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026B1 -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026B1
KR100678026B1 KR1020040024313A KR20040024313A KR100678026B1 KR 100678026 B1 KR100678026 B1 KR 100678026B1 KR 1020040024313 A KR1020040024313 A KR 1020040024313A KR 20040024313 A KR20040024313 A KR 20040024313A KR 100678026 B1 KR100678026 B1 KR 10067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ortable terminal
control signal
functio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139A (ko
Inventor
장태환
류영무
노태문
김학상
최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0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모듈을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충전기에 구비시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기에서 지원되는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휴대용 충전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충전기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동작을 수행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기능 모듈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기능 모듈과 충전부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 충전기, 만보기 모드, MP3 모드, 라디오 모드, FM 송신 모드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VERSATILE PORTABLE CHARGER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의 형상과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11: 움직임 감지부
12: MP3 재생부 13: 라디오 수신부
14: FM 송신부 15: 메모리 확장부
16: 충전부 17: 제1 제어부
18: 제1 커넥터 19: 다기능 모듈
20: 휴대용 단말기 21: RF부
22: 데이터 처리부 23: 오디오 처리부
24: 제2 제어부 25: 메모리
26: 키패드 27: 표시부
28: 유아트(UART) 29: 제2 커넥터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모듈을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충전기에 구비시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기에서 지원되는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을 주기능으로 하고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는 단순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무선 인터넷기능까지 제공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다기능을 구비한 멀티형 휴대용 단말기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멀티형 휴대용 단말기의 다기능으로는 카메라 기능과 MP3기능 및 라디오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좀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세로 간다면 더욱더 다양한 기능의 모듈이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로 발전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욕구와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협소한 휴대용 단말기에 기능에 따른 각각의 모듈을 실장하기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공간상 제한이 따르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공간상 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다기능에 해당하는 모듈들이 내장되게 되면 통화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휴대하는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모듈을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충전기에 구비시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충전기에서 지원되는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로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충전기를 통해 휴대용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경우에만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용 충전기에 연결하여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충전기에 구비한 만보기기능을 휴대용 단말기가 제어하여 걷거나 달리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충전기에 구비한 MP3기능을 휴대용 단말기가 제어하여 MP3음악을 재생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충전기에 구비한 FM송신기 기능을 휴대용 단말기가 제어하여 오디오신호를 외부 음향기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충전기에 구비한 라디오 기능을 휴대용 단말기가 제어하여 라디오를 수신 및 청취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휴대용 충전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충전기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동작을 수행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기능 모듈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기능 모듈과 충전부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휴대용 충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충전기와 연결시, 다기능 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 그 다기능 모드중 선택되는 기능 모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기능 모드에 따른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 충전기측으로 전송하여 해당 기능모드를 제어하여 실행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에 구비된 모듈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다기능 모드는 만보기 모드, MP3 모드, 라디오 모드, FM송신모드를 일예로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인지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는 일명 홀스터 차저(holster charger)라고 하여 쉽게 바지밸트 등에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를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배면에 클립형상의 부착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상기 부착 수단10a를 구비한 형상으로, 휴대용 단말기20과 연결되어 하기에 후술할 다기능 모드를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제어부17이 그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에 구비된 각 블럭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제2 제어부2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해야 함을 인지해야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다기능 모듈19는 모드(다기능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으로부터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다기능 모듈19는 하기의 움직임 감지부11, MP3 재생부12와 라디오 수신부13 및 FM 송신부14로 구성된다.
움직임 감지부11은 만보기 모드시, 제1 제어부17의 제어하에 걷거나 달리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만보기(또는 만보계) 기능과 같이 사용자의 걸음수를 체크하여 사용자의 소비열량을 추산하여 사용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그에 따른 소비열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움직임 감지부11은 사용자의 걸음수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상하 운동에 따른 움직임만을 감지하여 카운팅 한다.
MP3 재생부12는 MP3 모드시, 제1 제어부17의 제어하에 MP3파일을 재생하고, 그 재생된 MP3 파일의 오디오신호를 제1 커넥터18을 거쳐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MP3 재생부12는 MP3 모드에서 외부 음향기기를 통해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FM송신모드시에는 제1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재생되는 MP3파일의 오디오신호를 FM송신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MP3 재생부12는 MP3포맷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라디오 수신부13은 라디오 모드시, 제1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를 수신한후, 제1 커넥터18을 거쳐 휴대용 단말기2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라디오 수신부13은 FM/AM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동조(튜너), 고주파증폭, 주파수변환(중간주파), 중간주파증폭, 복조(검파), 저주파(음성)증폭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FM송신부14는 제1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상기 MP3재생부12로부터 수신한 MP3파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후 주파수 변조(FM: Frequency 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FM송신부14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FM송신부14는 운전중에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핸즈프리 키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으로부터 수신한후, 제1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주파수 변조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FM송신부14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주파수 채널(88.1~108MHz사이의 주파수 채널중 공인 방송이 없는 주파수 채널)로 주파수 변조하여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FM송신부30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 음향기기를 통해 청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FM송신부14의 특정 주파수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로 위부 음향기기의 라디오 주파수를 설정하여야 한다.
메모리 확장부15는 스마트 미디어카드(SMC) 및 멀티 미디어카드(MMC) 등과 같은 메모리카드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충전부16은 내부에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내장하여 제1 제어부17의 제어하에 제1 커넥터18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16는 휴대용 단말기2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제어부17은 다기능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으로부터 입력받아 그에 따라 상기 움직임 감지부11, MP3재생부12와 라디오 수신부13 및 충전부16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7은 휴대용 단말기2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다기능 모드의 사용자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20측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다기능 모드에서 제공되는 모드 즉, 만보기 모드, MP3 모드, 라디오 모드, FM송신모드에 따른 상태 및 결과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제1 커넥터18은 상기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과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어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한다. 이때, 상기 제1 커넥터18은 휴대용 단말기20의 제2 커넥터28과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넥터18은 일예로 RS-232C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 1의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은 다음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20에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다기능모드를 제공하게 된다.
우선,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2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2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3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3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2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중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22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3은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MP3 재생부12를 통해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마이크MIC로 출력한다.
키패드26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기능 모드키, 방향키, 확인키, 숫자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5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기능 모드에 따라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 감지부11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걸음수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그에 따른 소비열량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MP3 재생프로그램 및 MP3 파일이 저장된다. 또한, 오디오신호를 FM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선택된 라디오 채널에 따른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 확장부15에 외부 확장 메모리카드 부착시, 그 외부 확장 메모리 카드를 통해 데이터를 실행, 저장 및 삭제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채널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제어부24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는 상기 데이터처리부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와 연결되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을 제어한다. 즉, 상기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을 제어하여 다기능 모드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는 만보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 MP3모드에 따른 제어신호, 라디오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 FM송신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27은 상기 제2 제어부24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7은 상기 제2 제어부24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드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즉, 다기능 모드에서 제공되는 모드인 만보기 모드, MP3 모드, 라디오 모드, FM송신모드에 따른 상태 및 결과치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27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유아트(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28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직렬장치들로 상기 제2 제어부2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병렬 바이트들을 하나의 단일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수신한 단일 직렬 비트 스트림을 병렬 바이트들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제어부24로 출력한다. 이에, 외부의 직렬장치들과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커넥터29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과 휴대용 단말기2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커넥터29와 제1 커넥터18이 연결되어, 상기 유아트2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제1 커넥터18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커넥터29는 상기 제1 커넥터18을 통해 출력되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유아트28로 출력한다. 이에, 상기 제2 커넥터40은 제1 커넥터18과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20이 상기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에 의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제2 제어부24는 제2 커넥터29에 장착된 외부기기가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인지를 감지한후, 휴대용 단말기20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신호를 제1, 제2 커넥터18, 29를 통해 제1 제어부17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어부17은 충전부16에 의해 충전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 내부에 구비된 보조 배터리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20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는 키패드26을 통해 선택된 다기능 모드가 만보기 모드이면, 움직임 감지부11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를 통해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 의 제1 커넥터18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제어부17은 상기 제1 커넥터18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움직임 감지부11과 상기 만보기 기능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17은 키패드26을 통해 선택된 다기능 모드가 MP3모드이면, MP3재생부12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를 통해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제어부17은 상기 제1 커넥터18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상기 MP3재생부12와 상기 MP3모드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17은 키패드26을 통해 선택된 다기능 모드가 라디오 모드이면, 라디오 수신부13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를 통해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제어부17은 상기 제1 커넥터18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상기 라디오 수신부13과 상기 라디오 모드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17은 키패드26을 통해 선택된 다기능 모드가 FM송신 모드이면, FM송신부14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를 통해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제어부17은 상기 제1 커넥터18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상기 FM송신부14와 상기 FM송신 모드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은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서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충전부16의 보조 배터리를 통해 충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다기능 휴대용 충전 기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기능 모드에 제공되는 기능들을 만보기 모드, MP3모드, 라디오 모드, FM송신 모드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11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제2 커넥터29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연결되면, 313단계로 진행하여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2 커넥터29에 외부기기가 연결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20의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이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이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27에 표시한다.
이후, 315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부24는 키패드26에 구비된 다기능 모드키 혹은, 상기 다기능 모드키와 동일한 키조작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다기능 모드키 혹은, 상기 다기능 모드키와 동일한 키조작이 입력되면 31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317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다기능 모드 메뉴를 표시부27에 표시하고, 319단계에서 선택되는 모드를 감지한다. 즉, 상기 제2 제어부24는 표시부27에 표시되는 상기 다기능 모드 메뉴인 1. 만보기 모드, 2. MP3모드, 3. 라디오 모드, 4. FM송신 모드중, 사용자에 선택 입력되는 숫자키 혹은 방향키와 확인키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를 감지한다.
상기 선택되는 모드가 "1. 만보기 모드" 이면 하기에 기술할 내용을 통해 만보기 모드를 수행한다.
즉, 321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만보기 모드시, 만보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 및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을 통해 제1 제어부17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어부17은 움직임 감지부11을 동작시켜 상하 운동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을 체크한다. 이때, 상기 움직임 감지부11은 상하 운동 즉, 수직운동이 아닌 좌우 운동의 수평운동에 따른 움직음은 체크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걷거나 달리는 운동량만을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된 움직임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데이터가 처리되고, 제2 제어부24에 의해 만보기 기능과 같이 사용자의 소비열량을 추산하여 사용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그에 따른 소비열량을 정확히 계산한후 표시부27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319단계에서 모드 선택감지결과, 상기 선택되는 모드가 "2. MP3 모드" 이면 하기에 기술할 내용을 통해 만보기 모드를 수행한다.
즉, 323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만보기 모드시, 만보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 및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을 통해 제1 제어부17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어부17은 MP3 재생부12를 동작시켜 MP3파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후 오디오 처리부23을 통해 재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24는 이어폰이 연결될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23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으면 스피커SPK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MP3모드는 재생되는 MP3파일을 이전 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되감기 기능, 재생중인 구간에서 이후의 재생구간으로 이동시키는 빨기 감기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구간이동은 소정초 단위로 이동가능하며 재생중에서도 가능할뿐만 아니라, 정지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재생중에 구간이동이 되면 이동된 구간부터 재생이 되고, 정지상태에서 구간이동이 되면 그 구간으로 이동만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재생중에 소정시간 정지시킨후 다시 그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일시중지 기능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 제어부24는 메모리25에 저장된 MP3 파일들을 독출하여 MP3 파일목록으로 표시부27에 표시하고, 그 중 선택된 MP3 파일을 독출하여 상기 MP3 재생부12를 통해 디코딩한후 오디오 처리부23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는 메모리25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메모리 확장부15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SMC/MMC)에 저장된 MP3 파일들도 상기와 동일한 제어과정에 거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듣고자 하는 MP3 파일을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확장부15에 장착된 메모리카드에서 선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MP3모드는 외부의 음향기기를 통해 MP3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도 있다. 이에 대한 제어과정은 하기의 FM송신모드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319단계에서 모드 선택감지결과, 상기 선택되는 모드가 "3. 라디오 모드" 이면 하기에 기술할 내용을 통해 만보기 모드를 수행한다.
즉, 325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라디오 모드시, 라디오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 및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을 통해 제1 제어부17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어부17은 라디오 수신부13을 동 작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라디오 채널 방송신호를 수신한후 오디오 처리부23을 통해 스피커SPK로 라디오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24는 이어폰이 연결될 경우에는 스피커SPK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라디오모드는 사용자가 쉽게 라디오 채널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소정개의 라디오 방송채널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된 소정개의 라디오 방송채널은 채널 목록이라는 메뉴에 FM과 AM 라디오 방송으로 구분되어 등록/저장된다. 이후, 상기 채널 목록에 등록/저장된 라디오 방송채널중 필요없는 라디오 방송채널에 대해서는 삭제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319단계에서 모드 선택감지결과, 상기 선택되는 모드가 "4. FM송신 모드" 이면 하기에 기술할 내용을 통해 FM송신 모드를 수행한다.
즉, 327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FM송신 모드시, FM송신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 및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을 통해 제1 제어부17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어부17은 FM송신부14를 동작시켜 휴대용 단말기20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후 주파수 변조하여 외부 음향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FM송신부30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 음향기기를 통해 청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FM송신부14의 특정 주파수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로 위부 음향기기의 라디오 주파수를 설정해야 상기 FM송신모드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화시 FM송신모드가 선택되면, 휴대용 단말기20은 상대방의 음성을 외 부 음향기기로 출력한다. 또한, FM 송신모드에서 지원되는 MP3 기능을 실행하면
제2 제어부24는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유아트28과 제2 커넥터29 및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10의 제1 커넥터18을 통해 제1 제어부17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제어부17은 MP3 재생부1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FM 송신부14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FM송신부14는 입력된 MP3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 변조하여 외부 음향기기로 출력한다.
이후, 329단계에서 제2 제어부24는 상기한 다기능 모드(만보기 모드, MP3 모드, 라디오 모드, FM송신 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다기능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다기능 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만을 위한 용도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에서 분리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만보기 기능과 MP3기능과 라디오 기능 및 FM송신기능 등의 다기능 이용시에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에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써,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기능을 이용하면서도 통화시와 상기 다기능 이용이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에 다기능에 따른 각각의 모듈을 실장함으로써, 상기 다기능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를 경량화 및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휴대용 충전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충전기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동작을 수행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기능 모듈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기능 모듈과 충전부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모듈은 만보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상하 운동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카운팅하고, 그 카운팅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와;
    MP3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MP3 파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MP3 재생부와;
    상기 MP3 재생부 또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 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FM송신부와;
    라디오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부와;
    외부 확장 메모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메모리 확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휴대용 충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충전기와 연결시, 다기능 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 그 다기능 모드중 선택되는 기능 모드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기능 모드에 따른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 충전기측으로 전송하여 해당 기능모드를 제어하여 실행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드를 감지하는 과정은 감지결과, 선택된 기능 모드가 만보기 기능모드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하 운동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상하 운동에 따른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감지결과, 선택된 기능 모드가 MP3 모드이면, 선택된 MP3 파일의 음악을 디 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감지결과, 선택된 기능 모드가 라디오 모드이면, 선택된 해당 주파수 채널의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감지결과, 선택된 기능 모드가 FM 송신 모드이면, 통화시에는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고, FM 송신모드상에서 MP3 기능 사용시, MP3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만보기 모드는 상하 운동에 따라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수, 소비열량, 이동거리, 이동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MP3 모드는 외부 확장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MP3 파일과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MP3 파일중 선택된 MP3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모드는 자주듣는 라디오 방송 채널을 등록/저 장 및 삭제할 수 있게 라디오 채널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24313A 2004-04-09 2004-04-09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제어방법 KR10067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313A KR100678026B1 (ko) 2004-04-09 2004-04-09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313A KR100678026B1 (ko) 2004-04-09 2004-04-09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139A KR20050099139A (ko) 2005-10-13
KR100678026B1 true KR100678026B1 (ko) 2007-02-02

Family

ID=3727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313A KR100678026B1 (ko) 2004-04-09 2004-04-09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537A (ko) 2014-09-03 2016-03-14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휴대용 충전기
KR20160028536A (ko) 2014-09-03 2016-03-14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휴대용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22B1 (ko) * 2007-10-15 201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KR101126615B1 (ko) * 2010-01-28 2012-03-26 황여실 음향신호 출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537A (ko) 2014-09-03 2016-03-14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휴대용 충전기
KR20160028536A (ko) 2014-09-03 2016-03-14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휴대용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139A (ko)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재생방법
KR101494642B1 (ko) 외부 장치별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외부 장치 운용 시스템
US7835809B2 (en) Digital media player accessory interface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JP3078286B1 (ja) バッテリ残量表示回路とこの回路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CN101536419A (zh) 对具有无线连接至显示器的媒体播放器的设备的远程控制
JP2011259409A (ja) 音声再生用装置、音声再生用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音声再生用装置利用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電話端末
JP200325914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電子機器および操作可能ボタン明示方法
CN106941635B (zh) 音箱连接方法及装置
WO2004003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CN106357913A (zh) 信息提醒方法及装置
KR20060106299A (ko)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8026B1 (ko) 다기능 휴대용 충전기 및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그의제어방법
WO1999035757A1 (fr)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a deux modes permettant l'utilisation selective d'un mode analogique ou d'un mode numerique
US7870615B2 (en) Information terminal with function of playing back contents
KR100827803B1 (ko) 초광대역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의 구동 방법
KR1006780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EP210147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74429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처리방법
KR100788281B1 (ko) 핸즈프리 장치 및 핸즈프리 장치 동작 방법
KR10100263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조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장치 및 그 운영 방법
CN111313979B (zh)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634016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チャンネル表示方法
KR200180260Y1 (ko)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기능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