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704B1 -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을 위한 비트 교환 - Google Patents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을 위한 비트 교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704B1
KR100686704B1 KR1020057024364A KR20057024364A KR100686704B1 KR 100686704 B1 KR100686704 B1 KR 100686704B1 KR 1020057024364 A KR1020057024364 A KR 1020057024364A KR 20057024364 A KR20057024364 A KR 20057024364A KR 100686704 B1 KR100686704 B1 KR 10068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bits
interleaving
data packet
bi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690A (ko
Inventor
브누아 세비르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5179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867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2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89Interleaver providing variable interleaving, e.g. variable block siz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K 비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I 연속 비트들이 주기적으로 각각 I 상이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며,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적어도 한 비트의 값을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의 값으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 > m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차(n-m)가 I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트, 교환, 데이터, 패킷

Description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을 위한 비트 교환{Bit swapping for different interleaving depths}
본 발명은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K 비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I 연속 비트들이 주기적으로 각각 I 상이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는 비트 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적어도 한 비트의 값을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의 값으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 > m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차(n-m)가 I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비트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최신 통신 시스템들에서, 정보 소스로부터 발신된 정보는 비트들로 변환되고, 후속적으로 소스 및 채널 부호화되며, 인터리빙되고 그다음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되는데, 상기 전송 매체는 전송 및 수신 안테나간의 공간 또는 케이블 또는 광 섬유와 같은 유선 접속일 수 있다. 상이한 변조 기법들 중에서, 위상 변조는 정보를 반송파에 매핑하는 강건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그 자체를 증명하였다. 위상 변조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의 위상은 전송된 비트들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무선 서비스의 더 빠른 버전인, 개선된 데이터 GSM 환경(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은 384 kbps까지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설계되며 이동 전화 및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및 다른 광대역 애플리케이션들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EDGE 표준은 기존의 GSM 표준 위에 형성된다. 하지만, GSM에 대해 원래 표준화되었던 가우스 최소 편이 방식(GMSK: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변조 기법 대신에, 8개의 가능한 심볼 배열들(constellations)을 지닌 EDGE 위상 편이 방식(PSK)(8-PSK)이 사용된다. I/Q-평면(2)에 8개의 가능한 8-PSK 심볼들(1-1 ... 1-8) 중 하나에 대한 변조에 속박되는 부호화된, 인터리빙된 비트 스트림의 3개의 연속적인 비트들(d3i, d3i+1, d3i+2)의 매핑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i는 상기 8-PSK 심볼의 순차 번호를 나타내고 I-축 및 Q-축은 각각 상기 변조된 신호의 동위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나타낸다. 모든 8-PSK 심볼들(1-1 ... 1-8)은 동일한 반경을 지닌 원위에 존재하고 상기 I-축에서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카운트되는, 그들의 위상만이 상이하다.
8-PSK 심볼당 관련된 3개의 전송된 비트들(d3i, d3i+1, d3i+2)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노이즈가 있는 8-PSK 신호 심볼-양식을 복조하려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위상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그것의 동위상 및 직교 성분들로 분해함으로써 결정되는데, 이것은 상기 I/Q-평면(2)에서 상기 8-PSK의 추정된 위치(미도시)를 초래한다. 상기 추정된 위치는 어떤 8-PSK 심볼이 원래 송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8개의 위치들(1-1 ... 1-8)과 비교된다. 하 지만, 상기 심볼 추정이 상기 가능한 8-PSK 심볼 위치들과 실질적으로 다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전송된 8-PSK 심볼 1-1이 (3개의 비트들 (1,1,1)에 대응하는) 0°의 위상을 가졌을 지라도, 상기 추정된 심볼이 22.5°의 위상을 가지는 경우, 0°의 위상을 지닌 심볼(1-1) 또는 45°의 위상을 지닌 심볼(1-2)이 원래 송신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45°의 위상을 지닌 상기 8-PSK 심볼(1-2)이 송신되었다고 틀리게 결정되는 경우, 상기 복조는 원래 송신되었던 비트들 (1,1,1) 대신에 비트들 (0,1,1)을 생성한다. 따라서 1 비트 오류가 발생한다. 도 1로부터, 상기 원래 송신된 8-PSK 심볼 대신에 이웃하는 8-PSK 심볼에 대해 틀리게 결정하는 경우 비트 오류들의 수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8-PSK 심볼들은 단지 1 비트 위치가 항상 다르다는 것이 주목될 수 있다. 하지만, 심지어 정확한 8-PSK 심볼들 대신에 틀린 이웃하는 8-PSK 심볼들의 검출에 기인하는 오류들에 대해, 상기 비트 트리플(d3i, d3i+1, d3i+2)에서의 오류 확률은 같지 않다. 정확한 8-PSK 심볼 대신에 상기 이웃하는 8-PSK 심볼을 검출하는 것은 단지 4개의 8-PSK 심볼들(각각 0°, 45°, 180° 및 225°에서의 1-1, 1-2, 1-5 및 1-6)에 대해 상기 트리플(d3i, d3i+1, d3i+2)의 제1 위치에서 비트 오류를 초래할 수 있고, 단지 4개의 8-PSK 심볼들(각각 90°, 135°, 270° 및 315°에서의 1-3, 1-4, 1-7 및 1-8)에 대해 상기 트리플(d3i, d3i+1, d3i+2)의 제2 위치에서 비트 오류를 초래할 수 있으며, 모든 8개의 8-PSK 심볼들(1-1 ... 1-8)에 대해 상기 트리플(d3i, d3i+1, d3i+2)의 제3 위치에 서 비트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리플(d3i, d3i+1, d3i+2)내의 제3 비트 위치는 상기 제1 비트 위치 및 제2 비트 위치보다 훨씬 더 오류가 있기 쉽고, 따라서 상기 트리플의 "약한 비트"로서 표기된다. 상기 EDGE 시스템은 (유럽 통신 표준화 기구(ETSI)로부터의 기술 문서 3GPP TS 45.003 V5.6.0(2000-06)과 비교하라) 단일 업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PDTCH: Packet Data Transport Channel)에 대한 몇몇 이동국들의 다중화를 허용한다. 상기 PDTCH에 대한 상이한 이동국들의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업링크 채널이 자유로운지 그리고 자유롭지 않은 경우 그것이 현재 어떤 이동국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Uplink State Flag)가 사용된다. 상기 USF는 3 비트들을 가지는데, "1"은 "자유"를 나타내고, 나머지 7개의 상태들은 상기 PDTCH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동국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USF 플래그는 상기 EDGE 시스템의 적합한 기능에 극히 중요해서 코드 레이트 1/12를 가지고 블록 코드에 의해 부호화된 채널이다. 특히, 상기 USF의 3 비트들은 36 부호화된 USF 비트들에 매핑되고, 상기 36 비트들은 각각 9 비트들의 그룹들로서 4개의 연속적인 블록들상에 분포된다.
GSM/EDGE 버스트의 4개의 블록들 중 제1 블록(3)을 나타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들 각각은 총 348 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된 USF 비트들은 비트 위치 168 내지 173 그리고 176 내지 178에 각각 배열된다. 각 블록에서 잔여 비트 위치들에는 이미 인터리빙되고, 부호화되며 레이트-매칭된 헤더 및 데이터 비트들로 채워진다. 그다음 상기 4개의 블록들은 길이 1392 비트의 버스트 를 형성한다.
EDGE는 PDTCH에 대해 13개의 상이한 변조 및 부호화 방식들(MCS)을 포함한다. MCS-5 및 MCS-7(업링크 및 다운링크 양자)에서, 상기 USF의 비트 오류율을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8-PSK 트리플(d3i, d3i+1, d3i+2)내의 제3 비트 위치에서 부호화된 USF 비트들의 전송을 회피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 원리는 비트 교환으로 알려져 있다. 비트 교환은 그렇지 않으면 상기 8-PSK 트리플(d3i, d3i+1, d3i+2)에서 세번째 비트로서 전송될 상기 버스트내의 비트 위치들에 대응하는 부호화된 USF 비트들이, 인터리빙되고 부호화되며 레이트-매칭된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고 상기 8-PSK 트리플(d3i, d3i+1, d3i+2)내의 제3 비트로서 전송되지 않을 비트 위치들로 교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USF 비트들은 상기 8-PSK(d3i, d3i+1, d3i+2)에서 제1 비트 또는 제2 비트로서 단지 전송되는데, 이것은 상기 USF의 비트 오류율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들 170, 173 및 176에서 상기 USF 비트들(도 2에서 각각 음영으로 표시된 8-PSK 심볼들(56, 57 및 58))은 위치들 150, 151 및 195에 있는 인터리빙되고, 부호화되며 레이트-매칭된 데이터 비트들(미도시)로 교환된다. 버스트내의 제1 비트가 위치 0을 지니는 경우, 상기 USF 비트 위치들 168, 169, 171, 172, 177, 178(변경되지 않음) 그리고 150, 151 및 195(교환됨)는 상기 8-PSK 트리플(d3i, d3i+1, d3i+2)에서 덜 오류가 발생하는 제1 및 제2 비트 위치들에 대응하는데, 이것은 k=1...464인 경우, 비트 위치들 3k-1만이 상기 트리 플에서 오류-발생하기 쉬운 제3 비트 위치로 매핑되기 때문이다.
교환은 상기 송신기에서 발생한다. 수신기에서, 상기 수신된 8-PSK 심볼들의 복조로부터 야기된 비트들의 역 교환(디-스와핑(de-swapping))은 상기 송신기 측에서 사용된 교환 알고리즘의 지식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디-인터리빙 이후에, TFCI 비트들의 그룹 및 채널 부호화되고 레이트-매칭된 데이터 비트들의 그룹 양자는 채널 디-코딩된 후 추가로 처리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비트들의 비트 오류율은 비트 교환을 적용하는 경우 이에 따라 증가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8-PSK 트리플에서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제3 비트 위치가 이제 더 빈번하게 상기 데이터 비트들에 할당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데이터 비트들의 비트 오류율의 성능 저하는 훨씬 더 중요한 USF의 감소된 비트 오류율에 대해 트레이드될 수 있는 경우 기꺼이 수락된다.
상기 GSM/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 ETSI로부터의 기술 문서 3GPP TR 45.902 V6.0.0(2003-04)와 비교하라)에 대해 제안된 새로운 유형의 물리 계층인, 유동적 계층 원(FLO: Flexible Layer One)과 관련하여 유사한 상황이 발생한다. 상기 FLO의 주된 이점은 상기 물리 계층의 구성(예를 들어 채널 부호화 및 인터리빙)이 호 설정시 지정된다는 것이다. FLO를 가지고, GERAN의 물리 계층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서브계층에 하나 또는 몇몇 전송 채널들을 제공한다. 다수의 전송 채널들이 다중화될 수 있고 동시에 동일한 기본 물리 채널인, 부호화된 복합 전송 채널(CCTrCH)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전송 채널의 구성, 즉 입력 비트들의 수, 채널 부호화, 인터리빙 등은 전송 포맷(TF: Transport Format)으로 표기된다. 상기 전송 포맷의 구성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의해 완전히 제어되고 호 설정시 상기 이동국에 시그널링된다. 상기 이동국 및 기지국 송수신기 양자에서, 상기 전송 포맷들은 상기 부호기 및 복호기 유닛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상이한 트래픽 채널들(TrCH)의 한정된 수의 TF들의 조합들만이 허용된다. 유효한 조합은 전송 포맷 조합(TFC: Transport Format Combination)으로 불리운다. 수신된 시퀀스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기는 무선 패킷의 활성 TFC를 알 필요가 있다. 상기 정보는 전송 포맷 조합 표시자(TFCI) 필드에서 송신된다. 상기 필드는 기본 계층 1 헤더이다. 상기 복호화된 TFCI 값으로부터 상이한 전송 채널들에 대한 전송 포맷들이 알려지고 실제 복호화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TFCI의 크기는 최대 5 비트로 제한되는데, 이것은 동일한 기본 물리 부채널을 통해 최대 32개의 상이한 TFC들을 허용한다. 즉, 단일 접속에 대해, 동시에 최대 32 상이한 채널 부호화 및/또는 다중화 가능성을 가지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TFCI는 블록-부호화되고 상기 다중화된 전송 채널들(상기 CCTrCH)을 더 포함하는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의 시작부에 삽입된다. TrCH를 통해 전송될 비트들의 각 전송 블록에는 순환 잉여 검사(CRC) 첨부가 제공되고, 상기 각 전송 블록은 채널 부호화되며, 레이트-매칭되고 그다음 부호화된 결합 전송 채널(CCTrCH)을 생성하기 위하여 다른 부호화된 블록들과 다중화된다. 완전 레이트 8-PSK 채널들에서, 상기 TFCI 및 상기 CCTrCH 비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의 길이는 총 1392 비트이다. 8-PSK 변조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의 비트들은 I 버스트들에 대해 블록 대각선 또는 블록 직사각형적으로 인터리빙되는데, I는 인터리빙 깊이를 나타낸다. 블록 직사각형 인터리빙의 경우, 상기 I 버스트들은 무선 패킷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완전 레이트 8-PSK 채널들에서,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의 K=1392 비트들은 8-PSK 변조에 대해 속박된 무선 패킷을 형성하는, 크기 J=348 비트의 4 버스트들상에 인터리빙된다.
블록 대각선 인터리빙의 경우, M=K/J 인터리빙되지 않은 버스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의 비트들은 크기 J 비트들의 I=2*M 버스트들상에 인터리빙된다. 하지만, 첫번째 I/2 버스트들은 단지 짝수 비트 위치들상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반면에 마지막 I/2 버스트들은 단지 홀수 비트 위치들상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I 버스트들의 비트들은 I 버스트들에 대한 다음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들의 인터리빙으로부터 유래된 추가 I 버스트들의 비트들과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두개의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들로부터 두개의 넘치는(brimming) 무선 패킷들을 야기한다.
수신된 무선 패킷들을 복호화하기 위한 상기 TFCI의 중요성에 기인하여, 상기 TFCI의 비트 오류율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비트 교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리빙이 상기 USF 비트들 이전에 발생하고, 데이터 및 헤더 비트들이 버스트에 배열되며 변조되는, EDGE의 MSC-5 및 7과 관련한 버스트 설정과 대조적으로, 상기 FLO에 대해, 상기 TFCI 및 CCTrCH의 비트들은 공동으로 인터리빙된다.
그 결과, MSC-5 및 7과 관련하여, 비트 교환은 상기 버스트가 구성된 후 직접 수행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 버스트의 어떤 비트들이 상기 8-PSK 변조의 "약한 비트들"로서 전송될 것인지가 명백하기 때문이다. 상기 FLO에 대해, 대조적으로, TFCI 및 CCTrCH의 공동 인터리빙은 I 버스트들을 야기하는데, 어떤 비트들이 "약한 비트들"로서 전송될 것인지가 명백하다. 하지만, TFCI 및 CCTrCH의 공동 인터리빙으로 인하여, 상기 무선 패킷내의 TFCI의 인터리빙된 비트들의 위치는 적용된 인터리빙 방식(블록 대각선 또는 블록 직사각형) 및 각각 완전, 절반 및 가능한 미래의 1/4 레이트 채널들에 대해 가능한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 I(1, 2, 4, 8, 16)에 의존한다. 따라서 비트 교환은 상이한 인터리빙 방식들 및 인터리빙 깊이들(I)을 처리해야 한다.
더욱이, 비트 교환이 동일한 버스트에 위치한 비트들 간에만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것은 인터리빙의 주된 목표인 시간 다이버시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는다.
상기에 언급된 문제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으로 높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 및 낮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을 공동으로 인터리빙하고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을 허용하는 시스템들에 대한 무선 패킷에서 높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을 낮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로 교환하기 위한 단순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K 비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I 연속 비트들이 주기적으로 각각 I 상이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는 비트 교환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적어도 한 비트의 값을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의 값으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 > m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차(n-m)가 I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비트 교환 방법이 제안된다.
각 비트 위치 m에서의 비트는 예를 들어 높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를 나타낼 수 있고, 각 비트 위치 n에서의 비트는 낮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를 나타낸다. 양 비트 위치들에서의 비트들의 값을 교환함으로써 교환이 수행되는데, 즉 예를 들어 교환이 인터리빙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비트 위치 m에서의 비트에는 비트 위치 n에서의 비트의 값이 할당되고, 비트 위치 n에서의 비트에는 비트 위치 m에서의 비트의 값이 할당된다. 그다음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비트는 비트 위치 m에서의 비트와 동일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각 제2 비트 위치 (n)와 관련된 비트는 비트 위치 n에서의 비트와 동일하다.
상기 데이터 패킷의 I 연속적인 비트들을 각각 I 상이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주기적으로 매핑함으로써 인터리빙이 수행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k=0,...,K/I-1이고 i=0,...,I-1인 경우 비트 위치들 k*I+1에서의 데이터 패킷들내의 비트들을 버스트 i내의 상이한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주기적으로 매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버스트들내의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들의 위치는 예를 들어 블록 대각선 또는 블록 직사각형일 수 있는, 인터리빙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각 단계에서의 교환은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비트 위치들 m 및 n에 대해 수행되는데, n은 예를 들어 고정된 매핑 m=n+N을 통해 m에 링크될 수 있고, N은 미리 정의된 자연수이다. 상기 교환된 비트들이 동일한 버스트내에 위치한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양 비트 위치들의 차, 즉 n-m=N은 인터리빙이 I에서 주기적이기 때문에, I로 나뉘어떨어져야 한다.
교환 및 인터리빙 양자는 전송 방향에 따라, 예를 들어 이동국 또는 이동 무선 시스템의 기지국 송수신기일 수 있는 송신 측에서 수행된다. 수신 측에서, 대응하는 역 교환(디-스와핑) 및 디-인터리빙은 채널 디-코딩이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비트들을 재배열하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교환에 관한 한, 역-교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적어도 한 비트의 값은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의 값으로 교환되는데,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 > m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차(n-m)가 I로 나뉘어떨어지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수행되는 교환 단계는 또한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역-교환 단계를 기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은 상기 적어도 I 연속 비트들의 인터리빙 이전, 인터리빙 동안 또는 인터리빙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수신기 측에서, 역-교환은 각각 디-인터리빙 이후, 디-인터리빙 동안 또는 디-인터리빙 이전에 수행되어야 한다.
교환이 인터리빙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비트 위치들 m 및 n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비트들의 값들은 직접 교환될 수 있다. 그다음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비트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비트 위치 m에 있는 비트이고, 반면에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비트 위치 n에 있는 비트이다. 상기 수신기 측에서, 그다음 역-교환은 디-인터리빙 이후에 수행되고, 동일한 위치들 m 및 n에서의 비트들의 값들은 송신기 측에서 비트 교환동안과 같이 역 교환된다.
대조적으로, 이미 인터리빙이 수행된 경우, 이제 I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된 비트들의 값들은 교환되어야 한다.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은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비트의 위치와 일대일 관련된다. 그다음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비트는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비트 위치 m에 있는 비트가 인터리빙된,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상의 비트이고, 반면에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는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비트 위치 n에 있는 비트가 인터리빙된,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상의 비트이다. 따라서 인터리빙 이후에, 즉 상기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상의 비트의 값들을 교환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그들의 비트 위치에 따라 선택된 비트들의 값들의 교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신기 측에서, 상기 송신기 측에서와 같이 동일한 교환된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기반하여 디-인터리빙 이전에 역-교환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는 미리 정의된 세트의 인터리빙 깊이들 {I1,...,IR}로부터 취해지고, 모든 r=1,...,R에 대해, Ir≤Imax가 유지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상기 차(n-m)가 Imax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상기 인터리빙 깊이(I)에 대한 상이한 값들이 가능한 경우, N이 현재 적용되는 인터리빙 깊이(I)로 나뉘어떨어질 뿐만 아니라, 가능한 최대 인터리빙 깊이(Imax)로 나뉘어떨어지도록 요구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이한 가능한 인터리빙 깊이들이 2의 거듭제곱이라는 사실에 기인하여, N이 Imax로 나뉘어떨어지도록 요구하는 것은 각 가능한 I에 대해, 교환된 비트들이 동일한 버스트내에 위치하여, 시간 다이버시티를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놔둔다는 것을 보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 그룹의 비트들이 상기 데이터 패킷내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교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에 있는 비트가 상기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상기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매핑되는,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가 특징적인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인 경우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에 있는 비트가 상기 적어도 일 그룹의 비트들에 속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비트들의 그룹은 높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을 나타낼 수 있고, 반면에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잔여 비트들은 낮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교환은 인터리빙을 통해, 특징적인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로서 간주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는 높은 우선순위화된 비트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징적인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은, 변조 방식에 따라, 잔여 위치들상의 비트들과 비교할 때 상기 비트들이 변조되고, 노이즈가 있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복조되는 경우 상기 위치들상의 비트들이 높은 오류 확률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약한" 비트 위치들은 8-PSK 변조에서 각 제3 비트에 대해 발생하지만, 또한 16- 및 64-직교 진폭 변조(QAM)에서도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특징적인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은 (j+1)이 p로 나뉘어떨어지는 기준을 충족하는 버스트내의 위치들(j)일 수 있고, 상기 p는 0보다 큰 소정의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상의 비트들이 8-PSK 변조되는 경우, 각 제3 비트는 "약한 비트"일 것이고, j가 0부터 버스트의 길이-1의 범위에 있는 경우 버스트내의 각 위치 j에 대해, 모든 "약한 비트"는 p=3인 경우 기준 (j+1) mod p=0에 의해 식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비트들의 그룹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소정 수(L)의 제1 비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높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은 데이터 컨테이너의 시작부에 부가되는 어떤 유형의 헤더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제2 비트 위치(n)는 n-m ≥ L이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시작부에 있는 L 비트들의 코히어런트 그룹의 높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이 상기 데이터 패킷의 잔여 부분에 위치한 낮은 우선순위화된 비트들로 교환된다는 것을 보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L 비트들의 그룹에서 GSM/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의 유동적 계층 원(FLO: Flexible Layer One)에 의한 전송 포맷 조합 식별자(TFCI)의 비트들 및 잔여 K-L 비트들에서 상기 GERAN의 상기 FLO에 의한 부호화된 복합 전송 채널(CCTrCH)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K 비트들은 상기 인터리빙 방식들 중 한 방식 및 상기 GERAN의 FLO에 대해 표준화된 상기 인터리빙 깊이들(I) 중 하나에 따라 상기 버스트들내의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며, p=3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 p=3은 상기 GERAN의 FLO에서 상기 8-PSK 변조를 설명한다. GERAN의 FLO에 있어서, 집합 {4, 8, 16}으로부터 취해진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I), 상이한 완전 레이트와 절반 레이트 채널들 및 블록 대각선 및 블록 직사각형 인터리빙 방식들은 표준화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교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적어도 두번 수행되고, 각 단계에서 상기 각 제1 비트 위치(m)는 상이하며, 상기 적어도 두 단계들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N을 소정의 자연수라 할 때,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m+N이 유지되도록 선택되고, 상기 적어도 두 단계들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m+K-N이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호적인 교환은 첫번째 교환 이전에 0으로 초기화되고 각 교환 이후에 1씩 증가하는, 카운터 변수 cpt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cpt mod 2=0) 인 경우, m은 n=m+N으로 교환되고, 그렇지 않으면 m은 n=m+K-N으로 교환된다. 상기 CCTrCH의 시작부 및 상기 CCTrCH의 종단부에서 비트들로의 이러한 교호적인 교환 배후의 원리는 상기 CCTrCH의 오류 보호가 각각 상기 CCTrCH의 시작부 및 종단부에서 가장 강해서, 덜 오류가 발생하는 비트 위치들에서의 TFCI 비트들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약한" 비트 위치들에서 전송되는 상기 CCTrCH의 비트들은 상기 CCTrCH의 비트 오류율을 버겁도록 저하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욱이,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K 비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I 연속 비트들이 주기적으로 각각 I 상이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는 비트 교환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적어도 한 비트의 값을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의 값으로 교환하기 위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 > m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차(n-m)가 I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비트 교환 시스템이 제안된다. 상기 시스템은 교환이 수행되는, 송신기(예를 들어 이동국 또는 이동 무선 시스템의 기지국 송수신기) 및/또는 역-교환이 수행되는 수신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에서의 교환을 위한 수단 및 상기 수신기에서의 역-교환을 위한 수단은 동일하다.
더욱이, 디지털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에 직접 로딩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로서, 상기 생성물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에 언급된 방법 청구항들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안된다. 상기 컴퓨터는 상기 버스트 구성 및 인터리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국 또는 기지국 송신기에 미리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태양들 및 다른 태양들은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이들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8-PSK 심볼들로의 트리플 비트들의 심볼 매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GSM/EDGE 버스트의 한 블록에서의 종래 기술의 비트 교환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GSM/EDGE의 유동적 계층 원(FLO)에서의 무선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블록 대각선 인터리빙 및 인터리빙 깊이 I=8에 대해 GSM/EDGE의 FLO에서 완전 레이트 8-PSK 무선 프레임의 첫번째 72 비트들에 대한 인터리빙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인터리빙 깊이 I=8을 가지고 완전 레이트 채널에 대한 GSM/EDGE의 FLO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의 적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비트 교환이 없는 FLO 무선 패킷들 및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이 있는 FLO 무선 패킷들에 의해 달성되는 프레임 오류율들의 첫번째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비트 교환이 없는 FLO 무선 패킷들 및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이 있는 FLO 무선 패킷들에 의해 달성되는 프레임 오류율들의 두번째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완전 레이트 8-PSK 채널들에 대한 GSM/EDGE의 유동적 계층 원(FLO)에서의 무선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트래픽 채널(TrCH)의 이진 계층 2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 전송 블록은 코드 블록을 생성하는 순환 잉여 검사(CRC) 첨부에 의해 확대되고, 후속적으로 채널 부호화되며 레이트-매칭되어 무선 프레임을 생성한다. 도 3에서, 각각 TrCH(0) 및 TrCH(S-1)에 대응하는, 무선 프레임들(4-0 및 4-(S-1))만이 도시되는데, S는 활성 TrCH들의 수를 나타낸다. 전송될 각 무선 패킷에 대해, 각 활성 TrCH로부터 s=0,...,S-1인 경우 하나의 무선 프레임(4-s)이 상기 TrCH 다중화로 전달된다. 상기 무선 프레임들(4-s)은 부호화된 복합 전송 채널(CCTrCH)에 직렬로 다중화된다. 본 예에서 상기 CCTrCH 비트들(7)의 시작부에 구성 72 비트들인, TFCI 비트들(6)의 부가 이후에, 총 1392 비트들을 포함하는,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8)이 생성된다.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8)을 형성하는 상기 TFCI(6) 및 상기 CCTrCH 비트들(7)은 이제 I=4 버스트들(9-0 ... 9-3)상에 블록 직사각형으로 인터리빙될 수 있거나 I=8 버스트들(9-0 ... 9-7)상에 블록 대각선으로 인터리빙될 수 있는데, 어떤 경우에도, 각 버스트는 J=348 비트들의 크기를 지닌다. 하지만, 상기 블록 대각선 인터리빙에 대해, 상기 I=8 버스트들은 단지 짝수 비트 위치들(버스트들 9-0 ... 9-3) 또는 홀수 비트 위치들(버스트들 9-4 ... 9-7)에서 비트들을 포함한다. 도 3에서, I=8인 블록 대각선 인터리빙의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다른 I=8 버스트들에 매핑되는 두번째 인터리빙되지 않은 버스트의 짝수 및 홀수 비트 위치들에 있는 비트들과 함께, 각각 길이 1392 비트인 두개의 넘치는(brimming) FLO 무선 패킷들(10)이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프리젠테이션의 단순화를 위하여, 도 3에서 상기 무선 패킷들(10) 중 하나만이 도시된다. 그다음 상기 FLO 무선 패킷들(10)은 8-PSK 변조를 겪게 된다.
기술 문서 3GPP TR 45.902 V6.0.0에서, 각각 J 비트들을 지닌 I 버스트들상에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8)의 K 비트들을 매핑하는 상기 인터리빙은 다음 세트의 수학식들에 의해 정의된다:
인터리빙 깊이 I를 가지고 행한 블록 대각선 인터리빙:
Figure 112005074171672-pct00001
인터리빙 깊이 I를 가지고 행한 블록 직사각형 인터리빙:
Figure 112005074171672-pct00002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함수 "int[j]"는 j에 관해 우수리를 잘라버려 다음 가장 작은 자연수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고, 반면에 모듈로(modulo) 연산자 "i mod j"는 나눗셈 i/j의 나머지를 반환한다.
상기 수학식들은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K를 M 인터리빙되지 않은 버스트들을 포함하는, 인터리빙되지 않은/인터리빙된 무선 패킷의 크기를 비트로 나타낸 것이라고 하면, 위치 k=0 ... K-1에서의 각 비트는, 버스트 b=0 ... I-1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 j=0 ... J-1에 매핑되는데, 상기에서 J는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버스트들 및 상기 버스트들 양자의 크기를 비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기한 수학식들을 준수하고 매개 변수 세트 K=1392 및 J=348(M=4), 즉 완전 레이트 8-PSK 채널들에서 시작되는, GSM/EDGE의 FLO에서 무선 프레임의 첫번째 72 비트들(상기 TFCI 비트들)에 대한 인터리빙 표를 도시한 것이다. 더욱이, I=8의 인터리빙 깊이를 지닌 블록 대각선 인터리빙이 가정된다.
도 4의 첫번째 컬럼은 인터리빙 이전에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8)내의 비트의 인덱스(k)를 나타내고, 두번째 컬럼은 인터리빙 이후에 대응하는 버스트(b)내의 할당된 인덱스(j)를 나타내며 세번째 컬럼은 인터리빙 이후에 상기 할당된 버스트 인덱스(b)를 나타낸다.
도 4의 첫번째 컬럼 및 세번째 컬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8)의 연속적인 비트들은 주기적으로 각각 상이한 버스트들(b)에 매핑된다. 더욱이, 첫번째 4개의 버스트들(b=0, 1, 2, 3)에서, 단지 짝수 비트 위치들(j)에만 값이 할당되고, 반면에 마지막 4개의 버스트들(b=4, 5, 6, 7)에 대해, 홀수 비트 위치들에만 값이 할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k=0 ... 1392 비트 위치들로부터의 비트들, 즉 348 비트들의 4 블록들 각각은 각각 J=348 비트 위치들을 지닌 I=8 버스트들에 매핑되지만, 상기 버스트들 각각은 짝수 위치 또는 홀수 위치에서 단지 비트들을 포함한다.
그다음 상기 무선 패킷은 8-PSK 변조를 겪는데, 이것은 다른 비트들보다 더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무선 패킷의 모든 세번째 비트를 초래한다. 비트로 나타낸 버스트 크기 J=348이 3으로 나뉘어떨어진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버스트내의 비트의 위치는 상기 비트가 대응하는 8-PSK 심볼의 세번째 비트 위치에 있는지를 결정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즉 상기 무선 패킷에서의 절대 비트 위치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하라. 세번째 비트로서 전송될 상기 TFCI 비트들은 첫번째 k=0 ... 71 비트 위치들에 대응하고 기준 (j+1) mod 3=0을 만족하는 인덱스 j를 탐색함으로써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것은 비트 위치들 k=1, 5, 10, 14, 16, 19, 20, 23, 25, 29, 34, 38, 40, 43, 44, 47, 49, 53, 58, 62, 64, 67, 68 및 71에 대한 경우이다(또한 도 6을 참조하라). 상기 TFCI 비트(또는 프레임) 오류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들 비트 위치들상의 비트들은 이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상기 CCTrCH로부터의 비트들로 교환되는데, 즉 cpt가 짝수인 경우 비트 k는 비트 k+N으로 교환되고 cpt가 홀수인 경우 비트 k는 비트 k+(K-N)으로 교환되는데, 상기에서 N은 소정의 자연수이고 cpt는 상기 교환 절차가 시작되는 경우 0으로 초기화되며 각 교환 동작 이후에 1씩 증가하는 카운터이다. 교호적으로 비트 k를 비트 k+N 및 비트 k+(K-N)으로 교환하는 것은 단지 상기 TFCI의 비트들이 오류 보호가 가장 강 한, 상기 CCTrCH의 시작부 및 종단부에 있는 비트들로 교환된다고 보증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대안적으로, 비트 k는 cpt의 값에 상관없이 비트 k+N으로 교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절차를 단순화하지만, 상기 CCTrCH의 비트 오류율을 훨씬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들(IF)(12, 13 및 14)을 지닌 버스트 메모리(11), 상기 인터페이스들(12, 13 및 14)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5) 및 룩업 테이블(LUT)(16)을 포함한다. IF(12)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는 이전의 인터리빙 단계로부터 유래된 인터리빙된 무선 패킷(10)의 버스트들을, 램(RAM)으로 구현될 수 있는, 상기 버스트 메모리(11)에 버스트-양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버스트가 상기 램에 저장되는 경우,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는 본 인터리빙 방식 및 인터리빙 깊이(I)에 대한 상기 LUT(16)에 포함된 교환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버스트의 비트들을 교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14)를 통해 메모리(11)로부터 상기 버스트를 읽는 것을 트리거한다. 그다음 상기 교환된 버스트들(17)은 변조기 단으로 전송된다.
상기한 설명은 상기 교환이 상기 송신기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동일한 설정이 상기 수신기에서 역 교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입력 버스트들은 상기 버스트 메모리(11)에 버스트-양식으로 저장되고, 상기 교환 경우에서와 같이 동일한 LUT(16)에 따라 역 교환되며, 후속적으로 디-인터리빙 단으로 전송된다.
도 6은 상기 TFCI의 어떤 비트들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CCTrCH로부터의 비 트들로 교환되는지를 나타내는 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교환 시스템의 LUT(16)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Imax=16으로 나뉘어떨어지고 상기 TFCI의 크기(L=72 비트)보다 크거나 같은, N=80이 선택된다. 동일한 비트 교환 절차가 모든 인터리빙 방식들 및 R=3인 경우 상기 세트 {4, 8, 16}으로부터 취해진, 상기 FLO내에서 가능한 인터리빙 깊이들에 적용될 수 있도록 N=80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주목하라. 그렇지 않으면, 상기 CCTrCH의 시작부 및 종단부에서 비트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I=8인 블록 대각선 인터리빙의 본 경우에서, 상기 TFCI의 크기 L=72와 동일하거나 더 큰 그리고 I=8로 나뉘어떨어지는 N=72를 선택하는 것이 충분했을 것이다.
첫번째 컬럼은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8)내의 비트 위치의 인덱스(k)를 나타낸다. 두번째 컬럼은 상기 TFCI 비트가 교환되는 상기 인터리빙되지 않은 무선 패킷(8)내의 상기 CCTrCH 비트의 절대 위치 k'=b*J+j를 나타낸다. 세번째 컬럼은 상기 교환이 발생하는 버스트 인덱스(b)를 제공한다. 마지막 두개의 컬럼들은 위치 k에서의 비트가 (버스트 b내에서) 인터리빙되는 비트 위치 j 및 위치 k'에서의 비트가 (버스트 b내에서) 인터리빙되는 비트 위치 j'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치 k=25에서의 TFCI 비트는 (14+1) mod 3=0을 만족하는, 버스트 b=1에서 비트 위치 j=14에 인터리빙되는데, 즉 상기 TFCI 비트는 8-PSK 심볼의 세번째 비트 위치에서 송신될 것이고 따라서 교환되어야 한다. 그다음 교환은 (상기 CCTrCH의 시작부에서) 위치 k+80=105에서의 비트와 위치 k=25에서의 비트간에 수행된다. 위 치 105에서의 비트는 (198+1) mod 3=0을 만족하지 않는, 버스트 b=1내의 j'=198에 인터리빙된다. 상기 교환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버스트 b내의비트들에 대해 항상 수행된다는 것을 주목하라.
도 7은 비트 교환없는 FLO 무선 패킷들 및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이 있는 FLO 무선 패킷들에 의해 달성되는 프레임 오류율들의 첫번째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FLO는 5 비트 TFCI(72 비트가 부호화됨)를 가지고 8-PSK 채널들을 통해 4.75 kbps로 적응 멀티레이트 코덱(AMR: Adaptive Multirate Codec) 호(call)를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채널 모델로서, TU3iFH 채널이 사용되었다. 도 7은 TFCI 및 CCTrCH 양자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의 프레임 오류율(FER: Frame Error Rate) 및 상기 TFCI 단독의 FER 양자를, 비트 교환이 있는 경우 (파선) 및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이 없는 경우(실선)의 양 경우에 그리고 dB로 나타낸 반송파-간섭비(C/I: Carrier-to-Interference)의 함수로서 나타낸 것이다. 상기 TFCI의 FER에 대해, 1.3dB 이득이 (FER=0.01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을 적용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다음 상기 CCTrCH 및 TFCI의 결합된 FER은 0.2dB 이득을 보여준다.
도 8은 비트 교환이 없는 FLO 무선 패킷들 및 본 발명에 의한 비트 교환이 있는 FLO 무선 패킷들에 의해 달성되는 프레임 오류율들의 두번째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더 약한 비트들이 상기 비트 교환의 결과로서 상기 CCTrCH에 대해 사용되기 때문에, 이것은 많은 비트들이 교환되는 경우 그리고 낮은 오류 방지에 대응하는, 상기 CCTrCH의 부호화율이 높은 경우 성능의 다소간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손실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FLO는 도 7에서와 같은 동일한 채널들을 통해 12.2 kbps로 AMR 호를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비트 교환이 있는 경우(파선) 및 비트 교환이 없는 경우(실선)에 dB로 나타낸 상기 C/I의 함수로서 상기 결합된 TFCI 및 CCTrCH의 FER로 나타낸 결과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시나리오에서 비트 교환으로 인한 성능 저하는 무시해도 좋을 정도이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에 설명되었다. 당업자에게 명백할 그리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남없이 구현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들 및 변형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주목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비트 교환은 상기 인터리빙 단계동안 수행될 수 있고, 특히 버스트내의 인터리빙된 비트들의 배열에 관해 상이한 인터리빙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결코 8-PSK 변조 또는 상기 GSM/EDGE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확산 스펙트럼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K 비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I 연속 비트들이 주기적으로 각각 I 상이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는 비트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적어도 한 비트의 값을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의 값으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 > m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차(n-m)가 I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은 상기 적어도 I 연속 비트들의 인터리빙 이전, 인터리빙 동안 또는 인터리빙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는 미리 정의된 세트의 인터리빙 깊이들 {I1,...,IR}로부터 취해지고, 모든 r=1,...,R에 대해, Ir≤Imax가 유지되며,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상기 차(n-m)가 Imax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그룹의 비트들이 상기 데이터 패킷내에서 정의되고, 상기 교환 단계는,
    상기 각 제1 비트 위치(m)에 있는 비트가 상기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상기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매핑되는,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가 특징적인 인터리빙 비트 위치인 경우,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상기 각 제1 비트 위치(m)에 있는 비트가 상기 적어도 한 그룹의 비트들에 속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변조 방식에 따라, 상기 특징적인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상의 비트들은, 잔여 위치들상의 비트들과 비교할 때 상기 비트들이 변조되고, 노이즈가 있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복조되는 경우 높은 오류 확률의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적인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은 (j+1)이 p로 나뉘어떨어지는 기준을 충족하는 버스트내의 위치들(j)이며, 상기 p는 0보다 큰 소정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들의 그룹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소정 수(L)의 제1 비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m≥L이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L 비트들의 그룹에서 GSM/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의 유동적 계층 원(FLO: Flexible Layer One)에 의한 전송 포맷 조합 식별자(TFCI)의 비트들 및 잔여 K-L 비트들에서 상기 GERAN의 상기 FLO에 의한 부호화된 복합 전송 채널(CCTrCH)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K 비트들은 상기 인터리빙 방식들 중 한 방식 및 상기 GERAN의 FLO에 대해 표준화된 상기 인터리빙 깊이들(I) 중 하나에 따라 상기 버스트들내의 상기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며, p=3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적어도 두번 수행되고, 각 단계에서 상기 각 제1 비트 위치(m)는 상이하며, 상기 적어도 두 단계들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N을 소정의 수라 할 때,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m+N이 유지되도록 선택되고, 상기 적어도 두 단계들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m+K-N이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방법.
  11. 미리 정의된 인터리빙 방식 및 선택된 인터리빙 깊이(I)에 따라, K 비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I 연속 비트들이 주기적으로 각각 I 상이한 버스트들내의 인터리빙된 비트 위치들에 매핑되는 비트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1 비트 위치(m)와 관련된 적어도 한 비트의 값을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각 제2 비트 위치(n)와 관련된 비트의 값으로 교환하기 위한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제2 비트 위치(n)는 n > m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차(n-m)가 I로 나뉘어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교환 시스템.
  12. 디지털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에 직접 로딩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로서, 상기 생성물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청구항 1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KR1020057024364A 2003-06-20 2004-06-17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을 위한 비트 교환 KR100686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01,338 2003-06-20
US10/601,338 US6919829B2 (en) 2003-06-20 2003-06-20 Bit swapping for different interleaving depth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690A KR20060020690A (ko) 2006-03-06
KR100686704B1 true KR100686704B1 (ko) 2007-02-26

Family

ID=3351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364A KR100686704B1 (ko) 2003-06-20 2004-06-17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을 위한 비트 교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19829B2 (ko)
EP (1) EP1606902B2 (ko)
JP (1) JP4276261B2 (ko)
KR (1) KR100686704B1 (ko)
CN (1) CN1799214A (ko)
AT (1) ATE372001T1 (ko)
AU (1) AU2004250807B2 (ko)
CA (1) CA2525883A1 (ko)
DE (2) DE202004021657U1 (ko)
ES (1) ES2289523T3 (ko)
TW (1) TWI248741B (ko)
WO (1) WO2004114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4215A5 (de) * 2003-09-10 2004-09-15 Csaba Bona Verfahren zum Uebermitteln von elektronischen Daten ueber ein duales Netzwerk zur Erhhoehung der Internetsicherheit.
US8077743B2 (en) * 2003-11-18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et interleaving of vocoder frames
JPWO2006095922A1 (ja) * 2005-03-10 2008-08-21 京都薬品工業株式会社 テトラヒドロイソキノリン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GB0522322D0 (en) * 2005-11-02 2005-12-07 Siemens A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KR100987269B1 (ko) * 2006-08-2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차 변조 기반의 버스트 매핑 방법및 장치
JP5386494B2 (ja) * 2007-10-01 2014-01-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edhotaおよびbのワイヤレス送受信ユニット用のアップリンク状態フラグ(usf)デコードの複雑性を単純化するための方法
US9338475B2 (en) * 2008-04-16 2016-05-10 Intel Corporation Tone mapping for bit-depth scalable video codec
US9667383B2 (en) 2009-01-22 2017-05-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US8605669B2 (en) * 2010-05-06 2013-1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3973405B (zh) * 2014-05-13 2017-05-24 江苏中兴微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中的符号交织深度优化方法
CN104993902A (zh) * 2015-02-03 2015-10-21 协同通信技术有限公司 卫星通信系统信道复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887A (en) 1983-11-30 1985-10-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Pseudo-random convolutional interleaving
US5263051A (en) 1991-07-05 1993-11-16 Codex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interleaving for a trellis precoding system
JPH0775099A (ja) 1993-05-07 1995-03-17 Philips Electron Nv マルチプレックス直交振幅変調テレビジョン送信用送信方式、送信機及び受信機
CN1138379C (zh) 1993-12-29 2004-02-11 齐尼思电子公司 格式化数据帧的方法和装置
US5602875A (en) 1995-01-13 1997-02-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in a digtial communication system
US5796755A (en) 1995-10-10 1998-08-18 Eastman Kodak Company Error minimization in interleaved error correcting codes
KR970060721A (ko) 1996-01-29 1997-08-12 이데이 노부유끼 지향성패턴의 인터리브 및 변경을 위한 송신장치,수신장치,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US6304581B1 (en) 1999-02-16 2001-10-16 Motorola, Inc. Interle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and multi-carriers CDMA communication systems
US6311306B1 (en) 1999-04-26 2001-10-30 Motorola, Inc. System for error control by subdividing coded information units into subsets reordering and interlacing the subsets, to produce a set of interleaved coded information units
US6259744B1 (en) * 1999-06-01 2001-07-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bits to an information burst
DE69923970T2 (de) * 1999-09-14 2006-04-27 Lucent Technologies Inc. Kanaldecod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Kanaldecodieren
FI114766B (fi) 1999-11-30 2004-12-15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kehyksen sisäisen lomituksen toteuttamiseksi
GB2378869B (en) 2001-06-09 2005-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ranging codeword sequ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8595D1 (de) 2007-10-11
JP2007520907A (ja) 2007-07-26
TWI248741B (en) 2006-02-01
DE602004008595T2 (de) 2007-12-27
ES2289523T3 (es) 2008-02-01
EP1606902B2 (en) 2010-06-16
EP1606902A1 (en) 2005-12-21
US6919829B2 (en) 2005-07-19
WO2004114580A1 (en) 2004-12-29
DE202004021657U8 (de) 2010-05-12
CA2525883A1 (en) 2004-12-29
KR20060020690A (ko) 2006-03-06
ATE372001T1 (de) 2007-09-15
EP1606902B1 (en) 2007-08-29
DE202004021657U1 (de) 2009-12-03
AU2004250807B2 (en) 2008-11-20
AU2004250807A1 (en) 2004-12-29
US20040257250A1 (en) 2004-12-23
TW200503489A (en) 2005-01-16
JP4276261B2 (ja) 2009-06-10
CN1799214A (zh)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5082B2 (en) High-order modulation-based burst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533004A (en) Method for providing and selecting amongst multiple data rate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ed system
CA238014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732832B1 (en) Signal transmitter, signal receiver, and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JP3728578B2 (ja)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における不均一誤り保護方法並びにその符号器及び復号器
KR100370723B1 (ko) 정보 버스트로 비트를 매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885499B2 (ja) マルチユーザ/マルチサービス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11757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ntrol
US7933352B2 (en) Cross QAM modulation-based symbol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4526336A5 (ko)
KR100686704B1 (ko) 상이한 인터리빙 깊이들을 위한 비트 교환
US8311017B2 (en) Method for interleaving bits, a base station, a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
US8542624B2 (en)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
WO2004001982A1 (en) Interleaving of information bits
KR2008007391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심볼 전송률을 적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및 장치
AU20032595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