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313B1 -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313B1
KR100678313B1 KR1020050122893A KR20050122893A KR100678313B1 KR 100678313 B1 KR100678313 B1 KR 100678313B1 KR 1020050122893 A KR1020050122893 A KR 1020050122893A KR 20050122893 A KR20050122893 A KR 20050122893A KR 100678313 B1 KR100678313 B1 KR 10067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housing
liquid pipe
liquid
temperature re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철
조현욱
김영도
오주현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5Re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냉동기)에 구비된 고온 재생기의 액관 외주면의 일정한 부분에서만 국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불꽃 스트리임이 향하도록 되어 있는 버너;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버너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버너의 불꽃 스트리임 방향으로 기다란 유선형으로 단면이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버너의 불꽃 방향에 대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선형 액관을 포함하여, 상기 액관의 국소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관의 외주면 전체에 대해 불꽃 스트리임이 고르게 분포되어 액관내에서 유동되는 흡수용액에서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도록 하여 고온 재생기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흡수식 냉동기, 냉온수기, 고온 재생기, 액관, 버너, 흡수용액, 냉매

Description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High generator For Absorption Refrigerat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냉동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종래기술의 액관식 고온 재생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의 단면이 원형인 액관 및 버너의 위치를 간단하게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c는 종래 기술의 다른 형태의 액관을 갖춘 고온 재생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 액관이 하우징내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유선형 액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유선형 액관의 외형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방향 유선형 액관의 단면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d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첨형의 유선형 액관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첨형의 유선형 액관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20)내의 일렬식 액관의 배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20) 내의 교차식 액관(100)의 배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의 하우징 내의 액관이 복합식으로 배치된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 내에 일방향 유선형 액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내에 일방향 유선형 액관이 서로 대칭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응축기 12 : 저온 재생기
13 : 고온 재생기 14 : 배관
16 : 흡수기 17 : 증발기
18, 19 : 펌프 20 : 하우징
21 : 연기 배출부 25 : 버너
30 : 원형 액관
31: 측면이 원형인 장방형 액관
100, 110, 111, 120, 130 : 유선형 액관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냉동기)의 고온 재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재생기의 액관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온 재생기 액관의 형태를 변경한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흡수식 냉동기 또는 냉온수기는 냉매 증기의 액체 용해도가 온도,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는 냉동기 또는 냉온수기(이하, '냉온수기'로 통칭한다)로서, 냉매로는 물이 사용되며 증발된 냉매를 회수하기 위한 흡수 용액으로는 취화리튬(LiBr) 등이 사용된다.
종래의 흡수식 냉온수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는 흡수 용액을 외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 농축하는 고온 재생기(13), 전열관 외에 흡수 용액의 유하액막을 형성하여 상기 고온 재생기(13)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의 열 에너지로 가열, 농축하는 저온 재생기(12), 상기 저온 재생기(12)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응축함과 동시에 고온 재생기(13)에서 발생하여 저온 재생기(12)의 관내에서 응축된 냉매액과 혼합하는 응축기(11), 관외에 냉매액의 유하액막을 형성하여 증발시켜 관내의 냉수를 냉각하는 증발기(17), 상기 증발기(17)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흡수 용액의 유하액막에 의하여 흡수하여 용기 내를 저압으로 유지하여 증발을 촉진하는 흡수기(16), 상기 저온 및 고온 재생기(12)(13)로부터 흡수기(16)로 순환하는 흡수 용액으로부터 현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는 저온 및 고온 열교환기(12a)(13a) 및 이들을 접속하는 배관류(14)(15)와 냉매 펌프(18)와 용액 펌프(19)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 재생기(13)는 외부의 열원에 의해 고온 재생기(13)내의 액관이 가열된다. 통상적으로 흡수 용액인 취화리튬은 냉매 증기인 수증기를 어느 정도 흡수하면 더 이상의 수증기를 흡수할 수 없는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 경우 수증기를 분리해내지 않으면 더 이상 수증기를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수증기 분리 방법은 열을 가해서 취화리튬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을 분리해 내는 것이다.
고온 재생기에는 흡수 용액인 취화리튬과 수증기의 혼합액이 액관을 통과하면서 외부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이 분리되는데, 상기 액관은 2중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연관식 및 액관식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연관식은 액관 내부에 열이 가해지고, 액관 외부에 상기 혼합액이 통과되며, 액관식은 액관 내부에 혼합액이 통과되며, 액관 외부에 열이 가해진다.
액관식은 버너와 수분 분리실의 배치에 따라 노통식, 직접 분사식으로 구분된다. 노통식은 버너에서 발생된 연기가 연기통을 통해 분리실로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직접분사식은 별도의 분리실과 인접된 액관과 근접한 곳에 버너가 위치하여 버너의 불꽃과 발생하는 연기가 보유한 열을 바로 용액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연기의 이동거리가 짧고 불꽃의 열을 이용함으로 인해서 효과가 뛰어나다.
도 2a는 종래기술의 액관식 고온 재생기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고온 재생기(13)는 하우징(20), 버너(25), 원형 액관(30), 연기 배출부(21)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외부 열원으로 사용되는 버너(25)가 배치되어 있으며, 흡수 용액인 취화 리튬이 수증기를 흡수한 혼합액이 통과하는 원형 액관(30)이 상기 버너(25)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버너(25)가 배치되는 하우징(20)의 반대편에 연기 배출부(21)가 배치되어 상기 버너(25)에서 생성된 연기가 상기 연기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도 2b는 종래 기술의 단면이 원형인 액관 및 버너의 위치를 간단하게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을 관통하는 종래 기술의 액관(30)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경우에는, 버너(25)에 의해 원형 액관(30)에 열이 가해질 때, 버너(25)쪽에서 먼쪽의 액관(30)의 외주면에는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따라, 버너(25)에 인접한 원형 액관(30)의 일부분에만 열이 국한되어 가해져서 일부분만 과열되게 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도 2c는 종래 기술의 다른 형태의 액관을 갖춘 고온 재생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입의 측면이 원형 장방형 액관은 버너(25)의 불꽃이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측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013636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 우 버너(25)에서 생성된 열을 가진 불꽃이 상기 액관(31)의 편평한 측면을 따라 흐르면서 연기 배출부(21)에 인접한 출구방향에서는 열교환 정도가 떨어져서 액관(31)의 일부만이 과열되는 문제를 해소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고온 흡수기내의 액관 외주면의 일정한 부분에서만 국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액관내에서 유동되는 흡수용액에 흡수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해내어 흡수식 냉온수기의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 흡수기, 응축기,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를 포함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에서 외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흡수 용액을 가열, 농축하는 상기 고온 재생기로서,
삭제
삭제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불꽃 스트리임이 향하도록 되어 있는 버너 ;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버너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버너의 불꽃 스트리임 방향으로 기다란 유선형으로 단면이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버너의 불꽃 방향에 대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선형 액관을 포함하여, 상기 액관의 국소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관의 장축의 정점 P1의 곡률반경과 정점 P2의 곡률 반경이 서로 같은 양방향 유선형 액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액관의 장축의 정점 P1의 곡률 반경과 정점 P2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한 일방향 유선형 액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관의 장축의 정점 P1 또는 정점 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첨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유선형 액관의 형태가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관의 장축 정점에서의 곡률반경이 더 큰 쪽이 상기 버너를 향해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관의 장축 정점에서의 곡률반경이 더 작은 쪽이 상기 버너를 향해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너의 가장 인접해 있는 상기 액관의 장축 정점의 곡률반경이 더 큰쪽이 버너를 향해 배치되고, 정점 P1 및 P2에서의 곡률반경이 서로 다른 액관들이 서로 거울형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내에 원형의 액관이 더 구비되어, 버너에 가까운 쪽에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 재생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 액관이 하우징내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온 재생기는 하우징(20), 버너(25), 액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연기배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너(25)는 하우징(20) 내부로 불꽃 스트리임(stream)을 분사하도록 하우징(20)의 일측에 상기 연기 배출부(21)에서 떨어져 있는 반대편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불꽃 스트리임의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개의 액관(100)들이 배치된다. 도 3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하나의 열로 정렬된 액관(100)들 만을 예시하였다. 상기 복수개의 액관(100)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된 단일한 액실(26)에 연결되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유선형 액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액관은 하우징(20)내의 버너(25)의 불꽃 분사 방향으로 기다랗게 뻗어있는 유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관들은 여러 형태의 유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A 대 단축 B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축의 좌 우측 정점(P1, P2)의 내접원의 내부 곡률 반경이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축 A 대 단축 B의 길이의 비, A/B가 1 보다 큰 유선형을 이룬다. 상기 P1 및 P2에서의 곡률 반경이 가능한 한 작게 형성되어 액관의 단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는 유선형 액관의 외형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관(100)의 외벽은 파동형(101, 102)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전체적으로 액관(100)의 외면은 구불구불한 형태를 이루어 버너(25)의 불꽃이 상기 액관(100)의 외면에 가해질 경우, 불꽃이 난류를 형성하여 액관(100)의 국소적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방향 유선형 액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유선형 액관(110)은 장축 A 와 단축 B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축 A 는 단축 B 를 기점으로 좌측으로 a 구역 및 우측으로 b 구역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a의 길이가 b의 길이보다 같거나 또는 더 작으며, a 구역의 정점 P2의 내접원의 곡률반경이 b 구역 정점 P1에서의 내접원의 곡률 반경보다 큰 유선형을 이룬다.
도 4d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첨형의 유선형 액관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첨형의 유선형 액관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첨형의 유선형 액관(120)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형이 일측 예컨데, P3 에만 형성되어 있고 다른 P4에는 라운드형 유선형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 액관(130)은 이것의 장축 정점인 예컨데 P3 및 P4 양측에 첨형이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20)내의 일렬식 액관의 배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고온 재생기(13)의 하우징(20)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하우징(20)의 길이방향의 내부로 불꽃 스트리임이 분사되도록 하는 버너(25)가 배치되며, 반대편에는 연기배출부(2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는 냉매와 흡수액의 혼합액을 고온재생기(13)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2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연기 배출부(21)에 인접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액관(100)이 행렬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배치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액관(100)들은 하우징(20)내에서 버너(25)의 불꽃 스트리임 분사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20) 내의 교차식 액관(100)의 배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고온 재생기(13)의 하우징(20) 내부에 연기 배출부(21)에 인접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액관(100)이 하우징(20)내에서 버너(25)의 불꽃 스트리임 분사방향으로 대해 세로 방향으로는 일렬로 배치되나, 가로 방향에 대해서는 서로 교번되어 엇갈려 있는 형태로 정렬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의 하우징 내의 액관이 복합식으로 배치된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0)의 버너(25)에 인접한 부분에는 단면이 원형인 액 관(30)이 배치되어 있고, 연기 배출부(21)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본 발명의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선형 액관(1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 내에 일방향 유선형 액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서 버너(25)의 불꽃 스트리임에 대해서는 유선형 액관(110)의 정점 P1의 곡률 반경이 큰 부분이 향하여 있고, 연기 배출부(21) 방향으로는 상기 유선형 액관(110)의 정점 P2의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이 배치되도록 상기 유선형 액관(110) 모두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고온 재생기 하우징내에 일방향 유선형 액관이 서로 대칭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버너(25)에 인접한 부분에서 불꽃 스트리임에 대해 교차하여 세로로 정렬된 액관(110)들이 정점 P1의 곡률 반경이 큰 부분이 향하여 있고, 정점 P2는 반대편으로 향해져 있다. 이러한 세로 정렬된 액관(110)들에 인접해서, 상기 버너(25)에서 멀어지는 부분에서는 상기 유선형 액관(111)들이 거울형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곡률 반경이 작은 정점들이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 액관(100,110,111,120,130)들이 하우징(20)내에 여러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버너(25)의 불꽃 방향의 스트리임이 상기 액관(100,110,110,120,130)이 전체 주변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가해지게 된다. 상기 유선형 액관(100,110,111,120,130)들의 하우징내의 배치는 상술한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함 은 자명한 사실이다.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액관(30)의 경우 상기 버너(25)의 불꽃 스트리임이 액관의 일부에만 가해지는 반면에, 본 발명의 유선형 액관(100, 110, 111, 120, 130)이 적용됨에 의해, 액관의 외주면 전체에 대해 불꽃 스트리임이 고르게 분포되어 고온 재생기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고온 재생기의 하우징내에 다양한 유선형 액관을 배치함으로 인해서, 버너에서 먼 쪽의 액관 후단부에서 발생하였던 불꽃 스트리임의 와류를 감소시켜서 불꽃 스트리임의 유동을 원할하게 하며, 액관 전체에 열교환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따라, 고온 재생기의 액관의 국부 과열을 방지하여 고온 재생기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10)

  1. 증발기, 흡수기, 응축기,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를 포함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에서 외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흡수 용액을 가열, 농축하는 상기 고온 재생기로서,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불꽃 스트리임이 향하도록 되어 있는 버너;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버너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버너의 불꽃 스트리임 방향으로 기다란 유선형으로 단면이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버너의 불꽃 방향에 대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복수개의 유선형 액관을 포함하여, 상기 액관의 국소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의 장축의 정점 P1의 곡률반경과 정점 P2의 곡률 반경이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의 장축의 정점 P1의 곡률 반경과 정점 P2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의 장축의 정점 P1 또는 정점 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첨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유선형 액관의 형태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유선형 액관의 형태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의 장축 정점에서의 곡률반경이 더 큰 쪽이 상기 버너를 향해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의 장축 정점에서의 곡률반경이 더 작은 쪽이 상기 버너를 향해 하 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9.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가장 인접해 있는 상기 액관의 장축 정점의 곡률반경이 더 큰쪽이 버너를 향해 배치되고, 정점 P1 및 P2에서의 곡률반경이 서로 다른 액관들이 서로 거울형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원형의 액관이 더 구비되어, 버너에 가까운 쪽에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KR1020050122893A 2005-12-14 2005-12-14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KR10067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93A KR100678313B1 (ko) 2005-12-14 2005-12-14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93A KR100678313B1 (ko) 2005-12-14 2005-12-14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313B1 true KR100678313B1 (ko) 2007-02-02

Family

ID=3810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893A KR100678313B1 (ko) 2005-12-14 2005-12-14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3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852A (ko) * 1996-04-20 1997-11-07 다까노 야스아끼 흡수식 냉동기
KR970070846A (ko) * 1996-04-30 1997-11-07 다까노 야스아끼 고온 재생기
KR20000007338A (ko) * 1998-07-02 2000-02-07 구자홍 암모니아 흡수식 시스템의 냉매 유로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852A (ko) * 1996-04-20 1997-11-07 다까노 야스아끼 흡수식 냉동기
KR970070846A (ko) * 1996-04-30 1997-11-07 다까노 야스아끼 고온 재생기
KR20000007338A (ko) * 1998-07-02 2000-02-07 구자홍 암모니아 흡수식 시스템의 냉매 유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5100B2 (ja) 吸収式冷温水機の高温再生器及び吸収式冷温水機
CN105972673B (zh) 一种中继能源站型大温差供热系统及方法
KR100678313B1 (ko) 흡수식 냉온수기용 고온 재생기
CN204063674U (zh) 溴化锂吸收式制冷机组
CN110017706A (zh) 热交换器和吸收式制冷机
KR890004393B1 (ko) 공냉형 흡수식 냉수기
CN110068169A (zh) 一种包含有多个冷热源换热器的热泵机组
US5373709A (en) Absorption type refrigerator
CN209655617U (zh) 一种溴化锂吸收式冷温水机
JP6180152B2 (ja) 吸収式冷凍機
CN203375765U (zh) 吸收式热泵机组
KR102268283B1 (ko)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KR102267348B1 (ko) 재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JP2806798B2 (ja) 吸収式冷凍装置
KR20200120186A (ko) 흡수식 냉온수기
KR100464924B1 (ko) 핀튜브식 고온재생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
JP7080001B2 (ja) 吸収式冷凍機
CN105378395B (zh) 空冷吸收式机器
CN107504710A (zh) 烟气热水单双效复合型溴化锂吸收式冷水机组
CN211739543U (zh) 吸收式余热制冷机及其空压机
KR200186161Y1 (ko) 직화식 냉동기의 재생기용 튜브
CN204574595U (zh) 太阳能冷库制冷系统
KR100472576B1 (ko) 암모니아 흡수식 냉동기
JP3832023B2 (ja) 吸収式冷凍機の発生器および熱交換器
CN204739709U (zh) 基于太阳能供热的生活热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