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379B1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379B1
KR100677379B1 KR1020040088954A KR20040088954A KR100677379B1 KR 100677379 B1 KR100677379 B1 KR 100677379B1 KR 1020040088954 A KR1020040088954 A KR 1020040088954A KR 20040088954 A KR20040088954 A KR 20040088954A KR 100677379 B1 KR100677379 B1 KR 10067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keypad
portable terminal
input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744A (ko
Inventor
정구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 등의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접촉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구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상기 터치스크린을 노출시키는 상태와 가리는 상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터치스크린, 키패드, 슬라이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INPUT DEVICE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본체 121 : 본체힌지부
122 : 터치스크린 123 : 메인피씨비
124 : 배터리 125 : 레일홈
130 : 폴더 131 : 폴더힌지부
132 : 엘씨디 140 : 키패드
141 : 케이스 141a : 키홀
141b : 가이드레일 142 : 키
143 : 돔스위치 144 : 피씨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 등의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10)는 본체(20)와 이 본체(20)에 절첩되며 본체(2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2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30)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본체(20)의 상단부에는 폴더(30)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30)에는 본체힌지부(21)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피씨비(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22a)를 갖는 키패드(22)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배터리(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더(30)의 전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32)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30)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3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를 휴대하면서 전화를 걸거나 각종 정보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폴더(30)를 개방시킨 후 폴더(30)에 설치된 엘씨디(3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며 본체(20)의 상면에 설치된 키패드(22)를 조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키패드(22)를 통한 입력방식의 경우에는 최근 급속히 발전된 인터넷, 온라인 게임, 음악파일 재생 등에 관련된 기능을 이용함에 있어 입력의 제한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25)를 적용하고 이를 통해 각종 정보의 입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25)을 제외한 여타 구성 부분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10)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25)은 장문을 입력하거나 인터넷 입력이 용이한 반면 단순한 통화나 간단한 메시지 등을 입력함에 있어서는 오히려 종래 키패드(22)에 비해 그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25)은 종래 키패드(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취약하고 잦은 접촉에 의해 고장이 쉽게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 등의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접촉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구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상기 터치스크린을 노출시키는 상태와 가리는 상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접촉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122)과,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142)를 구비하여 터치스크린(122)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되 선택적으로 터치스크린(122)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10)에 대해 터치스크린(122)을 노출시키는 상태와 가리는 상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패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110)는, 본체(120)와 이 본체(120)에 절첩되며 본체(12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12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130)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본체(120)의 상단부에는 폴더(130)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130)에는 본체힌지부(121)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20)의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위한 메인피씨비(123)가 수용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 면에는 배터리(12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입력장치로서 본체(120)의 전면에는 접촉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12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터치스크린(122)의 상부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142)를 구비한 키패드(140)가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140)는, 복수개의 키홀(141a)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41)와, 상기 각 키홀(141a)을 통해 누름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복수개의 키(142)와, 상기 각 키(142)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접촉 가압되며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스위치(143)를 구비하여 케이스(141)의 내부에 수용되는 피씨비(1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별도의 에프피씨비(Flexible PCB)(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본체의 메인피씨비(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키패드(140)는 선택적으로 터치스크린(122)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120)에 대해 터치스크린(122)을 노출시키는 상태와 가리는 상태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키패드(140)의 케이스(141) 양측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1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0)의 양측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 가이드레일(141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레일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140)는 본체(120)에 대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체(120)의 폭 방향 및 그 외의 판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키패드(140)의 각 키(142)중 일부키(예 를 들어 문자 키 또는 멀티기능키)만을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폴더(130)의 전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132)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130)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33)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145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10)를 휴대하면서 전화를 걸거나 각종 정보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폴더(130)를 개방시킨 후 폴더(130)에 설치된 엘씨디(13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며 본체(120)에 설치된 키패드(122) 또는 터치스크린(140)을 조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단순한 통화나 간단한 메시지 등을 입력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폴더(130)를 개방시킨 후 키패드(140)를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 온라인 게임, 음악파일 재생 등에 관련된 기능을 이용할 경우 키패드(140)로 입력하기 어려운 글자나 그림 등은 도 6과 같이 키패드(140)를 본체(120)에 대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그에 따라 노출되는 터치스크린(122)을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의하면,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문자 등의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키패드에 저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요시에만 노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잦은 접촉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고정을 저감시켜 줄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터치 동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단말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개폐하고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입력되는 신호와는 다른 신호를 입력하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복수개의 키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각 키홀을 통해 누름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복수개의 키와;
    상기 각 키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접촉 가압되며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피씨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KR1020040088954A 2004-11-03 2004-11-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KR10067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54A KR100677379B1 (ko) 2004-11-03 2004-11-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54A KR100677379B1 (ko) 2004-11-03 2004-11-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44A KR20060039744A (ko) 2006-05-09
KR100677379B1 true KR100677379B1 (ko) 2007-02-02

Family

ID=3714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954A KR100677379B1 (ko) 2004-11-03 2004-11-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3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274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274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44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337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KR101420801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62869B1 (ko) 단말기
KR20030816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721340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KR100677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040155A (ja) 携帯電子機器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09759A (ko) 양면 키입력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086721B1 (ko) 모바일 기기
KR100627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44888B1 (ko) 키패드 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941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KR101040020B1 (ko) 자기력을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998268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600385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100664239B1 (ko) 게임용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70057547A (ko) 가동형 키패드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608750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64128B1 (ko) 회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35146B1 (ko)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630560B1 (ko)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09117A (ko) 회전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20040077165A (ko) 슬라이드형 키패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