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043B1 -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043B1
KR100687043B1 KR1020000027711A KR20000027711A KR100687043B1 KR 100687043 B1 KR100687043 B1 KR 100687043B1 KR 1020000027711 A KR1020000027711 A KR 1020000027711A KR 20000027711 A KR20000027711 A KR 20000027711A KR 100687043 B1 KR100687043 B1 KR 10068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signal
diffraction grating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762A (ko
Inventor
윤경모
채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0002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043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분기 및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는 광 역다중화기에서 분리된 채널의 신호를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를 이용하여 통과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드롭 단자에 반사시키거나 통과시키고,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에서 드롭 단자에 반사된 채널의 신호는 애드 단자를 통하여 제공되는 동일 채널의 다른 신호로서 대체하여 광 다중화기에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를 이용하여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광 신호를 고속으로 분기 및 결합 시킬 수 있으며, 특히 광 섬유 회절 격자는 광 스위치 소자에 비하여 저렴함으로써 경제성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Reconfiguable Optical Add Drop Multiplex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의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결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광 증폭기 10 :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
11 : 광 역다중화기 12 : 광 결합기
13 :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
본 발명은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를 이용하여 구성한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나 장거리 국간에 파장 분할 다중화 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트래픽 량의 변화에 따라 네트워크 구조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가 필요하다.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를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신호의 전달 통로를 변경하여 채널간의 분기 및 결합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은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속도가 낮아 고속의 분기, 결합이 불가능하며, 특히 스위치 소자의 단가가 높아 경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를 이용함으로써 고속의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중화된 다수 채널의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광 역다중화기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중심 파장을 달리하며, 중심 파장과 동일한 파장의 신호를 반사시키고, 중심 파장과 상이한 파장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채널 수와 동일한 개수의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와; 광 역다중화기의 분리된 채널의 신호를 광 섬유 회절 격자에 제공하며, 광 섬유 회절 격자로부터의 신호를 드롭단으로 분기시키는 채널 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 1 광 결합기들과;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 및 애드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는 채널 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 2 광 결합기들과; 제 2 광 결합기들로부터 제공되는 채널들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광 다중화기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블록도에서 부호(1)는 광 증폭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광 증폭기(1)에는 파장(λ1, λ2, λ3, ...λn)별로 형성되는 WDM 채널 신호들이 제공되며, 광 증폭기(1)는 파장(λ1, λ2, λ3, ...λn) 즉, 채널별로 제공되는 광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10)에서 발생되는 광 손실을 보상한다. 즉, 광 증폭기(1)는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10)내에 구성되는 광 소자 내에서의 광 손실을 보상함으로써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10)내에서 분기되는 채널(λ1, λ2, λ3, ...)의 신호가 드롭(drop)단의 수신 감도를 만족시키도록 하며,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10)를 통과하는 채널(λ1, λ2, λ3, ...λn)의 신호가 광 증폭기(1)를 포화시킬 수 있도록 채널(λ1, λ2, λ3, ...λn)의 신호를 증폭하여야 한다.
광 증폭기(1)에서 증폭된 채널(λ1, λ2, λ3, ...)내의 신호들은 본 발명의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10)내의 광 역다중화기(11)에 제공되며, 광 역다중화기(11)는 광 증폭기(1)로부터의 신호를 채널(λ1, λ2, λ3, ...λn)별로 분리하여 광 결합기(12-1∼12-n)에 각각 제공한다. 여기서, 광 결합기(12-1∼12-n)는 광 역다중화기(11)로부터의 채널(λ1, λ2, λ3, ...λn)별 신호를 입력하여 광 섬유 격자(13-1∼13-n)에 제공하며, 광 섬유 격자(13-1∼13-n)로부터의 광 신호를 입력하여 드롭(drop)(D1-Dn)단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역다중화기(11)로부터의 채널(λ1, λ2, λ3, ...λn) 별 신호는 광 결합기(12-1∼12-n)를 통하여 광 섬유 격자(13-1∼13-n)에 제공되며, 광 섬유 격자(13-1∼13-n)는 제어 전압에 따라 중심 파장을 달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변 광 섬유 격자(13-1∼13-n)는 피에조를 이용하면 간단히 구현할 수 있음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광 섬유 격자(13-1∼13-n)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결합기(14-1∼14-n)가 연결되어 있으며, 광 결합기(14-1∼14-n)는 광 섬유 회절 격자(13-1∼13-n) 및/또는 애드(add) 단자(A1∼An)로부터 광 신호를 광 다중화기(15)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애드 단자(A1∼An)에는 광 섬유 회절 격자(13-1∼13-n)로부터의 광 결합기(14-1∼14-n)에 제공되는 신호의 채널(λ1, λ2, λ3, ...λn)과 동일한 채널을 갖는 신호가 제공되어야 함은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10)는 광 증폭기(1)로부터의 채널(λ1, λ2, λ3, ...λn)별 신호들을 선택하여 분기시키고, 분기된 채널(λ1, λ2, λ3, ...λn)의 신호를 다른 신호로 대체시켜 광 증폭기(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면 예컨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13-1∼13-n 도 2의 예에서는 13-1)의 중심 주파수가 광 결합기(12-1∼12-n : 도 2의 예에서는 12-1 )와 상이한 중심 채널(λ1+Δλ)를 갖도록 하는 제어 전압이 광 섬유 회절 격자(13-1)에 제공되면, 광 섬유 회절 격자(13-1)는 광 결합기(12-1)로부터의 채널(λ1) 신호를 통과시켜 광 결합기(14- 1)에 제공함으로써 채널(λ1)의 신호는 광 다중화기(15)에 제공된다. 이때에는 애드 단자(A1∼An)에 별도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한편, 광 증폭기(1)로부터의 채널(λ1)의 신호를 드롭 단자(D1∼Dn)로 분기시키고, 채널(λ1)은 동일 파장의 다른 신호로 대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광 섬유 격자(13-1)에 제어 전압을 인가하여, 광 섬유 격자(13-1)의 중심 파장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λ1)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광 섬유 격자(13-1)의 중심 파장이 λ1으로 설정되면 광 섬유 격자(13-1)는 광 결합기(12-1)로부터의 채널(λ1) 신호를 반사시켜, 드롭단(D1)으로 제공한다. 즉, 광 증폭기(1)의 채널(λ1) 신호는 드롭단(D1∼Dn)으로 분기되는 것이다.
이때, 애드 단자(A1)로부터 채널(λ1)의 신호가 제공되면, 애드 단자(A1)의 신호는 광 결합기(14-1)를 통하여 광 다중화기(15)를 통하여 다른 채널(λ2, λ3, ...λn)와 함께 다중화되어 다음 노드로 제공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채널(λ1)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채널(λ2, λ3, ...λn)의 신호 역시 동일하게 분기 및 결합을 제어할 수 있음은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를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광 신호를 고속으로 분기 및 결합 시킬 수 있으며, 특히 광 섬유 회절 격자는 광 스위치 소자에 비하여 저렴함으로써 경제성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에 있어서,
    다중화된 다수 채널의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광 역다중화기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중심 파장을 달리하며, 상기 중심 파장과 동일한 파장의 신호를 반사시키고, 상기 중심 파장과 상이한 파장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상기 채널 수와 동일한 개수의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와;
    상기 광 역다중화기의 분리된 채널의 신호를 상기 광 섬유 회절 격자에 제공하며, 상기 광 섬유 회절 격자로부터의 신호를 드롭단으로 분기시키는 상기 채널 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 1 광 결합기들과;
    상기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 및 그 가변 광 섬유 회절 격자로부터 제공되는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갖는 신호를 제공하는 애드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채널 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 2 광 결합기들과;
    상기 제 2 광 결합기들로부터 제공되는 채널들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광 다중화기를 구비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 장치.
  2. 삭제
KR1020000027711A 2000-05-23 2000-05-23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KR10068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11A KR100687043B1 (ko) 2000-05-23 2000-05-23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11A KR100687043B1 (ko) 2000-05-23 2000-05-23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62A KR20010106762A (ko) 2001-12-07
KR100687043B1 true KR100687043B1 (ko) 2007-02-26

Family

ID=1966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11A KR100687043B1 (ko) 2000-05-23 2000-05-23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0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6569A (ja) * 1994-07-27 1996-0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周波数チャネル選択フィルタ
US5504827A (en) * 1993-08-06 1996-04-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grammable optical filter and optical circuit arrangement
US5627927A (en) * 1992-10-20 1997-05-06 Mcdonnell Douglas Aerospace West Fiber with multiple overlapping gratings
KR19990045480A (ko) * 1997-11-21 1999-06-25 디. 크레이그 노룬드 광학 선택기, 역다중화기에서의 광 반송파격리 방법 및 파장분할 다중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927A (en) * 1992-10-20 1997-05-06 Mcdonnell Douglas Aerospace West Fiber with multiple overlapping gratings
US5504827A (en) * 1993-08-06 1996-04-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grammable optical filter and optical circuit arrangement
JPH0846569A (ja) * 1994-07-27 1996-0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周波数チャネル選択フィルタ
KR19990045480A (ko) * 1997-11-21 1999-06-25 디. 크레이그 노룬드 광학 선택기, 역다중화기에서의 광 반송파격리 방법 및 파장분할 다중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62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237B2 (ja) 波長変換装置を用いた波長分割多重伝送方法
US5771112A (en) Reconfigurable device for insertion-extraction of wavelengths
JP5467323B2 (ja) 光パスネットワークの光終端装置
US6333800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d light
JP2001112034A (ja) クロス接続交換機及びその実現方法
JP2977024B2 (ja) 波長多重通信用光回路及びこれを含む光伝送通信システム
KR20030065487A (ko) 양방향 광분기 결합기를 갖는 양방향 wdm 광 통신 시스템
US20020015551A1 (en) Optical switch network, optical cross connecting device, and optical add/drop multiplexer
KR100422372B1 (ko) 채널 확장된 파장분할 다중기/역다중기 및 이를 이용한 파장 채널 선택기
US6690853B1 (en) Tunable DWDM demultiplexer
US6516112B1 (en) Optical wavelength filter and demultiplexer
KR100474695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US6859576B2 (en) Optical cross-connect system
JPS60172841A (ja) 光スイツチ
EP1203261A1 (en) Wavelength selective device and switch and method thereby
KR100323058B1 (ko) 광 신호 추가 및 추출 장치
KR100687043B1 (ko) 재구성이 가능한 광 분기 및 결합장치
JP2000224108A (ja) 波長分割多重合分波装置
US6587616B1 (en) Tuneable optical filter
JPH11109147A (ja) アレイ導波路格子素子
JP2658114B2 (ja) 波長変換スイッチ
EP1096713A2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KR100547780B1 (ko) 순환기와 반사기를 이용한 광 분기/결합기
JP2004045813A (ja) 光分岐挿入装置
KR100393493B1 (ko) 스위칭 가능한 거울을 이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