화막(114)을 형성한다. 제1 유전체막(104)은 ONO막으로 형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112)와 게이트(112)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생기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제2 유전체막(116)을 증착하여 유전율이 1인 진공-채널(V)을 형성한다. 이때, PECVD 방식을 이용한 제2 유전체막(116)은 질화막, 산화막 또는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를 사용한다. PECVD 방식을 이용한 질화막은 200W 내지 1000W의 HF(High-Frequency) 파워, 200W 내지 1000W의 LF(Low-Frequency) 파워, 1torr 내지 10torr의 챔버 압력, 100sccm 내지 1000sccm의 SiH4 가스, 1000sccm 내지 10000sccm의 N2 가스, 100sccm 내지 1000sccm의 NH3 가스를 이용한다. PECVD 방식을 이용한 산화막은 200W 내지 1000W의 HF 파워, 200W 내지 1000W의 LF 파워, 1torr 내지 10torr의 챔버 압력, 100sccm 내지 500sccm의 SiH4 가스, 500sccm 내지 5000sccm의 N2O 가스를 이용한다. PECVD 방식을 이용한 옥시나이트라이드는 200W 내지 1000W의 HF 파워, 200W 내지 1000W의 LF 파워, 1torr 내지 10torr의 챔버 압력, 100sccm 내지 500sccm의 SiH4 가스, 500sccm 내지 5000sccm의 N2O 가스, 100sccm 내지 500sccm의 NH3 가스, 1000sccm 내지 10000sccm의 N2 가스를 이용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2 유전체막(116)을 식각하여 스페이서(118)를 형성한다. 제2 유전체막(116) 식각시 진공-채널 상부는 오픈 되지 않고, 제2 유전체막(116) 상부의 일부만 식각 된다. 전체 구조 상부에 SAC 질화막(120)을 증착한다.
도 4는 산화막 스페이서 및 질화막 스페이서에 대하여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의 스페이스 치수에 따른 플로팅 게이트 간섭 커플링비(floating-gate interference coupling ratio)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는 산화막의 두께가 140nm, 180nm, 240nm, 300nm일 때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질화막의 두께가 140nm, 180nm, 240nm, 300nm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c는 산화막 스페이서 및 질화막 스페이서에 대하여 플로팅 게이트의 높이에 따른 플로팅 게이트 간섭 커플링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d는 질화막을, e는 산화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에 유전율이 1인 진공-채널을 형성하여 유전율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이펙티브(effective)한 k(유전율)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keff = kvac × Avac + kspacer(1 - Aair)
kvac는 값이 1인 진공의 유전율을 나타내고, kspacer는 스페이서의 유전율을 나타내며, 산화막일 때는 4, 질화막일 때는 7을 가진다. Avac는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의 갭(gap)에서 진공이 차지하는 면적율을 나타낸다. 도 4의 b와 같이 PECVD 질화막을 적용할 경우 Avac 및 Aair가 80%라고 하면, keff의 값은 2.2로 기존 keff의 값인 3.2에 비해 70% 정도 줄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에 유전율이 1인 진공-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MLC 낸드 플래쉬에 진공-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워드 라인 간의 간섭 캐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Claims (9)

  1. 일방향으로 다수개의 소자 분리막이 형성되고, 상기 소자 분리막과 교차하도록 다수의 드레인 선택 라인 및 다수의 소오스 선택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선택 라인 및 상기 소오스 선택 라인 사이에 다수의 워드 라인들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워드 라인들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빈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유전체막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선택 라인의 마주보는 측벽과 상기 소오스 선택 라인의 마주보는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체막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SAC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은 질화막, 산화막 또는 옥시나이트라이드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은 200W 내지 1000W의 파워, 1torr 내지 10torr의 챔버 압력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은 100sccm 내지 1000sccm의 SiH4 가스, 1000sccm 내지 10000sccm의 N2 가스 및 100sccm 내지 1000sccm의 NH3 가스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200W 내지 1000W의 파워, 1torr 내지 10torr의 챔버 압력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100sccm 내지 500sccm의 SiH4 가스 및 500sccm 내지 5000sccm의 N2O 가스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는 200W 내지 1000W의 파워, 1torr 내지 10torr의 챔버 압력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는 100sccm 내지 500sccm의 SiH4 가스, 500sccm 내지 5000sccm의 N2O 가스, 100sccm 내지 500sccm의 NH3 가스 및 1000sccm 내지 10000sccm의 N2 가스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은 PECVD 또는 CVD 방식으로 증착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093293A 2005-10-05 2005-10-05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8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293A KR100687399B1 (ko) 2005-10-05 2005-10-05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293A KR100687399B1 (ko) 2005-10-05 2005-10-05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399B1 true KR100687399B1 (ko) 2007-02-26

Family

ID=3810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293A KR100687399B1 (ko) 2005-10-05 2005-10-05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6804B2 (en) 2012-03-30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공보 제2004/0232496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6804B2 (en) 2012-03-30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1779B1 (ko) 2012-03-30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8149B2 (en) Non-volatile memory with flat cell structures and air gap isolation
US8492224B2 (en) Metal control gate structures and air gap isolation in non-volatile memory
US866917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US7910430B2 (en) NAN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583302B1 (en) Non-volatile memory comprising bit line air gaps and word line air gaps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US9123714B2 (en) Metal layer air gap formation
US20110303967A1 (en) Non-Volatile Memory With Air Gaps
KR100632634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92943A1 (en) Air gap isolation in non-volatile memory using sacrificial films
WO201209715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ir gap isolation in high-density non-volatile memory
US9230971B2 (en) NAND string containing self-aligned control gate sidewall cladding
US1077765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87399B1 (ko)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09437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602005B2 (en) Memory devices including spacer-shaped electrodes on pedest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067374B2 (en) Manufacturing methods and structures of memory device
US20080123433A1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838421B2 (en) Method of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20084473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105A (ko) 낸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13933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20050153511A1 (en) Methods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KR20070000598A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69128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90036977A (ko) 플래시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