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579B1 - Lane departure warning bar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Lane departure warning bar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3579B1 KR100683579B1 KR1020050107398A KR20050107398A KR100683579B1 KR 100683579 B1 KR100683579 B1 KR 100683579B1 KR 1020050107398 A KR1020050107398 A KR 1020050107398A KR 20050107398 A KR20050107398 A KR 20050107398A KR 100683579 B1 KR100683579 B1 KR 1006835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shock
- pair
- shock absorber
- lane depar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노면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hock 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mpact 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에 대한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종단면을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FIG.
도 6은 충격흡수체 단부의 결합방식 및 탄성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부분절개 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ure 4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method and the elastic body of the shock absorber end.
도 7은 충격흡수체의 마주보는 접촉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surface facing the shock absorber.
도 8은 차량의 충돌 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의 작동방식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structure of the impact-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지지체 110 : 지지판 120 : 몸체부100: support 110: support plate 120: body
130 : 덮개부 140 : 베어링 150 : 축수용홀130: cover 140: bearing 150: bearing hole
200 : 충격흡수체 204 : 케이싱 208 : 고정커버200: shock absorber 204: casing 208: fixed cover
210 : 회전축 220 : 브라켓 225 : 이동홀210: rotating shaft 220: bracket 225: moving hole
230 : 중공축 240 : 판스프링 250 : 압축켑230: hollow shaft 240: leaf spring 250: compression
260 : 이동축 265 : 고정너트 300 : 와이어260: moving shaft 265: fixing nut 300: wire
본 발명은 차로이탈 방지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본 발명의 발명자는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출원번호 제10-2003-0036811호)을 2003년 6월 9일자로 특허 출원하여 2003년 6월 9일자로 공개되고 2005년 8월 30일자로 등록 결정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4-0105436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명은 차량용 도로의 노견 또는 중앙선에 설치되어 주행중인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led a patent for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Application No. 10-2003-0036811) on June 9, 2003, published on June 9, 2003 and published on August 30, 2005. It was decided to register on the date. As disclosed i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5436,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or the center line of a vehicle road, and the vehicle invades the center line or minimizes the damage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vehicle is collided. It relates to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를 설명하면, 상기의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은 탄성 수단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단면(50, 50')이 상대적으로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한 쌍의 충격흡수체(20, 20')로 이루어 지며,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양단에서 회전 및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10, 10')로 구성된다. 또한,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은 지면에서 중심부까지의 높이가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1 and 2, the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의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은 한 쌍의 지지체(10, 10') 및 한 쌍의 충격흡수체(20, 20')가 하나의 단위가 되며, 이를 다수개 설치하여 도로의 가드 레일 역할을 하게 된다.1 to 3, in the shock 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먼저, 지지체(10)는 금속제로 된 지지판(12)에 형성된 볼트공(14)을 통해서 미리 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 개의 볼트(미도시)를 삽입하고 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노면에 고정된다. 한편, 지지판(12)의 중앙부에는 노면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부(16)가 형성되며, 서포트부(16)의 상부에는 원통형태의 고정부(18)가 형성되는데, 중심부에는 내부가 관통되는 구면접촉 미끄럼 베어링(32)이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지면에서 미끄럼 베어링(32)의 중심부까지의 높이는 10~20㎝로 설정된다. 한편, 충격흡수체(2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내부가 빈 코어(22)형태를 취하며, 외부에는 탄성층(24)이 형성된다. 또한, 탄성층(24)의 표면에는 다수의 마찰부(26)가 형성된다. First, the
한편, 충격흡수체(20)의 지지체(10)측 단부에는 고정 커버(28)가 나사결합 되는데, 고정 커버(28)의 중앙에는 미끄럼 베어링(32)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30)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축(3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36)을 통해서 고정너트(38)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체(20)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미끄럼 베어링(32)에 의해서 상하좌우로 회전(swing)을 할 수 있게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한 쌍의 충격흡수체(20, 20')는 단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중간연결체(40)에 의해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충격흡수체(20)의 단면 중 중앙부에는 구형으로 형성된 중간연결체 수용홈(21, 21')에 중간연결체(40)가 수용되며, 중간연결체 수용홈(21, 21')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하는 구면형상을 갖고 접촉된 채로 맞물려 결합된다. 중간연결체(40)는 한 쌍의 고정축(42, 42')을 서로 연결되는데, 각각의 고정축의 일단부는 중간연결체(40)에 형성된 힌지공(41, 41')에 서로 직교하게 끼워지는 힌지축(48, 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너트(43)가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shock absorbers (20, 20 ') are connected by the
한편, 고정축(42)에는 탄성수단이 장착된다. 즉, 고정축(42)에는 일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축(44)이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의 일단면은 충격흡수체(20)의 단부 내벽과 접한다. 또한, 중공축(44)의 타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의 타단면에는 다수개의 접시형 판스프링(46)이 적층된 상태로 중공축(44)의 외주부에 삽입된다. 이렇게 스프링을 적층한 후 스토퍼(47)를 삽입한 후 너트(43)를 고정축(42)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고정축(42)과 충격흡수체(20)의 고정이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차량이 차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에 가 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이 제공된다.Such a configuration provides an impact-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that can not only effectively absorb a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while preventing the vehicle from leaving the lane, but also minimize dama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vehicle body.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단면부에 형성된 공간(즉, 중간연결체 수용홈(21)) 내에 유니버설 조인트 역할을 하는 중간연결체(40)와, 이와 양방향에서 연결되는 고정축(42) 및 탄성수단을 이루는 복수의 구성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수작업으로 조립 및 고정하기 어려운 제작공정 상의 문제가 있다. 특히, 중간연결체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 특수장비를 제작하여 조립 및 고정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is an
또한, 한 쌍의 충격흡수체 간의 복잡한 결합방식으로 인해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손제품의 복구 및 부품교체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omplex coupling method between the pair of shock absorb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air of the damaged product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replacement of parts is not easy.
또한, 한 쌍의 충격흡수체의 양단부에 2개의 지지체(10)를 각각 횡방향에서 끼워 넣은 다음에, 지지체(10)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상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상에 연속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바, 지지체(10)와 지지체(10)의 맞닿는 부분으로 인해 노면상에 고정이 불안정하여 견고성이 떨어져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wo
본 발명은 특수장비 없이도 수작업으로 쉽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manually without special equipment.
또한,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손제품의 복구 및 부품교체가 용이한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for easy repair and replacement of parts damag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또한, 하나의 지지체에 양 축을 끼워 연속적 또는 병렬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that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by inserting both shafts in one suppo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축방향의 중공을 갖는 한 쌍의 충격흡수체와; 상기 중공을 관통하고 상기 충격흡수체의 양단부에 탄성체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충격흡수체를 양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체는 마주보는 단면이 상대적으로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ir of shock absorbers having an axial hollow therein; A wire passing through the hollow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ock absorber through an elastic body; The shock absorber is rotatably supported at both ends, and includes a support fixed to the ground, wherein the shock absorber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having a cross section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flow relatively up, down, left and right.
상기 충격흡수체는 종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지지체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ck absorber preferably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longitudinal section is circular and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support side.
또한, 상기 충격흡수체는 금속제 코어와, 상기 금속제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제 코어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성소재는 우레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찰부는 축방향으로 소정패턴의 요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er may include a metal core and a friction par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core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ere, the metal core is made of an aluminum alloy, the stretchable material is preferably a urethane materi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iction part has irregularities of a predetermined pattern in the axial direction.
한편, 상기 충격흡수체는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고, 테두리가 상기 충격흡수체의 단부에 결합되고 축방향에 수직한 바닥면에 이동홀을 구비하는 바스켓형상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결합부를 갖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이동홀 및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빠지지 않도록 결합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ock absorber is located in the hollow, the baske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hock absorber and has a basket-shaped bracket having a moving hole on the bottom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inside the bracket An elastic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and the wire may pass through the moving hole and the elastic body and include a locking part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such that the wire does not fall out.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복수의 접시형 판스프링이고, 일단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축이 상기 이동홀 및 상기 판스프링을 관통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원통형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astic body is a plurality of plate-shaped leaf springs, one end of the wire is fixed and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moving shaft is formed, the moving shaft is passed through the moving hole and the leaf spring, Preferably, the locking portion comprises a nut coupled to the screw thread and a cylindrical cap interposed between the leaf spring and the nu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충격흡수체 단부의 결합방식 및 탄성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충격흡수체의 마주보는 접촉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Figure 6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er end coupling method and the elastic body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structure of an opposing contact surface of the shock absorber.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은 전체적으로 한 쌍의 지지체(100) 및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로 구성되며, 이를 복수 개 설치하여 도로의 가드 레일 역할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s 4 to 7, the shock 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pair of the
먼저, 지지체(100)는 지지판(110), 몸체부(120), 축수용부(150),그리고 덮개부(130)로 구성된다.First, the
지지판(110)은 노면에 고정되는 판형 부재로 몸체부(120)의 양측으로 돌출된 다리 모양의 부분에 볼트 및 너트(미도시) 등으로 노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고, 지지판(110)으로부터 4면의 벽체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측이 개방된 4각통 형태의 몸체부(120)가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20)를 구성하는 대향하는 양측 벽체의 상부면과 덮개부(130)의 하면에 각각 회전축(210)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20)의 상면에는 덮개부(130)가 놓이고 몸체부(120)에 볼트로 고정되면, 몸체부(120)와 덮개부(130)의 결합 시 축수용홀(150)을 형성하여 회전축(210)이 안착 및 수용된다.The
축수용홀(150)에는 내부가 관통되는 구면접촉 미끄럼 베어링(140)이 삽입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140)은 축수용홀(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자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swing)할 수 있다. 이때, 지면에서 미끄럼 베어링(110)의 중심부까지의 높이는 10~20㎝로 설정된다. 만일, 상기 높이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충격흡수체(200)의 저면이 노면에 닿을 우려가 있고, 차량이 가드 레일을 타고 넘어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높이가 20㎝를 초과하면 승용차의 경우 타이어가 아닌 범퍼의 정면과 직접 부딪치게 되므로 상기 높이는 10~2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차량의 타이어만 부딪치게 되거나, 적어도 차량의 범퍼의 저면이 부딪치게 되므로 차체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spherical
한편, 충격흡수체(200)는 전체적으로 종단면이 원형이고 지지체(100)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데, 지지체(100) 측의 단면직경이 최소이고 충격흡수체(200)가 마주하는 단면의 직경이 최대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서, 차량이 충격흡수체(200)에 부딪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전진하는 경우 상기 테이퍼 형상을 따라서 지그재그로 움직이게 되므로 제동거리를 보다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충격흡수체(200)는 기본적으로 종단면이 원형인 테이터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는 케이싱(204)으로 구성되는 데, 다양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으나 강도 및 경량화를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충돌로 부터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서 케이싱(204)의 외표면에는 우레탄 재질의 탄성층(미도시)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케이싱(204)의 표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물결파형과 유사한 소정패턴의 요철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이 미끄러지면서 전진 시에 타이어가 연속적으로 상기 요철에 부딪히게 되어 차량이 전진하는 운동에너지는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게 할 뿐만 아니라 차체에 진동을 유발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졸음 운전 시에 비교적 저속으로 충격흡수체(200)에 부딪치는 경우에는 졸음에서 깰 수 있게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한편, 케이싱(204)의 지지체(100)측 단부에는 고정 커버(208)가 나사결합 되는데, 고정 커버(208)의 중앙에는 미끄럼 베어링(140)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21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회전축(210)은 단부에 나사산(214)이 형성되고, 미끄럼 베어링(140)이 끼워진 채로 축수용홀(150)에 놓이고 나사산(214)에 고정너트(218)가 체결된다. 따라서, 충격흡수체(200)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미끄럼 베어링(140)에 의해서 상하좌우로 회동(swing)을 할 수 있게 고정된다. 이로 인해서 차량의 타이어가 회전하면서 충격흡수체(200)에 충돌하는 경우에 충격흡수체(200)가 타이어와의 마찰에 의해 자전하게 되므로 차체가 충격흡수체(200)를 타고 넘어가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 200')는 마주보는 단면이 상대적으로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데, 상기 단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와이어(300)에 의해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싱(204)의 마주보는 단부에는 접촉 커버(270)가 나사결합 되는데, 접촉 커버(270)의 중앙에는 관통되어 와이어(300)가 삽입되는 관통홀(272)이 형성된다. 관통홀(272)의 외주부에는 회동홈(274)이 형성되고 회동홈(274)의 외주면에는 구형의 접촉면(276)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접촉면(276)의 외주부에는 종단면이 반원형태의 구형돌출부(278)가 형성된다.A pair of shock absorbers (200, 200 ')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ross-section facing each other in a flowable up, down, left, and right, is coupled by the
한편, 이와 접하는 충격흡수체(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단부에 접촉 커버(270')가 결합되는 데,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와이어(300)가 삽입되는 관통홀(272')을 구비하고, 그 외주부에는 접촉면(276) 및 구형돌출부(278)와 각각 반대의 단면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접촉면(222') 및 구형홈(278')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 200')의 대향하는 단면은 한 쌍의 접촉 커버(270, 270')가 서로 맞물린 채로 고강도의 금속재질을 갖는 와이어(300)에 의해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접촉면(276, 276')과, 구형돌출부(278) 및 구형홈(278')는 각각 서로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 200')는 양 단부의 내측에 탄성체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와이어(300)에 의해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 200')의 마주보는 단부에서의 접촉 결합이 유지되는 데, 그 구성 및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air of shock absorbers (200, 200 ') is maintained in contact coupling at the opposite ends of the pair of shock absorbers (200, 200') by a wire (300) coupled via an elastic body inside the two end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와이어(300)의 단부는 이동축(260)과 일체로 결합된다. 이동축(260)은 일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264)와, 그 타단부에 형성되고 와이어(300)의 단부가 고정되는 와이어연결부(266)와, 중앙부의 가드부(262)로 구성된다.First, the end of the
한편, 충격흡수체(200)의 단부에는 그 중공 내부에 배치되는 브라켓(220)을 구비하는 데, 브라켓(220)은 전체적으로 일 측으로 개방된 바스켓 형상으로, 그 테두리는 외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고, 고정커버(208)에 있어 회전축(210)의 반대방향의 면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220)은 바닥면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된 이동홀(225)을 구비하며, 이동홀(225)에 이동축(260)이 끼워진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이동축(260)에는 중공축(230)이 삽입되는데, 중공축(230)의 일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중공축(230)의 상기 플랜지의 일단면은 브라켓(220)의 내측 바닥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플랜지의 타단면에는 복수개의 접시형 판스프링(240)이 적층된 상태로 중공축(230)의 외주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판스프링(240)은 중심부가 접시형태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서, 적층되는 개수및 방향을 다르게 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방향으로 적층되는 스프링은 그 자체로서 독립된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며 스프링의 적층수가 많을 수록 스프링 상수가 커지므로,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개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적층방식에 의해 넓은 범위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 외에도 통상적인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복수의 판스프링(240) 적층한 후 스프링 고정너트(235)을 중공축(230)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하며, 압축캡(250) 및 고정너트(265)를 차례로 이동축(260)에 삽입한 후 고정너트(265)를 나사산부(264)에 체결하면 이동축(260)과 충격흡수체(200)의 탄성결합이 완료된다. After stacking the plurality of
중공축(230) 및 압축캡(250)을 제외하고 고정너트(265)가 직접 판스프링(240)을 누를 수 있는 단순한 구성의 실시예로 고려할 수 있으나,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 압축캡(250)이, 고정너트(265) 대신에 판스프링(240)을 누를 수 있게 함으로써 고정너트(265)의 파손을 방지하고, 중공축(230)이 가드부(262)의 외주면에 끼워져 가드부(262)의 상대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동일한 형태로 반대쪽 충격흡수체(200')도 이동축(260')과 탄성결합된다.Except for the
도 8은 차량의 충돌 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의 작동방식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충격흡수체(200)에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structure of the impact-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hicle crashes. A case in which a vehicle collides with the
도 8에서 참조번호 400은 차량의 타이어를 도시한 것으로서 타이어(400)가 충돌한 경우에 그 충격에 의해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 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C를 중심으로 하여 삼각형을 이루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swing)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접촉면(276, 276', 도 7참조)들 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와이어(300)는 인장된다. 즉, 와이어(300)가 충격흡수체(200, 200')의 마주보는 단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인출되게 된다. 이때, 와이어(300)의 양단부에 연결된 이동축(260)이 압축캡(250)을 통해 판 스프링(240)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함으로써,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In FIG. 8,
한편, 타이어(400)가 충격흡수체(200, 200')에서 떨어지는 경우 압축되었던 판스프링(240)이 팽창하면서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 200')는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충격흡수체(200, 200')들이 서로 접촉하는 면들은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격흡수체(200, 200')가 회전하더라도 접촉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면서 부드럽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충격흡수체 간에 연결수단으로 와이어와, 양 단부에 상기 와이어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음으로써, 특수장비 없이도 수작업으로 쉽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고, 차량의 충돌로 인한 파손제품의 복구 및 부품교체가 용이하며, 탄성률이 높은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wire as a connecting means between the pair of shock absorbers, and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by the wire at both ends,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manually without special equip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ver the damaged products and replace parts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elastic modulus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또한, 지지체에 있어서 축수용홀을 몸체부와 덮개부에 나누어 형성시킴으로써, 하나의 지지체에 양 축을 끼워 연속적 또는 병렬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차로이탈 방지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bearing hole is divided into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ck-absorbing lane departure prevention rod that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both shafts in one support.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7398A KR100683579B1 (en) | 2005-11-10 | 2005-11-10 | Lane departure warning bar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7398A KR100683579B1 (en) | 2005-11-10 | 2005-11-10 | Lane departure warning bar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3579B1 true KR100683579B1 (en) | 2007-03-19 |
Family
ID=4162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7398A KR100683579B1 (en) | 2005-11-10 | 2005-11-10 | Lane departure warning bar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357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42875A (en) * | 2017-07-17 | 2017-09-08 | 长兴明强精密铸件厂(普通合伙) | A kind of strong guardrail of anti-impact force |
CN111962434A (en) * | 2020-08-12 | 2020-11-20 | 山西正道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 Intelligent control system based on highway central separation zone movable guardrail |
CN112302414A (en) * | 2020-10-23 | 2021-02-02 | 梁宇 |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and use method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5118A (en) * | 1997-09-29 | 1997-12-10 | ||
KR19990018541U (en) * | 1997-11-12 | 1999-06-05 | 백옥만 | Road guard rope |
KR200228307Y1 (en) | 2001-01-12 | 2001-06-15 | 김민숙 | Guard rail |
KR20040105436A (en) * | 2003-06-09 | 2004-12-16 | 유남선 | A guard rail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
KR20050116740A (en) * | 2004-06-08 | 2005-12-13 | 김동석 | A guard rail for absorbing impaction and an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energy used in that apparatus |
-
2005
- 2005-11-10 KR KR1020050107398A patent/KR10068357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5118A (en) * | 1997-09-29 | 1997-12-10 | ||
KR19990018541U (en) * | 1997-11-12 | 1999-06-05 | 백옥만 | Road guard rope |
KR200228307Y1 (en) | 2001-01-12 | 2001-06-15 | 김민숙 | Guard rail |
KR20040105436A (en) * | 2003-06-09 | 2004-12-16 | 유남선 | A guard rail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
KR20050116740A (en) * | 2004-06-08 | 2005-12-13 | 김동석 | A guard rail for absorbing impaction and an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energy used in that apparatu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42875A (en) * | 2017-07-17 | 2017-09-08 | 长兴明强精密铸件厂(普通合伙) | A kind of strong guardrail of anti-impact force |
CN111962434A (en) * | 2020-08-12 | 2020-11-20 | 山西正道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 Intelligent control system based on highway central separation zone movable guardrail |
CN112302414A (en) * | 2020-10-23 | 2021-02-02 | 梁宇 |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and use method thereof |
CN112302414B (en) * | 2020-10-23 | 2021-12-21 | 中铁二十一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and use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8189B2 (en) | Sine wave spring | |
CA2219144C (en) | Energy absorbing structure | |
US8915670B2 (en) | Bollard | |
WO2015092832A1 (en) | Collision energy absorption device for railway vehicle | |
KR100683579B1 (en) | Lane departure warning bar with impact absortion function | |
KR101402021B1 (en) | bumper unit for vehicle | |
EP0854800B1 (en) | Go-kart bumper system | |
CN103963729A (en) | Vehicle bumper with buffer energy storage function | |
KR101687382B1 (en) | Guard fence having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 |
CN113911014A (en) | Durable type buffer stop and anticollision buffer car shocks resistance | |
CN110549970B (en) | Rotary energy-absorbing type automobile bumper and working method thereof | |
KR101638290B1 (en) | Impact buffer structure of car collision | |
KR101251300B1 (en) | Stay unit for vehicles | |
KR101791997B1 (en) | Shock-absorbing guardrail for road having buffer structure | |
KR101613275B1 (en) | The Rotary shock absorber device for guardrail | |
CN113815505A (en) | Seat energy-absorbing device | |
JP6545661B2 (en) | Loading bay for vehicles, method of protecting loading bays for vehicles from damage and method of assembling dock bumpers used in loading bays for vehicles | |
CN211335871U (en) | A vehicle that is used for buffer stop of vehicle and has it | |
KR100791316B1 (en) | Collition prevent facilitie for parking place pillar of apratment house | |
CN112248954B (en) | Self-buffering automobile anti-collision beam | |
KR100522461B1 (en) | Lane departure warning bar with impact absorption function | |
CN212828242U (en) | Convenient crashproof roof beam behind car of changing | |
KR200295916Y1 (en) | A shock absorber for road | |
CN112109484A (en) | High antidetonation wheel hub | |
KR101869058B1 (en) | Guard rail for multistage shock absorption by rail having vertically asymmetrical sha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