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848B1 -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848B1
KR101344848B1 KR1020120056055A KR20120056055A KR101344848B1 KR 101344848 B1 KR101344848 B1 KR 101344848B1 KR 1020120056055 A KR1020120056055 A KR 1020120056055A KR 20120056055 A KR20120056055 A KR 20120056055A KR 101344848 B1 KR101344848 B1 KR 10134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water
vegetation mat
frame
wat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015A (ko
Inventor
양병원
Original Assignee
양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원 filed Critical 양병원
Priority to KR102012005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8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기능과 더불어 수생 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선형 부재를 평면 형태가 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31);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영역에 태양 전지판(11)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31)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전지판 프레임(12);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영역에 식물(21)을 생육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에 고정 설치되는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 식물(21)의 뿌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 위에 설치되는 식생 매트(22); 중량물을 받치고 있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부력체(32);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물 위를 떠다니지 못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에 연결되는 앵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 매트(22)에는 수질 정화 기능을 가진 수종이 1종 이상 생육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Floating Structure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기능과 더불어 수생 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가 갖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하여 자연력을 이용한 무공해 에너지의 연구와 개발이 촉구되고 있으며, 각지에서 그 실적이 보고되고 있다. 무공해 에너지의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태양광 발전에서 얻어지는 에너지이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태양 전지판을 넓은 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용적을 필요로 한다. 산이 많고 평활한 대지가 적은 한반도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기에도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반도라고 하는 지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근래에는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가 종종 제안되고 있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35795호(종래기술 1), 제10-2011-0142721호(종래기술 2)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03120호(종래기술 3)가 거론될 수 있다.
종래기술 1은 수상 구조물이 파도에 의해 심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 고정 수단을 제안한 것이고, 종래기술 2는 부력체를 경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킨 수상 구조물을 제안한 것이며, 종래기술 3은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수광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의 발전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수상 구조물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장치의 개발 방향은 태양 전지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등,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태양광을 이용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인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즉, 종래에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기능에만 주안점을 두고 개선되어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 및 운영함에 따라 수생 환경에 미칠 수 있는 폐해에 대하여는 진지한 고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수상 구조물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심각한 환경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고기의 서식지를 잠식하고 수생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함으로써 혐기성 미생물의 증가 등 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다.
때로는 수상 구조물의 거대한 규모라든가 외형이 비친환경적이어서 주변 거주자나 방문객들에게 혐오 시설로 취급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처럼 종래의 수상 구조물을 이용한 태양 발전 장치는 천연 에너지를 어렵지 않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반면, 환경 및 주민 정서에 역행하는 문제를 안고 있기도 하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 장치를 갖는 수상 구조물을 제공하되, 수질을 개선하는 등 수생 환경에 유익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미관상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주변 사람이나 방문객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선형 부재를 평면 형태가 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영역에 태양 전지판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전지판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영역에 식물을 생육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식생 매트 받침 수단; 식물의 뿌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식생 매트 받침 수단 위에 설치되는 식생 매트; 중량물을 받치고 있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부력체; 및 물 위를 떠다니지 못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앵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영역에 사람이 딛고 다일 수 있는 발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영역에 사람이 딛고 다일 수 있는 발판이 더 설치되되;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식생 매트 받침 수단은 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식생 매트에는 수질 정화 기능을 가진 수종으로서, 꽃창포, 개구리밥, 애기부들, 부레옥잠, 갈대 또는 미나리 중 1종 이상의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력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엘자(L) 형태의 선형 부재를 사각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력체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하며 측방을 향해 관통공을 갖는 제1브래킷이 돌출 형성되는 상부 고정틀; 단면이 엘자(L) 형태의 선형 부재를 사각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력체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하며 측방을 향해 관통공을 갖는 제2 브래킷이 돌출 형성되는 하부 고정틀; 상기 제1, 2 브래킷의 각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에 너트가 채워짐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틀과 하부 고정틀이 상기 부력체를 사이에 두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부력체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과 함께 수질 정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수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에너지 대책과 더불어 수질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제공된다. 또한, 태양 전지판만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인공적인 분위기만 갖고 있던 태양광 발전 설비가 친환경적 요소를 포함하게 됨으로써 혐오 시설로부터 탈피될 수 있고,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친근한 시설물로 인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6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상 구조물은 강, 호소 또는 바다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강이나 호소의 수질 정화를 염두에 두고 안출된 만큼 강이나 호소에 주로 설치된다.
태양광 발전부(10)와 식물 재배부(20)가 지지체(30) 상에 설치된다. 지지체(30)는 선형 부재를 평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31), 부력체(32) 및 발판(33)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프레임(31)이 제공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영역에 태양 전지판(11)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31) 상부에는 전지판 프레임(12)이 고정 설치된다. 전지판 프레임(12)은 태양 전지판(11)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1)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영역에는 식물 재배부(20)가 마련된다. 식물 재배부(20)는 수상 구조물의 일부가 식물(21)에 의한 수상 정원으로 활용되는 동시에 수질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재배부(20)에는 수생 식물, 특히 수질 정화 기능을 가진 수종이 1종 이상 선택되어 생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꽃창포, 개구리밥, 애기부들, 부레옥잠, 갈대, 미나리 등 수질 정화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수생 식물이 1종 이상 생육될 수 있다. 이들 수질 정화 식물은 부영양화를 방지하고 수생 곤충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며, 질소와 인 등을 흡수하기도 하며,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DO)을 높이며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기도 한다.
식물 생육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31)의 제2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이 설치된다.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은 식물의 뿌리와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다공성 부재, 특히 망체가 적당하다. 식생 매트(22)는 식물(21)의 뿌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 위에 설치된다.
태양 전지판(11)과 식생 매트(22)에 의한 하중을 받고 있는 베이스 프레임(31)이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체(32)가 베이스 프레임(3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된다. 부력체(32)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프레임(31) 저부에 군데군데 설치될 수 있다.
부력체(32)는 비중이 낮은 저밀도 소재로 이루어지며, 통상 발포 폴리스티렌(PS)인 이피에스(EPS, Expandable Polystyrene)일 수 있다. 이피에스로 된 부력체의 표면에는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물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우레탄 등으로 코팅이 가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에 넣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31)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영역에 사람이 딛고 다일 수 있는 발판(3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판(3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프레임(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발판(33)은 작업자 또는 관람객의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판(33)의 가장자리에는 안전을 위한 난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발판(33)은 도시된 것처럼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 즉 태양광 발전부(10)와 식물 재배부(20)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방문객 등은 수상 구조물 위를 거닐면서 수생 식물을 감상할 수도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상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서는 발판(33)의 설치 폭을 늘이고 그 위에 벤치 또는 파라솔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식물 재배부(20)의 상부를 지나갈 수 있도록 구름다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역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프레임(31)이 물 위를 떠다니지 못하도록 앵커 수단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앵커 수단은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중 바닥이나 육지 상의 고정체에 고정되는 밧줄, 체인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의 설치 구조를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 내지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베이스 프레임(31), 발판(33) 및 부력체(32)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베이스 프레임(31)은 형강과 같이 단면이 엘자(L) 형태로 된 선형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선형 부재를 직사각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외곽틀(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력체(32)는 바람직하게 육면체 형태로 되며, 도 4를 참조하면, 외곽틀(311)의 모서리 부위에 상부 고정틀(312)이 베이스 프레임(31)과 동일 평면 상에 설치되고 있다. 상부 고정틀(312) 역시 외곽틀(311)과 같이 엘자(L)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상부 고정틀(312)은 별도로 만들어진 다음 외곽틀(311)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틀(311)의 모서리 부분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고정틀(312)이라 함은 외곽틀(311)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상부 고정틀(312)은 부력체(32)의 상부가 안착되어 감싸일 수 있는 안착부를 제공한다. 선형 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일 수도 있다. 이하 언급되는 선형 부재도 마찬가지이다.
부력체(32)의 하부는 하부 고정틀(3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고정틀(322)은 부력체(32)의 하부가 밀착하여 끼워질 수 있는 안착부를 마련한다. 하부 고정틀(322) 역시 단면이 엘자(L) 형태로 되어 있는 선형 부재를 사각 형태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외곽틀(311), 상부 고정틀(312) 및 하부 고정틀(322)에는 측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2 브래킷(313, 323)이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각 제1, 2 브래킷(313, 323)에는 수직 방향의 관통공이 마련된다. 제1, 2 브래킷(313, 323)의 관통공에는 양단에 각각 너트를 끼울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는 연결봉(321)이 끼워질 수 있다. 때로 연결봉(321)은 기다란 볼트가 될 수도 있으며 와이어 또는 로프가 될 수도 있다.
부력체(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32)의 상하부를 각각 상부 고정틀(312)과 하부 고정틀(322)에 끼운 상태에서, 연결봉(321)을 제1, 2 브래킷(313, 323)의 각 관통공에 끼우고 연결봉(321)의 상하부에 각각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31)의 저부에 고정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여러 개의 부력체(32)가 모두 이런 방식으로 베이스 프레임(31)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사람들이 딛고 다닐 수 있는 발판(33)이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발판(33)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요철면으로 되어 있는 방부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판(33)은 외부 데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조로서 장선(332)과 깔판(3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33)은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구조도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발판(33)과 베이스 프레임(31)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나사 못, 볼트 또는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베이스 프레임(31) 위에 식생 매트(22)를 설치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베이스 프레임(31)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엘자(L)형 단면을 갖는 선형 부재를 이용한 외곽틀(311)을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한다. 외곽틀(311)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대(미도시됨)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프레임(31) 위에는 역시 단면이 엘자(L) 형태로 되는 매트 안착틀(221)이 고정 설치된다. 식생 매트(22)는 보도 블록처럼 단위 크기를 갖는 것을 가로와 세로로 연속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식생 매트(22)는 현재 화훼, 조경, 토목 등의 분야에서 도로의 법면, 하천이나 호안의 경사면, 각종 공사에 의해 식물이 없는 토사 등에 신속하게 식물이 뿌리를 내려 지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수단이다. 현재 용도에 따라 다양한 식생 매트 구성 및 그의 소재가 제안되고 있으므로 당업자는 적의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식생 매트(22)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식생 매트(22)는 통상 다공성 소재로서 가요성이므로 그 밑을 받치기 위한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공성 또는 망체 형태로 되는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이 베이스 프레임(31)과 매트 안착틀(221)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은 그물 형태가 바람직하다. 식생 매트(22)는 알려져 있는 기타 다양한 식생 기반체로서 대체될 수 있다. 식물(21)은 식생 매트(22)를 기반으로 성장 및 번식되게 된다. 식생 매트(22)를 떠받치기 위한 받침용 바(24)가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의 저부에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식물(21)의 뿌리(21a)에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생 매트(22)는 전부 또는 일부가 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베이스 프레임(31)에 대한 매트 안착틀(221)과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의 설치 높이를 결정함으로써 식생 매트(22)는 물에 잠기고 발판(33, 도 3 또는 도 4 참조)은 물 위로 올라오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수상 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수상 구조물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여러 개를 평면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설치 환경 및 수상 구조물 하나의 규격에 의해 몇 개를 어떤 형태로 연결할 것인지가 결정될 것이다. 도 8은 하나의 연결 방식을 예시한 것일 뿐이다.
언급한 것처럼, 베이스 프레임(31)을 구성하는 외곽틀(311,311')과 부력체(32,32')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 고정틀(322, 322')에는 각각 제1, 2 브래킷(313, 313', 323, 323')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있다. 이 제1, 2 브래킷(313, 313', 323, 323')을 이용하여 2개의 수상 구조물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2개의 수상 구조물은 하나의 연결봉(321)을 공유하고 있다. 연결봉(321)은 인접되는 2개의 수상 구조물의 각 제1, 2 브래킷(313, 313', 323, 323')을 동시에 관통하게끔 설치된다. 연결봉(321)의 상하단에는 각각 너트가 결합된다. 제1, 2 브래킷(313, 313', 323, 323')의 개수, 연결봉(321)의 직경 등을 조정함으로써 수상 구조물의 연결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이러한 기본적 사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구성 요소의 추가가 가능할 것이다. 즉,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위에 언급된 모든 사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사항이 된다.
10 : 태양광 발전부 11 : 태양 전지판
20 : 식물 재배부 21 : 식물
22 : 식생 매트 23 : 식생 매트 받침 수단
30 : 지지체 31 : 베이스 프레임
32 : 부력체 33 : 발판
311 : 외곽틀 312 : 상부 고정틀
313, 323 : 제1, 2 브래킷 321 : 연결봉
322 : 하부 고정틀

Claims (5)

  1. 선형 부재를 평면 형태가 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31);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영역에 태양 전지판(11)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31)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전지판 프레임(12);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영역에 식물(21)을 생육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에 고정 설치되는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
    식물(21)의 뿌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 위에 설치되는 식생 매트(22);
    중량물을 받치고 있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부력체(32);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물 위를 떠다니지 못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에 연결되는 앵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3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엘자(L) 형태의 선형 부재를 사각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력체(32)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하며 측방을 향해 관통공을 갖는 제1브래킷(313)이 돌출 형성되는 상부 고정틀(312);
    단면이 엘자(L) 형태의 선형 부재를 사각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력체(32)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하며 측방을 향해 관통공을 갖는 제2 브래킷(323)이 돌출 형성되는 하부 고정틀(322);
    상기 제1, 2 브래킷(313, 323)의 각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에 너트가 채워짐으로써 상기 상부 고정틀(312)과 하부 고정틀(322)이 상기 부력체(32)를 사이에 두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321)을 포함하는 부력체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이 차지하는 면적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영역에 사람이 딛고 다일 수 있는 발판(33)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매트 받침 수단(23)은 망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매트(22)에는 꽃창포, 개구리밥, 애기부들, 부레옥잠, 갈대 또는 미나리와 같은 수질 정화 기능을 가진 수종이 1종 이상 생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5. 삭제
KR1020120056055A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KR101344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55A KR101344848B1 (ko)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55A KR101344848B1 (ko)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15A KR20130132015A (ko) 2013-12-04
KR101344848B1 true KR101344848B1 (ko) 2013-12-24

Family

ID=4998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055A KR101344848B1 (ko) 2012-05-25 2012-05-25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8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547A (ko) * 2014-05-20 2015-11-30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수상용 태양광 발전설비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JP2016078781A (ja) * 2014-10-22 2016-05-16 株式会社近畿開発 太陽光発電装置
KR102042512B1 (ko) 2018-07-17 2019-11-27 전인권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 겸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3535B (zh) * 2014-08-28 2016-02-03 重庆三峡学院 一种防蒸发发电浮板
CN105746239A (zh) * 2016-04-15 2016-07-13 绍兴文理学院 一种蔬菜种植船
CN106258873A (zh) * 2016-07-28 2017-01-04 桐城市牯牛背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利用生态浮床种植水芹的方法
CN108781852A (zh) * 2018-05-29 2018-11-13 深圳文科园林股份有限公司 多边形水生植物固定器及其制作方法
CN108811878A (zh) * 2018-05-29 2018-11-16 深圳文科园林股份有限公司 心型创意水生植物固定器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50B1 (ko) * 2006-03-21 2007-10-11 김영현 자가 발전형 수질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50B1 (ko) * 2006-03-21 2007-10-11 김영현 자가 발전형 수질 정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547A (ko) * 2014-05-20 2015-11-30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수상용 태양광 발전설비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101631111B1 (ko) * 2014-05-20 2016-06-16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수상용 태양광 발전설비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JP2016078781A (ja) * 2014-10-22 2016-05-16 株式会社近畿開発 太陽光発電装置
KR102042512B1 (ko) 2018-07-17 2019-11-27 전인권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 겸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15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848B1 (ko) 태양광 발전 및 수질 정화를 위한 수상 구조물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KR101679538B1 (ko) 기둥고정형 플렉서블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682856B1 (ko) 플렉서블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218118B1 (ko) 수생식물 식재용 부유체를 이용한 부유식 인공섬
KR20090003912A (ko) 수상 부유 정원
JP2021514888A (ja) 浮体式太陽光発電設備用架台装置
KR101309593B1 (ko)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KR20170003882A (ko) 수생식물 식재용 부유식 인공섬
CN106495329B (zh) 一种浮岛单体及应用该浮岛单体的生态浮岛
WO2014153319A1 (en) Solar array system for covering a body of water
KR102288166B1 (ko) 새꼬막 채묘틀장치
CN210133937U (zh) 一种城市河道生态修复用便携式浮床
KR20000065897A (ko) 식생섬
KR20110124696A (ko) 수상 산책로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JP4653987B2 (ja) 海中林構造体
WO2011058595A2 (en) Floating platform for panels
CN213202518U (zh) 湿地生态修复用人工浮床
CN100420641C (zh) 一种潜浮组合模块人工浮床装置
KR102262159B1 (ko) 그물 구조물
KR101412023B1 (ko) 양식장 계류 장치
CN201826548U (zh) 防洪船屋
CN202181236U (zh) 一种适用于峡谷水库的生物浮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