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188B1 - 플라스틱 패스너 분배 공구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패스너 분배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188B1
KR100679188B1 KR1020047008046A KR20047008046A KR100679188B1 KR 100679188 B1 KR100679188 B1 KR 100679188B1 KR 1020047008046 A KR1020047008046 A KR 1020047008046A KR 20047008046 A KR20047008046 A KR 20047008046A KR 100679188 B1 KR100679188 B1 KR 100679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ool
housing
slide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252A (ko
Inventor
쿠퍼윌리엄제이.
레이몬드제프리에이.
Original Assignee
애브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브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브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7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5/00Labelling fabrics or comparable materials or articles with deformable surface, e.g. paper, fabric rolls, stockings, shoes
    • B65C5/06Labelling fabrics or comparable materials or articles with deformable surface, e.g. paper, fabric rolls, stockings, shoes using sta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7/00Affixing tags
    • B65C7/003Affixing tags using paddle-shaped plastic pins
    • B65C7/005Port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Slide Fasten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형상의 하우징을 갖는 런너바와, 배럴부와, 런너바의 사용된 부분을 수납하는 안내 채널을 구비한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리거 조립체는 배럴부에 선회식으로 장착된다. 장치는 배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니들 활주부와, 니들 활주부에 결합된 니들과, 니들 활주부를 트리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니들 활주부 링크를 더 포함한다. 배출기 활주부는 니들 활주부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 니들을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니들 활주부와 배출기 활주부는 트리거 조립체에 독립적으로 결합된다. 앤빌은 배럴부 전방 밖으로 연장하고 제거 가능한 브러쉬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며, 니들은 브러쉬 안쪽으로 선택적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패스너 클립, 배럴부, 트리거 조립체, 배출리 활주부, 브러쉬

Description

플라스틱 패스너 분배 공구 {Tool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패스너를 사용하여 물체를 고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의류, 특히 남성의 드레스 셔츠는 물품의 주름을 최소화하고 다른 양호한 방법으로 물품을 전시하기 위해 접힌 상태로 포장되고 판매된다. 통상적으로, 물품은 하나 이상의 직선 금속 핀에 의해 접힌 상태로 유지되는데, 상기 직선 금속 핀 각각은 통상적으로 물품을 관통하도록 디자인된 날카로운 팁으로 일 단부에서 종결하고 물품을 관통하지 않도록 디자인된 둥근 헤드로 타 단부에서 종결하는 기다란 샤프트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 물품은 접혀지고, 복수개의 핀은 물품을 복수개의 다른 지점에서 고정하여 접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종종, 남성의 드레스 셔츠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상기 핀은 셔츠를 일 부분의 판 또는 유사한 지지 재료에 고정하도록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의류를 접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직선 금속 핀을 사용하는 행위는 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셔츠 피닝(shirt-pining)"으로 불린다.
비록 직선 금속 핀이 의류를 접힌 상태로 유지하는 데 널리 사용되지만, 그 와 관련하여 일정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중 하나는 상기 핀을 의류에 분배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가 없어서 결과적으로, 핀이 수공으로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핀이 의류에 반복적인 사용되는 것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부담스러울 수 있다. 직선 금속 핀의 사용과 관련한 다른 단점은 핀이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으로 핀을 삽입해야 하는 사람과 물품으로부터 핀을 제거해야 하는 사람(즉, 소비자) 모두에게 해가 될 수 있는 날카로운 단부를 갖는다는 것이다. 또한, 일단 핀이 물품으로부터 제거되면, 다른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도록 적절히 폐기되어야 한다. 직선 금속 핀의 사용과 관련한 또 다른 단점은 삽입되었을 때 물품을 튿고 찢거나 눈에 띄는 삽입 구멍을 만들어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직선 금속 핀의 사용과 관련한 또 다른 단점은 이러한 핀들은 일단 의류에 삽입되면 그들의 제거를 위한 방식으로 다뤄지거나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일 단부에서 제1 확장부를 가지고 타 단부에서 제2 확장부를 갖는 기다란 가요성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형식의 플라스틱 패스너가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 물품에 상품 태그를 부착하는 데와, 의복에 단추를 부착 또는 재부착하는 데와, 구두 마감 공정 중에 구두 상부를 묶는 데와, 다양한 포장예에서 널리 사용된다. 플라스틱 패스너의 통상적 형식(예컨대, 여기서 참조되어 합체된 미국 특허 제5,321,872호의 도1 참조)에서, 제1 확장부는 제1 횡단바를 가지고, 제2 확장부는 패들 형상과 제2 횡단바 형상을 가지고, 제1 횡단바와 패들(또는 제2 횡단바)은 서로 평행하게 평면에서 연장한다. 플라스틱 패스너의 또 다른 통상적 형식(예컨대, 여기서 참조되어 합체된 미국 특허 제3,494,004호 참조)에서, 제1 확장부는 횡단 바의 형상을 가지고, 제2 확장부는 마디 또는 핀 헤드의 형상을 갖는다. 플라스틱 패스너의 또 다른 통상적 형식(예컨대, 여기서 참조되어 합체된 미국 특허 제4,240,183호 참조)에서, 제1 확장부는 횡단바의 형상 또는 플러그 형상을 가지고, 제2 확장부는 소켓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소켓은 횡단바 또는 플러그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다양한 형식의 플라스틱 패스너는 통상적으로 일체의 패스너 클립 부분으로 주조될 수 있다. 이러한 패스너 클립의 제1 예는 여기서 참조되어 합체된 미국 특허 제3,733,657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 제3,733,657호의 클립은 복수개의 패스너를 포함하는데, 상기 패스너 각각은 일 단부에서 제1 횡단바(또는 "크로스-바")와 그 대향 단부에서 패들 또는 제2 횡단바(또는 "크로스-바")를 구비한 가요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패스너의 횡단바 및 패들(또는 제2 횡단바)은 서로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한다. 패스너는 각각의 횡단바가 서로 평행하고 나란히 지향 및 이격되고 각각의 패들(또는 제2 횡단바)이 서로 평행하고 나란히 지향 및 이격되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배열된다. 전술한 특허 제3,733,657호의 클립은 또한 런너바를 포함하는데, 상기 런너바는 각각의 횡단바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고, 분리될 수 있는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횡단바에 연결된다. 전술한 특허 제3,733,657호의 클립은 각각의 인접한 패들(또는 제2 횡단바)을 상호 연결하는 몇 개의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패스너 클립의 몇 가지 상업적 실시예는 특허권자인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Avery Dennison Corporation)에 의해 등록 상표명 DENNISON SWIFTACH 패스너 클립으로 판매되어 왔다. 가요성 필라멘트의 일 단부에 횡단바를 가지고 가요성 필라멘트의 대향 단부에 패들을 가지는 형식의 패스너를 포함하는 등록 상표명 DENNISON SWIFTACH 패스너 클립은 일반적으로 폴리플로필렌 또는 나이론으로 제조되고 통상적으로 상품 태그 등을 의류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패스너의 필라멘트는 통상적으로 길이가 적어도 12.5 ㎜ 이다. 가요성 필라멘트의 일 단부에 제1 횡단바를 가지고 가요성 필라멘트의 대향 단부에 제2 횡단바를 가지는 형식의 패스너를 포함하는 등록 상표명 DENNISON SWIFTACH 패스너 클립은 나이론으로 제조되고 상품 태그 등을 다양한 의류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패스너에 나일론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높은 인장 강도가 바람직한 이러한 패스너는 구두 마감예 및 포장예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패스너의 필라멘트는 통상적으로 길이가 6.35 ㎜ 이다.
제2 형태의 패스너 클립(또는, "패스너 스톡")이 1977년 8월 2일에 발명자 본(Bone)에게 허여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합체된 미국 특허 제4,039,078호에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에서, 패스너 스톡은 각각의 측부 부재들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플라스틱 횡단 링크를 갖는 2개의 비분리형의 길고 연속적인 플라스틱 측부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등거리로 이격 배치된다. 패스너 스톡은, 각각의 패스너들이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H형상을 갖는 복수의 패스너를 제공하기 위해 측부 부재들을 예를 들어, 절삭, 절단, 파열 또는 전단에 의해 분리 또는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패스너 스톡의 상업적 실시예는 현재의 양 수인인 데니슨 코포레이션에 의해 상표명 DENNISON PLASTIC STAPLE로 팔려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 미국 특허 제6,267,285호는 상술한 제2 형태의 패스너 클립(예를 들어, 상표명 DENNISON PLASTIC STAPLE 패스너의 클립)으로부터 개개의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파지 공구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285 특허의 공구는 주로 간단한 핀 고정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개구가 제공된 배럴부(barrel portion)와 핸들부를 포함하는 건(gun)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한다. 니들 캐리어는 케이스의 배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중공의 슬롯 니들은 니들 캐리어에 연결되고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삽입 가능하다. 배출기 로드 캐리어는 케이스의 배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배출기 로드는 배출기 로드 캐리어에 연결되고 중공의 슬롯 니들을 통해 전후방으로 삽입 가능하다. 링크 부재는 니들 캐리어에 연결되고 니들 캐리어를 배출기 로드 캐리어로 그리고 배출기 로드 캐리어로부터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 배출기 로드 캐리어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니들 캐리어가 배출기 로드 캐리어의 이동 동안에만 배럴부에서 전후방으로 활주하게 된다. 트리거 기구는 케이스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동 작동을 위해 핸들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트리거를 포함한다. 트리거 기구는 케이스 내에 배치된 레버를 더 포함한다. 레버는 트리거에 고정되는 제1 핀 상의 제1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는 배출기 로드 캐리어에 고정되는 제2 핀 상의 제2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업적으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상기 '285 특허의 공구는 몇가지 주요한 단점을 갖는다.
첫 번째 단점은, 공구가 제1 형태의 패스너 클립(즉, 통상의 런너바에 부착되는 복수의 패스너를 포함하는 클립)으로부터 패스너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오히려, 공구는 통상의 런너바를 포함하지 않는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두 번째 단점은, 개개의 패스너를 분배하는 공정 중에 배출기 로드 캐리어로 그리고 배출기 로드 캐리어로부터 니들 캐리어를 연결 및 분리하는 공정이 공구의 트리거 스트로크를 거칠게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단점은, 각각의 트리거 스크로크 동안에 배출기 로드 캐리어로 그리고 배출기 로드 캐리어로부터 니들 캐리어를 연결 및 분리하는 공정이 본질적으로 기계적으로 복잡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구가 신뢰할 수 없도록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각각의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통의 런너바를 포함하는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각각의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된 부드러운 트리거 스트로크를 갖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신뢰성 있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제한된 수의 부품을 갖는 전술된 바와 같은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공구가 제공되며, 각각의 플라스틱 패스너는 횡단바를 갖고, 상기 공구는 핸들부 및 배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트리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을 위해 그 핸들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 조립체와, 니들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니들 활주부, 상기 니들 활주부에 결합된 중공의 슬롯 니들 및 상기 트리거 조립체에 상기 니들 슬라이드를 결합시키는 니들 활주부 링크를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와, 배출 기구는 상기 트리거 조립체에 결합되고, 배출 기구는 상기 중공 니들의 전후방으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공구가 제공되며, 각 플라스틱 패스너는 스터브를 통해 공통 런너바에 결합되는 횡단바를 가지며, 상기 공구는 핸들부 및 배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 클립의 공통 런너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런너바 안내 채널을 한정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을 위한 그의 핸들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 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의 슬롯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중공의 니들을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공구가 제공되며, 각 플라스틱 패스너는 횡단바를 가지며, 상기 공구는 핸들부와, 개구가 제공되는 배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을 위한 그의 핸들부를 통해 연장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 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개구를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중공의 슬롯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중공의 니들을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앤빌과, 상기 앤빌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의 개구 전방에 연장되는 앤빌 조립체를 포함한다.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에서는, 예시로써 도시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다. 본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고,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도 있고 그 구조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최적으로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번호는 유사한 부품을 표시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구성되고,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개개의 패스너를 분배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공구의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2는 도시되지 않은 브러쉬를 갖는, 도1에 도시된 공구의 부분 전방 좌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3은 도시되지 않은 브러쉬를 갖는, 도1에 도시된 공구의 확대 부분 전방 좌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4는 케이스의 좌측 반부가 도시되지 않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좌측면도이다.
도5는 케이스의 좌측 반부와 니들 활주 커버가 도시되지 않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좌측면도이다.
도6은 케이스의 우측 반부와 니들 활주 커버가 도시되지 않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우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도1에 도시된 공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패스너 클립의 좌측면도이다.
도8은 라인 8-8을 따라 취해진 도7에 도시된 패스너 클립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9는 도7에 도시된 패스너 클립의 확대 부분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10은 도7에 도시된 패스너 클립의 확대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11a 내지 도11c는 각각 도7에 도시된 패스너 클립의 개개의 패스너의 확대된 전방, 상부 및 좌측면도이다.
도12는 도7에 도시된 공구의 확대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하우징의 확대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14a 및 도14b는 각각 도13에 도시된 하우징의 우측 반부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15a 및 도15b는 각각 도13에 도시된 하우징의 좌측 반부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16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앤빌 조립체의 확대 분해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17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트리거 조립체의 확대 분해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니들 조립체의 확대 분해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된 니들의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20a 및 도20b는 각각 도18에 도시된 니들 활주부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21a 및 도21b는 각각 도18에 도시된 니들 활주부 커버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22는 도18에 도시된 니들 로크(lock)의 확대 후방 상부 우측면도이다.
도23a 내지 도23c는 각각 도18에 도시된 니들 활주부 링크의 확대 하부 후방 우측 사시도, 우측면도 및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24는 도1에 도시된 공구의 니들 조립체의 우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25는 도1에 도시된 공구의 배출 기구의 확대 분해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26은 도1에 도시된 공구의 트리거 조립체 및 배출 기구의 우측면도이다.
도27은 도1에 도시된 인덱스 기구의 확대 분해 좌측 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28a 및 도28b는 인덱스 공정 동안의 다른 단계에서 도1에 도시된 공구의 확대 우측면도이고, 공구는 케이스의 좌측 반부 및 그로부터 제거된 니들 활주부 커버를 구비하여 도시된다.
도1을 참조하면,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개별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공구가 도시되며, 상기 공구는 본 발명의 교시에 다라 구성되고 도면 부호(11)에 의해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구(11)는 대체로 셔츠-피닝 용도(즉, 절첩된 상태로 셔츠를 유지시키기 위해 셔츠를 통해 개별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는 것)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공구(11)는 공통 런너바를 포함하는 유형의 패스너로부터 개별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는데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공구(1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일 유형의 패스너 클립(13)이 도시된다. 양호하게는 주조에 의해 제조된 단일 구조물인 패스너 클립(13)은 평행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열 된 복수의 개별 패스너(15)를 포함한다.
도11a 내지 도11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패스너(15)는 가요성 필라멘트(17)와, 필라멘트(17)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횡단바(19) 및 필라멘트(17)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횡단바(21)와, 서로에 대해 평행한 횡단바(19, 21)를 포함한다.
각각의 패스너(15)는 도8 내지 도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편심 스터브(25, short off-center stub)를 통해 공통 런너바(23)에 체결된다. 필라멘트(17)의 종축에 약간 편심으로 배열된 스터브(25)는 제1 횡단바(19)를 런너바(23)에 체결시킨다. 스터브(25)는 날카로운 모서리(25-2)의 일단부에서 종단하고 편평한 내부면(25-1)을 갖는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 스터브(25)의 날카로운 모서리(25-2)는 공구(11) 내의 피드 멈춤쇠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연속적인 패스너(15)는 제1 및 제2 가분 커넥터 포스트(27-1, 27-2)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특히, 커넥터 포스트(27-1)는 대체로 중심지점에서 인접한 횡단바(19)의 상호 대향측과 체결되고 횡단바(19)의 종축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커넥터 포스트(27-2)는 대체로 중심지점에서 인접한 횡단바(21)의 상호 대향측과 체결되고 횡단바(21)의 종축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패스너 클립(13)은 나일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며, 약 0.81mm(0.032inch)의 피치(즉, 연속적인 필라멘트(17)들 사이의 거리)를 갖는 백이십개의 패스너(15)를 포함하도록 제조된다.
런너바(23)는 제1 단부(23-1)와 제2 단부(23-2)를 가지며, 제1 단부(23-1)는 패스너 분배 공구(11)로 삽입되는 런너바(23)의 단부로 사용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23-1)는 런너바(23)의 단부가 공구(11)로 삽입되는(그 결과, 각 스터브(25)의 표면(25-1)이 공구(11)에 의해 인덱싱되도록 적절한 방향으로 지향하는) 작동자를 용이하게 지시하도록 제2 단부(23-2)보다 패스너(15)로부터 더욱 연장된다.
공구(11)는 패스너 클립(13)을 수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공구(11)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유형의 패스너 클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공구(11)는 커넥터 포스트(27-2)가 제거되어, 연속적인 횡단바(21)들이 연결 해제되는 패스너 클립(13)의 변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간략하게 상술된 바와 같이, 공구(11)는 클립(13)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소정 물체로 개별 플라스틱 패스너(15)를 분배하는데 사용되기에 특히 적절하다. 특히, 공구(11)는 절첩된 상태로 드레스 셔츠를 유지하기 위해 드레스 셔츠 등으로 개별 플라스틱 패스너(15)를 분배하는데 사용되기에 적절하다. 공구(11)는 중공의 총형 하우징(29)과, 분배 프로세스 전체에 걸쳐 소정의 아이템을 지지하기 위한 앤빌 조립체(31)와, 분배 프로세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트리거 조립체(33)와, 소정의 아이템을 선택적으로 관통하기 위한 니들 조립체(35)와, 니들 조립체(35)를 통해 소정의 아이템으로 소정의 개별 플라스틱 패스너(15)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구(37)와, 배출 프로세스 전에 하우징(29) 내에 적절한 배열로 클립(13)의 리드 패스너(15)를 공급하기 위한 인덱싱 기구(39)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공구(11)의 부분들은 본원에서 상세하게 도시 또는 설명되지 않는다.
도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9)은 (도14a 및 도14b에서 개별적으로 도시된) 우측 반부(41)와, (도15a 및 도b에서 개별적으로 도시된) 좌측 반부(43)를 포함한다. 주조된 폴리카보나이트와 같은 임의의 사용하기 좋은 내구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반부(41, 43)는 도1 내지 도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나사(45)에 의해 함께 결합하고, 손잡이부(47)와 배럴부(49)를 결합식으로 형성한다. 또한, 우측 반부(41)와 좌측 반부(43)는 배럴부(49)의 전방에 위치된 개구(51)를 결합식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개구(51)의 목적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14b 및 도15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개구(53-1)는 우측 반부(41)의 배럴부에 제공되고 상응하는 원형 개구(53-2)는 좌측 반부(43)의 배럴부에 제공된다. 개구(53-1, 53-2)는 상보형 범퍼 버튼(55-1, 55-2)을 각각 적절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버튼(55-1, 55-2)은 공구가 배치될 때 작동 표면을 가로질러 활주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 파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고무로 구성되며, 이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도13 및 도14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9)의 우측 반부(41)는 세 측면 깔때기(57)를 포함하도록 성형된다. 깔때기(57)는 일반적으로 측단면이 U자형이며 배럴부의 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깔때기(57)는 내향으로 경사 진 런너바 안내 채널(59)을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깔대기(57)는 분배 프로세스 중 개별 플라스틱 패스너(15)가 절단된 후 런너바(23)의 사용된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런너바를 작동자의 손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체결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으로부터 멀리 유도하며, 이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U자형 구성으로 인해, 깔때기(57)는 작동자가 개방측을 통해 안내 채널(59)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작동자가 필요한 경우 내부에 포함되는 사용된 런너바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16을 참조하면, 앤빌 조립체(31)는 앤빌(61) 및 브러쉬(63)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주조 아연과 같은 강성 내구성 재료로 성형된 앤빌(61)은 후방부(65) 및 전방부(67)를 포함한다. 후방부(65)는 하우징(29)의 배럴부(49)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스크류(45)에 의해 반부(41, 43)에 고정되며, 이 한 쌍의 스크류(45)는 추가적으로 하우징(29)의 우측 및 좌측 반부(41, 43)를 서로 고정시키도록 사용된다. 전방부(67)는 후크형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전방부(67)는 하우징(29)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개구(51)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이격된 공구(11) 전방에서 하향 고리형으로 된다.
전방부(67)는 하우징(29)의 개구(51)와 정렬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선반(71)을 한정하도록 그 길이의 일부를 따라 오목형이다. 노치, 또는 홈(73)이 편평한 선반(71)의 외주를 따라 전방부(67) 내로 형성된다. 또한, 전방부(67)는 선반(71) 바로 위에 배치된 개구(75)를 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반(71), 노치(73) 및 개구(75)는 함께 브러쉬(63)를 수용한다.
브러쉬(63)는 앤빌(61)의 전방부(67) 상으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된 일체형 부분이다. 양호하게는 성형 나일론 등으로 제작된 브러쉬(63)는 선반(71)상에 끼워 맞춤식으로 수용되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형상이 이루어진 부분적 중공의 블록(77)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2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돌출부(79)는 블록(77)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노치(73)내에 끼워 맞춤되어 수용되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형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 아암(81)이 블록(77)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핑거(83)는 지지 아암(81)으로부터 직각 연장되고, 핑거(83)는 래치형 치형 형상인 결합 표면(85)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브러쉬(63)는 이하의 방식으로 앤빌(61)의 전방부(67)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쉬(63)는 브러쉬(63) 상의 돌출부(79)가 앤빌(61)에 형성된 노치(73) 내로 돌출되도록 배향된다. 노치(73) 내로 삽입된 돌출부(79)에 의해, 브러쉬(63)의 블록(77)은 선반(71)쪽으로 선회된다. 블록(77)이 선반(71)쪽으로 선회될 때, 핑거(83)는 개구(75)내로 돌출될 때까지 앤빌(61)에 의해 약간 내향으로 관절 연결되도록 된다. 브러쉬(63)의 계속된 회전에 의해 최종적으로 핑거(83)는 개구(75)를 통해 완전 돌출되도록 된다. 일단 핑거(83)가 개구(75)를 통해 완전 돌출되면, 핑거(83)는 그 원래 구조로 탄성 복귀되고, 이는 가청의 스냅(snap)에 의해 증명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핑거(83)에 의해, 핑거(83) 상의 결합 표면(85)은 앤빌(61)에 대해 접촉되도록 당겨져서, 브러쉬(63) 를 앤빌(61) 상에서 제 위치에 고정한다. 앤빌(61)로부터 브러쉬(63)를 제거하기 위해, 핑거(83)는 결합 표면(85)이 개구(75)내에 배치되어 앤빌(61)과 결합 해제될 때까지 약간 내향으로 선회된다. 표면(85)이 앤빌(61)로부터 결합 해제되면, 핑거(83)는 개구(75)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브러쉬(63)는 앤빌(6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러쉬(63)가 앤빌(61) 상으로 장착 및 장착 해제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것으로 간주될 때 다양한 유형의 교환 브러쉬가 앤빌(61) 상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매우 바람직하다.
단일 쌍의 길다란 필라멘트(87)가 블록(77) 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부에서 서로 일체형 형성된다. 필라멘트(87)는 그 사이에 측방향 횡단면의 열쇠 구멍형 개구(89)를 한정하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형상이 이루어지며 자체의 자유 단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열쇠 구멍형 개구(89)는 공구(11)용 니들의 날카로운 팁부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형상이 이루어진 측방향 횡단면의 원형부(89-1), 및 원형부(89-1)와 연통되는 측방향 횡단면의 직사각형부(89-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브러쉬(63)는 앤빌(61) 상으로 고정 장착되고, 브러쉬(63)는 하우징(29)의 개구(51)와 직접 정렬 배치되고 공구(11)로부터 적절하게 이격되어, 개구(89)의 원형부(89-1)는 전향 트리거 스트로크 중 공구(11)용 니들의 팁부를 수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앤빌 조립체(31)는 공구(11)에 의해 실행되는 체결 작동 중 지지부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전향 트리거 스트로크 중 사용자가 공구(11)의 니들의 날카로운 팁부와 부적절하게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도록 사용된다.
브러쉬(63)는 본 명세서에서 그 사이에 단일의 열쇠 구멍형 개구(89)를 한정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한 쌍의 필라멘트(87)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필라멘트(87)는 상당한 측방향 힘이 인가될 때 그 자유 단부의 변위를 방지하는 두께 및 강성을 구비한다. 그러나, 브러쉬(63)가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라멘트(87)의 수, 크기, 형상 및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브러쉬(63)의 필라멘트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수, 크기, 형상 및/또는 구조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예로서, 브러쉬(63)는 복수의 필라멘트(즉, 6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도록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는데, 상기 복수의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측방향 횡단면이 난형인 단일의 개구를 그 사이에 한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각 필라멘트는 그 길이를 따라 측방향 횡단면이 일반적으로 난형이고, 상당한 측방향 힘이 인가될 때 그 자유 단부가 약간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는 두께이다.
다른 예로서, 브러쉬(63)는 제1 쌍의 길다란 필라멘트를 포함하도록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쌍의 길다란 필라멘트는 상당히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필라멘트의 각각은 상당한 측방향 힘이 인가될 때 그 자유 단부의 변위를 방지하는 두께 및 강성을 구비하며, 제2 쌍은 제1 쌍의 필라멘트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길다란 필라멘트를 포함하며, 제2 쌍의 필라멘트의 각각은 측방향 횡단면이 아치형이고 상당한 측방향 힘의 인가 시 그 자유 단부의 상당한 변위를 허용하는 두께 및 강성을 구비한다. 제2 쌍의 필라멘트는 측방향 횡단면이 원형인 개구를 한정하고, 이 개구는 공구(11)의 전향 트리거 스트로크 중 니들의 날카로운 팁부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형상이 이루어진다.
도17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조립체(33)는 성형 플라스틱 또는 다른 유사하게 적합한 재료로 제작된 트리거(107)를 포함한다. 트리거(107)는 일체 형성된 핀(109), 길다란 인체 공학 형상의 핑거 작동 표면(111), 및 일체 형성되고 하향 연장되며 후크 형상의 핑거(113)를 포함한다. 또한, 트리거(107)는 그 내부에 내부 트리거 공동(114)을 한정하도록 부분적 중공이다.
제1 및 제2 트리거 포스트 용기, 또는 보스(115-1, 115-2)는 각각 반부(41, 43) 상에 일체 형성되어 있고, 핀(109)의 상응하는 단부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설정되고 형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건에서, 트리거(107)는 핀(109) 주위로 하우징(29)에 선회 부착된다.
작동표면(111)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길고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구성된다. 표면(111)은 하우징(29)의 핸들부(47) 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작동표면(111)은 작동자에 의한 디지털 방식 조작에 의해 이러한 공동에서 노출된다.
코일이 감긴 트리거 스프링(117)은 후크형 핑거부(113) 상의 일단부에 부착되고 하우징(29)의 우측 반부(41) 상에 일체로 형성된 상승된 보스(119) 상의 타단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117)은 핸들부(47)의 후방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트리거(107)를 연속적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트리거 조립체(33)는 모두 (MINLON과 같은) 성형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트리거 링크(121) 및 아이들러 링크(123)를 추가로 포함한다.
트리거 링크(121)는 제1 단부(121-1)와 제2 단부(121-2)를 포함하는 긴 단일 부재이며, 제2 단부(121-2)는 긴 슬롯(12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링크 롤러(127) 쌍은 도웰 핀(129)을 중심으로 트리거(107) 상에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링크 롤러(127)는 트리거 공동(114) 내에 위치되고 트리거 링크(121)의 슬롯(125) 내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롤러(127)는 이렇게 위치되어, 트리거 링크(121)의 슬롯(125) 내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아이들러 링크(123)는 제1 단부(123-1)와 제2 단부(123-2)를 포함하는 만곡된 단일 부재이다. 아이들러 링크(123)의 제1 단부(123-1)는 도웰 핀(131)을 중심으로 대략 트리거 링크(121)의 중심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도웰 핀(133)은 아이들러 링크(123)의 제2 단부(123-2) 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도웰 핀(133)은 반부(41, 43)에 형성된 대응하는 보스(135)에 끼워 맞취져서 배치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아이들러 링크(123)는 이러한 방식으로 도웰 핀(133)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사용시에, 트리거 조립체(33)는 이하의 방식으로 기능한다. 특히, 트리거(107)는 트리거 스프링(117)에 의해 후크형 핑거부(113)의 전방면이 하우징(29)의 우측 반부(41)에 일체로 형성된 트리거 멈춤부(135)에 대향하여 접촉할 때 까지 핀(109) 주위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작동표면(111) 상에 내향력이 인가될 때, 트리거(107)는 핀(109)을 중심으로 내부로 선회되어, 링크 롤러(127)가 슬롯(125) 내에서 상향으로 활주함에 따라 트리거 링크(121) 상에 내향력을 인가하게 된다. 제2 단부(121-2)에 인가된 내향력은 트리거 링크(121)가 도웰 핀(1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한다. 작동표면(111) 상의 내향력을 해제할 때, 트리거 스프링(117)은 후크형 핑거부(113)가 트리거 멈춤부(135)에 대향하여 접촉할 때까지 탄성적으로 외향 가압하여, 트리거 조립체(33)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니들 조립체(35)는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29)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구(11)를 사용하여 소정의 물체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체결시킨다. 도18을 참조하면, 니들 조립체(35)는 니들(137), 니들(137)을 유지하는 니들 활주부(139), 니들 활주부(139)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니들 활주부 커버(141), 니들 활주부(139) 내에 해제 가능하게 니들을 로킹하는 니들 잠금부(143) 및 니들 활주부(139)를 트리거 조립체(33)에 결합시키는 니들 활주부 링크(145)를 포함한다.
도19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37)은 스템부(147) 및 기부(149)를 포함한다. 스템핑 및 롤링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는 스템부(147)는 외피 또는 유사한 물체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날카로운 팁(151)의 일단부에서 종결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부재이다. 스템부(147)는 슬롯이 형성된 보어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이 형성된 보어(153)를 갖는다. 기부(149)는 팁(151)의 말단인 스템부(147)의 단부 상에 삽입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템부(147) 및 기부(149)는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기부(149)는 스템부(147)의 보어(153)와 정렬된 슬롯이 형성된 종방향 보어(155)를 구비한다. 기부(149)는 외부면 상에 가리비형 리세스(157) 를 구비하며, 그 목적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스템부(147)의 보어(153) 및 기부(149)는 체결기(15)의 횡단바(19)가 기부(149)의 후방으로부터 니들(137)의 길이를 가로질러 스템부(147)의 보어(153)를 통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치수 결정된 후에, 날카로운 팁(151)을 통해 니들(137)을 빠져나온다. 스템부(147)의 슬롯 및 기부(149)는 관련된 횡단바(19)가 니들(137) 내에 비치되어 잔류할 때 체결기(15)의 필라멘트(17)가 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치수 결정되고, 상기 슬롯은 공구(11)에서 하우징(29)의 좌측 반부(43)를 향해 대면하도록 지향된다.
바람직하게는, 니들(137)의 기부(149)는 클립(13)이 공구(11) 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 단부에 테이퍼진 대 배면(149-1)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템부(147)의 후방면은 배출 공정 중에 스터브(25)를 절단하기 위한 날카로운 나이프 블레이드(150)를 포함하며, 이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니들(137)의 특정 구성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대신에, 니들(137)은 가리비형 리세스 및 나이프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종래의 태거 건 니들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니들은 윌리엄 제이 쿠퍼에게 2001년 11월 5일에 허여되어 공개되고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통합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006,779호에 개시된 형태일 수 있다.
도21a 및 도21b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활주부(139)는 플라스틱을 성형하거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긴 단일 부재이다. 니들 활주부(139)는 후방부(159) 및 전방부(160)를 포함한다.
후방부(159)는 측벽(165)의 대향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상부벽(161) 및 바닥벽(163)을 포함한다. 격벽(167)은 상부벽(161)과 바닥벽(163) 사이의 대략 중심점에서 측벽(165)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한다. 격벽(167)은 상부벽(161)과 격벽(167) 사이의 배출기 활주 채널(169)을 형성하고 격벽(167)과 바닥벽(163) 사이에 피드 활주 채널(171)을 형성하도록 상부벽(161) 및 바닥벽(163)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지지 리브(173)는 측벽(165)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여 상부벽(161)과 격벽(167) 사이의 대략 중심점에서 배출기 활주 채널(169)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서로 이격되고 동일선상인 한 쌍의 지지 리브(175, 177)는 측벽(165)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여 격벽(167)과 바닥벽(163) 사이의 대략 중심점에서 피드 활주 채널(171)로 연장한다.
한 쌍의 서로 이격되고 동일 직선상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리브(179,181)는 측벽(165)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수직 연장된다. 가이드 리브(179,181)는 슬롯(183) 내에 끼워 맞춤되게 수용되는 크기 및 형상이며, 상기 슬롯(183)은 하우징(29)의 우측 반부(41)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서로 이격되고 평행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184)에 의해 최소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계로, 리브(184)는 하우징(29)의 배럴부(49) 내에서 선형적 변위로 니들 활주부(139)를 제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부(160)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노즈(184)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니들 수용 보어(185)는 노즈(184)의 전방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일반적으로 측면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다. 또한 니들 로크 수용 보어(187)는 니들 활주부(139)의 노즈(184)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하며, 니들 로크 수용 보어(187)는 아래의 명백한 설명을 위해서 니들 수용 보어(187)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고 바로 위쪽으로 배치된다. 또한 패스너 클립 보어(189)는 노즈(184)의 후방을 통과해 수직 하향으로 연장하며, 패스너 클립[13, 주로 패스너 클립(14)의 런너바(23), 스터브(25) 및 횡단바(19)]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도21a 및 21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활주부 커버(141)는 플라스틱(예,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주조될 수 있는 기다란 단일형 부재이다. 니들 활주부 커버(141)는 서로 관련된 한 쌍의 보스(193)에 압입 끼워맞춤 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스(193)는 니들 활주부(139) 상에 니들 활주부 커버(141)를 장착되도록 니들 활주부(139)의 후방부(159)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니들 활주부 커버(141)는 한 쌍의 나사(195)에 의해 니들 활주부(139) 상의 그 장착된 위치에 고정된다.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리브(197)는 니들 활주부 커버(14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직교로 연장된다. 가이드 리브(197)는 슬롯(199) 내부에 끼워 맞춤되게 수용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롯(199)은 하우징(29)의 좌측 반부(43)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서로 이격되고 평행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계로 리브(201)는 하우징(29)의 배럴부(49) 내에서 선형 변위로 니들 활주부 커버(141)가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니들 활주부 커버(141)는 그 내부 표면에 배출기 활주부 채널(203)을 형성하 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한 쌍의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205)는 니들 활주부 커버(14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함께, 배출기 활주부 채널(203) 및 리브(205)는 선형 변위로 제한하는 배출 기구(37)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니들(137)의 베이스부(149)는 니들 활주부(139) 내의 니들 수용 보어(185) 내부에 꼭맞게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니들(137)의 기저부(149)는 니들 수용 보어(185)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니들이 니들 활주부(139) 내부에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경우, 니들(137)은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제거되거나 유사한 니들로 교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만약 니들이 사용 중에 무뎌지거나 부러질 경우 작업자는 니들(137)을 새로운 니들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공구(1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는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패스터(15)를 하나 이상 바람직한 물체에 적절히 분배하도록 니들(137)은 분배 공정 중에 니들 활주부(139)의 보어(185) 내부의 제 위치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니들 로크(143)의 기능은 니들 활주부(139)의 보어(185) 내의 정 위치에 니들(137)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 혹은 로크시키는 것이며,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이 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니들 로크(143)는 제프레이 에이. 레이몬드(Jeffrey A. Raymond)에 의해 공동 소유된 2002년 7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제10/209,30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형태이며, 상기 출원은 본원에 참조로 합체되었다. 특히 니들 로크(143)는 니들 활주부(139) 내부에서 그 장착 위치에 니들 로크(143)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니들 활주부(139)를 결합시키는 니들 로크와 보어(185) 내부에 스냅 끼워 맞춤되도록 적용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니들 활주부(139) 내부에 니들 로크(143)를 영구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작업자가 니들 로크(143)를 부주의하게 분실하거나 손상을 주거나 잘못 위치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시 니들 로크(143)는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 사이에서 보어(185)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로크 위치는 니들(137)이 니들 활주부(139)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니들 로크(143)가 니들(137)과 결합되는 위치이며, 언로크 위치는 니들(137)이 니들 활주부(139)부터 활주 가능하게 제거되도록 니들 로크(143)가 니들(137)로부터 해제되는 위치이다.
도23a 내지 도23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활주부 링크(145)는 플라스틱(예를 들면, MINLON)이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주조될 수도 있는 기다란 일체형 부재이다. 니들 활주부 링크(145)는 제1 단부(207-1), 제2 단부(207-2), 제1 표면(207-3) 및 제2 표면(207-4)을 포함하는 중심 부재 혹은 아암(207)을 포함한다. 중심 부재(207)는 제1 단부(207-1)와 제2 단부(207-2) 사이의 거의 중심점에서 타원형 개구(209)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표면(207-3)은 개구(209)의 주연부 주위에 환형의 선반(211)을 형성하도록 개구(209)에서 카운터싱크(contersink)된다. 선반(211)은 니들 활주부(139)의 측벽(165)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수직 연장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포스트(213) 상에 차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링크 롤러(127)를 지지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
L형 견부(215)는 니들 활주부 링크(145)의 제1 단부(207-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견부(215)는 제1 단부(207-1)에서 제1 표면(207-3)으로부터 외향으로 직교로 연장된다. 견부(215)의 자유 단부는 리세스 플랫폼(217)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지며, 플랫폼(217)은 선반(219)을 형성하도록 그 주위에 카운터싱크된다. 선반(219)은 트리거 링크(121)로부터 외향으로 수직 연장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포스트(219) 상에 차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링크 롤러(127)를 지지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기다란 원통형 포스트(221)는 제2 단부(207-2)에서 제1 표면(207-3)으로부터 외향으로 수직 연장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포스트(221)의 자유 단부는 하우징(29)의 좌측 반부(43)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대응되는 보스(224)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감소된 크기의 돌출부(223)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원형 리세스(225)는 돌출부(224)와 제2 단부(207-2)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제 2 표면(207-4) 내부에 형성된다. 리세스(225)는 하우징(29)의 우측 반부(41)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대응하는 포스트(227)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관계로 제 2 단부(207-2)는 하우징(29)의 우측 반부(41) 및 좌측 반부(43)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용시, 니들 조립체(35)는 다음 방식으로 기능한다. 트리거(107)에 작용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조립체(35)는 그 후퇴 위치에 배치된다. 니들 조립체(35)는 그 후퇴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니들(137) 의 날카로운 팁(151)이 하우징(29)의 배럴부(49)의 전단부 위에 남아 있는 채로, 니들 활주부(139)가 배럴부(49)의 내부의 그 최후방 위치에 배치된다. 작용력이 트리거(107)에 가해지면서, 트리거 링크(121)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어서 니들 활주부 링크(145)로 하여금 포스트(22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만든다. 시계 방향으로의 니들 활주부 링크(145)의 회전은 이어서 하우징(29)의 개구(51)를 통해 전방으로 선형으로 니들 활주부(139)를 구동시킨다. 트리거 조립체(33)의 전방 트리거 스트로크의 완료시, 니들 활주부(139)가 배럴부(49) 내부의 그 최전방 위치에 배치되고, 니들(137)의 날카로운 팁(151)이 브러쉬(63)의 필라멘트(87)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니들 조립체(35)가 그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다. 트리거(107)의 해제는 트리거 조립체(33) 및 니들 조립체(35)로 하여금 그들의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만든다.
배출 기구(37)는 하우징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 니들(137)을 통해 체결될 하나 이상의 아이템 속으로 소정의 플라스틱 패스너(15)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25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기구(37)는 배출 활주부(229) 및 배출기 로드(231)를 포함한다.
성형 플라스틱(예컨대, DELRIN)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는 배출 활주부(229)가 니들 활주부(139)와 니들 활주부 커버(141) 사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기 활주부(229)가 니들 활주부(139)의 배출기 활주부 채널(169) 내부와, 니들 활주부 커버(141)의 배출기 활주부 채널(203)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26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기 활주부(229)는 배출기 활주부(229)에 고정된 핀(233)에 의해서 트리거 링크(121)의 제1 단부(121-1)에 커플링되고, 트리거 링크(121)는 핀(233)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트리거(107)가 압착되는 경우, 배출기 활주부(229)는 니들 활주부(139)의 배출기 활주부 채널(169) 내부와 니들 활주부 커버(141)의 배출기 활주부 채널(203) 내부에 전방 방향으로 선형으로 변위되고, 트리거(107)가 해제되는 경우, 배출기 활주부(229)는 니들 활주부(139)의 배출기 활주부 채널(169) 내부와 니들 활주부 커버(141)의 배출기 활주부 채널(203) 내부에 후방 방향으로 선형으로 변위된다.
배출기 로드(231)는 양호하게는 전형적인 형상 및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출기 로드(231)의 후단부는 배출기 활주부(229)의 전단부에 장착되고, 배출기 로드(231)의 전단부는 배출기 활주부(229)로부터 멀리 전방으로 연장되어 니들(137)의 보어(153)와 정렬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트리거(107)가 압착되면, 배출기 로드(231)의 전단부가 니들(137) 속으로 통과하여 삽입될 때까지, 배출기 활주부(229)와 배출기 로드(231)가 함께 배럴부(49)를 통해 전방으로 선형으로 이동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패스너 클립(13)의 리드 패스너(15)의 횡단 바(19)가 니들(137)의 보어(153) 뒤에 위치설정되어, 배출기 로드(231)의 전단부가 배럴부(49)를 통해 전방으로 선형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횡단 바(19)를 니들(137)을 통해 밀게 된다. 니들(137)을 통해 상기 횡단 바를 밀어냄으로써, 나이프 블레이드(150)에 대항하여 상기 횡단 바를 공통 런너바(23)와 연결하는 스터브(25)를 견인하여, 상기 스터브를 차단한다. 또한, 니들(137)을 통해 상기 횡단 바에 가해지는 전방 선형 힘은 상기 횡단 바(19)를 그에 인접한 횡단 바(19)에 연결하는 커넥터 포스트(27-1)를 차단한다.
니들 조립체(35)와 배출 기구(37)가 트리거 조립체(33)와 독립적으로 커플링된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니들 조립체(35)와 배출 기구(37)는 공구(11)의 배럴부(49)에 독립적으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니들 조립체(35)와 배출 기구(37)는 트리거 조립체(33)의 독자적인 활동을 통해서, 공구(11)의 배럴부(49)를 통해 독립적으로 활주 가능하게 변위될 수 있어서, 전방 트리거 스트로크를 원활하게 하고, 공구(11)의 내부 역학을 간단하게 하며, 이는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이다.
도27을 참조하면, 인덱싱 기구(39)가 하우징(29)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배출 공정 이전에 니들(137)의 보어(153) 뒤에 직접 축 정렬 방식으로 공구(11)의 패스너 클립(13)의 리드 패스너(15)의 횡단 바(19)를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인덱싱 기구(39)는 피드 활주부(235), 피드 폴(239) 및 피드 폴 스프링(241)을 포함한다.
피드 활주부(235)는 강성 플라스틱(예컨대, DELRIN)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성형될 수도 있는 긴 일체형 부재이다. 피드 활주부(235)는 니들 활주부(139)의 피드 활주부 채널(171)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면(235-1), 후면(235-2), 제1 단부(235-3) 및 제2 단부(235-4)를 포함한다.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243)가 제1 단부(235-3)에 인접한 피드 활주부(235) 의 후면(235-2)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피드 활주부(235)가 니들 활주부(139)의 피드 활주부 채널(171)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부(243)는 지지 리브(175, 177) 사이에 돌출된다. 이와 같이, 지지 리브(175, 177)에 대한 돌출부(243)의 접촉부는 피드 활주부 채널(171) 내부의 피드 활주부(235)의 전방 및 후방 변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245, 247)는 제1 단부(235-3)에 인접한 피드 활주부(235)의 전면(235-1)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공구(11)가 조립된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트리거 링크(121)의 제1 단부(121-1)는 도5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235-1)에 대항하여 돌출부(245, 247)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트리거 조립체(33)의 활동 동안, 피드 활주부(235)를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각각 변위시키도록, 트리거 링크(121)의 제1 단부(121-1)는 돌출부(245, 247)에 대항하여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원통형 포스트(249)는 제2 단부(235-4)에서 피드 활주부(235)의 전면(235-1)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포스트(249)는 피드 캠(237)을 선회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피드 활주부(235)의 상부 및 하부면(235-5, 235-6)은 제1 단부(235-3)로부터 제2 단부(235-4)로 내향으로 테이퍼진다. 그 결과, 피드 활주부(235)는 니들 활주부(139)의 칸막이(167)와 하부벽(163) 사이에서의 수직 변위를 제한할 수 있다.
피드 캠(237)은 니들 활주부(139)와 피드 활주부(235) 양자 모두에 선회가능 하게 장착되는 일체형 부재이다. 피드 캠(237)은 전면(237-1), 후면(237-2), 제1 단부(237-3) 및 제2 단부(237-4)를 포함한다. 피드 캠(237)의 제1 단부(237-3)는 제1 단부(237-3)에 인접한 대체로 원형의 개구(251)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251)는 피드 활주부(235)의 포스트(249)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부(237-3)는 포스트(249)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쌍의 이격된 돌출부(253)는 제2 단부(237-4)에 근접한 피드 캠(237)의 전방 표면(237)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후 기술되어질 것처럼, 피드 폴(239)은 돌출부(253) 사이에서 전방 표면(237-1)에 대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형상을 갖는다.
단일의 확대된 원통형 포스트(255)는 제2 단부(237-4)에 근접한 피드 캠(237)의 후방 표면(237-2)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다. 포스트(255)는 니들 활주부(139)로 형성된 대응 보어(256) 내부로 돌출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조립된 형태로 배열된 공구(11)에 의해, 피드 캠(237)은 니들 활주부(139)에 대해 포스트(255)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다.
피드 폴(239)은 금속(예를 들어, 니켈 도금 스틸(65))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으 양호하게 제조된 신장형의 일체식 부재이다. 피드 폴(239)은 전방부(239-1) 및 후방부(239-2)를 포함한다. 전방부(239-1)는 도28a 및 도28b에서 상세히 도시되어 진 바와 같이, 돌출부(253) 사이에서 정합 관계로 피드 캠(237)의 전방면(237-1)에 대해 접하여 놓여지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을 갖는다. 전방부(239-1)의 전방 단부는 인덱싱 공정중에 패스너 클립(13)의 리드 스터브(25)의 날카로운 엣지(25-2)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래치트-형상의 톱니(257)를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피드 폴 스프링(241)은 종래의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제1 단부(241-1) 및 제2 단부(241-2)를 포함한다. 피드 폴 스프링(241)은 피드 폴(239)의 후방부(239-2)상으로 축방향으로 장착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형태를 갖는다. 조립된 형태에서 배열된 공구(11)에 의해, 도28a 및 도28b에 가장 잘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스프링(241)의 제1 단부(241-1)는 피드 폴(239)의 전방부(239-1)의 후면에 대해 인접하고 스프링(241)의 제2 단부(241-2)는 피드 활주부 채널(171)의 정면에서 니들 활주부(139)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된 한쌍의 이격된 벽(259)에 인접한다. 이와 같이, 피드 폴 스프링(241)은 피드 폴(239)을 전방으로 탄성 압박한다.
인덱싱 기구(39)는 하기의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5에 가장 잘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트리거(107)의 작동은 트리거 링크(121)의 제1 단부(121-1)가 반시계방향 및 전방 방향으로 선회하게 한다. 트리거 링크(121)의 전방 변위는 결국 트리거 링크(121)가 돌출부(245)와 접촉하게 하며 피드 활주부(235)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한다. 앞에서 간단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층 및 바닥 표면(235-5, 235-6)은 피드 활주부 채널(171) 내에서 피드 활주부(235)의 제한된 수직 변위를 허용하도록 제1 단부(253-3)로부터 제2 단부(235-4)로 내향으로 테이퍼진다. 이제 도28a를 참조하면, 피드 활주부 채널(171) 내에서 피드 활주부(235)의 전방 변위는 피드 캠(237)을 포스트(255)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드 캠(237)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253)는 화살표(A)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 방향으로 유사하게 피드 폴(239)을 운반한다. 피드 폴(239)의 시계방향 변위는 스프링(241)을 압축한다. 이러한 탄성 구성으로 인해, 스프링(241)은 팽창되어, 이로 인해 도28b의 화살표 B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피드 폴(239)을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이러한 방식에서, 래치트-형상의 톱니(257)는 공구(11) 내부로 로딩된 리드 패스너 스터브(25)의 날카로운 엣지(25-2)위로 직접 활주한다.
도5를 참조하면, 트리거(107)가 해제되면, 트리거 링크(121)의 제1 단부(121-1)는 시계방향, 일반적으로 후방 방향으로 선회한다. 트리거 링크(121)의 후방 변위는 결국 트리거 링크(121)가 돌출부(247)와 접촉하여 피드 활주부(35)가 후방으로 가압되게 한다. 피드 활주부 채널(171) 내의 피드 활주부(235)의 후방 변위는 피드 캠(237)을 포스트(255)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드 캠(23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253)는 피드 폴(239)을 도28b의 화살표C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 대체로 하향 방향으로 유사하게 운반한다. 피드 폴(239)의 하향 변위는 다음 연속하는 패스너(115)의 횡단 바(19)가 니들(137)의 보어(153) 뒤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톱니(257)가 리드 패스너 스터브(25)의 날카로운 엣지(25-2)와 접촉하여 연속하여 가압하게 한다.
사용시에, 공구(11)는 셔츠를 하기 방식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패스너(15)의 클립(13)은 리드 패스너(15)의 횡단 바(19)가 니들(137)의 보어(153) 뒤에 위치되도록 니들 활주부(139)의 패스너 클립 보어(189)로 삽입된다. 클립(13)을 공구(11) 내부로 적절히 급송함으로써 접혀진 셔츠의 단면은 브러쉬(63)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이와 같이 위치된 접혀진 셔츠로, 작동자는 압착 운동을 이용하여 트리거(107)를 작동시킨다.
트리거(107)의 작동은 니들 조립체(35)가 공구(11) 내의 개구(51)를 통해 전방으로 전진하게 하여 그 팽창 위치에 놓이게 한다. 특히, 니들 조립체(35)는 니들(137)의 날카로운 팁부(151)가 접혀진 셔츠를 통해 관통하여 브러쉬(63)로 도입될 때까지 전방으로 전진한다.
트리거(107)의 작동은 배출 기구(37)가 배출기 로드(231)가 니들(137)의 보어(153)로 도입되는 방식으로 전방으로 전진하게 한다. 배출기 로드(231)는 보어(153)를 통해 전진하며, 리드 패스너(15)는 패스너 클립(13)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다. 트리거(107)가 그 전방 트리거 스트로크의 완료지점에 도달함에 따라, 배출기 로드(231)는 니들(137)을 통해 전체적으로 리드 패스너(15)의 횡단 바(19)를 누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횡단 바(19,21)는 셔츠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어, 이로 인해 셔츠를 접혀진 상태로 유지한다.
전방 트리거 스트로크의 완료 및 후방 트리거 스트로크의 개시시에, 인덱싱 기구(39)는 클립(13) 내의 다음 패스너(15)를 니들(137)의 보어(1153) 뒤로 직접 전진시킨다. 트리거(107)의 연속하는 해제는 니들 조립체(35)가 그 후퇴 위치로 반환되게 하고, 이로 인해 접혀진 셔츠로부터 니들(137)을 회수한다. 유사하게, 배출 기구(37)는 후퇴하고, 배출기 로드(231)는 니들(137)의 보어(153) 내에서되돌아온다.
후방 트리거 스트로크의 완료시에, 작업자는 브러쉬(63)에 대향하여 셔츠를 제거하거나, 추가의 패스너 분배용 브러쉬(63)에 대향하여 셔츠의 다른 단면을 재위치시킬 수 있다. 패스너 분배 공정은 클립(13) 상에 패스너(15)의 전체 공급에 대해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으로만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수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음을 의도한다.

Claims (22)

  1.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각각 횡단바를 가지는 플라스틱 패스너들을 분배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구는,
    (a) 핸들부 및 배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b) 상기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을 위해 그 핸들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 조립체와,
    (c) (i)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니들 활주부와, (ii) 상기 니들 활주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슬롯 니들과, (iii) 상기 니들 활주부를 상기 트리거 조립체에 결합시키는 니들 활주부 링크를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와,
    (d) 상기 트리거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의 니들을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를 포함하는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기구는 배출기 로드가 결합되고 상기 트리거 조립체에 결합되는 배출기 활주부를 포함하는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활주부 및 상기 배출기 활주부는 상기 트리거 조립체에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립체는 일 위치에서 상기 니들 활주부 링크에 결합되고, 타 위치에서 상기 배출기 활주부에 결합되는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활주부 및 상기 배출기 활주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독립적으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활주부는 배출기 활주부 채널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이며, 배출기 활주부 채널은 상기 배출기 활주부가 활주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는 공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활주부 링크는 상기 하우징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조립체는,
    (a) 상기 니들 활주부 상에 장착되는 니들 활주부 덮개와,
    (b) 상기 니들을 니들 캐리어에 로킹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로킹 핀을 더 포함하는 공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슬롯 니들과 축방향 정렬하여 패스너 클립 내의 패스너의 횡단바를 전진시키기 위한 인덱싱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덱싱 기구는,
    (a)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드 활주부와,
    (b) 일 위치에서 상기 니들 활주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 위치에서 상기 피드 활주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쌍의 이격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피드 캠과,
    (c) 한 쌍의 이격된 돌출부들 사이의 끼움 관계로 상기 피드 캠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래칫 형상 치형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피드 멈춤쇠와,
    (d) 상기 피드 멈춤쇠 상에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접촉하여 배치되며, 상기 피드 멈춤쇠를 전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립체는 상기 피드 활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변위시키도록 배치되는 공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활주부는 패스너 클립 보어 및 피드 활주부 채널을 한정하도록 형성되며, 패스너 클립 보어는 패스너 클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피드 활주부 채널은 상기 피드 활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구.
  12.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공구이며,
    각 플라스틱 패스너는 스터브를 통해 공통 런너바에 결합되는 횡단바를 가지며,
    상기 공구는,
    (a) 핸들부 및 배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 클립의 공통 런너바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런너바 안내 채널을 한정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b) 상기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을 위한 그의 핸들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 조립체와,
    (c)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의 슬롯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와,
    (d)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중공의 니들을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를 포함하는 공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바 안내 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의 전방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깔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로부터 하향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내향 테이퍼링된 공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부는 측방향 단면이 U자형인 공구.
  16.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각각 횡단바를 가지는 플라스틱 패스너들을 분배하기 위한 공구로서,
    상기 공구는,
    (a) 핸들부와, 개구가 제공되는 배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b) 상기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을 위해 그 핸들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 조립체와,
    (c)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개구를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중공의 슬롯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와,
    (d)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중공의 니들을 통해 전후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와,
    (e) (i)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앤빌과, (ii) 상기 앤빌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의 개구 전방에 연장되는 앤빌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내의 상기 개구는 측면 단면에서 열쇠 구멍 형상을 갖는 공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복수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라멘트는 적어도 상기 브러쉬 내의 상기 개구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공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슬롯 니들은 상기 브러쉬 내에 형성된 상기 개구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하도록 정렬되는 공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전방부 및 후방부를 포함하고, 후방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전방부는 고리형이며 상기 하우징 내의 개구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앤빌의 전방부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공구.
  22. 패스너 클립으로부터 각각 횡단바를 가지는 플라스틱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구는,
    (a) 핸들부 및 배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b) 상기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을 위해 그 핸들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 조립체와,
    (c)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의 슬롯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와,
    (d)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중공 니들의 전후방으로 삽입 가능한 배출기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를 포함하고,
    (e) 상기 니들 조립체 및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트리거 조립체에 독립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니들 조립체 및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배럴부 내에 독립적으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
KR1020047008046A 2001-11-27 2002-11-27 플라스틱 패스너 분배 공구 KR100679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402601P 2001-11-27 2001-11-27
US60/334,026 2001-11-27
PCT/US2002/037992 WO2003045787A2 (en) 2001-11-27 2002-11-27 Tool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252A KR20040076252A (ko) 2004-08-31
KR100679188B1 true KR100679188B1 (ko) 2007-02-06

Family

ID=2330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046A KR100679188B1 (ko) 2001-11-27 2002-11-27 플라스틱 패스너 분배 공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331497B2 (ko)
EP (1) EP1461254B1 (ko)
JP (1) JP2005510418A (ko)
KR (1) KR100679188B1 (ko)
CN (1) CN100532209C (ko)
AT (1) ATE411942T1 (ko)
AU (1) AU2002365410A1 (ko)
BR (1) BR0214463B1 (ko)
CA (1) CA2468804A1 (ko)
DE (1) DE60229556D1 (ko)
HK (1) HK1075235A1 (ko)
MX (1) MXPA04005107A (ko)
WO (1) WO200304578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9991B2 (en) 2013-08-28 2017-10-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actor plate assembly and brush anvil for use in conjunction therewith
US9792839B2 (en) 2010-12-23 2017-10-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Wide filament fastener and st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2960A1 (en) * 2006-04-04 2008-02-0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I3 kinase antagonists
US8657172B2 (en) * 2006-11-06 2014-02-25 Avery Dennison Corporation Device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US20080190956A1 (en) * 2006-11-06 2008-08-14 John Earley Device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JP5191707B2 (ja) * 2007-08-10 2013-05-08 株式会社トスカ 係止ピン材の装着装置
US8015689B2 (en) * 2009-05-18 2011-09-13 ADCO Industries—Technologies, L.P. Tag tool protec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US8296917B2 (en) * 2009-05-18 2012-10-30 ADCO Industries—Technologies, L.P. Tag tool protec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1100397A1 (en) 2010-02-11 2011-08-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Dual operating mode plastic fastener dispensing handtool
US9199756B2 (en) * 2011-11-28 2015-12-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er stock and device for use in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therefrom
KR101773478B1 (ko)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10099852B (zh) * 2016-12-29 2021-09-21 艾利丹尼森公司 产生紧固件并且将至少一个产品固定到至少一个包装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339A (en) * 1888-08-21 Gustaf alfeed bbinck and albeet vilhelm eehnsteom
US3501002A (en) * 1966-11-28 1970-03-17 Sweco Inc Vibratory separator
US3650452A (en) * 1970-09-30 1972-03-2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Tag attacher
US3759435A (en) * 1971-08-05 1973-09-18 Dennison Mfg Co Apparatus for dispensing fasteners
US3880339A (en) * 1973-07-02 1975-04-29 Dennison Mfg Co Fastener dispensing apparatus
US3901428A (en) * 1974-05-08 1975-08-26 Monarch Marking Systems Inc Tag attacher
US4416407A (en) * 1981-11-02 1983-11-22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ing of fasteners with a pivoted and disengageable feed mechanism
US4683635A (en) * 1984-09-25 1987-08-04 Monarch Marking Systems, Inc. Tag dispensing and attaching method and apparatus
US4651913A (en) * 1985-06-14 1987-03-24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Variable pitch feed of fasteners
US4690317A (en) * 1985-09-06 1987-09-0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held tag attacher
JPS63281940A (ja) * 1987-05-11 1988-11-18 Sato Gooc:Kk 係止片取付機
ATE83455T1 (de) * 1988-07-12 1993-01-15 Japan Banok Co Ltd Anhaengezettelbefestigungsvorrichtung.
US5033664A (en) * 1989-09-15 1991-07-23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ing of attachment members
US5074452A (en) * 1990-12-21 1991-12-24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Variable pitch feed of fasteners
KR960000989Y1 (ko) * 1992-11-05 1996-02-03 이덕희 꼬리표 부착기의 화스너 공급기어의 구동장치
JP2564240B2 (ja) * 1993-03-09 1996-12-18 株式会社トスカ 係止片取付機
US5501002A (en) 1994-06-20 1996-03-26 Fukami; Syouichi Tag fastening device
US5472130A (en) * 1994-09-26 1995-12-05 Texpak, Inc. Powered fastener inserting machine
US5772073A (en) * 1996-04-10 1998-06-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individual plastic fasteners from fastener stock
US5683025A (en) * 1996-05-03 1997-11-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individual plastic fasteners from fastener stock
JP3477004B2 (ja) * 1996-08-23 2003-12-10 株式会社トスカ 係止片取付装置
US5826775A (en) * 1997-05-08 1998-10-27 Mooney; Linda Sock clip system
US6267285B1 (en) * 1998-07-15 2001-07-31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JP2001253419A (ja) * 2000-03-10 2001-09-18 Kotecs Co Ltd 係止片取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2839B2 (en) 2010-12-23 2017-10-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Wide filament fastener and stock
US9789991B2 (en) 2013-08-28 2017-10-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actor plate assembly and brush anvil for use in conjunction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11942T1 (de) 2008-11-15
EP1461254A4 (en) 2005-08-17
CN1617816A (zh) 2005-05-18
AU2002365410A8 (en) 2003-06-10
KR20040076252A (ko) 2004-08-31
DE60229556D1 (de) 2008-12-04
US7331497B2 (en) 2008-02-19
MXPA04005107A (es) 2004-09-10
AU2002365410A1 (en) 2003-06-10
HK1075235A1 (en) 2005-12-09
CN100532209C (zh) 2009-08-26
US20030218043A1 (en) 2003-11-27
CA2468804A1 (en) 2003-06-05
EP1461254A2 (en) 2004-09-29
JP2005510418A (ja) 2005-04-21
WO2003045787A3 (en) 2004-03-25
WO2003045787A2 (en) 2003-06-05
US20080035698A1 (en) 2008-02-14
EP1461254B1 (en) 2008-10-22
BR0214463B1 (pt) 2011-02-22
US7472813B2 (en) 2009-01-06
BR0214463A (pt) 200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813B2 (en) Tool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EP1409349B1 (en) Fastener clip
US6418597B1 (e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US6267285B1 (e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JPH09505113A (ja) ファスナー取付け具
US7828183B2 (en) Device for attaching fasteners
US6561405B2 (en) System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US6364191B1 (en) Loop fastener dispensing tool
US6009997A (en) Loop fastener, fastener clip including same and loop fastener dispensing tool
US5788138A (en) Button attaching device
US6837413B1 (e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WO2005005265A2 (en) Tool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EP1204337B1 (en) Fastener dispensing tool for plastic fasteners
US6752307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plastic fasteners and needle lock therefor
JP2004531432A (ja) ファスナ・ストックから個々のプラスチック製ファスナを分配する装置
JP2004083133A (ja) ループピン結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