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88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88B1
KR100677888B1 KR1020050085296A KR20050085296A KR100677888B1 KR 100677888 B1 KR100677888 B1 KR 100677888B1 KR 1020050085296 A KR1020050085296 A KR 1020050085296A KR 20050085296 A KR20050085296 A KR 20050085296A KR 100677888 B1 KR100677888 B1 KR 10067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main body
pivot member
air conditio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기 본체에 결합된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없이 갑작스럽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와 전면패널을 연결하는 힌지결합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접촉하며 상기 전면패널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부여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서의 'A'부분이 결합된 것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전면흡입그릴이 개방된 직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전면흡입그릴이 개방되고 있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전면흡입그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5 : 힌지결합부재 18 : 지지턱
30 : 토션스프링 36 : 회동부재
39 : 경사부 43 : 걸림돌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냉매 팽창밸브와 증발기 등이 냉매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하며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증발기 등을 구비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분리되어 구성된 분리형 타입과,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체형 타입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은 분리형 공기조화기 중 실내기가 벽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4-00414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 본체의 전면에 흡입그릴이 형성된 전면패널이 결합되며, 사용자가 필터 청소나 교환등과 같이 실내기 전면을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패널을 위로 개방시켜야 했다.
이러한 경우, 전면패널과 실내기 본체는 힌지결합이 되어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이 위로 회동하면서 실내기 본체의 전면을 개방하였고, 전면패널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전면패널과 본체가 결합되는 부분의 마찰력에 의하여 그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전면패널에 유리와 같은 장식물이 부착되거나 혹은, 전면패널과 본 체가 결합되는 부분의 마찰력이 작아서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갑자기 내려앉는 경우가 있었고, 이럴 때, 제품파손이나 신체협착과 같은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이 스스로 자중 등에 의해 닫혀서 제품파손이나 신체협착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러한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와 전면패널을 연결하는 힌지결합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접촉하며 상기 전면패널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부여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외면에 상기 전면패널과 접촉하도록 경사가 형성된 캠면과, 상기 회동부재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캠면과 접촉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본체의 일부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부재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회동부재의 캠면이 접촉하여 일정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면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캠면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20)에 결합되는 전면패널(10)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패널(10)은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그릴(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면패널(10)은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이 되는데, 이러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면에는 힌지결합부재(15)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재(15)내부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안내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전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4)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결합부재(1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24)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24)의 일측벽에는 상기 안내홈(13)이 끼워질 수 있는 회동축(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재(15)는 상기 안내홈(13)의 안내를 받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13)은 상기 전면패널(1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본체(2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와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패널(10)이 닫힌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1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전면부분 중 상기 후크(1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후크(12)가 삽입될 수 있는 후크홀(27)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삽입구(24)의 옆에는 상기 전면패널(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저절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부재(36)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재(36)의 측면에는 상기 회동부재(36)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30)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재(36)는 상기 본체(20) 전면의 일측방에 형성된 회동부재삽입홈(43)의 일측벽에 있는 회동부재고정축(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30)은 상기 회동부재삽입홈(43)과 상기 삽입구(24)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삽입홈(29)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삽입홈(29)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고정축(33)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0)이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결합부재(15)가 상기 삽입구(24)에 일정길이만큼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결합부재(15)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곡률을 가진 안내홈(13)이 상기 회동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면패널(10)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고정축(33)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상기 토션스프링(30)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삽입홈(29)의 밑면에 결합되어 상기 토션스프링(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타단부는 'ㄱ'자로 구부러져 상기 회동부재(36)의 측면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36)가 상기 토션스프링(30)과 일체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회동부재(36)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재(36)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1)을 통하여 상기 회동부재고정축(32)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6)의 상면과 하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캠면(39)이 형성되는데, 상기 캠면(39)으로 인하여 상기 결합공(41)이 위치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동부재(36)의 일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줄어들게 되는 형상을 띠고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36)의 일단면은 라운딩처리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6)의 외면 중 상기 결합공(41)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회동부재(36)를 회동시켜서 위치를 원상복귀시킬 수 있는 조작부재(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부재(36)가 상기 토션스프 링(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위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회동부재(36)의 캠면(39)와 대응하여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면에는 상기 회동부재(36)와 접촉하는 지지턱(1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8)의 일면에는 상기 회동부재(36)의 일단부가 접촉한 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18)의 안내면은 회동부재(36)가 상기 전면패널(10)의 개방상태를 지지하면서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 지지턱(18)의 하단부분의 두께가 상단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와 상기 전면패널(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패널(10)을 잡아당겨서 개방을 시키면,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2)가 상기 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이 개방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회동부재(36)가 같이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미도시)의 이완작용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위로 올라오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36)의 움직임은 상기 지지턱(18)에 의하여 제한받게 되는데, 상기 전면패널(10)이 개방된 직후에는 상기 회동부재(36)의 캠면(39)이 상기 지지턱(18)의 모서리 부분에 접촉하기 때문이다.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전면패널(10)을 위로 더 올리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36)의 일단부의 위치가 점점 상승하게 되며, 상기 회동부재(36)의 캠면(39)은 상기 지지턱(18)의 모서리 부분을 지나서 상기 지지턱(18)의 안내면의 안내를 받아 점점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전면패널(10)의 상단부를 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동부재(36)의 캠면(39)은 라운딩처리가 되었기 때문에 상기 지지턱(18)의 안내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아니하고 안내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부재(36)는 상기 지지턱(18)의 안내면을 타고 상승하다가 마지막에는 상기 지지턱(18)과 상기 전면패널(10)의 상단부가 만나는 지점에 이르게 되고, 그 지점에서 더 이상의 회동부재(36)의 상승운동은 종결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36)이 상승운동이 종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패널(10)이 저절로 내려앉아서 폐쇄되는 경우는 예방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회동부재(36)와 결합된 토션스프링(미도시)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재(36)는 계속 위를 향하게 됨으로써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회동부재(36)가 정지해 있는 곳에서 아래로 갈 수록 상기 지지턱(18)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상기 전면패널(10)의 하중이 상기 회동부재(36)쪽으로 작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회동부재(36)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전면패널(1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패널(10)을 닫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패널(10)을 약간 들어올려서 상기 지지턱(18)과 상기 회동부재(36)을 약간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36)에 형성된 조작부재(42)에 손가락을 걸어서 누르거나 당기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36)가 회동하면서 상기 캠면(39)이 형성된 부분이 하강운동을 한다.
그 상태에서 계속 상기 조작부재(42)를 누르면서 상기 전면패널(10)을 하강시키면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6)의 캠면(39)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지지턱(18)의 모서리 부분을 지나서 상기 본체(20)의 전면을 향하게 되고, 상기 지지턱(18)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회동부재(36)의 캠면(39)을 누르게 되면서, 상기 전면패널(10)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벽걸이 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본체에 결합된 전면패널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기타 조작없이도 갑작스럽게 내려앉아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면패널을 개방한 상태에서 필터 청소나 교환을 하는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패널와 본체간의 갑작스러운 충돌로 인한 제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실내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와 전면패널을연결하는 힌지결합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접촉하며 상기 전면패널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부여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본체 전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외면에 상기 전면패널과 접촉하도록 경사가 형성된 캠면과, 상기 회동부재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당길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캠면과 접촉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본체의 일부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부재에 탄성복 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회동부재의 캠면이 접촉하여 일정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캠면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085296A 2005-09-13 2005-09-13 공기조화기 KR10067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296A KR100677888B1 (ko) 2005-09-13 2005-09-1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296A KR100677888B1 (ko) 2005-09-13 2005-09-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888B1 true KR100677888B1 (ko) 2007-02-05

Family

ID=3810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296A KR100677888B1 (ko) 2005-09-13 2005-09-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2440A (zh) * 2013-06-18 2013-09-1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安装装置及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559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후드 개방 유지장치
KR20010018817A (ko) * 1999-08-23 2001-03-15 윤종용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조사 광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50105771A (ko) * 2004-05-03 2005-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콘솔 리드의 스토퍼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559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후드 개방 유지장치
KR20010018817A (ko) * 1999-08-23 2001-03-15 윤종용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조사 광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50105771A (ko) * 2004-05-03 2005-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콘솔 리드의 스토퍼 구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41559 *
1020050105771
200118817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2440A (zh) * 2013-06-18 2013-09-1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安装装置及空调器
CN103292440B (zh) * 2013-06-18 2016-09-2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安装装置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8679B1 (en) Air conditioner
JP4279564B2 (ja) 空気調和機
KR100419202B1 (ko) 공기조화기
KR100677888B1 (ko) 공기조화기
KR100749765B1 (ko) 공기조화기
JPH0919640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0529576C (zh) 空调机
KR100814026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4B1 (ko) 공기조화기
KR100912301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필터가이드
KR100637670B1 (ko) 공기조화기
CN100572934C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100700756B1 (ko) 공기 조화기
KR101325767B1 (ko) 공기조화기
KR100637671B1 (ko) 공기조화기
KR101507161B1 (ko) 공기 조화기
CN216047939U (zh) 一种顶吸式吸油烟机
CN216047936U (zh) 一种顶吸式吸油烟机
CN219494190U (zh) 拢烟板的开合结构及吸油烟机
KR20030067256A (ko) 공기조화기의 탑 커버 고정구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CN211060332U (zh) 一种安全翻盖风幕机
KR1005795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77885B1 (ko) 공기조화기
KR920007263Y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