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853B1 - 캔형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캔형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853B1
KR100686853B1 KR1020050104493A KR20050104493A KR100686853B1 KR 100686853 B1 KR100686853 B1 KR 100686853B1 KR 1020050104493 A KR1020050104493 A KR 1020050104493A KR 20050104493 A KR20050104493 A KR 20050104493A KR 100686853 B1 KR100686853 B1 KR 10068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late
cap
plate
open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성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용기가 되는 캔과 캡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유효공간 증가에 따른 고용량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캡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용접을 함으로써 캡 플레이트의 안전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여 용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캔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형 이차전지는 두 전극, 세퍼레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금속 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인입구가 되는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 조립체에는 하면에 상기 캔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캔 개구부를 덥는 캡 플레이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캔형 이차 전지 {Can type rechargeable battery}
도1은 종래의 캔형 이차 전지의 일 예로써 리튬 이온 각형 이차 전지의 베어 셀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캔 개구부와 캡 조립체 사이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종래기술예들에 대한 정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4는 도2의 캡 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이차 전지의 베어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부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5의 캔 개구부와 캡 조립체 사이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1,311,511: 캔 12, 512: 전극 조립체
13, 513: 양극판 14, 514: 세퍼레이터
15, 515: 음극판 16, 516: 양극 탭
17, 517: 음극 탭 18, 518: 절연 테이프
110,210,310,610: 캡 플레이트 118, 218, 318, 618: 안전변
112, 612: 전해액 주입구 120, 620: 가스켓
130, 230, 330, 630: 전극 단자 140, 240, 340, 640: 절연 플레이트
150, 250, 350, 650: 단자 플레이트 190, 690:절연 케이스
191, 691: 음극탭용 홀 192, 692: 전해액 통과공
160, 260, 360, 660: 마개 212, 312, 412: 용접부
본 발명은 캔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조립체의 용기가 되는 캔과 캡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유효공간 증가에 따른 고용량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캡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용접을 함으로써 캡 플레이트의 안전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캔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하여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 개발되고 사용되는 것 가운데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있다.
이들 이차 전지에서 베어셀(Bare Cell)의 대부분은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를 통상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캔에 수납하고, 캔을 캡 조립체로 마감한 뒤, 캔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캔은 철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게 되면 알루미늄의 가벼운 속성으로 전지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전압하에서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부식되지 않는 등 유리한 점이 있다.
밀봉된 이차 전지 단위 셀의 전극 단자는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멀 퓨즈(thermal fuse) 및 보호회로 기판(PCM: Protective Circuit Module) 등의 안전장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전장치들은 양극과 음극에 연결되어 전지의 고온 상승이나, 과도한 충방전 등으로 전지의 전압이 급상승하는 경우 전류를 차단해 전지의 파열 등 위험을 방지하게 한다.
안전장치와 단위 셀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별도의 팩에 수납되거나, 용융된 수지로 사이 공간이 채워지고 피복되어 팩 전지를 이룬다.
도1은 종래의 캔형 이차 전지의 일 예로써 리튬 이온 각형 이차 전지의 베어 셀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베어 셀 전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면, 베어 셀 상태의 각형 리튬 이온 전지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각형 캔(11)과, 이 캔(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12)와, 캔(11)의 개방된 상단과 결합하여 캔 상단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극 조립체(12)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양극판(13), 세퍼레이터(14), 음극판(15)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양극판(13)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의 영역에 양극 탭(1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음극판(15)에도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의 영역에 음극 탭(17)이 접속되어 있다.
양극판(13) 및 음극판(15)과, 탭들(16,17)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탭들(16,17)이 전극 조립체(12)로부터 인출되는 경계부에는 탭과 두 전극판(13,15)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18)가 각각 감겨질 수 있다.
세퍼레이터(14)는 양극판 및 음극판(13)(15)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캔(11)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캔(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전극 조립체(12)가 수용되어 캔(11)은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의 용기 역할을 하게 된다. 캔(11)은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캡 조립체에는 캔(11)의 개방된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의 캡 플레이트(110)가 마련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는 전극 단자(1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단자용 통공이 형성된다. 캡 플레이트(1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전극 단자(130)와 캡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120)이 설치된다.
캡 플레이트(110) 하면에 절연 플레이트(140)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플레이트(140)의 아랫면에는 단자 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있다. 전극 단자(130)의 저면부는 단자 플레이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110) 하면에는 양극판(13)으로부터 인출된 양극 탭(16)이 용접되어 있으며, 전극 단자(130)의 하단부에는 음극판(15)으로부터 인출된 음극 탭 (17)이 사행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용접된다.
한편, 전극 조립체(12)의 상면에는 전극 조립체(12)와 캡 조립체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극 조립체(12)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절연 케이스(190)가 설치된다. 절연 케이스(190)는 절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가령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케이스(190)의 중앙부에는 음극 탭(17)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음극탭용 홀(191)이 형성되고, 다른 측방에는 전해액 통과공(192)이 형성되어 있다. 전해액 통과공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캡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이차전지 내부의 기체의 방출에 의해 생성된 내부압력을 해소하도록 안전구조물인 안전변(118)이 형성된다. 캡 플레이트(110)의 타측에는 전해액 주입구(112)가 형성되며, 전해액이 주입된 다음에 전해액 주입구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마개(160)가 설치된다. 마개(160)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함유 금속으로 만든 볼형 모재를 전해액 주입구(112) 위에 놓고 기계적으로 전해액 주입구(112)로 압입하여 형성한다. 밀봉을 위해 마개(160)는 전해액 주입구(112) 주변에서 캡 플레이트(110)에 용접된다. 캡 조립체는 캡 플레이트(110) 주변부를 캔(11) 개구부 측벽에 용접하여 캔에 결합된다. 캡 플레이트(110)의 형태에 따라 캔(11)과의 용접이 캡 플레이트(110)의 상부 또는 측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캔(11)과 캡 플레이트(110)의 용접이 캡 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경우를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나타낼 것이다.
도2 및 도3은 캔 개구부와 캡 조립체 사이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기술예들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단, 용접부나 틈의 크기는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 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캔(211) 개구부 내면에 캡 조립체의 캡 플레이트(210)가 삽입된 상태로 그 경계면에서 용접부(212)가 형성된다. 이런 형태는 캔(211)의 개구부에 캡 플레이트(210)가 일단 끼워진 상태로 위쪽에서 가령 레이저 용접기가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위를 이동시켜 가면서 용접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단 내부에 단차를 가진 캔(311)의 개구부 내면에 캡 플레이트(310)가 삽입된 상태로 그 경계면에서 용접부(312)가 형성된다. 용접부(312)도 도 2의 용접부(212)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용접기를 이용해 위쪽에서 용접될 수 있다.
도4는 도2의 캡 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플레이트(210)는 전해액 주입구(212), 전극단자(230)와 안전변(218)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 플레이트(210)는 캔과의 결합시 캡 플레이트(210)의 상부에서 용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캡 플레이트(210)의 상부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면, 캡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전변(218)에 열 충격을 줄 수 있다. 최근에 이차전지의 경량화에 따라 이차전지의 거리 t가 얇아지는 추세에 있어서,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더욱더 요구되어 지고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캔과 캡 플레이트의 용접부들은 위쪽에서 가령 레이저 용접기가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위를 이동시켜 가면서 용접된다. 이러한 형태의 캡 플레이트는 캔의 개구부 사이에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되어 결합한 캔의 내부에 많은 양의 전해질과 큰 용량의 전극을 수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각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경량화 및 고용량화 요구에 따른 더 많은 전지 용량을 가지기 어렵다. 또한, 도 4와 같이, 최근에는 전지의 캡 플레이트 상면의 거리 t가 얇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캡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캔과의 용접시 캡 플레이트의 안전구조물에 열 충격을 줄 수 있어 안전구조물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예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 조립체의 용기가 되는 캔과 캡 어셈블리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유효공간 증가에 따른 고용량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캡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용접을 함으로써 캡 플레이트의 안전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캔형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캔형 이차 전지는 두 전극, 세퍼레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금속 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인입구가 되는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 조립체에는 하면에 상기 캔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캔 개구부를 덥는 캡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에지로부터 상기 캔의 개구부 측벽 두께만큼 떨어져 상기 캔 내면과 적어도 일부가 맞닿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캔의 개구부 측벽 두께만큼의 폭을 가진다.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캔과의 경계부에서 용접부가 형성되고, 그 용접부는 캡 플레이트의 측부에 위치하여 용접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의 두께는 0.4mm~0.8mm이고,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를 이루는 측벽의 상단 두께는 0.4mm이고, 상기 캡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돌출된 높이는 0.1mm~0.4mm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이차 전지의 베어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부 정단면도이다.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 셀 전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면, 베어 셀 상태의 각형 리튬 이온 전지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각형 캔(511)과, 이 캔(5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512)와, 캔(511)의 개방된 상단과 결합하여 캔 상단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캡 조립체에는 하면에 캔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캔 개구부를 덥는 캡 플레이트가 형성된다.
전극 조립체(512)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양극판(513), 세퍼레이터(514), 음극판(515)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양극판(513)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의 영역에 양극 탭(51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음극판(515)에도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의 영역에 음극 탭(517)이 접속되어 있다.
양극판(513) 및 음극판(515)과, 탭들(516,517)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탭들(516,517)이 전극 조립체(512)로부터 인출되는 경계부에는 탭과 두 전극판(513,515)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518)가 각각 감겨질 수 있다.
세퍼레이터(514)는 양극판 및 음극판(513)(515)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캔(511)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알미늄 혹은 알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캔의 개구부를 이루는 측벽의 상단 두께는 0.4mm이다. 캔(5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전극 조립체(512)가 수용되어 캔(511)은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의 용기 역할을 하게된다. 캔(511)은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에는 하면에 상기 캔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캔 개구부를 덥는 캡 플레이트(610)가 마련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610)의 중앙부에는 전극 단자(6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단자용 통공이 형성된다. 캡 플레이트(6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전극 단자(630)와 캡 플레이트(610) 사이에는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620)이 설치된다.
캡 플레이트(610) 하면에 절연 플레이트(640)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플레이트(640)의 아랫면에는 단자 플레이트(650)가 설치되어 있다. 전극 단자(630)의 저면부는 단자 플레이트(6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610) 하면에는 양극판(513)으로부터 인출된 양극 탭(516)이 용접되어 있으며, 전극 단자(630)의 하단부에는 음극판(515)으로부터 인출된 음극 탭(517)이 사행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용접된다.
한편, 전극 조립체(512)의 상면에는 전극 조립체(512)와 캡 조립체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극 조립체(512)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절연 케이스(690)가 설치된다. 절연 케이스(690)는 절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가령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케이스(690)의 중앙부에는 음극 탭(517)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음극탭용 홀(691)이 형성되고, 다른 측방에는 전해액 통과공(692)이 형성되어 있다. 전해액 통과공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캡 플레이트(610)의 일측에는 이차전지 내부의 기체의 방출에 의해 생성된 내부압력을 해소하도록 보호구조물인 안전변(618)이 형성된다. 캡 플레이트(610)의 타측에는 전해액 주입구(612)가 형성되며, 전해액이 주입된 다음에 전해액 주입구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마개(660)가 설치된다. 마개(660)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함유 금속으로 만든 볼형 모재를 전해액 주입구(612) 위에 놓고 기계적으로 전해액 주입구(612)로 압입하여 형성한다. 밀봉을 위해 마개(660)는 전해액 주입구(612) 주변에서 캡 플레이트(610)에 용접된다. 여기서, 캡 조립체는 캡 플레이트(610) 주변부를 캔(511) 개구부 측벽에 용접하여 캔에 결합된다. 이는 도6을 참조하여 나타낼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캔 개구부와 캡 조립체 사이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 면도이다. 단, 용접부나 틈의 크기는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플레이트(610)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610)는 하면에 캔(511)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캔(511)의 개구부를 덮는 형태로 결합된다. 캡 플레이트(610)의 돌출부는 캡 플레이트(610)의 에지로부터 캔(511)의 개구부 측벽 두께만큼 떨어져 캔(511)의 내면과 적어도 일부가 맞닿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를 갖는 캡 플레이트(610)는 기존의 직사각형의 캡 플레이트가 캔의 상부에 놓여 결합 되는 경우에 비해 더 정상적인 위치로 캔(511)의 개구부를 덮음으로써 캔(511)과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캡 플레이트(610)의 돌출부의 높이 및 폭은 캡 플레이트(610)의 두께 및 캔(511)의 두께와 더해져 레이저 용접을 할 때 용접 심도 및 용접 위치 정밀성에 여유를 갖도록 하는 수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캡 플레이트(610)의 돌출부의 높이 및 폭은 0.1mm~0.4mm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출부를 갖는 캡 플레이트(610)는 종래의 캡 플레이트에 비해 보다 얇은 0.4mm~0.8mm 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캔(511)의 내부에는 캡 플레이트(610)의 얇아진 두께만큼 더 많은 전해액과 큰 용량의 전극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접을 하기 위해 캡 플레이트(610)가 캔(511)의 개구부에 결합할 때, 하면에 돌출부를 갖는 캡 플레이트(610)와 캔(511)의 경계면은 캡 플레이트(610)의 측방으로 드러나고, 그 경계면에 용접부(412)가 형성된다. 용접부(412)의 용접 심도는 캡 플레이트(610)와 캔(511)의 경계면에서 발생 가능성이 큰 리크(leak)를 방지하기 위해 0.4mm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용접 심도가 캔(511)의 두께인 0.4mm 정도로 될 경우, 캔(511)만 있는 부분(돌출부분)에 레이저가 조사되면 캔(511)이 손상될 확률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플레이트(610)의 돌출부의 폭 0.1mm~0.4mm와 캔(511)의 측벽 두께 0.4mm의 합이 0.5mm~0.8mm이기 때문에 용접부(412)의 용접 심도가 0.4mm까지 이루어지더라도 캔(511) 내부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캡 플레이트(610)의 측방에 형성된 용접부(412)가 용접될 때 용접의 계산된 위치가 어긋나서 잘못된 위치에서 용접되어도 캡 플레이트(610)의 돌출부의 높이 0.1mm~0.4mm와 캡 플레이트(610)의 두께 0.4mm~0.8mm의 합이 0.5mm~1.2mm로 충분하여 캔(511) 내부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위와 같이 용접이 캡 플레이트(511)의 측부에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캡 플레이트(511)의 상부에서의 용접시 발생 될 수 있는 캡 플레이트(511) 상부의 안전구조물 파손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형 이차 전지는 하면에 캔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캡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를 갖는 캡 플레이트는 종래에 비해 두께가 얇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캔 내부에는 캡 플레이트의 얇아진 두께만큼 유효공간이 증가하여 고용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형 이차전지에서는 캡 플레이트와 캔의 용접부가 캡 플레이트의 측방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측부에서 용접부가 레이저 용접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캡 플레이트의 측부 용접은 종래 캡 플레이트의 상부 용접과 달리 캡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된 안전구조물에 영향을 주지않게 되어 그 안전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용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두 전극, 세퍼레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금속 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인입구가 되는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 조립체에는 하면에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금속 캔 개구부를 덥는 캡 플레이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에지로부터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 측벽 두께만큼 떨어져 상기 금속 캔 내면과 적어도 일부가 맞닿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 측벽 두께만큼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금속 캔과의 경계부에서 용접부가 형성됨을 특징으 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캡 플레이트의 측부에 위치하여 용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의 두께는 0.4mm~0.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의 개구부를 이루는 측벽의 상단 두께는 0.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돌출된 높이는 0.1mm~0.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KR1020050104493A 2005-11-02 2005-11-02 캔형 이차 전지 KR10068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493A KR100686853B1 (ko) 2005-11-02 2005-11-02 캔형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493A KR100686853B1 (ko) 2005-11-02 2005-11-02 캔형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853B1 true KR100686853B1 (ko) 2007-02-26

Family

ID=3810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493A KR100686853B1 (ko) 2005-11-02 2005-11-02 캔형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4887A1 (en) * 2015-09-17 2017-03-2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210A (ko) * 2003-08-21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39387A (ko) * 2003-10-24 2005-04-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210A (ko) * 2003-08-21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39387A (ko) * 2003-10-24 2005-04-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4887A1 (en) * 2015-09-17 2017-03-2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10256441B2 (en) * 2015-09-17 2019-04-0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887B1 (ko) 이차전지
KR100670501B1 (ko) 이차전지
JP4180574B2 (ja) リードプレートが付着された角形二次電池
JP4749130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形成方法
KR100824898B1 (ko) 팩 전지
KR100537539B1 (ko) 리드 플레이트가 부착된 각형 이차 전지
KR100973314B1 (ko)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060115207A (ko) 이차전지
US7851078B2 (en) Secondary battery with a shock absorbing portion
KR100580777B1 (ko) 이차전지
KR100788591B1 (ko) 각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80766B1 (ko)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947977B1 (ko) 이차 전지
KR101308311B1 (ko) 이차 전지
KR100795681B1 (ko) 이차전지
KR100686853B1 (ko) 캔형 이차 전지
KR20080034723A (ko) 이차 전지
KR100571232B1 (ko) 리드 플레이트 및 이를 사용한 캔형 이차 전지
KR2004010786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1264462B1 (ko) 리드 플레이트와 베어셀을 리벳팅 결합하는 이차 전지
KR100731426B1 (ko) 캔형 이차 전지
KR100760753B1 (ko) 캔형 이차 전지
KR101243553B1 (ko)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24909B1 (ko) 캔형 이차 전지
KR100571238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