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931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931B1
KR100677931B1 KR1020040081841A KR20040081841A KR100677931B1 KR 100677931 B1 KR100677931 B1 KR 100677931B1 KR 1020040081841 A KR1020040081841 A KR 1020040081841A KR 20040081841 A KR20040081841 A KR 20040081841A KR 100677931 B1 KR100677931 B1 KR 10067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io
main
external device
connection
sk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851A (ko
Inventor
성철모
강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9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5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wherein modules are associated together, e.g.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modu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형성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와 결합된 메인피씨비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메인피씨비에는 그 판면방향을 따라,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접속부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기기접속부와, 상기 전원접속부 및 상기 외부기기접속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방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스카트접속조립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스카트접속조립체에 결합되는 스카트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공간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후방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후방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스카트접속조립체가 메인피씨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카트접속조립체에서 지지부재와 스카트피씨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디스플레이부
11 : 패널부 12 : 메인피씨비
20 : 스탠드부 21 : 전원접속부
22 : 외부기기접속부 30 : 스카트접속조립체
31 : 스카트피씨비 32 : 접속단자부
35 : 지지부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피씨비에 스카트접속조립체가 장착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101)는 화상을 형성하는 패널부(미도시)와, 패널부에 결합되어 패널부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피씨비(112)와, 메인피씨비(112)와 이격되어 스카트커넥터(134)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스카트피씨비(131)와, 패널부 및 메인피씨비(112)의 전 · 후방에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싱(113) 및 후방케이싱(114)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01)는 스탠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테이블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스탠드부 없이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메인피씨비(112)의 하부에는 그 판면방향을 따라,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접속부(121)와, 컴퓨터본체(미도시)와 연결되는 컴퓨터단자(123)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전원접속부(121) 및 컴퓨터단자(123)에 각각 결합되는 케이블(미도시)은 메인피씨비(112)에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카트피씨비(131)에는 유럽규격에 의한 유럽형 A/V 출력단자인 접속단자부(132)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스카트커넥터(134)는 접속단자부(132)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후방케이싱(114)은 디스플레이장치(101)가 벽걸이형으로 사용될 때 벽면에 대해 결합되는 결합면(115)과, 결합면(115)으로부터 전방케이싱(113)을 향해 절곡 된 절곡면(116)을 포함한다.
후방케이싱(114)의 절곡면(116)의 일영역에는 전원접속부(121)와 컴퓨터단자(123)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복수의 관통공(114a,114b)이 형성되어 있고, 타영역에는 접속단자부(132)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컴퓨터본체 및 방송수신기 등과 연결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벽면에 설치될 때 스카트커넥터가 벽면과 간섭이 발생하여 스카트커넥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면과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 스카트커넥터 장착공간이 더 필요하므로 공간 활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카트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공간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와 결합된 메인피씨비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피씨비에는 그 판면방향을 따라,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접속부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기기접속부와, 상기 전원접속부 및 상기 외부기기접속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방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스카트접속조립체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카트접속조립체는, 스카트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장착된 스카트피씨비와; 일영역이 상기 메인피씨비와 결합되고 타영역이 상기 스카트피씨비와 결합되어 상기 스카트피씨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카트피씨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스카트피씨비와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삽입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카트접속조립체는 상기 외부기기접속부와 병렬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후방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스카트접속조립체가 메인피씨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카트접속조립체에서 지지부재와 스카트피씨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디스플레이부(1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하는 스탠드부(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상을 형성하는 패널부(11)와, 패널부(11)와 결합되고 복수의 칩(12a)이 장착된 메인피씨비(12)와, 패널부(11) 및 메인피씨비(12)의 전 · 후방에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싱(13) 및 후방케이싱(14)을 포함한 다. 디스플레이부(10)는 스탠드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탠드부(20)와 분리되어 벽걸이형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스탠드부(20)와 결합되어 테이블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후방케이싱(14)은 디스플레이부(10)가 벽걸이형으로 사용될 때 벽면에 대해 결합되는 결합면(15)과, 결합면(15)으로부터 전방케이싱(13)을 향해 절곡된 절곡면(16)을 포함한다. 절곡면(16)에는 후술할 전원접속부(21)와 외부기기접속부(22)와 스카트접속조립체(30)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관통공(14a,14b,14c)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피씨비(12)에는 그 판면방향을 따라,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접속부(21)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기기접속부(22)와, 전원접속부(21) 및 외부기기접속부(22)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방송수신기(미도시)와 연결되는 스카트접속조립체(3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전원접속부(21)와 외부기기접속부(22)와 스카트접속조립체(30)는 후방케이싱(14)의 절곡면(16)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4a,14b,14c)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0)가 벽면에 장착될 때, 전원접속부(21) 및 외부기기접속부(22)와 연결되는 각 케이블(미도시) 및 스카트접속조립체(30)와 연결되는 스카트커넥터(34)가 메인피씨비(12)에 대해 평행하게 결합됨으로써 케이블 및 스카트커넥터(34)가 벽면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카트커넥터(34)가 후방케이싱(14)에 대해 평행하게 결합되므로 스카트커넥터(34)가 차지하는 공간이 종래보다 축소되어 공간 활용이 증대될 수 있다.
전원접속부(21)와 외부기기접속부(22)는 메인피씨비(12)에 직렬적으로 배치 되고, 스카트접속조립체(30)는 외부기기접속부(22)와 병렬적으로 배치된다. 즉, 전원접속부(21)와 외부기기접속부(22)는 X방향으로 배치되고, 스카트접속조립체(30)는 Z방향으로 마련되어 외부기기접속부(22)와 이단구조를 갖는다.
외부기기접속부(22)는 컴퓨터본체(미도시)와 연결되는 컴퓨터단자(23)와, DVD 등과 연결되는 A/V 입 · 출력단자(24) 및 컴퍼넌트단자(25) 등을 포함한다.
스카트접속조립체(30)는 유럽규격에 의한 유럽형 A/V 출력단자로서, 국내에서는 방송수신기 등을 연결하여 디지털화된 컴퍼넌트(component)출력을 한다. 스카트접속조립체(30)는 메인피씨비(12)의 하단에 장착되며, 스카트커넥터(34)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32)가 장착된 스카트피씨비(31)와, 일영역이 메인피씨비(12)와 결합되고 타영역이 스카트피씨비(31)와 결합되어 스카트피씨비(3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5)를 포함한다.
스카트피씨비(31)는 접속단자부(32)와 전기적 신호를 송 · 수신하도록 복수의 칩(31a)을 포함하며, 메인피씨비(12)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스카트피씨비(31)에는 후술할 지지부재(35)의 걸림삽입공에 삽입되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35)는 거의 박스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스카트피씨비(31)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35)의 전면(36) 및 상면(37)의 일부는 스카트피씨비(31)와 지지부재(35)가 결합될 때 접속단자부(32)가 통과 가능한 정도로 절취 형성된다.
지지부재(35)의 상면(37) 및 후면(미도시)의 일부는 걸림돌기(33)가 삽입 가 능한 정도로 돌기삽입공(3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에, 스카트피씨비(31)의 걸림돌기(33)가 지지부재(35)의 돌기삽입공(38)에 삽입됨으로써 스카트피씨비(31)가 지지부재(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35)의 양측면(39)에는 지지부재(35)가 메인피씨비(12)에 결합되도록 돌출부(39b)가 마련된다. 이에, 지지부재(35)의 돌출부(39b)가 메인피씨비(12)의 돌출부삽입공(12b)에 결합된 후 솔더링(Soldering, 일명 납땜이라 함)됨으로써, 지지부재(35)가 메인피씨비(12)에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가 스카트피씨비에 마련되고 돌기삽입공이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나, 걸림돌기가 지지부재에 마련되고 돌기삽입공이 스카트피씨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지지부재는 메인피씨비 및 스카트피씨비로부터 발생한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카트접속조립체에 결합되는 스카트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공간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화상을 형성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와 결합된 메인피씨비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피씨비에는 그 판면방향을 따라,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접속부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기기접속부와, 상기 전원접속부 및 상기 외부기기접속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방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스카트접속조립체가 장착되며,
    상기 스카트접속조립체는,
    스카트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장착된 스카트피씨비와;
    일영역이 상기 메인피씨비와 결합되고 타영역이 상기 스카트피씨비와 결합되어 상기 스카트피씨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카트피씨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스카트피씨비와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카트접속조립체는 상기 외부기기접속부와 병렬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40081841A 2004-10-13 2004-10-13 디스플레이장치 KR10067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41A KR100677931B1 (ko) 2004-10-13 2004-10-13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41A KR100677931B1 (ko) 2004-10-13 2004-10-13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51A KR20060032851A (ko) 2006-04-18
KR100677931B1 true KR100677931B1 (ko) 2007-02-06

Family

ID=3714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841A KR100677931B1 (ko) 2004-10-13 2004-10-13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9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862U (ko) * 1997-05-20 1998-12-05 배순훈 텔레비젼 단자판의 스카트 잭 고정판 결합구조
KR19990041572U (ko) * 1998-05-21 1999-12-15 윤종용 엘시디 모니터
KR200279710Y1 (ko) 2002-03-21 2002-06-26 뉴컴월드 주식회사 튜너 외장형 lcd 모니터
KR20020079710A (ko) * 2000-06-16 2002-10-1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톨게이트 통행료 정산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결제시스템
KR20030094702A (ko) * 2002-06-07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862U (ko) * 1997-05-20 1998-12-05 배순훈 텔레비젼 단자판의 스카트 잭 고정판 결합구조
KR19990041572U (ko) * 1998-05-21 1999-12-15 윤종용 엘시디 모니터
KR20020079710A (ko) * 2000-06-16 2002-10-1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톨게이트 통행료 정산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결제시스템
KR200279710Y1 (ko) 2002-03-21 2002-06-26 뉴컴월드 주식회사 튜너 외장형 lcd 모니터
KR20030094702A (ko) * 2002-06-07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79710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51A (ko) 200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993A (en) Assembly containing a modular jack and a light emitting diode
US6224417B1 (en) Assembly containing a modular jack and a light emitting diode
JP3300947B2 (ja) シールド電気コネクタ
JP2006522485A (ja) 複数のモジュール収容ベイを備えたシールドケージ
US6811446B1 (en) Combination connector shell
US8206019B2 (en) Advanced connector assembly
CN1767730B (zh) 显示装置
US6976877B2 (en) Multilayer electric connector
JP2009164686A (ja) 表示装置
JPH04134893U (ja) 電子機器筐体構造
US20070232145A1 (en) Electronic part-mounting socket
US20150087165A1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double metallic shells
US6837742B1 (en) Modular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structure
KR10067793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30069071A (ko) 차폐형 커넥터조립체
JP2948914B2 (ja) 電気コネクタと印刷回路板
JP2000173708A (ja) 取付ブラケッ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7067480A (ja) 液晶テレビジョン
KR100532146B1 (ko)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US7911800B2 (en) Housing for electrical apparatus
JP2005123163A (ja) 電気コネクタ
JPH07221475A (ja) 電子装置
JP3451798B2 (ja) Acインレット
KR200214728Y1 (ko) 비동기식 직렬통신용 모듈러잭의 결합 브라켓
JPH1140272A (ja) 金属シェル付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