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727B1 -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 Google Patents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727B1
KR100686727B1 KR1020050014263A KR20050014263A KR100686727B1 KR 100686727 B1 KR100686727 B1 KR 100686727B1 KR 1020050014263 A KR1020050014263 A KR 1020050014263A KR 20050014263 A KR20050014263 A KR 20050014263A KR 100686727 B1 KR100686727 B1 KR 10068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gdo
dobichu
heuksan
leaf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233A (ko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정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정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정의학원
Priority to KR102005001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7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12Asparagaceae, e.g. Host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6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2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Abstract

본 발명은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의 신품종 "홍도(紅島)"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흑산도비비추를 자가수정하여 채종한 종자에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다음, 육성하여 수득한, 잎의 바탕 색상은 녹색이고, 잎의 가장자리에 황록색 테 무늬가 있는 호복륜(縞覆輪) 무늬를 가진 관상가치가 우수한 흑산도비비추의 신품종 "홍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흑산도비비추의 신품종 "홍도"는 국내 남부 해안지대에 자생하는 식물인 흑산도비비추를 자가수정한 종자를 파종하여 얻었으므로, 내한성, 내병성, 환경 적응성이 강하고 관상가치가 높아서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기대되는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신품종이다.
신품종, 흑산도비비추, 잉거비비추, 홍도, 복륜호

Description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New cultivar of Hosta yingeri Hongdo}
도 1은 개화된 신품종 "홍도"의 잎과 꽃의 특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개화된 신품종 "홍도"의 꽃이 핀 상태의 꽃 모양과 색깔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개화된 신품종 "홍도"의 육성과정 중 유묘 상태의 잎과 무늬의 특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정상적인 흑산도비비추의 잎모양 사진이다.
본 발명은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의 신품종 "홍도(紅島)"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흑산도비비추를 자가수정하여 채종한 종자에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다음, 육성하여 수득한, 잎의 바탕 색상은 녹색이고, 잎의 가장자리에 황록색 테 무늬가 있는 호복륜(縞覆輪) 무늬를 가진 관상가치가 우수한 흑산도비비추의 신품종 "홍도"에 대한 것이다.
비비추속 식물은 전 세계적인 4대 화단 식물로 그 수요가 날로 증대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자생 비비추속 식물의 신품종 육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비추속 식물 중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는 전남 해안 도서지방인 흑산도와 홍도의 숲 속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백합목 백합과 식물에 속한다. 일반종의 흑산도비비추는 녹색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나와 비스듬히 퍼지고 넓은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엽장 10~35cm, 엽폭 10~25cm이다. 흑산도비비추의 땅속줄기는 짧으며 끈 모양의 수염뿌리가 뭉쳐나며, 어린잎은 식용으로도 이용한다.
흑산도비비추의 꽃은 종 모양이며 길이 5cm 정도로서 끝이 6개로 갈라지며, 꽃줄기는 길이 30cm 내외로, 세로줄이 있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꽃차례로 달리는데 연한 자주색이다. 포(包)는 비늘꼴이고 각 꽃마다 딜리고 잎처럼 맥이 뚜렷하다. 꽃의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9월에 결실한다.
흑산도비비추는 다년초로 꽃이 아름답고 잎에 광택이 있어서 대량의 가로변식재에 유리한 수종으로 분화용으로도 좋으며 관상가치가 뛰어나다. 또한, 기후와 토질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고 잘 자라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부담없이 기를수 있다. 이와같이 한국에서 널리 사랑을 받는 흑산도비비추는, 1990년이래 미국과 유럽의 화훼 시장에서 잉거비비추로 이름하여 판매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경제가 급성장함에 따라 화훼 산업도 날로 성장하고 있다. 화훼류는 인간의 정서 생활의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문화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꾸 준히 생산과 소비가 늘고 있어서 고소득 작물로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유망 자생화훼 및 관상식물의 개발과 상업화 연구 분야에 많은 연구 인력이 투입되고 있어 현재 꾸준하게 다양한 꽃과 관상식물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욕구는 매우 다양하여 더 새롭고 아름다운 화훼류를 원하므로, 당업계에서는 화훼 자원을 지속적으로 개발ㆍ발전시키는 것이 시급하고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려한 잎 모양을 가지는 관상용 식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유망 화훼자원으로서 흑산도비비추를 수집하여 종간교잡을 실시한 다음, 수득된 잡종을 육성하여, 잎에 황록색 무늬가 있는 개체를 선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새 잎이 나올 때부터 질 때까지 생육 기간 내내 잎의 가장자리에 황록색의 무늬가 있어 관상가치가 매우 높은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의 신품종 "홍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산도비비추를 자가수정하여 채종한 종자에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다음, 육성하여 수득되고, (a) 잎의 바탕 색상은 녹색이고, 가장자리에는 황록색의 무늬가 있는 도란형 모양; (b) 엽폭 4.8~6.0cm, 엽장 14~16cm, 잎자루 길이 3.8~5.3cm, 초장 5~8cm, 포기당 잎수 10~14개; (c) 꽃은 자주색의 통꽃; (d) 화경장 30~47cm, 하나의 꽃대당 착화수 40~80 송이, 화서길이 16.5~20.5cm, 개화시기 6~7월; 및 (e) 소화(小花) 길이 3.5~5.0cm, 폭 2.0~3.0cm의 특성을 가지며,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의 신품종 "홍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록색의 무늬는 테두리 무늬가 있는 호복륜(縞覆輪)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연변이원은 γ-선, X-선, 자외선, EMS(ethyl methane sulfonate), NaN3(Sodium azide), NMU(N-nitroso-N-methylurea), 콜히친, 알킬화제, 방향족아민, 니트로화합물,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EMS(ethyl methane sulf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흑산도비비추의 신품종 "홍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흑산도비비추의 6~7월 개화시에 자가 교잡에 의해 채종한 종자를 획득하고,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다음, 파종하여 얻은 개체들 중에서 잎에 무늬가 들어있는 개체를 선발하여 신품종을 육성하였다.
본 발명의 신품종 "홍도"는 기존 흑산도비비추의 잎의 색상이 녹색 단일색임 에 반해서, 잎의 바탕 색상은 녹색이고, 잎의 가장자리에 황록색 테 무늬가 있는 호복륜(縞覆輪) 무늬이므로 분화용과 화단용 등의 관상용 식물로 매우 뛰어나다.
또한, 상기 흑산도비비추의 신품종 "홍도"는 우리나라 해안 도서 지역의 산에 자생하는 식물종(種)을 교잡 육종과 돌연변이 육종 그리고 선발 육종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육성한 것으로서 국내ㆍ외 시장에서 경쟁력이 뛰어나고 형질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뛰어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산도비비추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영양번식, 조직배양 등에 의해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 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육성과정
6월말에 개화된 흑산도비비추를 자기 꽃끼리 교잡을 시켜 10월초에 성숙된 종자를 채취한 다음 10℃의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 돌연변이 개체 육성
이듬해 3월에 종자(약 10,000개)를 냉장고에서 꺼내어 24시간동안 23℃ 온수에 침적시킨 후, 꺼내어 촉촉이 젖은 상태로 거즈에 싸서 젖은 상태로 24℃의 항온기에 3일간 보관하였다. 돌연변이를 유기하기 위하여 화학물질인 EMS(ethyle methane sulfonate) 1%용액에 24시간 동안 종자를 침적한 다음 꺼내어 흐르는 물에 씻어서 파종하였다. 처리된 종자는 파종상자에 파종하되 배양토는 부엽토 : 피트모스 : 마사토의 비율이 1:1:1이 되도록 조성하였고 발아를 위한 관리온도는 23℃±2℃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3 : 체세포 돌연변이 식물체 선발
파종 10일 후부터 종자가 발아(약 8,000개)되기 시작하였고, 3개월이 지난 후에 잎에 변이가 나타난 개체(약 1,100개)를 선발한 것 중에서 다시 황록색의 호복륜 무늬가 들어있는 개체(약 200개)를 재선발하였다. 상기 선발된 개체를 4년간 키우면서 포기나누기에 의한 영양번식 방법으로 증식시켰다.
상기 실시예 1, 2 및 3에 의해 육성된 흑산도비비추는 표 1 및 2와 같은 잎 및 꽃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홍도(紅島)”로 명명하였다.
Figure 112005009138729-pat00001
Figure 112005009138729-pat00002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 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표 1과 2 및 도 1 내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흑산도비비추는 잎 전체가 진한 녹색으로 단일색인데 반해, 신품종 "홍도"는 잎 가장자리에 황록색의 테가 있는 복륜(覆輪)임과 동시에 잎 가장자리에서 내부를 향해 황록색의 무늬가 침투하는 호(縞)무늬를 가진 것이 큰 차이점이며, 그 무늬가 독특하고, 아름다워 분화용과 화단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산도비비추의 신품종 "홍도"는 국내 해안의 도서지방 산지에 자생하는 식물인 흑산도비비추를 자가수정하여 얻었으므로, 내한성, 내병성, 환경 적응성이 강하고 관상가치가 높아서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기대되는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신품종이다.

Claims (4)

  1. 흑산도비비추를 자가수정하여 채종한 종자에 돌연변이원 EMS(ethyl methane sulfonate)를 처리한 다음, 육성하여 수득되고,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며,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의 신품종 "홍도" :
    (a) 잎의 바탕 색상은 녹색이고, 가장자리와 엽맥 사이에는 황록색의 무늬가 있는 도란형 모양;
    (b) 엽폭 4.8~6.0cm, 엽장 14~16cm, 잎자루 길이 3.8~5.3cm, 초장 5~8cm, 포기당 잎수 10~14개;
    (c) 꽃은 자주색의 통꽃;
    (d) 화경장 30~47cm, 하나의 꽃대당 착화수 40~80 송이, 화서길이 16.5~20.5cm, 개화시기 6~7월; 및
    (e) 소화(小花) 길이 3.5~5.0cm, 폭 2.0~3.0cm.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록색의 무늬는 테두리 무늬가 있는 호복륜(縞覆輪)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의 신품종 "홍도".
  3. 삭제
  4. 삭제
KR1020050014263A 2005-02-21 2005-02-21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KR10068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63A KR100686727B1 (ko) 2005-02-21 2005-02-21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63A KR100686727B1 (ko) 2005-02-21 2005-02-21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233A KR20060093233A (ko) 2006-08-24
KR100686727B1 true KR100686727B1 (ko) 2007-02-26

Family

ID=3760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263A KR100686727B1 (ko) 2005-02-21 2005-02-21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61B1 (ko) * 2008-02-22 2010-07-20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좀비비추의 신품종 옐로드림
CN102599054A (zh) * 2012-03-14 2012-07-25 延安大学 一种大木枣叶柄多倍体诱导方法
CN102696478B (zh) * 2012-06-19 2014-12-24 浙江农林大学 毛竹理化复合诱变育种方法
CN103004607B (zh) * 2013-01-06 2014-05-28 延安大学 一种枣树试管苗诱变多倍体筛选的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322A (ko) * 2001-01-27 2002-08-03 구례군 옥잠화 번식 방법
KR20030079061A (ko) * 2002-04-01 2003-10-10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쑥의 신품종 '고려쑥' 식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322A (ko) * 2001-01-27 2002-08-03 구례군 옥잠화 번식 방법
KR20030079061A (ko) * 2002-04-01 2003-10-10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쑥의 신품종 '고려쑥' 식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233A (ko)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2195B (zh) 一种甘蓝制种方法
CN104255441B (zh) 一种春茎瘤芥杂交种的选育方法
CN105766619B (zh) 一种黄花菜种子的培育方法
CN101438675B (zh) 一种杂交油茶品种的选育方法
CN100581346C (zh) 鳞瓣气培繁育东方型百合种球的方法
KR100686727B1 (ko)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CN102150612B (zh) 一种叶用水芹新品种选育方法
CN100353833C (zh) 一种番茄杂交种的选育方法
CN111480569A (zh) 一种小果型西瓜的种子繁育方法
CN105248070A (zh) 一种跨冬春结球甘蓝、夏油麦菜和秋硫磺菊的繁种方法
CN1270600C (zh) 耐贮运货架期长抗病性强的番茄品种的培育方法
KR100686728B1 (ko) 주걱비비추의 신품종 보은
JP6373117B2 (ja) ブラシカオレラセア種植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71261B1 (ko) 좀비비추의 신품종 옐로드림
CN103636491A (zh) 一种长花梗矮生豇豆品种的育种方法
CN111771710B (zh) 一种叶色嵌合型观赏型甘薯的培育方法
CN111528025B (zh) 一种缩短马铃薯育种年限的方法
CN114916433B (zh) 一种优质抗病杂交青花菜的育种方法
CN113906962B (zh) 一种基于量子技术的农作物种子质量改良方法
CN112655473B (zh) 一种阳新湖蒿留根再生的高效栽培方法
CN105248271B (zh) 一种不受环境影响的菜薹直立紧凑型种质资源的创制方法
KR20000056347A (ko) 한란 신품종 일출
CN105145343A (zh) 一种早熟、抗病、抗逆西兰薹的育种方法
CN105746338B (zh) 一种饲用旱稻三系不育系的选育方法
CN114568298A (zh) 一种优质抗病结球甘蓝的选育及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