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892B1 -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892B1
KR100678892B1 KR1020040062863A KR20040062863A KR100678892B1 KR 100678892 B1 KR100678892 B1 KR 100678892B1 KR 1020040062863 A KR1020040062863 A KR 1020040062863A KR 20040062863 A KR20040062863 A KR 20040062863A KR 100678892 B1 KR100678892 B1 KR 10067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assword
menu page
screen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247A (ko
Inventor
박복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8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81Service authorization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폰의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해 선택적으로 암호를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타인에게 선택적인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은 소정 기능의 수행 신호 또는 메뉴 페이지의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에 잠금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잠금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기능의 수행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의 전환을 요청하고, 잠금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암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능, 메뉴 페이지, 암호

Description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misusage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대해 잠금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입력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출력부
본 발명은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폰의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해 선택적으로 암호를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타인에게 선택적인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휴대폰의 오용 방 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인 휴대폰 사용자의 급증에 따라 휴대폰 기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인터넷 접속,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영상 스트림 수신 등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휴대폰이 등장하였으며,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캡처 휴대폰에 이어 음악 파일 재생 플레이어가 내장된 휴대폰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휴대폰은 전화 통화 또는 문제 메시지 등을 이용한 사용자 간의 단순한 의사 전달 수단을 뛰어 넘어 현대 사회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필수품으로 자리 매김 하게 되었다.
이렇게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타인에 대한 그 보안 기능의 필요성 또한 대두된다. 특히, 전화 통화, 동영상 스트림 수신 및 인터넷 접속과 같이 높은 사용료가 부과되는 기능의 무분별한 사용 뿐 아니라, 휴대폰의 전화번호부에 입력된 개인 신상의 유출 및 미성년자의 성인 인터넷 사이트 접속 등 그 위험에 대한 대책이 미비한 상태이다.
종래의 휴대폰 보안 설정은 한 개의 암호 설정에 의해 전체 기능을 제한하거나, 몇 개의 특정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타인에 의한 휴대폰의 오용을 방지하였다. 타인이 전체 기능이 제한된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타인은 암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휴대폰의 어떤 기능도 사용할 수 없고, 만일 몇 개의 특정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려고하면, 제한되지 않은 기능은 사용할 수 있지만 제한되어 있는 특정 기능 사용시에는 암호를 반드시 입력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안 설정 방법은 전체 기능 또는 제조시 지정된 몇 개의 특정 기능에만 암호를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인에게 휴대폰 대여시 메뉴별 기능 제한 설정이 불가능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폰의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해 선택적으로 암호를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타인에게 선택적인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을 피하려고하는 기능에 대해 사용자 및 타인의 무의식적인 또는 실수에 의한 사용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은 소정 기능의 수행 신호 또는 메뉴 페이지의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에 잠금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잠금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기능의 수행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의 전환을 요청하고, 잠금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암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잠금 설정된 기능 및 메뉴 페이지의 목록, 암호, 기능의 수행 신호 및 메뉴 페이지의 전환 신호 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잠금 설정된 기능의 목록 및 상기 암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에 잠금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잠금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기능의 수행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의 전환을 요청하고, 잠금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암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입력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110)는 휴대폰에 부착된 키패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잠금 설정된 기능 및 메뉴 페이지의 목록, 암호, 기능의 수행 신호 및 메뉴 페이지의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기능은 전화 통화, 메시지 교환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동작을 의미하며, 메뉴 페이지 전환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메뉴 페이지의 화면 출력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잠금 설정된 기능 및 메뉴 페이지의 목록을 다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에 대한 암호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각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대해 암호를 설정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잠금 설정된 기능 및 메뉴 페이지의 목록, 그리고 암호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달 받은 기능 수행 신호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 신호에 따라 저장부(120)를 참조하여 잠금 설정 여부를 검색한다. 그리고, 해당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가 잠금 설정된 상태로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출력부(140)에 암호 입력 화면을 출력하도록 요청하고, 해당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가 잠금 설정된 상태로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출력부(140)에 해당 기능 수행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을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달 받은 암호를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설정된 암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출력부(140)에 해당 기능 수행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을 요청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출력부(140)에 암호 입력 화면을 출력하도록 요청한다. 이와 같은 암호 재입력 과정은 수 차례 반복 후 자동 종료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강제 종료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요청에 따라 기능 수행, 메뉴 페이지 전환 및 암호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대해 잠금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잠금 설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 째는 전체 기능 목록이 나열되고 그 중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잠금 설정할 항목을 선택하게 하는 것(210)이고, 둘 째는 메뉴 페이지 전환시 해당 메뉴 페이지에 대해 잠금 설정(220)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능은 통화, 검색, 종료 및 선택 등 특정한 동작의 수행을 의미하며, 메뉴 페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하여 표시된 화면으로서 전화 번호부, 화면 설정 및 휴대폰 설정 화면 등을 의미한다.
전체 기능 목록 중 선택하는 방법(210)은 휴대폰의 전체 기능을 화면에 표시하고 각 기능의 앞 또는 뒤에 체크 박스를 위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잠금 설정할 기능의 체크 박스에 체크 표시를 하게 하는 것으로서 잠금 설정을 위한 버튼(240)이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사용자는 휴대폰의 상하 화살표 버튼(230a, 230c)을 이용하여 기능의 선택을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 화면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전체 기능이 화면에 전부 표시되지 않으므로, 전체 기능 중 일부만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의 최상단에 위치한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 화살표 버튼(230a)이 눌려지거나,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한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하 화살표 버튼(230c)이 눌려지면, 한 줄 스크롤 또는 다음 페이지로 화면 전환을 한다.
전체 기능 목록 중 선택하는 방법(210)은 나열된 전체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체계적으로 잠금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화면에 표시된 기능의 이름만으로 해당 기능의 상세한 기능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잠금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폰 사용 중 해당 기능에 대한 잠금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메뉴 페이지 전환시 해당 메뉴 페이지에 대해 잠금 설정하는 방법(22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잠금 설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현재 화면에 표시 중인 메뉴 페이지를 잠금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의 이름이 아닌 실제 페이지를 확인하고 잠금 설정하므로 보다 객관적인 판단에 의한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룹화에 의한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의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는데, 전체 기능 목록 중 잠금 설정을 선택할 경우 좌우 화살표 버튼(230b, 230d)을 이용하여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전체 기능 목록의 글자색은 초기에 검은색으로 표시되지만, 사용자는 좌우 화살표(230b, 230d)를 이용하여 그 색을 전환시키고 같은 색을 가진 목록을 그룹화 하는 것이다. 메뉴 페이지에 대해서도 해당 페이지가 잠금 설정되면 페이지 하단에 색띠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좌우 화살표(230b, 230d)를 이용하여 그 그룹을 지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기능 수행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를 위한 암호를 입력할 경우에는 화면의 테두리를 그룹의 색과 동일한 띠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그룹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기능 및 메뉴 페이지에 대한 암호 설정은 암호 설정 페이지를 구비하여 일괄 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전체 기능 목록 페이지 또는 현재 표시 중인 메뉴 페이지에서 그룹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전체 기능 목록 중 잠금 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210)과 현재 표시 중인 메뉴 페이지를 잠금 설정하는 방법(220)은 그 장단점으로 인하여 둘 중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통화 제한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를 메뉴 페이지로 화면에 표시할 수 없으므로, 전체 기능 목록 중 선택하게 하는 것(210)이 바람직하며, 전화 번호부 검색 또는 인터넷 접속 등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 전환에 의한 동작에 대해서는 페이지 잠금 설정을 이용하는 것(220)이 바람직하다.
휴대폰의 기능 및 메뉴 페이지는 계층적인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기능의 하위 계층에는 전화 통화 발신 및 문자 메시지 발신 등이 포함되고, 전화 번호부 메뉴 페이지의 하위 계층에는 전화 번호 등록 및 전화 번호 삭제 등이 포함된다. 이 때,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이 동시에 잠금 설정될 경우에 대한 별도의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하위 계층 선택 후 상위 계층 선택의 경우와 상위 계층 선택 후 하위 계층 선택의 경우 두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는데, 하위 계층 선택 후 상위 계층 선택의 경우에는 모든 그 하위 계층의 잠금 설정을 해제하고, 상위 계층에만 잠금 설정한다. 그리고, 상위 계층 선택 후 하위 계층 선택 시에는 사용자에게 상위 계층이 잠금 설정 상태임을 알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위 계층의 잠금 설정을 해제한 후에 하위 계층의 잠금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기능 수행 신호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 신호를 수신(S310)한 제어부(130)은 해당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잠금 설정이 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320). 기능에는 통화, 검색, 종료 및 선택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잠금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기능 수행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을 하고(S360), 잠금 설정 되어 있으면 암호 입력 수신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암호를 입력 받는다(S330). 잠금 설정이 그룹화 되어 있을 경우, 각 그룹은 각자의 색을 가지고 있으므로, 암호 입력 화면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색의 띠를 표시하거나 암호 입력 요청 문구의 색을 해당하는 색으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그룹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입력된 암호는 저장된 암호와 비교되는데 만일 그 둘이 일치하면 기능 수행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을 하고(S360), 일치하지 않으면 암호 입력 횟수를 확인하여(S350) 암호 입력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기능 수행 또는 메뉴 페이지 전환 작업을 종료하고 임계치 이하이면 다시 암호 입력 수신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암호를 입력 받는다(S33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 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가 휴대폰의 특정 기능 또는 메뉴에 대해 선택적으로 암호를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타인에게 선택적인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사용을 피하려고하는 특정 기능 또는 메뉴에 대해 사용자 및 타인의 무의식적이거나 실수에 의한 사용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4)

  1.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소정의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잠금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중 상기 기능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에 대응하는 그룹에 해당하는 색상을 소정의 형태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능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암호에 대한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설정은
    화면상에 나열된 전체 기능 목록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잠금 설정;
    상기 화면상에 출력된 해당 메뉴 페이지에 대한 잠금 설정;
    상기 잠금 설정된 기능 또는 상기 잠금 설정된 메뉴 페이지를 특정 그룹으로 설정하는 그룹 설정; 및
    상기 특정 그룹에 대한 색상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받은 암호가 기 설정된 암호와 일치할 경우 상기 기능의 수행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의 전환을 요청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다시 암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일정 횟수 이상 암호가 맞지 않으면 상기 기능의 수행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의 전환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4.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소정의 기능 또는 메뉴 페이지에 잠금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중 상기 기능 또는 상기 메뉴 페이지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암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그룹에 해당하는 색상을 소정의 형태로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입력된 암호에 대한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시스템.
KR1020040062863A 2004-08-10 2004-08-10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67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863A KR100678892B1 (ko) 2004-08-10 2004-08-10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863A KR100678892B1 (ko) 2004-08-10 2004-08-10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47A KR20060014247A (ko) 2006-02-15
KR100678892B1 true KR100678892B1 (ko) 2007-02-07

Family

ID=3712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863A KR100678892B1 (ko) 2004-08-10 2004-08-10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20B1 (ko) 2013-04-11 2013-10-08 주식회사 씽크풀 모바일 단말기의 다중환경 제공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20B1 (ko) 2013-04-11 2013-10-08 주식회사 씽크풀 모바일 단말기의 다중환경 제공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247A (ko)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54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password and for releasing lock
KR101191816B1 (ko) 확대된 검색 특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6792287B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70011461A1 (en) Personal data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handheld devices
JP3671832B2 (ja) 携帯電話端末
JP2015527652A (ja) タッチスクリーン端末の操作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
CN110663041B (zh) 用于提供用户通过其能够操作计算设备的用户账户的系统和方法
KR100883117B1 (ko)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CN107026935B (zh) 移动设备及移动设备的权限控制方法和装置
CN1787560B (zh) 具有用户可分配热键的移动终端及其使用方法
CN105809019A (zh) 一种Android安卓终端启动输入法键盘的方法和装置
KR20180118635A (ko)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2693086B (zh) 一种移动终端及解锁锁定方法
CN103593106A (zh) 手持装置及其解除锁定的方法
KR100678892B1 (ko)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933666B (zh) 一种调用信息输入程序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KR101560402B1 (ko) 모바일기기의 자동 잠금장치 및 그 방법
CN106453947A (zh) 一种快速拨打电话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6907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04070598A1 (ja) 階層的なメニュー項目を有する情報端末、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39452B1 (ko)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70071389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보호 방법
KR1006641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CN108664135A (zh) 键盘设置方法、装置及键盘
CN110379051A (zh) 解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