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764B1 -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764B1
KR100677764B1 KR1020050082998A KR20050082998A KR100677764B1 KR 100677764 B1 KR100677764 B1 KR 100677764B1 KR 1020050082998 A KR1020050082998 A KR 1020050082998A KR 20050082998 A KR20050082998 A KR 20050082998A KR 100677764 B1 KR100677764 B1 KR 10067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edge
anchor
tub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규
Original Assignee
유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규 filed Critical 유인규
Priority to KR102005008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a separate expander-part, actuated by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4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having axially compressing parts allowing the clamping of an object tightly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1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 wedging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볼트 몸체의 한쪽에 머리부를 두고 다른 한쪽에는 페이퍼진 쐐기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볼트와, 이와 한 쌍을 이루는 쐐기관은 쐐기관 몸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 전단부에는 나선부가 후단부에는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결합공이 형성되며 쐐기관 몸체의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앙카 볼트의 구조가 단순화하게 되고, 앙카 볼트를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에 시공하기가 용이하다.
앙카 볼트, 쐐기관, 결합공, 절개홈, 일체형 쐐기.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A anchor bol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1은 종래의 앙카 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5는 도1에 개시된 앙카 볼트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2는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 공에 쐐기관이 내입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3은 쐐기관 내의 결합공에 타공 핀이 내입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4는 타공 핀과 플라스틱 와셔가 쐐기관에 내입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5는 최종적으로 쐐기관에 와셔와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앙카 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7 내지 도9는 도6에 개시된 앙카 볼트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7은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 공에 쐐기관이 내입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8은 쐐기관에 나사 결합된 볼트에 의해 쐐기관의 확장부가 확장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9는 쐐기관에 나사 결합된 볼트에 의해 쐐기관의 확장부가 확장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볼트 12 : 볼트 몸체
13 : 머리부 14, 19 : 나선부
15 : 쐐기 16 : 쐐기관
17 : 쐐기관 몸체 18 : 결합공
20 : 테이퍼진 결합공 21 : 절개홈
22 : 확장부 23 : 와셔
24 : 앙카 공 25 : 구조물
26 : 무나선부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또는 드롭인 앙카 볼트, 볼트 쐐기 앙카 볼트라고도 한다.)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반이나 콘크리트 벽체와 같은 구조물에 내입된 쐐기관에 볼트가 결합됨과 동시에 별도로 타공 핀을 쏘지 않아도 쐐기관 끝 부분에 위치한 확장부가 확장되면서 쐐기관이 구조물 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앙카 볼트의 구조를 개선한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이나 콘크리트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에 어떤 부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통상의 앙카 볼트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앙카 볼트(anchor bolt)를 박은 후 이 앙카 볼트에 와셔와 너트를 채워 부착물이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앙카 볼트의 하나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쐐기관(101)과 이와 한 쌍을 이루는 볼트(102), 와셔(103), 타공 핀(104) 및 플라스틱 와셔(10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앙카 볼트의 시공과정은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먼저, 시공자는 도2에서와 같이 부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암반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구조물(107)의 소정위치에 쐐기관(101)의 직경보다 작게 앙카공(106)을 뚫고, 이에 쐐기관(101)을 내입시킨다.
구조물(107)의 앙카공(106)에 쐐기관(101)이 내입된 상태에서, 시공자는 화약총 등을 이용하여 쐐기관(101)의 결합공(108) 내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공 핀(104)을 쏘아 쐐기관(101)의 끝 부분이 측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쐐기관(101)이 구조물(107) 내에 견고히 고정된다.
여기서, 결합공(108)의 전단부에는 볼트(102)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부가 형성되고, 결합공(108)의 후단부는 원활한 확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쐐기관(101)의 후단부에는 쐐기관(10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109)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타공 핀(104)을 쏘아 쐐기관(101)을 구조물(107) 내에 견고히 고정한 상태에서, 시공자는 도4에서와 같이 쐐기관(101)의 결합공(108)에 플라스틱 와셔(105)를 내입시켜 외부충격 등에 의해 타공 핀(104)이 반대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도5에서와 같이, 쐐기관(101)의 결합공(108)에 볼트(102)를 결합한 후 부착물을 부착하거나 혹은 쐐기관(101)의 결합공(108)에 볼트(102)를 결합함과 동시에 부착물을 부착한다.
이때 쐐기관(101)과 볼트(102) 사이에 와셔(103)를 내입함으로써 구조물(107)에 고정된 쐐기관(101)으로부터 볼트(102)가 이탈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앙카 볼트의 고정방식 이외에도 공구(바이스 플라이어)로 쐐기관을 잡고 볼트를 결합하여 쐐기관 내에 타공 핀을 결합하고 이를 구조물의 앙카공에 대고 가격하여 고정한 후 볼트를 빼서 고정을 필요로 하는 부착물을 고정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앙카 볼트는 쐐기관과 타공 핀, 플라스틱 와셔, 와셔, 볼트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제조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있을뿐더러 이를 암반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구조물에 시공하고 부착물을 고정하는 공정도 길고 까다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앙카 볼트의 쐐기관과 한 쌍을 이루는 볼트를 타공 핀과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앙카 볼트의 제조관리가 간단하고 이의 시공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볼트 몸체의 일측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테이퍼진 쐐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트; 및 상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중앙을 관통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쐐기관 몸체의 후단부에는 쐐기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전단부 내주면에는 볼트 몸체 나선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후단부는 볼트 몸체 쐐기와의 결합시 확장될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한 쐐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쐐기관의 외주면은, 사각이나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에 내입된 상태에서 볼트와 결합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트 몸체의 나선부와 쐐기 사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앙카 볼트 시공방법은, 시설물을 고정하기 위해 벽체 등의 구조물에 앙카 공을 뚫는 제1공정;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 공에 쐐기관을 내입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쐐기관에 볼트를 나사 결합시켜 볼트의 쐐기가 쐐기관의 테이퍼진 결합공에 삽입되면서 확장부의 확장으로 쐐기관이 구조물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쐐기관과 볼트 사이에 와셔가 내재되어 쐐기관에 나사 결합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를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앙카 볼트는 종래의 앙카 볼트와는 달리 구성요소가 대폭 줄어든 볼트(11)와 쐐기관(16) 및 와셔(23)로만 구성된다.
상기 볼트(11)는 볼트 몸체(12)의 외주면에 쐐기관(16)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부(14)가 형성되고, 이 나선부(14)를 중심으로 볼트 몸체(12)의 전방에는 구조물에 내입된 쐐기관(16)에 볼트(11)를 결합시킬 때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각이나 육각 등의 형상의 머리부(13)가 형성되며, 이 볼트 몸체(12)의 후방에는 쐐기관(16)의 확장부(22)를 강제로 확장시키기 위한 쐐기(15)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볼트 몸체(12)의 나선부(14)와 쐐기(15) 사이에는 무나선부(2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볼트(11)가 쐐기관(16)에 결합된 후 외부충격 등으로 인해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쐐기관(16)의 확장부(22)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구조물에 고정하고자 하는 부착물의 종류에 따라 쐐기관(16)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1)의 깊이가 다르므로 이를 감안한 설계된 공간이다. 다시 말해, 볼트(11)의 쐐기(15)에 의해 쐐기관(16)의 확장부(22)가 완전히 확장된 이후에도 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물에 따라 볼트(11)가 쐐기관(16) 내로 더 들어가야 하는 경우를 감안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무나선부(26)의 직경은 쐐기(15)의 가장 큰 직경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쐐기(15) 중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이나 무나선부(26)가 쐐기관(16) 결합공(18)의 내주면보다 작아 나선부(19)에 걸리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와셔(23)와 함께 볼트(11)와 한 쌍을 이루는 쐐기관(16)은 쐐기관 몸체(17)의 중앙에 볼트(1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8)이 중앙을 관통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쐐기관 몸체(17)의 후단부에는 볼트(11)와 결합시 확장이 용이하도록 쐐기관 몸체(17)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8)의 전단부 내주면에는 볼트 몸체(12) 나선부(14)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부(19)가 형성되고, 이 결합공(18)의 후단부에는 볼트 몸체(12)의 쐐기(15)와의 결합을 위한 테이퍼진 결합공(20)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테이퍼진 결합공(20)은 볼트 몸체(12) 쐐기(15)와의 결합시 확장될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진다.
상기 쐐기관(16)의 외주면이 사각이나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11)와 결합시 회전되지 않는다. 특히, 구조물과의 마찰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쐐기관(16)의 외주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앙카 볼트의 시공은 도7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시공자는 도7에서와 같이 부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25)의 소정위치에 쐐기관(16)의 직경보다 작게 앙카공(24)을 뚫고, 이에 쐐기관(16)을 내입시킨다. 이때 구조물(25)의 앙카 공(24)에 쐐기관(16)을 보다 원활하게 내입시키기 위해 쐐기관(16)의 확장부(22) 부분을 오므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즉, 쐐기관(22) 확장부(22)의 직경이 절개홈(21)의 간격만큼 줄어 쐐기관(16)을 앙카 공(24)에 내입시키는 작업이 수월하다.
구조물(25)의 앙카공(24)에 쐐기관(16)이 내입된 상태에서, 도8에서와 같이 쐐기관(16)에 볼트(11)를 나사 결합하면, 볼트 몸체(12)의 나선부(14)가 쐐기관(16) 결합공(18)의 나선부(19)와 나사 결합되면서 볼트(11)가 쐐기관(16) 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볼트 몸체(12)의 나선부(14)와 쐐기관(16) 결합공(18)의 나선부(19)의 나사 결합으로 볼트(11)가 쐐기관(16) 내로 들어가는 중에 볼트(11)의 쐐기(15)가 쐐기관(16)의 테이퍼진 결합공(20)을 만나는 순간부터 볼트(11)의 쐐기(15)가 쐐기관(16)의 확장부(22)를 측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들어가므로 확장부(22)가 확장되어 구조물(25)에 내에 견고히 고정된다.
볼트(11)의 쐐기(15)가 쐐기관(16)의 테이퍼진 결합공(20)을 완전히 통과해서 도9에서와 같이 볼트(11)의 무나선부(26)가 테이퍼진 결합공(20)에 맞닿게 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쐐기관(16)으로부터 볼트(11) 빠지지 않아 쐐기관(16)의 확장부(22)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쐐기관(16)과 볼트(11) 사이에 와셔(23)를 내입함으로써 구조물(25)에 고정된 쐐기관(16)으로부터 볼트(11)가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쐐기관과 한 쌍을 이루는 볼트를 타격공과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앙카 볼트의 제조관리가 간단하고 이의 시공공정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볼트 몸체의 일측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테이퍼진 쐐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트; 및
    상기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중앙을 관통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쐐기관 몸체의 후단부에는 쐐기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전단부 내주면에는 볼트 몸체 나선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후단부는 볼트 몸체 쐐기와의 결합시 확장될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한 쐐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관의 외주면은, 사각이나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에 내입된 상태에서 볼트와 결합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몸체의 나선부와 쐐기 사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4. 시설물을 고정하기 위해 벽체 등의 구조물에 앙카 공을 뚫는 제1공정;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앙카 공에 쐐기관을 내입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쐐기관에 볼트를 나사 결합시켜 볼트의 쐐기가 쐐기관의 테이퍼진 결합공에 결합되면서 확장부의 확장으로 쐐기관이 구조물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 볼트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관과 볼트 사이에 와셔가 내재되어 쐐기관에 나사 결합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 볼트 시공방법.
KR1020050082998A 2005-09-07 2005-09-07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 KR10067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98A KR100677764B1 (ko) 2005-09-07 2005-09-07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98A KR100677764B1 (ko) 2005-09-07 2005-09-07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67U Division KR200402350Y1 (ko) 2005-09-07 2005-09-07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764B1 true KR100677764B1 (ko) 2007-02-02

Family

ID=3810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998A KR100677764B1 (ko) 2005-09-07 2005-09-07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76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779B1 (en) Self-drilling anchor bolt
JPH05295728A (ja) アンカー
KR102307193B1 (ko) 세트 앵커볼트
JP3291202B2 (ja) セルフドリリングアンカー
JP5771337B1 (ja) 後施工アンカー、後施工アンカーの施工方法および後施工アンカーシステム
US20080292422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US20080292421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KR20070069101A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779566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設置構造
KR200402350Y1 (ko)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JP2018017283A (ja) 建築構造用ねじ
KR100677764B1 (ko)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와 이의 시공방법
JP2005105677A (ja) あと施行アンカー工法
JPH0979239A (ja) ビスとビス固定補助具の組合せ体
KR200286627Y1 (ko) 콘크리트앵커볼트
KR20170090257A (ko) 전방타격 시, 후방날개가 확개되는 지반고정장치
JP2002001677A (ja) アンカー抜き取り具
JP2021025201A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設置構造、あと施工アンカーの撤去方法
KR20200078160A (ko) 앵커볼트 타격용 비트
KR200372237Y1 (ko) 타격돌기를 가진 앙카볼트
JP7246119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設置構造
JP2005220963A (ja) アンカーボルト
KR20180112357A (ko)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44709Y1 (ko) 앵커볼트
KR200375859Y1 (ko) 앙카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