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236B1 - 기능성 인공식물섬 - Google Patents

기능성 인공식물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236B1
KR100679236B1 KR1020050064683A KR20050064683A KR100679236B1 KR 100679236 B1 KR100679236 B1 KR 100679236B1 KR 1020050064683 A KR1020050064683 A KR 1020050064683A KR 20050064683 A KR20050064683 A KR 20050064683A KR 100679236 B1 KR100679236 B1 KR 10067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eva
synthetic resin
soil erosion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250A (ko
Inventor
정윤기
정을준
Original Assignee
정윤기
정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기, 정을준 filed Critical 정윤기
Priority to KR102005006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2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성 올레핀계 EVA 부력재와 식생기반제로 합성수지계열의 인조솜 또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하천 및 담수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오염된 하천 및 담수호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훼손된 수중생태계를 복원하며, 하천 및 담수호의 주변공간의 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인공식물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공 식물섬의 하부에 발포성 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된 상용의 자재를 이용하여 골격구조물을 소정크기로 형성하고, 골격구조물내부에는 상기 골격구조물과 체결되어 인조솜을 지지하기 위한 토양침식 방지매트가 설치되며, 상기 토양침식방지 매트의 상부에는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이 일정의 두께로 설치되고, 상기 인조솜의 상부에는 필요한 수생식물을 식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인조솜을 소정의 두께로 설치하며, 상기 골격구조물, 토양침식방지매트 및 인조솜이 비바람이나 파도 등의 외부의 충격에 손상되지 않도록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제작된 그물망으로 감싸고 타이 또는 끈으로 견고하게 묶어 고정하고, 다시 외부에 로프로 단단히 묶어서 완성되며, 상기 골격구조물의 변형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하단에 플라스틱 파이프와 플라스틱판을 설치하고 상기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한 후 제작된 구조물을 필요한 크기만큼 원하는 형태로 서로 타이 또는 기타 상용의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구성함으로써 담수호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식물에 의하여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인공식물섬, 인조솜, 폴리우레탄, 수생태계

Description

기능성 인공식물섬{An Artificial Plant Island with Func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인공식물섬의 조립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기능성 인공식물섬의 조립평면도
도3은 도1 및 도2의 인공식물섬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할 합성수지계열의 관 및 판재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기능성 인공식물섬(도1과 도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생식물을 식재할 구멍이 형성된 인조솜
2: 식생기반재인 인조솜 3: 토양침식방지매트
4: 골격구조물 5: 그물망
6: 식생기반재인 폴리우레탄
7: 수생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형성한 구멍
8: 그물망의 매듭
11: ㄱ 자형 관 12: T 자형 관
13: 일자형 관 14: 판재
15: 골격구조물 상측에 위치하는 판재
16: 타이 또는 끈 17: 로프
본 발명은 발포성 올레핀계 EVA 부력재와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을 이용하여 하천 및 담수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오염된 하천 및 담수호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훼손된 수중생태계를 복원하며, 하천 및 담수호의 주변공간의 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인공식물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공식물섬은 부력재에 식생기반재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물섬 외부에 철제 프레임 등을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되고, 부력재로는 양 단부가 밀폐된 PEM관, 천연 목재, 발포성 판형 EVA 소재, 스티로폼 등이 사용되었으며, 식생기반재로는 토양, 폐그물, 천연 섬유사 재질의 매트 등으로 제작되었으나, 인공식물섬에 사용된 부력재 중에서 PEM관 및 발포성 판형 EVA 소재 등은 가격과 구조적인 면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설치 시 불편함과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천연 목재의 경우에는 내구성 및 부력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스티로폼의 경우에는 자연상에서 산화되어 환경에 유해하고 내구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식생기반재의 경우를 살펴보면, 일반 토양은 무게가 무거워 인공식물섬에 적용시 부력유지에 문제가 있으며, 천연 식물성 매트는 오염된 수체 내에 유기물을 재유입시키는 문제점과 더불어 수중에서 자연 분해되어 식생기반재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공 식물섬의 하부에 발포성 올레핀계 EVA소재로 제작된 상용의 자재를 이용하여 골격구조물을 소정크기로 형성하고, 골격구조물 내부에는 상기 골격 구조물과 체결되어 인조솜을 지지하기 위한 토양침식 방지매트가 설치되며, 상기 토양침식방지 매트의 상부에는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이 소정의 두께로 평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조솜의 상부에는 필요한 수생식물을 식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인조솜을 소정의 두께로 설치한 후 그물망으로 감싸고, 타이, 끈 또는 기타 상용의 체결수단으로 그물망과 골격구조물을 견고하게 묶어 고정하고, 외부에 다시 로프로 단단히 묶어서 완성하여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구성함으로써 담수호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수생식물에 의하여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골격구조물의 상단에는 합성수지계열의 재질 또는 금속재질의 판재를 고정 설치하고, 골격구조물의 하단에는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제작된 관 및 판재를 부착 설치하여 부력재의 변형이나 뒤틀림을 예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밀폐된 관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하여 보다 많은 부력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을 대신하여 폴리우레탄으로 기공의 크기를 다소 크게 발포하여 수생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다수 홀을 소 정 깊이로 형성하여 이층구조의 인조 솜을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하므로 설치가 간단하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식생기반제인 인조솜보다 기공의 크기가 커서 수생식물이 산소와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져 수생식물의 성장이 용이하고 성장한 식물은 하천 및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도록 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중생태계를 복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발포성 올레핀계 EVA 부력재와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을 이용하여 하천 및 담수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오염된 하천 및 담수호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훼손된 수중생태계를 복원하며, 하천 및 담수호의 주변공간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인공식물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공식물섬은 부력재에 식생기반재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물섬 외부에 철제 프레임 등을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되고, 부력재로는 양 단부가 밀폐된 PEM관, 천연 목재, 발포성 판형 EVA 소재, 스티로폼 등이 사용되었으며, 식생기반재로는 토양, 폐그물, 천연 섬유사 재질의 매트 등으로 제작되었으나, 인공식물섬에 사용된 부력재 중에서 PEM관 및 발포성 판형 EVA 소재 등은 가격과 구조적인 면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설치시 불편함과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천연 목재의 경우에는 내구성 및 부력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스티로폼의 경우에는 자연 상태에서 산화되어 환경에 유해하고 내구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식생기반재의 경우, 일반 토양은 무게가 무거워 인공식물섬에 적용시 부력유지에 문제가 되고, 천연 식물성 매트의 경우 오염된 수체 내에 유기물을 재유입시키는 문제점과 더불어 수중에서 자연 분해되어 식생기반재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면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인공식물섬의 조립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기능성 인공식물섬으로 인조솜 대신에 기공을 다소 크게 발포시킨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한 인공식물섬의 하나의 개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1 및 도2의 인공식물섬의 골격구조물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할 합성수지계열의 관 및 판재를 도시한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기능성 인공식물섬(도1과 도2)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인조식물섬의 구성수단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인공 식물섬의 하부에 발포성 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되어 높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골격구조물을 소정크기의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 제작하고, 골격구조물의 내부에는 상기 골격 구조물과 체결되어 상부에 위치하게 될 인조솜을 지지하기 위한 토양침식 방지매트가 설치되며, 상기 토양침식방지 매트의 상부에는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이 일정의 두께로 평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조솜의 상부에는 필요한 수생식물을 식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소정의 직경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이 소정의 두께로 설치된다. 그 외부를 그물망으로 감싸고, 타이, 끈 또는 기타 상용의 체결수단으로 그물망과 골격구조물을 견고하게 묶어 고정한 다음에 그물망 외부를 로프(17)로 소정의 간격으로 단단히 묶어서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제작하기 위한 하나의 개체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한 개체를 타이, 끈 또는 상용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하천 또는 담수호의 규모나 필요한 형태로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구성함으로써 담수호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식물에 의하여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여 자연생태계가 복원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그물망은 한곳이 손상되거나 끊어져도 다른 곳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끈이 교차하는 지점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기간 비바람, 파도 및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인공 식물섬의 하부에 발포성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되어 높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제작된 골격구조물이 변형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골격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합성수지계열의 재질(예를 들면 : 플라스틱)로 만들어진 기억자(ㄱ)형(11), 일자형(13) 및 티자(T)형(12)관을 이용하여 상기 골격구조물의 형태에 맞추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관과 판재를 이용하여 가로와 세로로 2내지 4개의 격자를 형성하며, 관과 관 또는 관과 판재(14)를 연결 접속하는 수단은 접착제 또는 용접을 수행하여 프레임을 제작하며, 그 위에 발포성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되어 높은 부력을 가진 골격구조물과 부착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실시 예1]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1을 도1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1에서 인공 식물섬의 하부에 발포성 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되어 높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제작된 골격구조물을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1m인 정사각형 또는 설계자가 원하는 형태로 설계 제작한다. 상기 높은 부력을 가진 골격구조물의 내부에는 골격 구조물(4)과 체결되어 상부에 위치하게 될 식생기반제인 인조솜(2) 및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토양침식방지매트(3)가 설치된다. 토양침식방지매트(3)는 상용 제품으로 폭이 1m이며, 롤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토양침식방지매트(3)의 상부에는 식생기반제인 인조솜(2)이 2내지 4㎝ 정도의 두께로 평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의 상부에는 수생식물을 식수할 수 있도록 9개 내지 25개정도의 홀(7)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인조솜(1)의 두께는 6내지 10㎝정도로 설치한다. 상기 골격구조물(4), 토양침식방지매트(3) 및 인조솜(1, 2)을 비바람, 파도 및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그물망(5)으로 감싸고, 타이, 끈 또는 기타 상용의 체결수단으로 골격구조물에 견고하게 묶어 고정한다. 상기 그물망(5)은 어느 한곳이 손상되거나 끊어져도 다른 곳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끈이 교차하는 지점에 매듭(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그물망 외부에 로프(17)로 가로와 세로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2내지 4개정도를 묶어서 견고한 하나의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제작할 수 있는 개체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개체를 타이, 끈 또는 상용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하천 또는 담수호의 규모나 필요한 형태로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구성함으로써 담수호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수생식물에 의하여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여 자연생태계가 복원되도록 하는 기능성 인공식물섬이 완성된다.
[실시 예2]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2를 도2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2는 도1에서 인조솜으로 형성시킨 수생식물의 심기 위한 식생기반제를 상기 실시 예1에서 사용한 인조솜 대신에 기공을 다소 크게 발포시켜 형성한 6내지 15㎝ 정도의 두께를 가진 상용의 폴리우레탄(6)을 사용하여 설계 제작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1에서와 같이 소정의 직경으로 6내지 12㎝ 정도의 깊이를 가진 홈을 9내지 25개 정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식생기반제로 사용한다. 기공을 크게 형성한 폴리우레탄(6)을 식생기반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수생식물들이 산소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활발하게 성장한 식물은 하천 또는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보다 신속하게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또한 수온 및 기온이 떨어져 식물들이 성장하지 못하는 겨울, 초봄 및 늦가을의 경우에 기공이 크게 형성된 폴리우레탄사이에 미생물들이 많이 서식하도록 유도하고 기공을 통해서 공급되는 산소에 의하여 미생물들의 활동을 유도하므로 하천 또는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연생태계를 효율적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성 인공식물섬이 완성된다.
[실시 예3]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3을 도3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실시 예1과 실시 예2에서 장기간 비바람, 파도 및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인공 식물섬의 하부에 발포성 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되어 높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제작된 골격구조물이 변형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골격 구조물의 하단에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제작된 플라스틱관 및 판재를 부착 설치하여 부력재의 변형이나 뒤틀림을 예방하여 인공식물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밀폐된 플라스틱관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하여 보다 높은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3은 발포성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되어 높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골격 구조물의 크기에 맞추어 합성수지계열의 재질(예를 들면 : 플라스틱)로 만들어진 기억자(ㄱ)형(11), 일자형(13) 및 티자(T)형(12)관을 이용하여 상기 골격구조물의 형태에 맞추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관과 판재(14)를 이용하여 가로와 세로로 2내지 4개의 격자를 형성하며, 관과 관 또는 관과 판재를 연결하는 수단은 접착제 또는 용접(예 : 플라스틱 용접)을 수행하여 프레임을 제작하고, 그 위에 발포성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되어 높은 부력을 가진 골격구조물과 부착 설치된다. 상기 높은 부력을 가진 골격구조물의 내부에는 골격 구조물과 체결되어 상부에 위치하게 될 식생기반제인 인조솜 및 식물 또는 폴리우레탄 및 식물을 지지하기 위한 토양침식방지매트가 설치된다. 토양침식방지매트는 상용 제품으로 폭이 1m이며, 롤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토양침식방지 매트의 상부에는 상기 실시 예1에서와 같이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이 2내지 4㎝ 정도의 두께로 평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의 상부에는 수생식물을 식수할 수 있도록 9개 내지 25개정도의 홀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인조솜의 두께는 6내지 10㎝정도로 설치하거나, 상기 실시 예2에서와 같이 기공을 다소 크게 형성시킨 6내지 15㎝ 정도의 두께를 가진 상용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 예1에서와 같이 소정의 직경으로 6내지 12㎝ 정도의 깊이를 가진 홈을 9내지 25개 정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플라스틱 관 및 판재로 구성한 프레임 상에는 상기 플라스틱 관 및 판재로 구성한 프레임, 골격구조물, 토양침식방지매트 및 식생기반제인 인조솜 또는 토양침식방지매트 및 폴리우레탄을 비바람, 파도 및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그물망으로 감싸고, 타이, 끈 또는 기타 상용의 체결수단으로 그물망, 플라스틱 프레임 및 골격구조물에 견고하게 묶어 고정한다.
상기 그물망은 어느 한곳이 손상되거나 끊어져도 다른 곳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끈이 교차하는 지점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로프(17)를 사용하여 가로와 세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2내지 4개정도로 묶어서 견고한 하나의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제작하기 위한 개체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한 개체를 타이, 끈 또는 상용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하천 또는 담수호의 규모나 필요한 형태로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구성함으로써 담수호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수생식물에 의하여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여 자연생태계를 효율적으로 복원하도록 하는 기능성 인공식물섬이 완성된다.
[실시 예4]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4는 상기 실시 예1내지 실시 예3에서 골격구조물의 상단에 발포성 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된 골격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골격구조물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골격구조물의 상단 형태에 맞추어 얇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재(15)를 더 부가하여 그물망(5)으로 감싸고 골격구조물(4)을 타이 또는 끈(16)으로 묶은 후 로프(17)로 일정 간격으로 견고하게 묶어서 제작하고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하천 또는 담수호의 규모나 필요한 형태로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구성함으로써 담수호의 경 관을 아름답게 하고 수생식물에 의하여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여 자연생태계를 효율적으로 복원하도록 하는 기능성 인공식물섬이 완성된다.
본 발명은 인공 식물섬의 하부에 발포성올레핀계 EVA 소재로 제작된 상용의 자재를 이용하여 골격구조물을 소정크기로 형성하고, 골격구조물 내부에는 상기 골격 구조물과 체결되어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을 지지하기 위한 토양침식 방지매트가 설치되며, 상기 토양침식방지 매트의 상부에는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이 소정의 두께로 평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조솜의 상부에는 필요한 수생식물을 식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인조솜을 소정의 두께로 설치한 후 그물망으로 감싸고 타이, 끈 또는 상용의 체결수단으로 견고하게 묶어 고정하고, 외부에 로프로 단단히 묶어서 완성하여 기능성 인공식물섬을 구성함으로써 담수호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식물에 의하여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기 부력재의 하단에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제작된 관 및 판재를 더 부착 설치하여 부력재의 변형이나 뒤틀림을 예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밀폐된 관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하여 보다 많은 부력으로 보다 안정된 인공식물섬을 이루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식생기반제인 인조솜을 대신하여 폴리우레탄으로 기공의 크기를 다소 크게 발포하여 수생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다수 홀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여 이층구조의 인조 솜을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하므로 설치가 간단하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식생기반제인 인조솜보다 기공의 크기가 커서 수생식물이 산소와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서 수생식물의 성장이 용이하고 성장한 식물은 하천 및 담수호의 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이 분해 제거되도록 구성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중생태계를 복원하는데 있다.

Claims (8)

  1. 합성수지계열로 제조된 식생기반제와 높은 부력을 가진 EVA로 형성한 골격을 형성하여 만든 인공식물섬에 있어서,
    발포성 올레핀계 EVA 소재로 높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소정크기와 형태로 설계 제작된 골격구조물과,
    상기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고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의 하단에 부착 설치된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진 관 및 판재와,
    상기 골격구조물 상에 위치하여 식생기반제인 인공솜을 지지하는 토양침식방지매트와,
    상기 토양침식방지매트 상에 위치하여 식물이 자라도록 도와주는 합성섬유계열의 재질로 만들어진 식생기반제인 인조솜과,
    상기 식생기반제 상에 위치하여 수생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합성섬유계열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일정크기의 직경을 가진 구멍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인조솜과,
    상기 골격구조물, 토양침식방지매트 및 인조솜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외부를 에워싸는 그물망과,
    상기 골격구조물과 그물망을 견고하게 묶어주는 체결 수단과,
    상기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과 그물망을 견고하게 묶어 고정한 후에 외부충격이나 비바람에 장기간 견딜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로 묶어주는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제작된 굵은 로프와,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하여 견고하게 제작된 골조구조물을 하나이상을 서로 체결하여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제작된 기능성 인공식물섬.
  2. 합성수지계열로 제조된 식생기반제와 높은 부력을 가진 EVA로 형성한 골격을 형성하여 만든 인공식물섬에 있어서,
    발포성 올레핀계 EVA 소재로 높은 부력을 가진 재료로 소정크기로 설계 제작된 골격구조물과,
    상기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고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의 하단에 부착 설치된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진 관 및 판재와,
    상기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 상에 위치하여 식생기반제인 인공솜을 지지하는 토양침식방지매트와,
    상기 토양침식방지매트 상에 위치하여 수생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직경을 가진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심은 수생식물이 잘 자라도록 기공을 크게 형성시켜 제작된 식생기반제인 폴리우레탄과,
    상기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 토양침식방지매트 및 폴리우레탄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외부를 에워싸는 그물망과,
    상기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과 그물망을 견고하게 묶어주는 체결 수단과,
    상기 EVA로 형성한 골격구조물과 그물망을 견고하게 묶어 고정한 후에 외부충격이나 비바람에 장기간 견딜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로 묶어주는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제작된 굵은 로프와,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하여 견고하게 제작된 골조구조물을 하나이상을 서로 체결하여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제작된 기능성 인공식물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골격구조물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골격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골격구조물의 폭과 형태에 맞추어 얇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를 더 부가하여 설치한 기능성 인공식물섬.
  8. 삭제
KR1020050064683A 2005-07-18 2005-07-18 기능성 인공식물섬 KR10067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683A KR100679236B1 (ko) 2005-07-18 2005-07-18 기능성 인공식물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683A KR100679236B1 (ko) 2005-07-18 2005-07-18 기능성 인공식물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250A KR20070010250A (ko) 2007-01-24
KR100679236B1 true KR100679236B1 (ko) 2007-02-05

Family

ID=3801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683A KR100679236B1 (ko) 2005-07-18 2005-07-18 기능성 인공식물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44B1 (ko) * 2008-11-06 2009-06-23 이종남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447911B1 (ko) 2020-06-01 2022-09-27 주식회사 청솔엠테크 부유식 인공산란장 제조방법
CN112352635A (zh) * 2020-11-25 2021-02-12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沉水植物种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832A (ko) * 1998-11-06 2001-10-19 무코야마 다케히코 식물 보수용 담체 및 식물체 육성용 보수재
KR20040020769A (ko) * 2002-09-03 2004-03-09 정을준 개량형 인공식물섬
KR20040052819A (ko) * 2004-05-07 2004-06-23 주식회사 협신조경건설 조립형 인공수초섬 및 그 제작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832A (ko) * 1998-11-06 2001-10-19 무코야마 다케히코 식물 보수용 담체 및 식물체 육성용 보수재
KR20040020769A (ko) * 2002-09-03 2004-03-09 정을준 개량형 인공식물섬
KR20040052819A (ko) * 2004-05-07 2004-06-23 주식회사 협신조경건설 조립형 인공수초섬 및 그 제작공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90832
1020040020769
10200400528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250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931B1 (ko) 생태환경조성 및 수질 정화용 부도체와 그 제조방법
US20070209277A1 (en) Floating wetland raft
KR101344848B1 (ko)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KR101309593B1 (ko)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KR200419598Y1 (ko) 식생매트 고정구조
KR20090003912A (ko) 수상 부유 정원
KR100679236B1 (ko) 기능성 인공식물섬
KR101711351B1 (ko) 수생식물 식재용 부유식 인공섬
KR100358655B1 (ko) 식생섬
KR100478735B1 (ko) 비골격형 인공 식물섬
KR20030065039A (ko) 정수식물 식생부력체 및 이 식생부력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CN101274802B (zh) 竹排式生态浮床的制作方法
JP2002112626A (ja) 植物育成ブロック構築構造
KR101062680B1 (ko) 환경 친화형 침식방지 매트
KR20060101000A (ko) 그물망을 이용한 인공 수초섬
JPH07136689A (ja) 水の浄化方法
KR200283850Y1 (ko) 내파성 식물 수경재배 장치의 부유틀
KR100513704B1 (ko) 식재용 인공매트
CN101704578A (zh) 竹排式生态浮床的植物组合方式
KR101395113B1 (ko) 인공수초섬
KR100456510B1 (ko) 호소의 경사면 녹화장치
CN103924552A (zh) 一种基于河岸格宾网挡墙的植物生态系统及其构建方法
KR100647235B1 (ko) 인공부도
CN219240443U (zh) 一种带有鱼巢功能的生态脚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