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134B1 -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 Google Patents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134B1
KR100685134B1 KR1020040106165A KR20040106165A KR100685134B1 KR 100685134 B1 KR100685134 B1 KR 100685134B1 KR 1020040106165 A KR1020040106165 A KR 1020040106165A KR 20040106165 A KR20040106165 A KR 20040106165A KR 100685134 B1 KR100685134 B1 KR 10068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ackground image
dangerous
frame
regis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7400A (en
Inventor
노경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134B1/en
Publication of KR2006006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4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감시영역의 기준영상으로서 움직이는 물체가 없는 상태로 정리가 완료된 시점에 촬영된 배경영상을 등록하는 단계; 배경영상의 영역에 일시적으로 출입하여 움직이는 물체는 검출대상에서 제외하고 배경영상의 영역에서 방치되었다고 판단되는 물체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방치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속되면,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gistering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leanup is completed with no moving object as a reference image of the surveillance region; In order to detect only objects that are determined to be left in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except objects that temporarily move in and out of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they are previously determin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left. Registering the difference area as a danger area when the period of time continues; And alerting the danger zone.

본 발명의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공항, 주요 공공 시설에서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놓여진 위험물이 일정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에 이러한 물건을 감지하고 경보하여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mera-based surveillance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ngerous goods deliberately placed by someone in an airport or a major public facility where many people come and go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bject is detected and alerted, and preventive measures are taken in advance. Can be taken.

Description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Camera-based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108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2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208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108 shown in FIG.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step S408 show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104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104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이다.8 is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f의 본 발명의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감시 영역을 촬영한 영상 프레임들이다.9A to 9F are image frames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area for explaining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감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a camera.

대부분의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는 움직이는 물체의 추적 또는 인식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In most security surveillance systems,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tracking or 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최초에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을 바탕으로 다음 영상과의 차이를 검사하면 변화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변화된 이미지가 없으면 아무 것도 움직인 것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변화된 이미지가 있다면 움직이는 물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움직임 추적(motion tracking)은 기법 여러 도난 경비 시스템에 응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추적 및 인식 기술에도 응용되고 있다.By first examining the difference from the next image based on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a changed image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if there is no changed image, it means that nothing moves. If there is a changed image, it means that there is a moving object. Such motion tracking has been applied to various theft security systems, as well as to various tracking and recognition technologies.

종래의 대부분의 기술은 화면상에 전면에 보이면서 움직이는 물체를 추출하고 인식하는 데에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진을 찍을 때에 대부분이 배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람 또는 특정 대상에게 포커스가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 즉, 보안 감시 시스템 연구의 기술적 중심도 이러한 경향을 따라가고 있으므로 배경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Most of the prior arts focus on extracting and recognizing moving objects while being seen in front of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aking a picture, most tend to focus on a person or a specific object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background. In other words, the technical center of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research is following this tendency, so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change of background.

기존의 보안 및 안전 감시용 시스템에서는 출입, 도난, 또는 작업 환경 모니터링 등의 목적으로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항상 모니터링을 위한 사람이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왔다. 그래서 최근에는 움직임 추적 기법이나 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 감시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In the existing security and safety surveillance system, a surveillance camera system was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access, theft, or monitoring the working environment. However, this has been expensive because there is always a problem that requires the deployment of people for monitoring. Recently, an automatic monitoring system using a motion tracking technique or a sensor has been used.

그러나,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곳에서 폭발물이나 산업 현장의 위험물을 카메라를 통해 탐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은 거의 전무하다. 특히 최근에 주요 공공 시설에 대한 테러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위험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However, there are almost no surveillance systems that can detect explosives or industrial dangerous goods through cameras in places where human traffic is frequent. 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risk of terrorism in major public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rveillance system that can detect such dangerous good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공항, 주요 공공 시설에서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놓여진 위험물이 일정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 산업현장의 공장 내부에서 제품 이외의 물건들이 생산라인 또는 바닥에 일정시간 이상으로 방치된 경우 등에 이러한 물건을 감지하고 경보하는 감시방법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angerous goods placed deliberately placed by someone in an airport, a major public facility, where many people come and go, are left on the production line or floor inside a factory in an industrial site. It is to provide a monitoring method and a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and alarming such an object when lef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a) 감시영역의 기준영상으로서 움직이는 물체가 없는 상태로 정리가 완료된 시점에 촬영된 배경영상을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배경영상의 영역에 일시적으로 출입하여 움직이는 물체는 검출대상에서 제외하고 상기 배경영상의 영역에서 방치되었다고 판단되는 물체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상기 방치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b2)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편차를 구하여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b3)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상기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b4)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5)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경영상의 영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방치되었다고 판단되는 물체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차이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만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5) 단계는, (b51) 상기 차이 영역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b5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미리설정된 기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5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b6)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b7)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과, 이전 영상 프레임에서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을 비교하는 단계; (b8)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9)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부분이 상기 미리설정된 기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동일한 부분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9) 단계는, (b91) 상기 동일한 부분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b9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9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위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영역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2) 상기 위험 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단계; 및 (c3) 상기 위험 영역의 정보를 경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에 유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감시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로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등록된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될 수 있다.
The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omprises the steps of: (a) registering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at the time when the cleanup is completed with no moving object as a reference image of the surveillance region; (b) In order to detect only an object that is determined to be left in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except for an object temporarily moving in and out of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left unattended. Registering the difference area as a danger area if it continues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it is determined to And (c) alerting the dangerous area.
Step (b) may include: (b1) capturing a current image frame; (b2) detecting a movement region in the current image frame by obtaining a deviation between a previous image frame and a current image frame; (b3) comparing the background image with the image excluding the movement area in the current image frame; (b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reg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proceeding to step (b1); And (b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region, in order to detect only an object determined to be left in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period, the difference region is defined only when the difference reg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And registering the dangerous area.
Step (b5) may include: (b51) registering the difference area as a preliminary dangerous area; (b52) determining whether the preliminary dangerous area has been repeated for the fra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eriod, and if not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proceeding to step (b1); And (b53) registering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as a dangerous zone when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is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Step (b) may include: (b1) capturing a current image frame; (b6) detecting and storing a difference area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b7) comparing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stored background image and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background image stored in the previous image frame; (b8) if there is no identical par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proceeding to step (b1); And (b9) if there is a same par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registering the same part as a dangerous area when the same part is maintained for a fra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eriod.
Step (b9) may include: (b91) registering the same portion as a preliminary dangerous area; (b92) determining whether the preliminary dangerous area has been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and proceeding to step (b1) if it has not been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And (b93) registering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as a dangerous zone when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is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The step (c) may include: (c1)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anger zon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danger zone; (c2) magnifying the dangerous area; And (c3) alerting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urveillance camera for taking an image;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by wire / wireless to store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and having a computer executing the surveillanc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n alarm unit configured to alert the registered dangerous area output from the controller.
The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may be recorded as a program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감시 대상이 되는 영역의 최초 배경영상과의 차이나는 물체의 영상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이를 담당자 등에게 경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monitoring system that helps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by alerting a person in charge of an object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background image of an area to be moni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으로서, 감시 영역(100)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102)와 감시 카메라(102)에 유선/무선(104)으로 연결된 감시 제어부(106)와 감시 제어부(106)에 연결된 모니터(108)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감시된 상황을 모니터(108), 스피커(110) 또는 보안 담당자들의 휴대 단말기(112)를 통하여 경보할 수 있다.8 is a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surveillance camera 102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region 100 and a surveillance controller 106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102 by wire / wireless 104. The monitor 108 is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ontrol unit 106. In addition,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ert the monitored situation through the monitor 108, the speaker 110, or the mobile terminal 112 of the security personnel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먼저, 배경영상을 등록한다(S100).Referring to FIG. 1, the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egisters a background image (S100).

배경영상은 최초 감시 시스템 설치시 또는 감시 영역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없는 상태로 정리가 완료된 시점에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 프레임이다. 사람의 왕래가 없고 보안점검이 완료된 이후에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기준으로 볼 수 있다.The background image is an image frame that is captured and stored when the initial surveillance system is installed or when the cleanup is completed without moving objects in the surveillance area. It can be viewed based on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after the traffic check is completed and no human traffic is completed.

이러한 배경영상은 감시 영역이 변경되거나, 감시 영역의 초기 배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갱신 등록한다.Such a background image is updated and registered when a surveillance area is changed or when the initial layout of the surveillance area is changed.

S100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그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102). S102 단계에 의하여 감시 영역내에서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장기 방치된 물건 등을 검출한다.After the step S100, if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difference region is registered as a dangerous region (S102). In step S102, an object that was not initially present but left unattended in the monitoring area is detected.

여기서 소정기간 지속되는 조건에 의하여, 배경영상과 차이가 있지만 움직이는 물체는 검출대상에서 제외된다.In this case, the moving object is excluded from the detection object,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background image due to a condition last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산업현장에서는 제품생산라인 밖이나 바닥에 떨어져 방치된 물건, 컨베이어에서 이동 중인 제품의 바깥으로 떨어진 물건, 공항 등의 시설에서 폭발물로 의심되는 물건 등을 검출할 수 있다.Industrial sites can detect objects that are left outside the product line or on the floor, objects that are outside of the product moving on the conveyor, and objects suspected of explosives in facilities such as airports.

등록된 위험영역에 대한 정보들은, 감시 영역의 동향을 관찰하기 위한 백업 데이터, 감시 요원들에게 제공되는 경보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dangerous area may be utilized as backup data for observing the trend of the surveillance area, and alarm data provided to the surveillance personne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108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S108 단계는 먼저,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S200). Referring to FIG. 2, in step S108, a current image frame is photographed (S200).

S200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검출한다(S202).After operation S200, a movement region is detected in the current image frame (S202).

현재 영상 프레임의 움직임 영역은,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편차를 구하는 일반적인 움직임 검출 기법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The motion region of the current image frame may be detected by a general motion detection technique for obtaining a deviation between the previous image frame and the current image frame.

S202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배경영상을 비교한다(S204). 소정 기간 이상 방치된 물건을 검출하기 위하여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검출된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다. 그리고 이를 배경영상과 비교한다.After the step S202, the background image is compared with the image excluding the movement area in the current image frame (S204). In order to detect an object that has been lef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the movement area detected in the current image frame is excluded. And compare this with background image.

S204 단계 후에,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한다.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면 S200 단계로 진행한다(S206).After step S204,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reg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reg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0 (S206).

그러나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 그 차이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그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208).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area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difference area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the difference area is registered as a dangerous area (S208).

도 2의 실시예를 도 9a 내지 도 9f의 촬영된 영상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The embodiment of FIG. 2 will be described using the captured image frames of FIGS. 9A to 9F.

도 9a는 시간 T에서 초기 배경영상이다.9A is an initial background image at time T. FIG.

도 9b는 내지 도 9d는 각각 시간 T+1 내지 시간 T+3 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으로서, 움직이는 물체들만이 등장하는 영상들이다.9B to 9D are image frames photographed at time T + 1 to time T + 3, respectively, in which only moving objects appear.

도 9e는 시간 T+4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으로서, 누군가 방치한 물건이 있는 영상이다.FIG. 9E is an image frame photographed at time T + 4, and has an image left by someone.

도 9f는 시간 T+5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으로서, 일정시간 이상 방치되어 경보의 대상이 되는 가방이 존재하는 영상이다.9F is an image frame photographed at a time T + 5, and is an image in which a bag which is lef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s an alarm target exists.

먼저 시간 T+1에서,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200) 움직임을 검출한다(S202). 현재 영상 프레임(T+1)에서 움직임 영역인 man-1, man-1의 가방과 man-2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과 비교하면(S204) 차이점이 없으므로(S206) S200 단계로 진행한다.First, at time T + 1, a current image frame is photographed (S200), and motion is detected (S202). Compared to the background image T except for a bag of man-1, man-1 and man-2, which are moving regions in the current image frame T + 1 (S204), there is no difference (S206). .

시간 T+2, T+3 에서도 T+2 에서와 마찬가지로, 움직임 영역인 man-1, man-1의 가방과 man-2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과 비교하면(S204) 차이점이 없으므로(S206) S200 단계로 진행한다.Similarly to T + 2 in time T + 2 and T + 3, there is no difference compared to the background image (T) except for the bag of man-1 and man-1 and man-2, which are moving areas (S204). S206) Proceeds to step S200.

도 9e를 참조하면, 시간 T+4 에서는 누군가 방치한 가방이 영상 우측의 화분 옆에 있다.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200) 움직임을 검출한다(S202). 현재 영상 프레임(T+4)에서 움직임 영역인 man-3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과 비교하면(S204), 우측 화분 옆의 가방이 차이 영역으로 검출된다.Referring to FIG. 9E, at time T + 4, a bag left by someone is next to the pot on the right side of the image. Photograph the current image frame (S200) and detect the movement (S202).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image T except for the man-3 which is the movement region in the current image frame T + 4 (S204), the bag next to the right flowerpot is detected as the difference region.

도 9f를 참조하면, 시간 T+5 에서 움직임 영역인 man-4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와 비교하면(S204), 우측 화분 옆의 가방이 차이 영역으로 검출된다(S206).Referring to FIG. 9F, the bag next to the right pollen is detected as a difference region when compared to the background image T except for the man-4 which is the movement region at time T + 5 (S204).

도 9e와 도 9f에서 반복적으로 검출된 가방영역은 위험 영역으로 등록된다.Bag regions repeatedly detected in FIGS. 9E and 9F are registered as dangerous area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2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208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S208 단계는 먼저,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배경영상의 차이영역을 예비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300).Referring to FIG. 3, in step S208, a difference region between an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excluding a movement region in a current image frame is registered as a preliminary danger region (S300).

S300 단계 후에, 예비위험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02). 예비위험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200 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After step S3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liminary dangerous area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S30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liminary danger area has not been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0 to capture a new image frame.

예비위험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다고 판단되면, 예비위험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304).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erve danger zone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the reserve danger zone is registered as a danger zone (S304).

도 4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108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S108 단계는 먼저,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S400)Referring to FIG. 4, in step S108, a current image frame is captured (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을 검출하여 저장한다(S402).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etected and stored (S402).

S402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과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과 이전 영상 프레임에서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을 비교한다(S404).After operation S402,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stored background image is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background image stored in the previous image frame (S404).

S404 단계의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없는 경우(S406),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은 모두 움직임 영역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에는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If there is no identical par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404 (S406), all of the difference areas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are determined as motion regions. In this ca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0 to shoot a new image frame.

S404 단계의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있는 경우(S406), 동일한 부분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동일한 부분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408).If there is the same par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404 (S406), if the same par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the same part is registered as the dangerous area (S408).

도 4의 실시예를 도 9a 내지 도 9f의 촬영된 영상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The embodiment of FIG. 4 will be described using the captured image frames of FIGS. 9A to 9F.

도 9a는 시간 T에서 초기 배경영상이다.9A is an initial background image at time T. FIG.

먼저 시간 T+1에서,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 검출하면, man-1, man-1의 가방과 man-2가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First, at time T + 1, when the current image frame is photographed (S40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etected, the bags of man-1 and man-1 and man-2 are detected and stored (S402).

시간 T+2에서는,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 검출하면, man-1, man-1의 가방과 man-2가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 T+1에서 저장된 man-1, man-1의 가방, man-2 와, T+2에서 저장된 man-1, man-1의 가방, man-2을 비교하면(S404) 동일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S406). 그러므로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영상을 촬영한다.At time T + 2, when the current image frame is photographed (S400)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etected, the bags of man-1 and man-1 and man-2 are detected and stored (S402). If you compare man-1 and man-1 stored in T + 1, man-2 and man-1 and man-1 stored in T + 2, man-2 (S404), they do not exist in the same area. It is determined (S406). Theref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0 to shoot a new image.

T+3에서도 T+2에서와 마찬가지이다.The same is true for T + 3 as for T + 2.

T+4에서는,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을 검출하면, man-3와 화분 옆의 가방이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 T+3에서 저장된 man-1, 가방, man-2와, T+4에서 저장된 man-3, 가방을 비교하면(S404), 가방이 동일영역에 존재한다고 판단된다(S406).In T + 4, when the current image frame is photographed (S400)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etected, the bag next to man-3 and the flowerpot is detected and stored (S402). Comparing man-1, bag and man-2 stored in T + 3 with man-3 and bag stored in T + 4 (S404), it is determined that the bag exists in the same area (S406).

도 9f를 참조하면, 시간 T+5 에서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을 검출하면, man-4와 화분 옆의 가방이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 이를 T+4에서 저장된 man-3, 가방과 비교하면(S404), 가방이 동일영역에 존재한다고 판단된다(S406).Referring to FIG. 9F,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etected at time T + 5, the man-4 and the bag next to the flowerpot are detected and stored (S402). Comparing this with the man-3 and the bag stored at T + 4 (S404), it is determined that the bag exists in the same area (S406).

도 9e와 도 9f에서 반복적으로 검출된 가방 영역은 위험 영역으로 등록된다(S408).The bag area repeatedly detected in FIGS. 9E and 9F is registered as a dangerous area (S408).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step S408 shown in FIG. 4.

도 5를 참조하면 S408 단계는 먼저, 동일한 부분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한다(S500).Referring to FIG. 5, in step S408, the same part is registered as a preliminary dangerous area (S500).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S400 단계로 진행한다(S502).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liminary dangerous area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and if it is not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0 (S502).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한다(S504).If the spare danger zone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the spare danger zone is registered as a danger zone (S504).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1의 실시예에 S104 단계가 더 구비된 실시예이다.6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ep S104 is further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도 6을 참조하면, 배경영상을 등록하고(S1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그 차이영역을 취험영역으로 등록한다(S102). S102 단계 후에, 위험영역을 경보한다(S104).Referring to FIG. 6, the background image is registered (S100), and if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las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difference region is registered as a study region (S102). After step S102, the danger zone is alerted (S104).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104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p S104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S104 단계는 먼저, 위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영역의 정보를 획득한다(S700). 그리고 위험 영역을 확대 촬영한다(S702). 그리고 획득한 위험 영역의 정보를 경보한다(S704).Referring to FIG. 7, in step S104, firs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danger area are calculated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danger area (S700). The dangerous area is enlarged and photographed (S702). Then, the information of the acquired danger zone is alerted (S704).

경보는 감시 시스템의 모니터에 나타내어 알리는 방법, 감시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로 알리는 방법, 보안 요원의 휴대용 단말기에 위험 영역이 정보를 전송하여 알리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Alarms may be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monitoring system and notified, a voice message may be notified through the loudspeaker of the monitoring system, and a danger zone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security officer.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으로서, 감시 영역(100)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102)와 감시 카메라(102)에 유선/무선(104)으로 연결된 감시 제어부(106)와 감시 제어부(106)에 연결된 모니터(108)를 구비한다.8 is a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surveillance camera 102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region 100 and a surveillance controller 106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102 by wire / wireless 104. The monitor 108 is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ontrol unit 106.

감시 제어부(106)는 감시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초기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감시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이 차이점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The surveillance controller 106 stores the initial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102,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102 las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difference is detected in the danger zone. Register with

또한 감시 제어부(106)는 필요에 따라 감시된 상황을 모니터(108), 스피커(110) 또는 보안 담당자들의 휴대 단말기(112)를 통하여 경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control unit 106 may alert the monitored situation through the monitor 108, the speaker 110, or the mobile terminal 112 of the security personnel.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라 함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장치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 명령으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또한 컴퓨터라는 용어도 실제 사용되는 명칭의 여하에 불구하고 메모리, 입출력장치, 연산장치를 구비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모든 장치를 총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컴퓨터에는 도 8에 도시된 감시 카메라에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제어시스템이 포함되며, 기록매체에 프로그램으로 저장된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읽혀져서 본 발명의 감시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The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that stores programs or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Here, the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series of instruction instructions used directly or indirectly in an apparatus hav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such as a computer to obtain a specific result. In addition, the term computer is used to mean all devices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by a program having a memory, an input / output device, and an arithmetic device despite the fact that the name is actually used. Therefore, the computer includes a control system wired /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shown in FIG. 8, and a program stored as a program on a recording medium is read by the control system so that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공항, 주요 공공 시설에서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놓여진 위험물이 일정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에 이러한 물건을 감지하고 경보하여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mera-based surveillance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ngerous goods placed by someone intentionally left in a public airport, a major public facility with a lot of people, such objects are detected and Alerts can be taken beforehand.

또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는 공장 내부에서 제품 이외의 물건들이 생산라 인 또는 바닥에 일정시간 이상으로 방치된 경우 등에 이러한 방치된 물건들을 감지하여 작업자들에게 안전을 경고하는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ystem for warning the safety of workers by detecting such unattended objects in the industrial field, such as when the product is left in the factory for more than a certain time on the production line or the floor.

또한 본 발명은 불법주정차 감지 시스템 및 쓰레기 불법투기 감시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llegal parking detection system and garbage illegal dumping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represented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aught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ny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by substitution, erasure, merging, etc. within the scope a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a) 감시영역의 기준영상으로서 움직이는 물체가 없는 상태로 정리가 완료된 시점에 촬영된 배경영상을 등록하는 단계;(a) registering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leanup is completed with no moving object as a reference image of the surveillance region; (b) 상기 배경영상의 영역에 일시적으로 출입하여 움직이는 물체는 검출대상에서 제외하고 상기 배경영상의 영역에서 방치되었다고 판단되는 물체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상기 방치되었다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b) In order to detect only an object that is determined to be left in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except for an object temporarily moving in and out of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is left unattended. Registering the difference area as a danger area if it continues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it is determined to And (c) 상기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and (c) alerting the dangerous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b1) photographing a current image frame; (b2)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편차를 구하여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b2) detecting a movement region in the current image frame by obtaining a deviation between a previous image frame and a current image frame; (b3)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상기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영상을 비교하는 단계;(b3) comparing the background image with the image excluding the movement area in the current image frame; (b4)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b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reg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proceeding to step (b1); And (b5)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경영상의 영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방치되었다고 판단되는 물체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차이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만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b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reg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difference region is dangerous only when the difference reg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frame period in order to detect only an object that is determined to be left in the area of the background image for more than the preset period.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gistering as an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5)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tep (b5) (b51) 상기 차이 영역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b51) registering the difference area as a preliminary dangerous area; (b5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미리설정된 기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b52) determining whether the preliminary dangerous area has been repeated for the fra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eriod, and if not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proceeding to step (b1); And (b5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and (b53) registering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as a dangerous zone when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is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b),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b1) photographing a current image frame; (b6)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b6) detecting and storing a difference area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background image; (b7)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과, 이전 영상 프레임에서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을 비교하는 단계;(b7) comparing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current image frame and the stored background image and the difference region between the background image stored in the previous image frame; (b8)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b8) if there is no identical par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proceeding to step (b1); And (b9)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부분이 상기 미리설정된 기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동일한 부분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b9) a camera-based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registering the same part as a dangerous area when the same part is maintained for a fra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eriod when there is a same par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9)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b9) (b91) 상기 동일한 부분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b91) registering the same portion as a preliminary dangerous area; (b9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b92) determining whether the preliminary dangerous area has been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and proceeding to step (b1) if it has not been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And (b9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상기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b93) registering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as a dangerous zone when the preliminary dangerous zone is repeated during the frame peri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c1) 상기 위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영역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c1)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danger zon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danger zone; (c2) 상기 위험 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단계; 및(c2) magnifying the dangerous area; And (c3) 상기 위험 영역의 정보를 경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and (c3) alerting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A surveillance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상기 감시 카메라에 유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감시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로 구비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by wire / wireless to store a background image photograph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and having a computer executing the surveillanc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등록된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And a warning unit for alarming the registered dangerous area outputted from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KR1020040106165A 2004-12-15 2004-12-15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KR100685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65A KR100685134B1 (en) 2004-12-15 2004-12-15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65A KR100685134B1 (en) 2004-12-15 2004-12-15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400A KR20060067400A (en) 2006-06-20
KR100685134B1 true KR100685134B1 (en) 2007-02-22

Family

ID=3716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165A KR100685134B1 (en) 2004-12-15 2004-12-15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1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2099B2 (en) 2011-01-17 2014-04-29 Samsung Techwin Co., Ltd. Image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whether object is left behind or taken away
US11756314B2 (en) 2020-03-05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s configured to detect objects and methods of detecting obje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06B1 (en) * 2006-11-13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and a video surveillance method, and a video surveillanc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574A (en) * 2000-12-18 2002-06-24 이성권 An Unmanned Security System
KR20030084299A (en) * 2002-04-26 2003-11-01 제트로전자(주) An apparatus which can be built in a monitor and the method for detecting mo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574A (en) * 2000-12-18 2002-06-24 이성권 An Unmanned Security System
KR20030084299A (en) * 2002-04-26 2003-11-01 제트로전자(주) An apparatus which can be built in a monitor and the method for detecting mo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2099B2 (en) 2011-01-17 2014-04-29 Samsung Techwin Co., Ltd. Image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whether object is left behind or taken away
US11756314B2 (en) 2020-03-05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ors configured to detect objects and methods of detecting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400A (en)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5740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server
US20090128632A1 (en) Camera and image processor
CN108476304B (en) Discarded object monitoring device, discarded object monitoring system provided with same, and discarded object monitoring method
US9767663B2 (en) GPS directed intrusion system with data acquisition
KR20080054331A (en) Flam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KR101467352B1 (en) location based integrated control system
JP2013131159A (en) Area monitoring system
KR101111493B1 (en) Automatic Fire Recognition and Alarm Systems using Intelligent IP Camera and Method Thereof
KR20140138418A (en) The Safe Deposit Box Using Remote Control and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and Recording Unit Having Program Code for Computing Process
CN107122743A (en) Security-protecting and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7018101A (en) Fall detection system
KR100685134B1 (en) 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JP2011145839A (en) Monitoring system,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1138212B1 (en) Fi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and motion sensor
JP4707019B2 (en)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and method
JP2015088816A (en) Image monitoring system
JP4993281B2 (en) Monitoring area setting device
JP2012174058A (en) Specific event detection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13643508B (en) Disaster prevention emergency channel monitor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524922B1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emergency alert
JP7039084B1 (en) Self-registration monitoring system and self-registration monitoring method
KR20170043267A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issing person and devices for same
KR101669885B1 (en) method of detecting pedestrian collision and IoT apparatus thereof
JP7339755B2 (en) Abnormal sound monitoring system and abnormal sound monitoring method
CN109074710B (en) Anti-theft method and device for closed circuit television set top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