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452B1 -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452B1
KR101139452B1 KR1020050117079A KR20050117079A KR101139452B1 KR 101139452 B1 KR101139452 B1 KR 101139452B1 KR 1020050117079 A KR1020050117079 A KR 1020050117079A KR 20050117079 A KR20050117079 A KR 20050117079A KR 101139452 B1 KR101139452 B1 KR 10113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rea
data
divided
setting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532A (ko
Inventor
강정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45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와, 분할 영역에 각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비공개 설정하고, 기 설정된 키 버튼 조작에 의해서만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데이터 저장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차단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모리 영역, 파티션(partition), 설정 키

Description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11: 설정부
12: 판단부 13: 데이터 처리부
20: 메모리 30: 키 입력부
40: 표시부 50: 통신모듈
본 발명은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여 메뉴 항목별로 비 공개된 서로 다른 메모리 영역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 시,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비된 메뉴 항목 중 특정 메뉴 실행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가 해당 메뉴 항목의 기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 데이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메모, 스케줄 데이터 등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쉽게 공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들어 메뉴 항목별로 해당 메뉴 데이터에 대해 공개되지 않도록 차단 설정을 하기도 하나, 각각의 데이터에 대해 일일이 차단 설정을 해야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또는 각 메뉴 항목별로 차단설정을 해야하므로, 이 경우 각 메뉴 항목의 일부 데이터만을 공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되어,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직접 접근이 가능하며, 설정에 따라 각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와, 분할 영역에 각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은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 는 제2단계와, 상기 메뉴 항목이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키 버튼을 설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기 설정된 조합 키 버튼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키 버튼 신호 감지 시, 감지된 키 버튼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는 제2단계와,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3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버튼이 구비되는 키 입력부(30)와,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50)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0)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상기 키 입력부(30)는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특정 키 버튼 조합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할된 특정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키 입력부(30)는 조합된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이 공개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30)는 '&'+'3' 버튼에 대해서는 스케줄 데이터, '&'+'5' 버튼에 대해서는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5' 버튼 조작 시 상기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이 해제되어 사용자에게 공개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메모리(20)는 상기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 영역의 일부 영역이 분할되어, 설정된 메뉴 항목의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20)는 설정에 따라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차단되어,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을 통해 인가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분할된 비공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를 공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20)는 '이미지1'과 '이미지2'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이미지1'은 일반적인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2'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특정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시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0)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제어 명령이 인가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11)와, 상기 설정부(11)를 통해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판단부(12)와, 분할된 메모리 영역별 메뉴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정부(11)는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선택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선택된 키 버튼 조합 시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 제어명령이 인가되도록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설정부(11)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 조합에 서로 다른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부(11)는 '0'+'1' 버튼 신호 인가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파티션1'로 접근하도록 설정하고, '0'+'2' 버튼 신호 인가 시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티션2'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설정부(11)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하고,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이 공개되도록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설정부(11)는 설정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 시 별도의 인증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판단부(12)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 인가된 신호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12)는 인가된 키 버튼 신호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신호인 경우,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 중 인가된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
즉, 상기 판단부(12)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인 경우, 상기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중 인가된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키 버튼 조합에 의해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 시 인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12)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메뉴 실행 시, 해당 메뉴 항목의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의 선택 여부를 감지한다.
즉,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메뉴 항목의 데이터 저장 시, 상기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 또는 분할되어 비공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명령에 따라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설정 시, 상기 메모리 영역 중 일부 영역을 분할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설정 키 버튼 수에 따라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을 5번 설정하는 경우, 그에 따라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파티션4', '파티션5'와 같이 5개의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버튼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임의로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임의 선택된 메뉴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자동으로 임의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파티션1'에 대해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고, '파티션2'에 대해서는 스케줄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파티션3'에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데이터 저장 시, 일반 메모리 영역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메모리 영역 중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사용자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하고,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분할된 '파티션1'에는 '스케줄 데이터', '파티션2'에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2' 버튼 조작 시 '파티션2'에 접근하여, 상기 '파티션2'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된 데이터 리스트 중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 일반 메모리 영역과 분할된 메모리 영역 간 데이터의 이동 및 복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일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거나,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키 버튼 '#'+'1'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 영역 중 일부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 '파티션#1'에 대한 메뉴 항목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분할된 '파티션#1'에 대해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메뉴 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명령에 따라 상기 '파티션#1'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른 키 버튼 '#'+'2' 설정 시에는 상기 '파티션#1'과는 다른 메모리 영역 '파티션#2'를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파티션#2'에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고, 또 다른 키 버튼 '#'+'3' 설정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인 '파티션#3'에 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설정된 '#'+'1' 버튼이 조작되면, 설정에 따른 인증동작 수행 후 전화번호부DB에 접근하여 일부 또는 전체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하고, '#'+'2' 또는 '#'+'3' 버튼 조작 시에는 그에 따른 사진/동영상DB 또는 메시지DB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에 따른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김태희, 핸드폰:01031730000, 집:025008000, 직장:0220330001, 그룹:친구'와 같은 전화번호 데이터 입력 시,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b와 같이 '일반 DB'와 분할된 '사용자 DB' 중 버튼 조작에 따라 '사용자 DB'가 선택되면,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설정에 따라 비밀번호 인증동작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파티션#1'에 해당 전화번호 데이 터가 저장된다.
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e 및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조작에 따라 '일반 DB'가 선택되면 일반적으로 공개된 전화번호 DB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분할된 '사용자 DB'로 이동 또는 복사하거나, 반대로 '사용자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일반 DB'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기덕', '김남진', '김태우', '김혜수', '남성택' 등과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 출력 시, 출력된 전화번호 데이터 중 '김혜수'에 대한 메뉴 버튼이 조작되고, 이때 도 4b와 같이 버튼 조작에 따라 '이동' 명령이 인가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혜수"를 파티션#1로 이동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예'가 선택되면, 도 4d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로 인증동작을 수행하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상기 '김혜수'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사용자 DB의 '파티션#1'로 이동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분할된 사용자 DB 중 '파티션#1'에 저장된 '김사랑', '김태희', '김혜수', 박세 리', '정지훈' 등과 같은 전화번호 데이터 출력 시, 도 5b와 같이 선택된 '박세리'에 대해 '복사' 명령이 인가되면, 도 5c와 같이 '"박세리"를 일반 DB에 복사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로 인증동작을 수행 후 사용자 DB의 '파티션#1'에 저장된 '박세리'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일반 DB로 복사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설정 시, 임의의 키 버튼이 선택되면(S1), 선택된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S2).
이때,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 선택 시(S3), 명령에 따라 수동으로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S4),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S5).
반면, 자동으로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S4),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S6).
이때, 상기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은 분할된 다른 메모리 영역에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한다.
상기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메뉴 항목의 DB로 이동되도록 설정하고(S7), 상기 설정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S8).
이때, 상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에만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공개되도록 하고, 다른 키 버튼 신호 인가 시에는 해당 메모리 영역 이외의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서는 비공개 설정한다.
특정 메뉴 실행 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S9), 명령에 따라 분할된 사용자 DB 또는 일반 DB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0), 사용자 DB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메뉴 항목이 설정된 사용자 DB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S11).
이때,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일반 DB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S12).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임의의 조합 키 버튼 조작 시(S21), 조작된 키 버튼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분할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여(S25),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을 시도한다(S26).
이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고, 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S27).
예를 들어, '#'+'3' 버튼 조작 시, 상기 '#'+'3'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파티션을 검색하여, '파티션#3'에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만일,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 설정에 따라 별도의 인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S22),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기 설정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S23),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공개되도록 한다(S24).
이때, 상기 표시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동 또는 복사 명령이 인가된 경우(S28),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영역으로 해당 데이터가 이동 또는 복사되도록 한다(S2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비공개 설정하고, 기 설정된 키 버튼 조작에 의해서만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데이터 저장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차단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와;
    분할 영역에 각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을 통해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키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판단부와; 분할된 메모리 영역별 메뉴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버튼 조작 시에만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공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조작된 키 버튼 신호를 판단하여, 분할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 중 해당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메모리 영역 분할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일반 메모리 영역과 분할된 메모리 영역 간 데이터의 이동 또는 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8.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는 제1단계;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는 제2단계;
    상기 메뉴 항목이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대한 진입 키로 상기 선택된 키 버튼을 설정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로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키 버튼의 입력 시에만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공개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한 메뉴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를 통해 선택된 메뉴 항목을 설정하거나, 또는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을 설정하는 제2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자동으로 메뉴 항목을 설정하는 경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일반 메모리 영역 또는 분할된 메모리 영역 중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설정방법.
  12. 메모리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 공개로 설정하며, 기 설정된 조합 키 버튼 신호의 입력 시에만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한 공개를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조합 키 버튼 신호를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키 버튼 신호 감지 시, 감지된 키 버튼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분할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는 제3단계; 및
    검색된 분할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설정에 따라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출력된 데이터 리스트 중 선택된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삭제
KR1020050117079A 2005-12-02 2005-12-02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13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ko) 2005-12-02 2005-12-02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ko) 2005-12-02 2005-12-02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532A KR20070057532A (ko) 2007-06-07
KR101139452B1 true KR101139452B1 (ko) 2012-04-30

Family

ID=3835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ko) 2005-12-02 2005-12-02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4192B1 (en) 2015-04-02 2016-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US9842050B2 (en) 2015-04-30 2017-1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d-on memory coherence directo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57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바로 가기 방법
KR20040041219A (ko) * 2002-11-08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권한 제한방법
KR20040104206A (ko) * 2003-06-03 200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리 관리 방법
JP2005115492A (ja) 2003-10-03 2005-04-28 Nec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メールセキュリティ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57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바로 가기 방법
KR20040041219A (ko) * 2002-11-08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권한 제한방법
KR20040104206A (ko) * 2003-06-03 200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리 관리 방법
JP2005115492A (ja) 2003-10-03 2005-04-28 Nec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メールセキュリティ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532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0591B (zh) 移动终端用户数据的安全防护装置以及方法
US9350546B2 (en) Method and system to decrypt private contents
JP2017518598A (ja) 権限管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70300260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ata migration
EP3719728A1 (en) Payment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201703160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resource
RU265816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разблокировки
CN103873668A (zh) 用于保护便携式终端的用户数据的方法及便携式终端
US20160171722A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background display
KR1004389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276866B1 (ko)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단말 장치 및 이의 잠금 해제 방법
KR101139452B1 (ko)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N107423378A (zh) 图片显示方法及装置
US20150332470A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background display
JP2008227907A (ja) 携帯端末装置
KR20190067240A (ko) 가상 네비게이션 바의 처리 방법 및 단말기
US201202662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orization management
KR20070056578A (ko) 휴대 단말기의 비밀번호 재설정 방법
JP2009069932A (ja) 個人認証装置、個人認証方法、個人認証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KR100638222B1 (ko) 레벨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터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600771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보안 설정 방법
KR101254798B1 (ko)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관련 항목을 숨기는방법 및 장치
KR100678892B1 (ko) 휴대폰의 오용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673472B1 (ko) 개인정보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1350536A (ja) 処理装置及び処理起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