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234B1 -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234B1
KR100680234B1 KR1020060008335A KR20060008335A KR100680234B1 KR 100680234 B1 KR100680234 B1 KR 100680234B1 KR 1020060008335 A KR1020060008335 A KR 1020060008335A KR 20060008335 A KR20060008335 A KR 20060008335A KR 100680234 B1 KR100680234 B1 KR 100680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mold
dimple
frame
electr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규식
김태주
Original Assignee
웅진쿠첸 주식회사
(주)유한씨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쿠첸 주식회사, (주)유한씨엔아이 filed Critical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의 외부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균일한 형상의 딤플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표면에 딤플을 형성하는 딤플 가공장치로서,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솥 금형을 구비한 금형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표면과 밀착하여 상기 내솥의 표면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압연하는 다수의 딤플 성형부; 및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금형 회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솥의 표면에 일정한 크기 및 간격의 딤플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압력밥솥, 내솥, 딤플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Apparatus for dimpling inner pot of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의 척킹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의 딤플 성형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 는 도 4의 딤플 성형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 은 도 4의 딤플 성형부 지그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의 금형 회전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의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의 내솥 분리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도 9의 내솥 분리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의 딤플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도 11의 딤플 가공된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딤플 가공장치 110: 본체
111: 상부 프레임 112: 딤플 성형부 프레임
113: 회전 구동부 프레임 120: 척킹부 프레임
121: 척킹 상부 프레임 200: 척킹부
210: 실린더 220: 실린더 고정부
230: 실린더 회전축 240: 스러스트 베어링
250: 회전축 베어링 260: 회전판
270: 밀착부 300: 딤플 성형부
310: 감속기 320: 가압부
330: 체인 340: 샤프트
341: 제 1 스토퍼 342: 제 2 스토퍼
350: 슬라이드 프레임 351: 지그 각도 조절부
360: 지그 고정부 370: 지그 롤러
371: 딤플 돌기 372: 지그 베어링
380: 지그 회전축 400: 금형부
410: 내솥 금형 420: 금형 지지부
430: 금형 회전판 440: 금형 회전축
441: 회전축 연결부 450, 460: 베어링
500: 금형 회전부 510: 모터
520: 감속기 530: 체인
540: 감속기 체인 550: 회전 체인
600: 내솥 분리부 610: 내솥 분리 실린더
620: 작동 프레임 700: 내솥
800: 제어부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솥의 외부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균일한 형상의 딤플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열원을 얻고 이 열원을 이용하여 내솥 내부를 고온의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취사를 행하는 기기로서, 통상 유도가열 방식이라 함은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내솥이 상기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면서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은 그 형태와 재질에 따라서 발열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러한 발열량에 의해 조리물의 맛, 조리시간, 및 전기의 소모량이 직접 결정되기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내솥의 표면에 딤플(Dimple)을 형성한 내솥은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켜 내솥의 열효율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딤플은 내솥의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내솥에 수납된 조리물의 빠른 조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조리물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딤플은 펀치와 다이스(dies)를 이용하여 내솥의 외부에 내측 방향으로 압입되도록 하여 딤플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딤플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펀치가 일정한 압력으로 타공되지 않는 경우 딤플의 크기에 따라 내솥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내솥의 열전도율이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솥에 형성되는 딤플의 위치와 각 딤플들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경우 내솥의 열전도율 차이로 인한 밥맛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솥의 열전도율이 딤플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딤플이 내솥에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 가열시 내솥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균등하게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솥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균등하게 분산되지 못하는 경우 밥맛이 감소하거나 또는 내솥에 수납된 조리물이 부분적으로 덜 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딤플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내솥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딤플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균일하게 형성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표면에 딤플을 형성하는 딤플 가공장치로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솥 금형을 구비한 금형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표면과 밀착하여 상기 내솥의 표면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압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딤플 성형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이 회전되도록 하는 금형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 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내솥의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이 회전하는 동안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척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척킹부는 상기 내솥의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내솥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내솥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면과 구동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작동 프레임을 동작시켜 상기 회전판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 및 상기 회전판과 작동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판과 작동 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솥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내솥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의 딤플 성형이 종료된 경우 상기 내솥이 상기 금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내솥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솥이 상기 금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상기 내솥 분리부는 일측이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하단부와 밀착하는 내솥 분리 프레임; 및 상기 내솥 분리 프레임의 타측에 작동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 프레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내솥 분리 프레임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내솥 분리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솥이 안착되도록 하는 상기 금형부는 상기 내솥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솥 금형; 상기 내솥 금형의 저면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금형 고정판; 및 상기 금형 고정판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금형 고정판이 회전되도록 하는 금형 회전축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금형 회전축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본체와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상기 금형 회전축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솥의 표면에 딤플을 형성하는 상기 딤플 성형부는 상기 딤플 성형부가 다수인 경우 상기 딤플 성형부는 상기 금형부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딤플 성형부는 이웃한 딤플 성형부와 단차를 형성하여 설치되며,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표면과 동시에 밀착하여 상기 내솥의 표면을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솥의 표면에 딤플을 형성하는 상기 딤플 성형부는 상기 내솥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내솥의 표면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외주연에 돌기가 형성된 지그 롤러; 상기 지그 롤러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지그 프레임; 상기 지그 프레임이 기준위치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그 롤러가 상기 내솥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가압부; 및 상기 지그 프레임과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그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 롤러의 딤플 돌기는 반구형상, 육각형상, 사각형상 및 세모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상기 지그 롤러를 지지하는 상기 지그 프레임은 상기 지그 롤러와 상기 내솥의 표면이 직교하도록 상기 지그 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지그 프레임이 일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딤플이 형성되는 내솥의 표면은 상기 내솥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형부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금형 회전부는 상기 금형부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감속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의 구동력이 상기 금형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금형부와 감속기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솥은 상기 내솥의 외부 표면에 딤플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솥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솥의 외부 표면은 열전도가 증가되도록 동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100)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1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100)는 내부에 수용 홈부를 형성한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내솥(700)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솥 금형을 구비한 금형부(400)와,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금형부(400)에 안착된 내솥(700)의 표면과 밀착하여 내솥(700)의 표면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압연하는 다수의 딤플 성형부(300)와, 본체(110)의 수용 홈부에 설치되어 금형부(4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금형 회전부(500)와, 금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금형부(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내솥의 상면과 밀착하여 금형부(400)에 안착된 내솥(7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척킹부(200)와, 금형부(4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솥(700)의 딤플 성형이 종료된 경우 내솥이 금형부(4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내솥 분리부(600)를 포함하고, 내솥(700)의 외부면에는 열전도가 증가되도록 동(구리)으로 코팅되고, 내솥(700)의 외부면 중에서 바닥면을 제외한 외주연에 딤플을 형성한다.
본체(110)는 상면에 딤플 성형부(300), 금형부(400) 및 내솥 분리부(600)가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 프레임(111)이 구비되고, 척킹부(200)가 딤플 성형부(300), 금형부(400) 및 내솥 분리부(60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에 척킹부 프레임(120)과 척킹 상부 프레임(121)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110)의 상부 프레임(111) 하부에는 금형 회전부(500)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 홈부를 형성하고, 금형 회전부(500)가 상기 수용 홈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금형 회전부 프레임(113)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110)의 상부 프레임(111)에는 딤플 성형부(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딤플 성형부 프레임(112)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 금형부(400)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설치된다.
척킹부(20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부(400)에 안착된 내솥(700)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동안 내솥(7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실린더(210)와, 스러스트 베어링(240)과, 회전축 베어링(250)과, 회전판(260)을 구비한다.
실린더(210)는 척킹 상부 프레임(121)에 실린더 고정부(220)를 통해 고정 설치되고, 작동 프레임(230)을 구동하여 회전판(260)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스러스트 베어링(240)은 작동 프레임(230)의 구동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고, 회전판(260)이 작동 프레임(2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 프레임(230)과 회전판(260)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회전축 베어링(250)은 작동 프레임(23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작동 프레임(230)과 회전판(26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회전판(260)이 작동 프레임(2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판(260)은 실린더(210)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내솥(700)과 면접하여 금형부(400)에 안착된 내솥(7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솥(7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내솥(700)과 면접하는 회전판(260)의 저면에는 밀착부(270)를 더 구비하여 회전판(260)과 금형부(400) 사이에서 내솥(700)이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내솥(700)이 회전하는 동안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바람직하게 아세탈 수지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딤플 성형부(30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속기(310)를 구비한 가압부(320)와, 가압부(32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340)와, 가압부(320)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지그 프레임(350)과, 내솥(700)의 표면에 딤플을 형성하기 위한 지그 롤러(370)를 구비한다.
또한, 딤플 성형부(300)는 금형부(400)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딤플 성형부 프레임(112)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내솥(700)의 측면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딤플이 형성되도록 이웃한 딤플 성형부(300)가 단차를 형성하여 나선 형상으로 배치한다.
감속기(310)는 모터(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의 회전이 일정한 속도로 감속되도록 하고, 가압부(320)와 체인(330)을 통해 연결된다.
가압부(320)는 체인(330)을 통해 감속기(31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샤프트(340)가 이동되도록 하며,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샤프트(34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기준위치로부터 이동하거나 또는 이 동된 위치로부터 기준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340)는 일측 선단부가 지그 프레임(350)과 연결되어 가압부(320)의 동작에 따라 지그 프레임(350)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샤프트(340)의 타측 단부에는 가압부(320)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340)가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한 스토퍼는 샤프트(340)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스토퍼(341)와, 샤프트(340)의 이동에 따라 제 1 스토퍼(341)의 단부와 밀착하여 샤프트(340)의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스토퍼(342)로 구성된다.
지그 프레임(35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 프레임(350)의 일측 단부는 샤프트(34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지그 롤러(370)가 설치된다.
또한, 지그 프레임(350)은 가압부(320)의 구동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샤프트(340)에 의하여 딤플 성형부 프레임(11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지그 롤러(370)가 지그 회전축(38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그 고정부(360)를 구비한다.
또한, 지그 프레임(350)은 지그 롤러(370)와 내솥(700)의 표면이 서로 직교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지그 프레임(3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지그 각도 조절부(351)를 더 포함한다.
지그 각도 조절부(351)는 볼트, 리벳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그 프레임(350)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각도 조절에 따른 샤프트(340)의 구동력이 지그 프레임(350)에 변동없이 전달되도록 각도 조절용 상 부 프레임(352)과, 각도 조절용 하부 프레임(353)을 더 구비한다.
즉 내솥(700)의 외부 표면은 내솥 측면과 만곡부가 형성된 바닥면(또는 저면)을 포함하고, 딤플이 형성되는 내솥의 표면은 내솥(700)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지그 각도 조절부(351)는 바닥면의 만곡부와 지그 프레임(350)이 서로 직교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지그 롤러(37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딤플 돌기(371)와, 지그 베어링(372)과 지그 회전축(380)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공(373)을 포함한다.
딤플 돌기(371)는 지그 롤러(37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반구 형성의 부재로 내솥(700)의 표면에 반구 형상의 딤플이 형성되도록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구 형상의 딤플 돌기를 구성하였으나, 딤플 돌기(371)는 육각 형상, 사각 형상 및 세모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그 베어링(372)은 딤플 돌기(371)가 형성된 지그 롤러(370)의 외주연이 내솥(70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삽입공(373)에 삽입된 지그 회전축(380)과 연결되어 지그 프레임(350)에 지그 롤러(37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 롤러(370)를 통해 내솥의 외부 표면이 압연되도록 하였으나 지그 롤러(370)의 구성을 타격 수단으로 대체하여 내솥의 외부 표면이 압입되도록 구성을 변경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금형부(40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1)에 체결수단(470)을 통해 고정되고, 내솥(700)이 안착되는 내솥 금형(410)과, 내솥 금형 (410)이 금형 지지부(420)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금형 고정판(430)과, 금형 고정판(430)이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금형 회전축(440)과, 금형 회전축(44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450, 460)을 포함한다.
내솥 금형(410)은 내솥(700)과 동일한 형상의 틀 부재로써 딤플이 형성될 내솥이 안착되도록 하고, 내솥(700)과 함께 회전하며 내솥(700)의 표면을 지그 롤러(370)가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금형 고정판(430)은 상면에 금형 지지부(420)를 통해 내솥 금형(410)의 저면과 결합하여 내솥 금형(410)이 고정되도록 하고, 금형 고정판(430)의 저면은 금형 회전축(440)과 결합하여 고정된다.
금형 회전축(440)은 금형 고정판(430)이 회전되도록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금형 회전축(440)의 외주연 상부 및 하부에는 베어링(450 및 460)을 설치하여 금형 회전축(440)의 회전에 따른 상부 프레임(111)과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441은 금형 회전축(440)의 선단부로 금형 회전부(5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금형 회전축(440)에 전달되도록 한다.
금형 회전부(500)는 금형부(40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부의 금형 회전부 프레임(113)에 설치되고, 금형부(40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10)와, 모터(51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감속하는 감속기(520)와, 감속기(520)의 구동력이 금형부(400)에 전달되도 록 금형부(400)와 감속기(520)를 연결하는 감속기 체인(540)과 회전 체인(550)을 포함한다.
모터(510)의 회전축과 감속기(520)의 입력축에는 각각 모터 풀리(511)와 감속기 풀리(521)가 설치되고, 모터 풀리(511)와 감속기 풀리(521)는 체인(530)으로 연결되어 모터(510)의 회전력이 감속기(520)에 제공되도록 한다.
감속기(520)로부터 감속된 회전 구동력은 감속기 체인(540)을 통해 회전 체인(550)으로 전달되고, 금형 회전축(440)의 선단부(441)와 연결된 회전 체인(550)은 금형 회전축(440)을 구동하여 금형부의 내솥 금형(410)이 회전되도록 한다.
내솥 분리부(60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1) 상의 금형부(400)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내솥(700)의 딤플 성형이 종료된 경우 내솥(700)이 금형부(400)의 내솥 금형(4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또한, 내솥 분리부(600)는 내솥(700)이 내솥 금형(4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내솥 분리 실린더(610)와, 내솥 분리 실린더(61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작동 프레임(620)과, 일측이 작동 프레임(620)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내솥 금형(410)에 안착된 내솥(700)의 하단부와 밀착하는 내솥 분리 프레임(630)을 포함한다.
내솥 분리 실린더(610)는 금형부(400) 주변의 상부 프레임(111) 상에 고정 설치되어 내솥 분리 프레임(630)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작동 프레임(620)을 동작시켜 구동력을 제공한다.
작동 프레임(620)의 단부와 일측이 연결된 내솥 분리 프레임(630)은 타측을 "Z" 형상이 되도록 제 1 절곡부(631)와 제 2 절곡부(632)를 구비한다.
제 2 절곡부(632)의 상면에는 내솥 금형(410)에 안착된 내솥(700)의 테두리면이 안착되어 딤플 형성이 종료된 내솥(700)이 내솥 금형(4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의 딤플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내솥(700)을 중심으로 딤플 성형부(300)가 단차를 형성하여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내솥(700)을 중심으로 나선 형상(R)을 이루며 배치된 딤플 성형부(300)를 통해 표면에 딤플(710)을 형성한 내솥(7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딤플이 형성될 내솥(700)을 금형부(400)의 내솥 금형(410)에 안착된 경우 척킹부(200)의 실린더(210)를 작동시켜 작동 프레임(230)에 연결된 회전판(26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솥 금형(410)에 안착된 내솥(700)의 상면과 밀착되어 내솥 금형(410)과 회전판(260) 사이에 내솥(700)이 고정되도록 한다.
내솥(700)이 고정된 다음 금형부(40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나선 형상(R)을 이루며 단차 배치된 딤플 성형부(300)가 내솥(700)의 표면과 밀착된다. 이때 딤플 성형부의 가압부(320)는 회전판(260)이 밀착된 내솥(700)의 상면을 제외한 내솥(700)의 측면 및 만곡부 표면이 지그 롤러(370)와 직교하도록 샤프트(340)를 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딤플 돌기(371)가 내솥(700)의 표면을 압연하여 딤플(710)이 형성되도록 가압한다.
특히 내솥(700)의 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만곡부 표면은 딤플 성형부(300)의 지그 각도 조절부(351)를 통해 딤플 성형부(300)와 내솥(700) 표면이 직교하여 밀착되도록 한다.
내솥(700)의 표면 즉 측면과 만곡부 표면에 지그 돌기(371)가 가압되어 딤플(710)이 형성된 경우 금형 회전부(500)가 작동하여 금형 회전축(440)을 통해 연결된 금형부(400)가 회전되고, 내솥 금형(410)에 안착된 내솥(7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금형부(400)가 회전함과 동시에 척킹부(200)의 회전판(260)도 내솥(7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내솥(700)의 표면에 밀착한 지그 롤러(370)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내솥(700)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 및 크기의 딤플(710)이 형성된다.
내솥(700)의 표면에 딤플 형성이 종료되면 금형 회전부(500)의 구동이 종료되고, 딤플 성형부(300)는 샤프트(340)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내솥(700)의 표면으로부터 지그 롤러(370)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 후 척킹부(200)가 동작하여 내솥(700)의 상면과 밀착된 회전판(26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딤플(710)의 형성이 종료된 내솥(700)은 내솥 분리부(600)를 통해 내솥 금형(410)의 상방향으로 이탈된다.
내솥(700)의 이탈이 종료되면 내솥 분리부(60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내솥의 딤플 형성이 종료된다.
따라서 내솥(700)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 및 크기의 딤플(710)을 형성한 내솥(700)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딤플이 형성된 내솥(700)의 표면에 동(구리)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경우 딤플(710)의 형성에 따른 열전달 면적의 증가와 동의 빠른 열전도 효율에 따른 열전도가 우수한 성능의 내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솥의 표면에 일정한 크기 및 간격의 딤플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면에 일정한 크기 및 간격의 딤플을 형성한 내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솥의 측면에 딤플을 형성함으로써 내솥 전체에 균일한 열전도가 가능한 내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외부 표면에 딤플을 형성하는 딤플 가공장치로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솥 금형을 구비한 금형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표면과 밀착하여 상기 내솥의 표면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압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딤플 성형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이 회전되도록 하는 금형 회전부를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내솥의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이 회전하는 동안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척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는 상기 내솥의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내솥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내솥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면과 작동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작동 프레임을 동작시켜 상기 회전판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 및
    상기 회전판과 작동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판과 작동 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내솥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의 딤플 성형이 종료된 경우 상기 내솥이 상기 금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내솥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분리부는 일측이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하단부와 밀착하는 내솥 분리 프레임; 및
    상기 내솥 분리 프레임의 타측에 작동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 프레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내솥 분리 프레임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내솥 분리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는 상기 내솥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솥 금형;
    상기 내솥 금형의 저면과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금형 고정판; 및
    상기 금형 고정판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금형 고정판이 회전되도록 하는 금형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회전축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본체 프레임과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상기 금형 회전축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 성형부가 다수인 경우 상기 딤플 성형부는 상기 금형부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 성형부는 이웃한 딤플 성형부와 단차를 형성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 성형부는 상기 금형부에 안착된 내솥의 표면과 동시에 밀착하여 상기 내솥의 표면을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 성형부는 상기 내솥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내솥의 표면에 딤플이 형성되도록 외주연에 딤플 돌기를 형성한 지그 롤러;
    상기 지그 롤러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지그 프레임;
    상기 지그 프레임이 기준위치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지그 롤러가 상기 내솥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가압부; 및
    상기 지그 프레임과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그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사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롤러의 딤플 돌기는 반구형상, 육각형상, 사각형상 및 세모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프레임은 상기 지그 롤러와 상기 내솥의 표면이 직교하도록 상기 지그 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지그 프레임이 일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이 형성되는 내솥의 표면은 상기 내솥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회전부는 상기 금형부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감속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의 구동력이 상기 금형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금형부와 감속기를 연결하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60008335A 2006-01-26 2006-01-26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KR100680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35A KR100680234B1 (ko) 2006-01-26 2006-01-26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35A KR100680234B1 (ko) 2006-01-26 2006-01-26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234B1 true KR100680234B1 (ko) 2007-02-08

Family

ID=3810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335A KR100680234B1 (ko) 2006-01-26 2006-01-26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570B1 (ko) 2011-12-29 2014-01-09 손만호 압력 누출 방지형 스위블 클램프식 내솥 가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1685A1 (de) * 1978-09-29 1980-06-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grammierbare Speicherschutzeinrichtung für Mikroprozessorsysteme und Schaltungsanordnung mit einer derartigen Einrichtung
JP2002028074A (ja) * 2000-07-13 2002-01-29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1685A1 (de) * 1978-09-29 1980-06-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grammierbare Speicherschutzeinrichtung für Mikroprozessorsysteme und Schaltungsanordnung mit einer derartigen Einrichtung
JP2002028074A (ja) * 2000-07-13 2002-01-29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調理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번호 0011685 *
일본공개특허공보 14-02807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570B1 (ko) 2011-12-29 2014-01-09 손만호 압력 누출 방지형 스위블 클램프식 내솥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3359B1 (en) Heat sealing-type rotational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4168795A (ja) 回転鍛造用金型
JP3377884B2 (ja) 板金製ドラムの歯形成形装置
US8997542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up-shaped member
KR100680234B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딤플 가공장치
JP2006304769A (ja) 食品用生地整形装置
JP2009012059A (ja) ディスク状鍛造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5214919A (zh) 高效工业烤箱
JP2014190537A (ja) 摩擦ローラ式減速機
KR102374258B1 (ko) 적층 코어의 자동 분리가 가능한 회전 가열 접착식 회전자 코어 및 고정자 코어 동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60077123A (ko) 스피닝 성형 장치 및 스피닝 성형 방법
JP2014200790A (ja) 熱間鍛造方法
CN207375953U (zh) 一种钢化玻璃锅盖加热冷却生产线
KR102361900B1 (ko) 적층 코어의 내경 가열이 가능한 적층 코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07061519B (zh) 一种轴承钢珠拨散机
US20170184179A1 (en) Drive belt with a carrier ring and transverse segments
CN202348994U (zh) 轴承自动生产线的分球装置
CN211211276U (zh) 一种无级变速炒茶机
CN110014081B (zh) 一种电机定子加工工艺
KR20100117807A (ko) 치형 성형장치
CN106880075A (zh) 一种锅型锅巴自动生产线
CN112371820B (zh) 渐进式锅体自动拉伸工艺及其生产装置
KR20170142606A (ko) 전기밥솥용 내솥용기의 가공장치
CN110976684B (zh) 双层烙锅的手工旋压加工方法
CN207072908U (zh) 一种钢化玻璃锅盖加热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30000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80711

Effective date: 200906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XTG Extinguishm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