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74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749B1
KR100683749B1 KR1020050000796A KR20050000796A KR100683749B1 KR 100683749 B1 KR100683749 B1 KR 100683749B1 KR 1020050000796 A KR1020050000796 A KR 1020050000796A KR 20050000796 A KR20050000796 A KR 20050000796A KR 100683749 B1 KR100683749 B1 KR 10068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chassis base
plate member
pl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411A (ko
Inventor
신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7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 성능이 개선되고 강성이 증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협지되어 방열 기능 및 보강 기능을 수행하는 판상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 부재는 다수의 셀들이 상기 판상 부재의 평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Chassis base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섀시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를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110, 210 : 섀시 베이스 20, 12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0, 130 : 회로기판 160 : 제1플레이트
170, 270 : 판상부재 175, 275 : 셀
180 : 제2플레이트 260 : 베이스 플레이트
280 : 보조 플레이트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 성능이 개선되고 강성이 증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박형화가 가능하고 넓은 시야각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면패널(21)과 배면패널(22)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10) 및 상기 섀시 베이스(10)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을 구동하는 소정 개수의 회로기판(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상기 회로기판(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케이블(4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상기 섀시 베이스(10)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섀시 베이스(1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장방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0)을 지지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전달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섀시 베이스(10)가 금속의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섀시 베이스(10)의 표면적은 장방형의 형상에 제한되어 상기 섀시(10) 베이스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이 작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섀시 베이스(10)에는 자중 및 외부 하중에 의한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아울러 다량의 열을 보유하게 되는 상기 섀시 베이스(10)가 열팽창을 일으켜 열변형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바, 위와 같은 금속의 박판으로 구성되는 섀시에서는 그 강성이 낮아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아울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대형화될 경우 이에 상응하게 상기 섀시 베이스(10) 또한 대형화되어야 하므로, 이 경우에는 위와 같은 변형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방열 성능이 개선되고 강성이 증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협지되어 방열 기능 및 보강 기능을 수행하는 판상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 부재는 다수의 셀들이 상기 판상 부재의 평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 내에 배치된 방열 물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방열 물질은 흑연 또는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소 계열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각각 전방 및 후방에서 지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방열 기능 및 보강 기능을 수행하는 판상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 부재는 다수의 셀들이 상기 판상 부재의 평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판상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조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조 플레이트는 서 로 연결되어 단일 플레이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 전방에 배치되며,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섀시 베이스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섀시 베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를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110)는 금속의 박판인 제1플레이트(160), 상기 제1플레이트(160)의 어느 한 면 상에 배치된 금속의 판상 부재(170) 및 상기 판상 부재(170) 상에 배치된 금속 박판인 제2플레이트(180)를 구비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시 베이스(11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사이에 협지된 금속의 판상 부재(170)로 이루어진다. 도 2에는 상기 판상부재(170)의 일부가 드러나 보이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180)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어느 한 측면 상에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배치된 측면에 대향된 측면 상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동하는 회로기판(130)이 배치된다. 이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회로기판(13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작동 중에 상기 그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열은 상기 섀시 베이스(110)로 전달되어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전체 표면에서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주변 공기로 방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상기 판상 부재(170)는 그 자체에서 열을 방출하는 기능과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아울러 상기 섀시 베이스(110)에 강성을 부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판상 부재(170)는 다수의 셀(175)들이 상기 판상 부재(170)의 평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일점쇄선의 원으로 한정된 확대도에 상기 판상 부재(170)의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셀(175)은 그 횡단면이 육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다수의 상기 셀(175)들이 벌집과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한 평면 내에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판상 부재(17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셀(175)의 횡단면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육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삼각형 및 육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횡단면 형상의 셀들이 평면 방향에 대하여 서로 결합되어 판상의 부재를 구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셀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판상 부재(170)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중 어느 하나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사이에 상기 판상 부재(170)를 기밀하고 들뜨지 않게 협지시킨 후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일체형의 섀시 베이스(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판상 부재(170)를 구성하는 개별 셀(175)은 복수개의 표면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다수의 셀(175)들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판상 부재(170) 자체가 큰 표면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중 어느 한 플레이트에서 전달된 열을 증대된 표면을 통해 주변 공기로 방출시킬 수 있어, 상기 판상 부재(170)가 방열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판상 부재(17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구리가 알루미늄보다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알루미늄으로 구성한 경우에 비해 열전도 및 방열 성능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 다.
한편,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그 평면에 걸쳐 전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국부적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국부적으로 발생된 열은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접하는 어느 한 플레이트(160 또는 180)로 전달되고 상기 판상 부재(170)를 거쳐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160 또는 180)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어느 한 플레이트(160 또는 180)에 국부적으로 도입된 열은 상기 판상 부재(170)를 통해 전달되면서 방출되고 보다 넓은 범위로 확산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판상 부재(170)가 다수의 셀(175)들이 그 평면 방향에 걸쳐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셀(175) 내부에는 방열 물질을 충전하여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열 물질에는 흑연, 카본블랙 등의 탄소 계열의 물질이 포함된다. 흑연, 카본블랙 등의 물질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체일 뿐만 아니라 열팽창의 범위가 적어 온도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부분에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열 물질이 상기 각각의 셀(175) 내부에 충전됨으로써, 상기 셀(175)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판상 부재(170)의 평면 방향에 걸친 열전도가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판상 부재(170) 자체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열 물질이 상기 각각의 셀(175) 내부에 충전된 상기 판상 부재(170)가 구비된 상기 섀시 베이스(110)는 전달된 열을 확산시키는 기능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과 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부재(170)는 그 내부에 다수의 셀(175)들로 구성되어져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판상 부재(170)에 휨이나 굽힘 등의 외적인 변형이 가해질 경우, 상기 개별 셀(175)이 이러한 변형에 저항할 수 있고, 이러한 셀(175)들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판상 부재(170)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판상 부재(170)는 휨이나 굽힘 등의 외적인 변형에 저항력이 커서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사이에 상기 판상 부재(170)를 협지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섀시 베이스(110)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로부터 전달된 열을 보유하여 열변형을 일으킬 가능성과 상기 섀시 베이스(110)가 대형화되었을 경우에 상기 섀시 베이스(110)에 가해지는 자중과 외부 하중 등에 의한 변형의 가능성이 거의 없게 된다. 결국, 상기 섀시 베이스(110)를 평행하게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와 이들 플레이트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개별 셀(175)이 서로 평면방향에 걸쳐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기 판상 부재(170)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강성이 현저하게 증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110)를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110) 및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후 방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동하는 회로기판(1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상기 회로기판(130)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14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전방 패널(121)과 후방 패널(122)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방 패널(121)은 전면기판과, 전면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주사전극인 X전극과 공통전극인 Y전극을 포함하는 방전유지전극쌍들과, 상기 방전유지전극쌍을 덮는 제1유전층과, 상기 제1유전층 상에 형성된 보호막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패널(122)은 배면기판과, 배면기판의 전면에 상기 방전유지전극들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고 있는 제2유전층과, 상기 제2유전층 상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발광셀내에 배치된 형광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구조는 교류형 3전극 면방전 구조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2전극구조, 대향방전 구조 등의 다양한 다른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상시 섀시 베이스(110)는 이들 양자 사이에 열전달을 원활하게 하도록 열전도성 시트(125)를 개재시키고 상기 열전도성 시트(12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된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126)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가스방전을 발 생시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전원 및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로기판(13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화상의 구현을 위해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논리부, 상기 유지전극쌍들 중의 하나인 X전극을 구동하는 X전극구동부, 상기 유지전극쌍들 중의 다른 하나인 Y전극을 구동하는 Y전극구동부 및 어드레스전극을 구동하는 어드레스전극구동부 등을 구비한다. 그러나, 지금 설명한 상기 회로기판(130)의 구성은 여러 회로기판 구성 중의 일 예로서, 예컨대 교류형 3전극 면방전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의 구성을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회로기판(130)에서 소정의 전위를 방전유지전극쌍들 중의 하나인 Y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에 인가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 제1유전층 상에 하전 입자가 형성되며, 이 상태에서 방전유지전극쌍들간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면기판의 제1유전층 표면에서 유지방전이 발생하고, 이 때 패널내에 봉입된 가스로부터 형성된 플라즈마에서 발생하는 진공자외선에 의해 형광체층이 여기되어 가시광이 발광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구동방식은 2전극 구조, 3전극 구조, 면방전 방식, 대향방전 방식 등에 따라 여러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구동 중 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발생된 열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방출되지 않게 되면 많은 열을 보유한 방전셀에서 휘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전체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로부터 상기 섀시 베이스(110)로 전달되고 상기 섀시 베이스(110)에서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방열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상기 섀시 베이스(110)가 면접촉을 통해 결합될 경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유리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섀시 베이스(11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이들간의 면접촉을 확실히 하고 발생된 열이 전도되는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상기 섀시 베이스(110) 사이에 열전도성 시트(125)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열전도성 시트(125)를 거쳐 상기 섀시 베이스(110)에 전달되고,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표면에서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방열되므로,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표면적이 클 수록 방열되는 열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경우, 상기 제1플레이트(160)로 전달된 열은 상기 판상 부재(170)를 거쳐 상기 제2플레이트(180)까지 전달된다. 이러한 열전달 경로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제1플레이트(160), 상기 판상 부재(170) 및 상기 제2플레이트(180)에서 방열될 수 있다. 상기 판상 부재(170)의 표면적이 크므로 상기 판상 부재(170)가 일종의 방열핀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방출되는 열의 양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부재(170)가 다수의 셀(175)들이 상기 판상 부재(170)의 평면 방향에 걸쳐 서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고 상기 셀(175)들의 내부에는 상기 탄소 계열의 방열 물질(미도시)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플레이트(160)로 도입된 열이 상기 판상 부재(170)를 거치면서 원활하게 상기 섀시 베이스(110)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부재(170)가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2플레이트(180)로의 열전달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제2플레이트(180)에서도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판상 부재(17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셀(175)들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을 가지므로, 상기 섀시 베이스(110)가 다량의 열을 보유하여 열변형을 일으킬 가능성과 상기 섀시 베이스(110)가 대형화될 경우 외부 및 자체 하중에 의한 변형을 일으킬 가능성이 저감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2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섀시 베이스(210)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210)는 금속의 박판인 베이스 플레이트(26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어느 한 면 상에 배치된 금속의 판상 부재(2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제1 및 제2플레이트(160, 80) 중의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 및 상기 판상 부재(27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섀시 베이스(110)에서의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판상 부재(17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와 상기 판상 부재(270) 만으로 상기 섀시 베이스(210)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판상 부재(270)를 이루는 다수의 셀(275)들이 공기 중에 직접 노출될 수 있으므로, 방열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부재(270)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본 실시예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의 섀시 베이스(110)에서는 상기 각각의 셀(175) 내부에 방열 물질이 충전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상 부재(270)가 공기 중으로의 방열을 수행하는 방열핀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열 물질이 채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방열 물질을 상기 셀(275) 내부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열 물질이 상기 셀(275)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되도록 밀봉부재 등이 부설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섀시 베이스(210)에는 제1실시예의 섀시 베이스(110)와는 달리 방향성이 부여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시 베이스(210)의 전방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가 배치되고, 상기 섀시 베이스(210)의 후방에 상기 판상 부재(270)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 상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판상 부재(270) 상에 상기 회로기판(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판상 부재(270) 상에 상기 회로기판(130)을 배치하는 경우, 상기 판상 부재(270)가 다수의 셀(275)들로 이루어지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상기 회로기판(130)을 용이하게 배치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의 보조 플레이트(28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280)들이 복수개 배치된 상기 제2실시예의 변형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60, 180) 사이에 상기 판상 부재(170)가 협지되어 있는 제1실시예의 섀시 베이스(110)의 구성과는 달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 상에 상기 판상 부재(270)만을 배치한 구성으로 상기 섀시 베이스(210)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는 상기 판상 부재(270) 상에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는 상기 회로기판(130)을 장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판상부재(270)로부터 전달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에 다른 열적 특성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는 상기 회로기판(130)이 배치되는 위치에 상응하게 상기 판상부재(270)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의 배치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교류형 3전극 면방전 구동 방식의 일 예로서 배치된 것이며,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의 배치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상기 회로기판(130)의 배치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를 상기 판상부재(270) 상에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13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게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 플레이트(280)들을 서로 연결하여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280)를 배치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280) 대신 상기 회로기판(130)을 상기 판상부재(270) 상에 장착하기 위한 다른 방식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는 종래기술에 따른 섀시 베이스와는 달리 방열을 위한 부재를 내부에 더 구비하고 있다. 즉, 한 쌍의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판상의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는 그 방열 기능이 대폭 개선되고, 열확산 기능이 증대되며, 아울러 섀시 베이스의 강성이 크게 증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협지되어 방열 기능 및 보강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셀들이 평면방향으로 결합된 판상 부재; 및
    상기 셀 내에 배치된 방열 물질을 구비하며,
    상기 방열 물질은 흑연 또는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소 계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5. 삭제
  6.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각각 전방 및 후방에서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방열 기능 및 보강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셀들이 평면방향으로 결합된 판상 부재; 및
    상기 판상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내에 배치된 방열 물질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방열 물질은 흑연 또는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소계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플레이트는 서로 연결되어 단일 플레이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 전방에 배치되며,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섀시 베이스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00796A 2005-01-05 2005-01-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796A KR100683749B1 (ko) 2005-01-05 2005-01-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796A KR100683749B1 (ko) 2005-01-05 2005-01-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411A KR20060080411A (ko) 2006-07-10
KR100683749B1 true KR100683749B1 (ko) 2007-02-15

Family

ID=3717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796A KR100683749B1 (ko) 2005-01-05 2005-01-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39B1 (ko) * 2012-08-01 2018-09-11 홍성산업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지지용 스탠드
KR101450207B1 (ko) * 2012-09-24 2014-10-14 홍성산업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경량 방열판
KR20180026233A (ko) * 2016-09-02 201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4758A (en) 1989-10-18 1993-11-23 Noritake Co., Limited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H11233967A (ja) 1998-02-12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ャーシ部材、シャーシ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233968A (ja) 1998-02-12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ャー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29253A (ja) * 1998-05-18 1999-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平面表示パネル及び平面表示装置
KR20030093750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29966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4758A (en) 1989-10-18 1993-11-23 Noritake Co., Limited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H11233967A (ja) 1998-02-12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ャーシ部材、シャーシ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233968A (ja) 1998-02-12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ャー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29253A (ja) * 1998-05-18 1999-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平面表示パネル及び平面表示装置
KR20030093750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29966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411A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730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696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5713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14764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702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6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83744B1 (ko) 방열성능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301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6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700773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837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498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6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848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11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93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837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01359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964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601061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