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248B1 -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 - Google Patents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248B1
KR100680248B1 KR1020050121708A KR20050121708A KR100680248B1 KR 100680248 B1 KR100680248 B1 KR 100680248B1 KR 1020050121708 A KR1020050121708 A KR 1020050121708A KR 20050121708 A KR20050121708 A KR 20050121708A KR 100680248 B1 KR100680248 B1 KR 100680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heat storage
water supply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세
최고운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2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 F24D11/003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05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24D2200/30Fri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을 활용하여 온수급탕과 난방이 이루어지는 축열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의 이용을 극대화하면서 열효율을 증대시킴에 따라 에너지 절약의 효과도 지닌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축열을 이용하여 온수급탕 및 난방용 축열기에 있어서, 상부 급탕조(1)와 하부 난방조(2)가 격막(3)을 이용하여 분리되고, 상기 상부 급탕조(1)와 하부 난방조(2)에는 태양열 집열기(4)에 연결되는 순환배관(5)을 통하여 상부 축열 열교환기(6a)와 하부 축열 열교환기(6b)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막(3)에는 다수의 플레이트 밸브(7)가 가요성의 힌지식 판스프링(8)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Storage tank for hot-water supply and heati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온수급탕 및 난방배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막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급탕조, 2 : 하부 난방조,
3 : 격막(Baffle), 4 : 태양열 집열기,
5 : 순환배관, 6a,6b : 축열 열교환기,
7 : 플레이트 밸브, 8 : 가요성의 힌지식 판스프링,
9 : 난방수 출구, 10a,10b : 난방수 입구.
본 발명은 태양열을 활용하여 온수급탕과 난방이 이루어지는 축열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의 이용을 극대화하면서 열효율을 증대시킴에 따라 에너지 절약의 효과도 지닌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에 관한 것이 다.
온수 및 난방을 위한 태양열 설비는 공지된 바와 같이 태양열을 흡수하기 위한 수열관과 흡수한 열의 손실을 막기 위한 보온재, 표면을 덮는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집열기와 자동 급수장치로 이루어져 있는데, 초기 설비투자가 상당히 소요되나 운전비용이 거의 없으므로 효율적 이용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날씨에 완전히 종속되는 관계로 열에너지 공급과 그 설비의 효율 및 유지정비의 문제로 그 보급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존의 태양열 온수급탕 및 난방설비는 낮시간에 태양열 집열기로부터 집열된 열을 열저장 또한 온수급탕용 및 난방용 축열조의 두 개의 탱크로 이원화된 축열시스템에 축열함으로써, 설비비용 및 과다공간 점유 등 여러 가지 불리함을 안고 있었다. 동시에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자주나는 등 내구성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또한, 태양열 온수급탕 및 난방설비에 대한 설계기준이 없거나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가정 보급용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바와 같이 태양열 온수급탕 및 난방설비의 유용성은 인정되나 이 설비의 낮은 열효율, 빈번한 유지정비, 설치공간 제약 등으로 보급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축열설비를 단일화하여 열효율 향상과 설치공간의 축소, 간편한 설치기능 및 설비의 내구 성 개선이 이루어지는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의 축열을 극대화하면서 이에 연계된 온수급탕과 난방용 축열조를 단일화 하고 축열조 내부에 플레이트 밸브를 갖춘 격막(Baffle)을 설치하여 축열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 축소와 설치정비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플식 축열조가 온수급탕 및 난방배관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막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부 급탕조(1)와 하부 난방조(2)가 격막(3)을 이용하여 분리되고, 상기 상부 급탕조(1)와 하부 난방조(2)에는 태양열 집열기(4)에 연결되는 순환배관(5)을 통하여 상부 축열 열교환기(6a)와 하부 축열 열교환기(6b)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막(3)에는 다수의 플레이트 밸브(7)가 가요성의 힌지식 판스프링(8)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급탕조(1)에는 난방과 급탕을 위한 난방수 출구(9)가 설치되고 이 난방수 출구(9)는 상부 급탕조(1)와 하부 급탕조(2)에 연결되는 난방수 입구(10a,10b)들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공급수 입구라인, 12는 보조 보일러, 13 은 펌프, 14는 구멍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축열조는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로서, 온수급탕 및 난방수를 분리해 주는 격막(3)과, 급탕시 하부 난방조(2)의 난방수가 상부 급탕조(1)로 수압차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플레이트 밸브(7), 태양열 집열기(4)로 집열된 열을 축열조로 공급하는 순환배관(5) 및, 이 순환배관(5)에 연결되어 상부 급탕조(1)와 하부 난방조(2)에 각각을 열을 공급하는 상하부 축열 열교환기(6a,6b)로 이루어져 있다.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의 내부에 설치된 격막(3)은 하나의 열저장조가 두 개의 열저장 탱크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부 급탕조(1)의 부피가 하부 난방조(2)의 부피에 비해 절반 이하 정도이고 각각 태양열 에너지를 저장조에 공급하는 축열 열교환기(6a,6b)들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급탕조(1)에 먼저 열교환이 일어나므로 일반적으로 상부 급탕조(1)의 온도가 하부 난방조(2)의 온도에 비해 높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부 급탕조(1)의 온도가 일정이상 상승한 후에는 하부 난방조(2)에서의 열교환에 의한 열전달량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열전도성이 낮은 격막(3)에 의해 축열조 내 상하의 열저장 매체의 흐름이 차단되어 상하 탱크의 비교적 큰 차이의 온도 차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난방 시에는 축열조의 전체적인 온도가 난방으로 공급되는 것에 비해 높을 경우에는 난방수 출구(9)를 통해 상부 급탕조(1)로부터 펌프(13)에 의해 취출된 고온의 온수가 공지의 난방용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열을 공급한 다음, 하부 난방조 (2)에 설치된 난방수 입구(10b)를 통해 탱크로 귀환하면서 축열조 내의 상부 급탕조 및 하부 난방조의 열을 난방용으로 활용하게 된다.
한편, 축열조 하부 난방조(2)의 온도가 공지의 난방용 열교환기 입구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수가 공급될 시에는 수온상승을 위해 추가적으로 보조 보일러(12)가 가동하여 온수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는 데. 이때에는 난방수 출구(9)를 통해 상부 급탕조(1)로부터 펌프(13)에 의해 취출된 고온의 온수가 난방용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열을 공급한 다음, 상부 급탕조(1)에 설치된 난방수 입구(10a)를 통해 귀환하면서 상부 축열조 내의 열만을 난방용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때에는 격막(3)의 구멍(14)들에 설치된 플레이트 밸브(7)들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축열조 내 전체 난방수를 모두 가열할 필요없이 상부 급탕조(1) 내 난방수 만을 가열함으로써 보조 보일러(12)에 의한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온수 급탕시 우선 상부 급탕조(1)에서 고온의 온수를 빼내어 사용하여 보조 보일러(12)의 가동을 최소화하여 운전비용을 줄이고 점차 상부탱크의 수위가 저하하면, 시수가 공급수 입구라인(11)을 통해 자동 공급되고 플레이트 밸브(7)들이 개방되어 하부 난방조(2)의 물이 상부 급탕조(1)로 공급되어 이 상부 급탕조(1)의 수위를 상승시키고 고수위가 되면 시수의 공급이 중단됨과 동시에 격막(3)에서 플레이트 밸브(7)들을 가요성의 힌지식 판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힌다.
날씨가 흐리는 등 태양열 에너지의 집열이 적거나 없을 때에는 하부 난방조(2)의 온도가 너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일정온도 이하가 되면 난방용 열교환기를 나온 온수를 난방수 입구(10b)로 통하여 하부 난방조(2)로 일부 보내 최소한 축열 조 온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축열효율이 우수하고 유지정비가 용이한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설비를 사용함으로써, 설비투자 비용의 절감, 설치면적의 축소 및 모듈화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가정용 에너지 공급설비 보급의 촉진은 물론, 축열조가 격막에 의해 상하부로 분리되고 자연스럽게 축열조의 온도 성층화를 이룸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온인 상부 급탕조의 물은 급탕부하에 즉각 대응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온인 하부 난방조의 물은 태양열 집열기에 의해 축열을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축열조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신 재생에너지 산업에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2)

  1. 태양열 집열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축열을 이용하여 온수급탕 및 난방용 축열기에 있어서,
    상부 급탕조(1)와 하부 난방조(2)가 격막(3)을 이용하여 분리되고, 상기 상부 급탕조(1)와 하부 난방조(2)에는 태양열 집열기(4)에 연결되는 순환배관(5)을 통하여 상부 축열 열교환기(6a)와 하부 축열 열교환기(6b)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막(3)에는 다수의 플레이트 밸브(7)가 가요성의 힌지식 판스프링(8)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급탕조(1)에는 난방과 급탕을 위한 난방수 출구(9)가 설치되고 이 난방수 출구(9)는 상부 급탕조(1)와 하부 급탕조(2)에 연결되는 난방수 입구(10a,10b)들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기.
KR1020050121708A 2005-12-12 2005-12-12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 KR100680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708A KR100680248B1 (ko) 2005-12-12 2005-12-12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708A KR100680248B1 (ko) 2005-12-12 2005-12-12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248B1 true KR100680248B1 (ko) 2007-02-07

Family

ID=3810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708A KR100680248B1 (ko) 2005-12-12 2005-12-12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6400A (zh) * 2010-06-09 2010-09-29 大连希奥特检测设备有限公司 玻璃集热管单工质承压循环分层蓄热分体太阳能热水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502A (ja) * 1993-12-27 1995-07-28 Showa Alum Corp 太陽熱利用給湯兼暖房装置
US5823177A (en) 1996-01-16 1998-10-20 Whitehead; John C. Pumpless solar water heater with isolated pressurized storage
KR200370042Y1 (ko) 2004-09-24 2004-12-13 전석영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및 급탕용 보일러시스템
KR20050109907A (ko) * 2005-10-31 2005-11-22 박수진 태양열 온수 분리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502A (ja) * 1993-12-27 1995-07-28 Showa Alum Corp 太陽熱利用給湯兼暖房装置
US5823177A (en) 1996-01-16 1998-10-20 Whitehead; John C. Pumpless solar water heater with isolated pressurized storage
KR200370042Y1 (ko) 2004-09-24 2004-12-13 전석영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및 급탕용 보일러시스템
KR20050109907A (ko) * 2005-10-31 2005-11-22 박수진 태양열 온수 분리저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6400A (zh) * 2010-06-09 2010-09-29 大连希奥特检测设备有限公司 玻璃集热管单工质承压循环分层蓄热分体太阳能热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2179A1 (zh) 一种具有低谷电加热蓄能的二次换热供热系统
CN201355156Y (zh) 废水余热回收热泵机组
CN101718480A (zh) 废水余热回收热泵机组
KR200336272Y1 (ko) 나선형 유로를 갖는 강제순환식 이중탱크 온수가열기
CN202613788U (zh) 多户一体式太阳能热水器
CN201811496U (zh) 储热式多级污水废热回收热泵系统
KR100680248B1 (ko) 배플식 온수급탕 및 난방 일체형 축열조
KR200394347Y1 (ko) 일체형 태양열 복합보일러
CN205090466U (zh) 低谷电加热蓄能的热水供热装置
CN201779851U (zh) 温泉废水余热回收热泵加温机
CN208952737U (zh) 热油紧急冷却器
CN205678890U (zh) 一种基于水源侧余热利用的高效热源装置
CN101915437A (zh) 淋浴中水热回收系统
CN209857687U (zh) 能耗低且可随时进行化冰处理的冷却塔
CN201016064Y (zh) 原油储罐的太阳能加热系统
CN102538218A (zh) 太阳能热水与锅炉余热回收集成系统
CN207112965U (zh) 多能互补供暖系统
CN201844587U (zh) 一体式太阳能热泵热水器
CN205717969U (zh) 平板式太阳能热水器
CN212870518U (zh) 一种节能环保型烘干房
CN218495906U (zh) 一种用于中压蒸汽和导热油的换热系统
CN108917430A (zh) 热油紧急冷却器
CN219511328U (zh) 一种双炉连续排污工质热量回收系统
CN220018252U (zh) 一种连续排污工质热量回收系统
CN212511392U (zh) 一种泳池供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