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199B1 -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199B1
KR100680199B1 KR1020040105545A KR20040105545A KR100680199B1 KR 100680199 B1 KR100680199 B1 KR 100680199B1 KR 1020040105545 A KR1020040105545 A KR 1020040105545A KR 20040105545 A KR20040105545 A KR 20040105545A KR 100680199 B1 KR100680199 B1 KR 10068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generator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287A (ko
Inventor
고철수
김철민
하심복
정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199B1/ko
Priority to EP05256316A priority patent/EP1691148A3/en
Priority to US11/250,395 priority patent/US7350365B2/en
Priority to CNA2005101204007A priority patent/CN1789843A/zh
Publication of KR2006006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발전기의 구동 부하인가를 판단하여, 발전기의 구동 부하로 판단되면 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이후에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공기조화기를 발전기에서 발생된 발전 전력으로 운전시키며,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발전기의 구동 부하가 아니거나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를 상용 전력으로 운전시키므로, 경제성 및 안전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발전기, 구동원,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Description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steam suppl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폐열 회수 난방 운전일 때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일반 난방 운전일 때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냉방 운전일 때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난방 운전일 때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폐열 회수 일 때의 순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량 조절 밸브가 폐열 회수 모드일 때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냉방 운전일 때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52: 압축기
54: 사방밸브 56: 실내 열교환기
57: 실내팬 58,59: 팽창기구
60: 실외 열교환기 61: 실외팬
110: 발전기 114: 전력선
116: 상용 전력 공급원 118: 전력 절환 스위치
120: 엔진 132: 냉각수 열교환기
134: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 136: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
140: 폐열 공급 열교환기 142: 열매체 순환 유로
143: 열매체 순환 펌프 144: 방열 열교환기
146: 유량 조절 밸브 148: 방열팬
152: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 154: 제 1 바이패스 밸브
160,162: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유로
164: 제 2 바이패스 밸브 166: 제 3 바이패스 밸브
170: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
172: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 기의 운전 부하에 따라 발전기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종래의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2)와, 상기 발전기(2)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열이 발생되는 엔진 등의 구동원(10, 이하 ‘구동원’이라 칭함)과, 상기 구동원(10)에서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장치(20)와, 상기 폐열 회수 장치(20)의 폐열이 이용되는 축열조 등의 열 수요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2)에서 생산된 전력은 가정의 각종 조명기구나 공기조화기(4) 등의 가전기기(이하, ‘가전기기’라 칭함)로 공급하도록 상기 가전기기와 전력선(3)으로 연결된다.
상기 공기조화기(4)는 압축기(5)와 사방 밸브(6)와 실내 열교환기(7)와 팽창기구(8)와 실외 열교환기(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4)는 냉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5)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 밸브(6)와 실외 열교환기(9)와 팽창기구(8)와 실내 열교환기(7)와 사방 밸브(6)를 차례로 경유하여 압축기(9)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9)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7)가 증발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는다.
반면에, 상기 공기조화기(4)는 난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5)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 밸브(6)와 실내 열교환기(7)와 팽창기구(8)와 실외 열교환기(9)와 사방 밸 브(6)를 차례로 경유하여 압축기(5)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9)가 증발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7)가 응축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의 가열한다.
상기 폐열 회수장치(20)는 상기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22)와, 상기 엔진(10)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24)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2)는 상기 축열조 등의 열수요처(30)와 제 1 열 공급라인(23)으로 연결되고,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로부터 빼앗은 폐열은 상기 제 1 열 공급라인(23)을 통해 축열조 등이 열수요처(30)로 전달된다.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24)는 상기 축열조 등의 열수요처(30)와 제 2 열 공급라인(24)으로 연결되고,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로터 빼앗은 열은 상기 제 2 열 공급라인(24)을 통해 축열조 등의 열수요처(30)로 전달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각종 조명기구나 공기조화기(4) 등의 가전기기의 부하에 무관하게 상기 엔진(10)이 구동되므로, 상기 가전기기의 저부하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엔진(10)의 폐열이 상기 공기조화기(4)에서 이용되지 못하고 축열조 등의 열수요처(30)에서만 사용되므로, 그 효율이 극대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이 사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전력 부하가 낮으면, 상용 전력으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키고, 전력 부하가 높으면, 발전 전력으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켜, 경제성이 높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이면, 구동원의 폐열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증발되게 하여, 실외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난방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온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구동 부하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부하로 판단되면, 방열팬을 회전시키고, 유량 조절밸브를 방열 모드로 하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온시키고,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발전 상태를 점검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발전기가 정상 상태이면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구동원을 온시킨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발전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이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온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온인 경우, 상기 구동원의 폐열이 폐열 공급 열교환기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폐열 회수 모드로 절환함과 아울러 상기 방열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이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온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온인 경우,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를 난방 운전시킨 후 상기 구동원의 폐열을 폐열 공급 열교환기로 회수시킬 지를 판단하고, 폐열 회수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원의 폐열이 폐열 공급 열교환기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폐열 회수 모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폐열 회수 모드로 절환할 때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초기 개도값으로 고정되고 이후 설정시간 간격으로 유량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유량 조절밸브의 유량 제어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압축기의 현재 토출 압력차에 따른 제 1 개도 변경값을 산출하는 제 1 개도 변경값 산출 과정과,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압축기의 현재 흡입 과열도 오차에 따른 제 2 개도 변경값을 산출하는 제 2 개도 변경값 산출 과정과, 상기 제 1 개도 변경값과 제 2 개도 변경값을 합한 최종 개도 변경값에 따라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를 변경하는 개도 변경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 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사방밸브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사방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1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에 설치된 제 2,3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의 분지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포함할 경우,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여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도록 제 1,2,3 바이패스 밸브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시키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 한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시키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시킨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실외 팬을 정지시키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실외팬의 정지 이후에, 상기 폐열 회수의 중단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페열 회수의 중단으로 판단되면, 상기 실외팬을 회전 시키고,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를 오프시키며, 상기 제 1,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온시키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방열 모드로 절환하는 제 5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제 5 과정의 이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폐열 회수를 다시 판단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6 과정의 결과 폐열 회수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과정 이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에서 폐열 회수로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발전기의 구동 오프 부하인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오프 부하 인 것으로 판단되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를 난방 운전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8 단계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한 이후에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원을 구동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구동원을 구동 정지시킨 이후에 설정기간이 경과되면, 방열팬을 정지시키고,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방열팬 및 열매체 순환 펌프의 오프 이후에 상기 제 2 단계 이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7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오프 부하가 아니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운전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고, 구동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구동원 오프 이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방열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온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냉매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순환하도록 공기조화기의 냉매 유로를 절환하고, 유량 조절밸브를 방열 모드로 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온시키고 방열팬을 회전시키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발전 상태를 점검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발전기가 정상 상태이면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공기조화기를 냉방 운전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사방밸브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사방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 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1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에 설치된 제 2,3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의 분지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1,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6 단계의 도중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냉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냉방 운전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구동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구동원의 오프 이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방열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방열팬의 회전시 환기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방열팬의 정지시 환기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폐열 회수 난방 운전일 때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일반 난방 운전일 때의 개략 구성도이 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냉방 운전일 때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52)와 사방밸브(54)와 실내 열교환기(56)와 팽창기구(58)(59)와 실외 열교환기(60)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와;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110)와; 상기 발전기(11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열이 발생되는 구동원(120)과; 상기 구동원(120)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회수 장치(130)와; 상기 폐열 회수 장치(13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52)의 흡입 배관에는 액냉매가 축적되는 어큐물레이터(53)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52)와 사방밸브(54)와 실외 열교환기(60)는 실외기(O)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기(O)의 내부에는 실외의 공기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로 송풍시키는 실외팬(62)이 설치된다.
상기 사방밸브(54)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52)에서 압축된 냉매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56)로 안내하도록 내부 유로를 조절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냉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52)에서 압축된 냉매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로 안내하도록 내부 유로를 조절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56)는 실내기(I)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I)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56)로 송풍시키는 실내팬(57)이 설치된다.
상기 팽창기구(58)(59)는 전자 팽창밸브(LEV: linear expansion valve)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기(O)에 설치되는 하나의 공용 팽창기구(58)와 분배기(D)에 설치된 개별 팽창기구(59)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56)와 실내기(I)와 개별 팽창기구(59)는 한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복수개가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전기(110)는 교류 발전기와 직류 발전기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구동원(120)의 출력축에 회전자가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시 전력을 생산한다.
상기 발전기(110)는 생산된 전력의 직류/교류를 전환하는 인버터(112)가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112)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와 전력선(114)으로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을 전력선(114)을 통해 공급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용 전력 공급원(116)에서 공급된 상용 전력과 상기 발전기(110)에서 생산된 발전 전력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바, 상기 전력선(114)에는 전력 절환 스위치(118)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전력 절환 스위치(118)가 상용 전력 공급 모드로 절환되면, 상기 사용 전력 공급원(116)의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전력 인가 라인은 상기 전력 절환 스위치(118)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 등으로는 상기 상용 전력 공급원(116)에서 공급된 전력이 인가된다.
반면에, 상기 전력 절환 스위치(118)가 발전기 전력 공급 모드로 절환되면, 상기 발전기(110)의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전력 인가 라인은 상기 전력 절환 스위치(118)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 등으로는 상기 발전기(110)에서 공급된 전력이 인가된다.
상기 구동원(120)은 연료 전지로 이루어지거나, 가스 또는 석유 등 화석 연료를 이용하여 운전되는 엔진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엔진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원(120)에는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 주입구(121)와, 연료 주입구(121)와 합지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122)와, 구동원(120)에서 배기된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구(123)가 설치된다.
상기 폐열 회수 장치(130)는 상기 구동원(120)과 냉각수 라인(124)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120)의 냉각수 열을 회수하는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상기 구동원(12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 열을 회수하도록 배기구(123) 상에 설치된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상기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에서 폐열을 빼앗긴 배기가스의 잔여 폐열을 회수하도록 배기구(123) 상에 설치된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120) 또는 냉각수 라인(124)에는 냉각수가 상기 구동원(120)과 냉각수 열교환기(132)를 순환할 수 있도록 냉각수 순환 펌프(125)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 스 열교환기(136)의 열은 열전달 수단(141)을 통해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로 전달된다.
상기 열전달 수단(141)은 열매체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를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열매체 순환 유로(142)와, 상기 열매체 순환 유로(142)상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펌핑시키는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장치(130)에서 회수한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열 열교환기(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열 열교환기(144)는 상기 열매체 순환 유로(142)를 통과하는 열매체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상기 열매체 순환 유로(142)와 방열 바이패스 유로(145)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장치(130)에서 회수한 열이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와 방열 열교환기로(144) 분배될 수 있도록 설치된 유량 조절 밸브(1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146)는 상기 방열 바이패스 유로(145)가 분지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방열 열교환기(144)의 옆에는 실외 공기를 상기 방열 열교환기(144)로 송풍시키는 방열 팬(148)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발전기(110)와, 구동원(120)과, 폐열 회수 장치(130)와,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가 내장되는 엔진룸(E)이 형성된 섀시(14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섀시(149)에는 상기 엔진룸(E)의 환기를 위해 공기 흡입구(149a)와 공기 배출구(149b)가 형성되고, 실외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149a)로 흡입하여 상기 엔진룸(E)을 통하도록 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149c)로 배출시키는 환기팬(149c)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폐열 회수 난방 운전시 상기 팽창기구(58)(59)에서 팽창된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152)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폐열 회수 난방 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152)로 바이패스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후 상기 사방밸브(5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160)(162)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냉방 운전시 상기 사방밸브(54)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152)에 설치된 제 1 바이패스 밸브(154)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160)(162)에 설치된 제 2,3 바이패스 밸브(164)(166)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152)의 분지부(152a)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60) 사이에 설치된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158)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170)에 설치된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난방 운전일 때의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전력 부하를 판단한다.(S1)
여기서, 상기 전력 부하는 상기 실내기(I)의 운전 대수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압축기(52)의 구동에 필요한 소비 전력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의 방법 이외에 상용 전원 공급원(116)에서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로 인가되는 소비 전력으로 판단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고, 이하 상기 실내기(I)의 운전 대수로 판단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내기(I)의 운전 대수가 3대 이상이면,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부하로 판단하고, 상기 실내기(I)의 운전 대수가 2대 이하이면,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S2)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전력 절환 스위치(118)를 상용 전력 공급 모드로 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는 상용 전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난방 운전된다.(S3)
즉, 상기 사방 밸브(54)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압축기(52)는 상용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실외 팬(62)은 회전되고, 상기 제 1,2,3 바이 패스 밸브(154,164,166)는 오프되며, 상기 제 1,2 냉방 운전용 밸브(158,172)는 온된다.
상기 압축기(52)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 밸브(54)와 실내 열교환기(56)와 팽창기구(58,59)와 실외 열교환기(60)와 사방 밸브(54)와 어큐물레이터(53)를 차례로 경유하여 압축기(52)로 순환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는 증발기로 작용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를 가열한다.
반면에,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부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열팬(148) 및 환기팬(149c)을 회전시키고, 상기 유량 조절밸브(146)를 방열 모드로 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온시키고, 상기 구동원(120)을 구동시킨다.(S4)
삭제
상기 구동원(120)의 구동시 상기 발전기(110)는 회전자가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한다.
상기 구동원(120)의 구동시 상기 구동원(120)의 배기가스 폐열과 냉각수 폐열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에서 회수된다.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가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유량 조절 밸브(146)가 방열 모드로 절환되면, 상기 열매체 순환 유로(142)의 열매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와 방열 열교환기(144)를 순환되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의 열을 상기 방열 열교환기(144)로 전달하고, 상기 방열 열교환기(144)로 전달된 열은 상기 방열팬(148)에 의해 송풍된 실외 공기에 의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120)이 구동된 이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를 점검한다.(S5)
여기서,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 점검은 상기 발전기(110)의 전압이 설정 전압 범위 이내이고, 상기 발전기(110)의 알피엠이 설정 알피엠 범위 이내이면,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발전기(110)의 전압이 설정 전압 범위 이외이거나, 상기 발전기(110)의 알피엠이 설정 알피엠 범위 이외이면,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다.(S6)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한다.(S7)
그리고,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를 발전 전력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난방 운전시킨다.(S8)
즉, 상기 사방 밸브(54)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압축기(52)는 발전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실외 팬(62)은 회전되고, 상기 제 1,2,3 바이 패스 밸브(154,164,166)는 오프되며, 상기 제 1,2 냉방 운전용 밸브(158,172)는 온된다.
상기 압축기(52)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 밸브(54)와 실내 열교환기(56)와 팽창기구(58,59)와 실외 열교환기(60)와 사방 밸브(54)와 어큐물레이터(53)를 차례 로 경유하여 압축기(52)로 순환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는 증발기로 작용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를 가열한다.
이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일반 난방 운전이 시작된 이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5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원(120)의 폐열 회수 여부를 판단한다.(S9)
여기서, 상기 폐열 회수 여부의 판단은 상기 실내기의 운전 용량, 실외 온도, 희망 온도, 실내 온도 등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는 바, 이하, 실외 온도와 실내 운전 용량에 따라 폐열 회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실외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15℃) 이하이고, 실내 운전 용량이 설정 용량(예를 들면, 20%) 이상이면, 폐열을 회수하는 것으로 판단(S10)하고, 실외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15℃) 초과이거나, 실내 운전 용량이 설정 용량(예를 들면, 20%) 미만이면, 폐열 회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S11)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폐열을 회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1)
여기서, 상기 발전기의 구동 정지 부하 판단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 등의 전력 부하로 판단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로 판단되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한다.(S12)
그런 다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를 상용 전력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난방 운전시키고, 상기 상용 전력으로 전환한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원(120)을 구동 정지시켜 발전을 중단한다.(S13)
아울러,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120)을 구동 정지시킨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방열팬(148) 및 환기팬(149c)을 정지시키고,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오프시킨다.(S14)
이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용 전력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를 일반 난방 운전시키고, 발전기 구동 부하의 변동에 따라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S3,S2,S4,S5,S6,S7,S8,S9,S10,S11,S12,S13,S14)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여부의 판단(S9)에서 폐열 회수로 판단되지 않고,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로 판단되지 않으며,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를 발전 전력으로 일반 난방 운전시키면서, 폐열 회수 여부를 계속하여 판단한다.(S9,S11,S15)
반면에,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여부의 판단(S9)에서 폐열 회수로 판단되지 않고,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로 판단(S11)되지 않으며,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S15)되고, 상기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5분) 이내에 난방 운전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고, 구동원(120) 을 구동 정지시킨다.(S16)
그런 다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120)의 오프 이후에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방열팬(148) 및 환기팬(149c)을 정지시키고,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오프시킨다. (S17)
이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새로운 운전 명령을 대기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폐열 회수 일 때의 순서도이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폐열을 회수하는 것으로 판단(S10)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 조절밸브(146)를 폐열 회수 모드로 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60)를 바이패스 하여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50)에 의해 증발될 수 있도록 제 1,2,3 바이패스 밸브(154,164,166)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2 냉방 운전용 밸브(172)를 오프시킨다.(S20)
상기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158)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60)에 남아 있는 냉매가 회수되도록 상기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172)와 함께 오프되지 않는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172)를 오프 한 이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1분)이 경과되면 상기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158)를 오프시킨다.(S21)
그리고,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158)가 오프된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가 경과되면, 실외팬(62)을 정지시킨다.(S22)
한편, 상기 유량 조절밸브(146)가 폐열 회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열매체 순환 유로(142)의 열매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 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와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를 순환되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의 열을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로 전달하고,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는 구동원(120)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154,164,166)를 온됨과 아울러 상기 1, 2 냉방 운전용 밸브(172)가 오프되면, 상기 팽창기구(58,59)에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를 바이패스 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152)를 통과하고,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160)를 통해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로 이동되며,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에서 증발된다.
상기 증발된 냉매는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160)를 통해 상기 사방 배브(54)로 이동되고, 이후 상기 압축기(52)로 순환되며, 이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팽창기구(58,59)에서 팽창된 냉매가 폐열 공급 열교환기(140)에서 증발되므로, 실외 온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난방 능력을 얻게 된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폐열 회수 난방 운전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폐열 회수의 중단 여부를 판단한다.(S23)
여기서, 상기 폐열 회수의 중단 여부는 안전 제어 모드 등의 폐열 회수를 중단할 상황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시스템의 압력(예를 들면, 압축기의 흡입 압력 또는 토출 압력)이 과다하게 되는 등의 급격한 변동이 발생되면, 폐열 회수의 중단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폐열 회수의 계속으로 판단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페열 회수의 중단으로 판단되면, 상기 실외팬(62)을 회전시키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154,164,166)를 오프시키며, 상기 제 1,2 냉방 운전용 밸브(158,172)를 온시키고, 유량 조절 밸브(146)를 방열 모드로 절환한다.(S24)
상기 유량 조절 밸브(146)가 방열 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실외팬(62)이 회전되며,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154,164,166)를 오프되고, 상기 제 1,2 냉방 운전용 밸브(158,172)를 온되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는 실외 열교환기(60)가 증발기로 작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실외팬(62)이 회전된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분)이 경과되면 폐열 회수 여부를 재판단한다.(S25)
여기서, 상기 폐열 회수 여부의 재판단은 실외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15℃) 이하이고, 실내 운전 용량이 설정 용량(예를 들면, 20%) 이상이면, 폐열을 회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실외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15℃) 초과이거나, 실내 운전 용량이 설정 용량(예를 들면, 20%) 미만이면, 폐열 회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폐열 회수 여부의 재 판단(S25)에서 폐열 회수로 판단되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S20,S21,S22,S23,S24)한다.
반면에,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폐열 회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26)
여기서, 상기 발전기의 구동 정지 부하 판단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전력 부하로 판단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로 판단되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한다.(S27)
그런 다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를 상용 전력으로 일반 난방 운전시키고, 상기 상용 전력으로 전환한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원(120)을 구동 정지시켜 발전을 중단한다.(S28)
아울러,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120)을 구동 정지시킨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방열팬(148) 및 환기팬(149c)을 정지시키고,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오프시킨다.(S29)
이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용 전력으로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난방 운전(S3)시킨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여부의 재판단(S25)에서 폐열 회수로 판단되지 않고,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로 판단되지 않으며,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를 발전 전력으로 난방 운전시키면서, 폐열 회수 여부를 계속하여 판단한다.(S25,S26,S30)
반면에,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폐열 회수 여부의 재판단(S25)에서 폐열 회수로 판단되지 않고, 상기 발전기(110)의 구동 정지 부하로 판단(S26)되지 않으며,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S30)되 고, 상기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5분) 이내에 난방 운전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고, 구동원(120)을 구동 정지시킨다.(S31)
그런 다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 오프 이후에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방열팬(148) 및 환기팬(149c)을 정지시키고,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오프시킨다.(S32)
이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새로운 운전 명령을 대기한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유량 조절 밸브가 폐열 회수 모드일 때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유량 조절밸브(146)를 폐열 회수 모드로 절환할 때, 상기 유량 조절밸브(146)를 초기 개도값으로 고정되고 이후 설정 시간 간격으로 개도값을 변경하는 유량 제어를 시작한다.(S41)
상기 유량 조절밸브(146)의 유량 제어는 먼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 압축기(52)의 현재 토출 압력차에 따른 제 1 개도 변경값을 산출하는 제 1 개도 변경값 산출한다.(S42)
여기서, 제 1 개도 변경값은 목표고압에서 현재 고압을 제한 값을 100으로 나눈 값(Ep)을 산출하고, 그 값(Ep)에 따른 개도 증감값을 기설정된 테이블에 대입하여 개도 증감값을 구하며, 상기 개도 증감값에 0.65를 곱하여 제 1 개도 변경값 을 산출한다.
이후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압축기의 현재 흡입 과열도 오차에 따른 제 2 개도 변경값을 산출한다.(S43)
여기서, 상기 제 2 개도 변경값은 목표 과열도에서 현재 과열도를 제한 값(Ep)을 기설정된 테이블에 대입하여 개도 증감값을 구하고, 상기 개도 증감값에 0.65를 곱하여 제 2 개도 변경값을 산출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개도 변경값과 제 2 개도 변경값을 합한 최종 개도 변경값을 산출하고 최종 개도 변경값에 따라 유량 조절 밸브(146)의 개도를 변경한다.(S44)
한편, 상기 상기 유량 조절밸브(146)의 유량 제어는 상기 압축기(52)의 토출온도이 설정 온도(예를 들면, 100℃) 이상인 경우, 상기 최종 개도 변경값에 관계없이 현재의 개도값을 유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냉방 운전일 때의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온 신호가 수신되면, 냉매가 압축기(52)와 사방밸브(54)와 실외 열교환기(60)와 팽창기구(58,59)와 실내 열교환기(56)와 사방밸브(54)와 압축기(52)를 순환하도록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냉매 유로를 절환하고, 유량 조절밸브를 방열 모드로 한다.(S51,S52)
즉, 상기 사방밸브(54)를 냉방 모드로 절환하고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154,164,166)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1,2 냉방 운전용 밸브(158,170)를 온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온시키고, 상기 방열팬(148) 및 환기팬(149c)을 회전시키며, 구동원(120)을 구동시킨다.(S53)
상기 구동원(120)의 구동시 상기 구동원(120)의 배기가스 폐열과 냉각수 폐열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에서 회수된다.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가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유량 조절 밸브(146)가 방열 모드로 절환되면, 상기 열매체 순환 유로(142)의 열매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와 방열 열교환기(144)를 순환되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32)와 제 1 배기가스 열교환기(134)와 제 2 배기가스 열교환기(136)의 열을 상기 방열 열교환기(144)로 전달하고, 상기 방열 열교환기(144)로 전달된 열은 상기 방열팬(148)에 의해 송풍된 실외 공기에 의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120)이 구동된 이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를 점검한다.(S54)
여기서,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 점검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시와 동일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발전기(110)의 발전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한다.(S55,S56)
이후,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를 발전 전력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 운전시킨다.(S8)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냉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52)는 발전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사방 밸브(54)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압축기(52)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54)와 실외 열교환기(60)와 팽창기구(58,59)와 실내 열교환기(56)와 사방밸브(54)를 차례로 경유하여 상기 압축기(52)로 순환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60)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56)이 증발기로 작용하여 실내를 냉방시킨다.
한편,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발전 전력을 이용한 냉방 운전의 도중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냉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S58)되고, 상기 냉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5분) 이내에 냉방 운전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고, 구동원(120)을 구동 정지시켜 발전을 중단한다.(S59)
아울러,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구동원(120)을 구동 정지시킨 후 설정 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상기 방열팬(148) 및 환기팬(149c)을 정지시키고,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43)를 오프시킨다.(S60)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50)의 난방 운전시 발전기의 구동 부하이고, 발전기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폐열 회수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폐열 회수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발전기의 구동 부하인가를 판단하여, 발전기의 구동 부하로 판단되면 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이후에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공기조화기를 발전기에서 발생된 발전 전력으로 운전시키며,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발전기의 구동 부하가 아니거나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를 상용 전력으로 운전시키므로, 경제성 및 안전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이면,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폐열에 의해 증발되므로, 실외 온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난방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9)

  1. 삭제
  2. 공기조화기의 운전 온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구동 부하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부하로 판단되면, 방열팬을 회전시키고, 유량 조절밸브를 방열 모드로 하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온시키고,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구동원을 온시킨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발전기의 발전 상태를 점검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발전기가 정상 상태이면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온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구동 부하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부하로 판단되면, 방열팬을 회전시키고, 유량 조절밸브를 방열 모드로 하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온시키고,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발전 상태를 점검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발전기가 정상 상태이면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구동원의 폐열이 폐열 공급 열교환기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폐열 회수 모드로 절환함과 아울러 상기 방열팬을 정지시키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온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구동 부하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부하로 판단되면, 방열팬을 회전시키고, 유량 조절밸브를 방열 모드로 하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온시키고,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발전 상태를 점검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발전기가 정상 상태이면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를 난방 운전시킨 후 상기 구동원의 폐열을 폐열 공급 열교환기로 회수시킬 지를 판단하고, 폐열 회수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원의 폐열이 폐열 공급 열교환기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폐열 회수 모드로 절환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폐열 회수 모드로 절환할 때 상기 유량 조절밸브를 초기 개도값으로 고정되고 이후 설정시간 간격으로 유량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유량 조절밸브의 유량 제어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압축기의 현재 토출 압력차에 따른 제 1 개도 변경값을 산출하는 제 1 개도 변경값 산출 과정과,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압축기의 현재 흡입 과열도 오차에 따른 제 2 개도 변경값을 산출하는 제 2 개도 변경값 산출 과정과,
    상기 제 1 개도 변경값과 제 2 개도 변경값을 합한 최종 개도 변경값에 따라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를 변경하는 개도 변경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사방밸브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사방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1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에 설치된 제 2,3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의 분지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포함할 경우,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하여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도록 제 1,2,3 바이패스 밸브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시키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 한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시키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오프시킨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실외 팬을 정지시키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실외팬의 정지 이후에, 상기 폐열 회수의 중단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페열 회수의 중단으로 판단되면, 상기 실외팬을 회전 시키고,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를 오프시키며, 상기 제 1,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온시키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방열 모드로 절환하는 제 5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제 5 과정의 이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폐열 회수를 다시 판단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6 과정의 결과 폐열 회수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과정 이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에서 폐열 회수로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발전기의 구동 오프 부하인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오프 부하 인 것으로 판단되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를 난방 운전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8 단계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한 이후에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원을 구동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구동원을 구동 정지시킨 이후에 설정기간이 경과되면, 방열팬을 정지시키고,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방열팬 및 열매체 순환 펌프의 오프 이후에 상기 제 2 단계 이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7 단계에서 발전기의 구동 오프 부하가 아니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난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운전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고, 구동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구동원 오프 이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방열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온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이후에 냉매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순환하도록 공기조화기의 냉매 유로를 절환하고, 유량 조절밸브를 방열 모드로 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온시키고 방열팬을 회전시키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발전기의 발전 상태를 점검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발전기가 정상 상태이면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상용 전력을 발전 전력으로 전환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공기조화기를 냉방 운전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사방밸브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사방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1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연결 유로에 설치된 제 2,3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의 분지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제 1 냉방 운전용 밸브와; 상기 폐열 공급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제 2 냉방 운전용 밸브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 1,2,3 바이패스 밸브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1,2 냉방 운전용 밸브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6 단계의 도중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냉방 운전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냉방 운전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발전 전력을 상용 전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구동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상기 구동원의 오프 이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방열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 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방열팬의 회전시 환기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방열팬의 정지시 환기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40105545A 2004-12-14 2004-12-14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0680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45A KR100680199B1 (ko) 2004-12-14 2004-12-14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05256316A EP1691148A3 (en) 2004-12-14 2005-10-11 Method for controlling cogeneration system
US11/250,395 US7350365B2 (en) 2004-12-14 2005-10-17 Method for controlling cogeneration system
CNA2005101204007A CN1789843A (zh) 2004-12-14 2005-11-11 用于控制热电联产系统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45A KR100680199B1 (ko) 2004-12-14 2004-12-14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287A KR20060067287A (ko) 2006-06-20
KR100680199B1 true KR100680199B1 (ko) 2007-02-08

Family

ID=3658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545A KR100680199B1 (ko) 2004-12-14 2004-12-14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50365B2 (ko)
EP (1) EP1691148A3 (ko)
KR (1) KR100680199B1 (ko)
CN (1) CN17898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615B1 (ko) * 2006-07-25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제너레이션 및 그 제어 방법
US7823073B2 (en) * 2006-07-28 2010-10-26 Microsoft Corporation Presence-based location and/or proximity awareness
KR20080015264A (ko) * 2006-08-14 2008-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제너레이션
JP5001749B2 (ja) * 2007-08-17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CN101655273B (zh) * 2009-09-11 2013-04-17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频空调的变频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A2783717C (en) * 2009-12-08 2018-10-23 Electromotion Energy Corporation Synergistic energy ecosystem
US11050249B2 (en) 2012-03-23 2021-06-29 Concentric Pow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generation
US9388766B2 (en) 2012-03-23 2016-07-12 Concentric Power, Inc. Networks of cogeneration systems
US9228760B2 (en) 2012-04-27 2016-01-05 Mac, Inc. Flameless heating system
JP2014070582A (ja) * 2012-09-28 2014-04-21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及び空調装置
CN104251535A (zh) * 2013-06-26 2014-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回收型空调机组及其复合运行模式控制方法
US10036347B1 (en) * 2013-07-19 2018-07-31 Raymond C. Sherry Standby energy generating system
CN105276856B (zh) * 2014-06-13 2019-05-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燃气热泵式空气调节系统
KR101583507B1 (ko) * 2014-06-18 2016-01-08 임정빈 엔진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냉난방 시스템
US10704438B2 (en) * 2015-11-17 2020-07-07 Carrier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of exhaust gas of a transportation refrigeration unit
KR102583383B1 (ko) * 2017-06-27 2023-10-05 아이엠비와이 에너지, 인크. 가열 처리 및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540A (ja) 2000-12-01 2002-06-14 Tokyo Gas Co Ltd マルチ形空調装置
JP2003224999A (ja) 2002-01-25 2003-08-08 Toshiba Kyaria Kk 車両用電源装置
JP2004125258A (ja) 2002-10-02 2004-04-22 Hitachi Ltd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KR20040042089A (ko) * 2002-11-13 2004-05-2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절전형 에어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677A (en) * 1978-03-27 1981-06-09 Forrest Harr Self-contained roof-mounted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US4226090A (en) * 1979-08-06 1980-10-07 Horian James G Control system for vehicle air conditioner
US4819444A (en) * 1986-07-08 1989-04-11 Manville Sales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0305416B1 (de) * 1987-02-19 1992-01-02 Pär DALIN Vorrichtung zur wärmegewinnung unter verwendung einer wärmepumpenanlage
US4715192A (en) * 1987-06-15 1987-12-29 Imperial Private Power Electrical or thermal tracking cogeneration system utilizing open cycle-air-conditioning
US5265435A (en) * 1992-12-31 1993-11-30 Phyllis M. Morefield Vehicle refrigeration system
JPH0719662A (ja) * 1993-06-30 1995-01-20 Toshiba Corp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JP2003148829A (ja) * 2001-11-13 2003-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ージェネ型吸収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2004136699A (ja) * 2002-10-15 2004-05-13 Denso Corp ハイブリッド車用空調装置
US7032393B2 (en) * 2003-08-28 2006-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imate cool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vehicles
US7007491B2 (en) * 2003-12-22 2006-03-07 Caterpillar In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540A (ja) 2000-12-01 2002-06-14 Tokyo Gas Co Ltd マルチ形空調装置
JP2003224999A (ja) 2002-01-25 2003-08-08 Toshiba Kyaria Kk 車両用電源装置
JP2004125258A (ja) 2002-10-02 2004-04-22 Hitachi Ltd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KR20040042089A (ko) * 2002-11-13 2004-05-2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절전형 에어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2089 *
1612525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287A (ko) 2006-06-20
EP1691148A3 (en) 2011-09-14
CN1789843A (zh) 2006-06-21
US20060123818A1 (en) 2006-06-15
US7350365B2 (en) 2008-04-01
EP1691148A2 (en)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36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generation system
US7275382B2 (en) Cogeneration system
US7240505B2 (en) Cogeneration system
KR100634810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EP1669699A2 (en) Cogeneration system
US20070012058A1 (en) Cogeneration system
KR100634809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20060016396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US20060242977A1 (en) Cogeneration system
KR100644829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638225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55324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34811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790829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020153A (ja) エンジンヒートポンプ
KR20070008889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폐열 회수방법
KR20070050298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55323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634812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2856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2858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790830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53787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70025310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53786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