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750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750B1
KR100608750B1 KR1020030102271A KR20030102271A KR100608750B1 KR 100608750 B1 KR100608750 B1 KR 100608750B1 KR 1020030102271 A KR1020030102271 A KR 1020030102271A KR 20030102271 A KR20030102271 A KR 20030102271A KR 100608750 B1 KR100608750 B1 KR 10060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ain body
button
portable termina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9806A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50B1/ko
Priority to CNB2004100572219A priority patent/CN1317724C/zh
Publication of KR2005006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정보입력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외주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용 단말기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5는 돔스위치가 열린 상태,
도 6은 돔스위치가 닫힌 상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1 : 삽입홀
131 : 가이드레일 131a : 가이드부
132 : 가이드핀 134 : 돔스위치
135 : 버튼패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본체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장착되는 버튼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각종 편의장치 중에서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음성 전달만 가능했던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장착된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는 커버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 및 커버부(20)는 단말기 본체도 통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0)를 들어올려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면(10a)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패드(30)와, 음성을 송신하는 마이크(14)가 구비되며, 본체부(10)의 배면 측에는 배터리(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20)의 전면(20a)에는 메시지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21)와, 음성의 수신 및 착신음이 발생되는 스피커(22)가 구비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패드(30)는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부(10)의 내부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3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1)의 일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접촉신호 감지부(32)와, 상기 접촉신호 감지부(32)가 형성된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노란색의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발광수단(33)과, 상기 상부케이스(1)에 형성된 홀(1a)을 통해 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발광수단(33)에서 발산한 빛을 외부로 발산함과 동시에 상기 접촉신호 감지부(32)에 접촉되어 부호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버튼(34)이 결합된 버튼패드(35)로 구성된다. 접촉신호 감지부(32)는 돔형으로 돌출 되고 사용자가 버튼(34)을 누르면 버튼(34)이 접촉신호 감지부(32)에 압력을 가하여 일시적으로 연결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메시지 및 정보입력을 위해 각종 부호를 입력할 시, 다수개의 상기 버튼(34)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호가 인쇄된 버튼을 눌러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34)을 누르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버튼(34)이 접촉신호 감지부(32)에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에 의해 접촉신호 감지부(32)가 반응하여 회로적으로 연결상태가 되어 해당부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각종 전자기기들의 소형화를 원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버튼패드(30)의 크기를 축소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또한 버튼패드(30)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본체부(10)의 전면(10a)에 일정공간을 할애하여야 하므로 본체부(10)의 전면(10a)에 다른 장치, 일예로 들어 상기 커버부(20)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1) 같은 디스플레이부나 터치스크린등을 설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본체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장치가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시키거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일 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정보입력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튼장치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에 짝을 이루어 장착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핀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 각각의 짝들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가이드핀의 짝을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패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가이드실린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버튼패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통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버튼패드는, 상기 짝을 이루는 가이드핀들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버튼하우징과; 상기 버튼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어 상기 짝을 이루는 가이드핀들에 접촉됨에 따라 그들을 통전시키는 돔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돔스위치들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져서 각기 상이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폐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정보입력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장치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휴대용 단말기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그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는 본체부(10)와 그에 힌지부(12)를 통해서 회동하며 개폐되도록 연결되는 커버부(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기 본체로서, 본 도면에서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등 다른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단말기 본체는 본체부(10)와 그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커버부(20)를 포함하고, 본체부(10)의 일 측면에는 삽입홈(111)이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홈(111)의 본체부(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입력장치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본체부(10)로부터 인출되거나 그 내부로 인입되는 통로가 된다. 또한, 본체부(10)의 전면(10a)에는 디스플레이부(140)가 장착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커버부(2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21)와는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본체부(10)의 전면(10a)에 버튼패드(30)와 디스플레이부(140)가 동시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10a) 전체를 차지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40)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아서, 종래와 같은 버튼패드(30)를 그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의 기타 구성, 예를 들어 배터리(11)나 디스플레이(21) 등의 구성은 앞서 도 1을 참조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입력장치는 가이드레일(131)과, 가이드핀(132) 및 버튼패드(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삽입홈(111)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본체부(10) 내에 장착된 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필요시에 인출하여 인출된 상태(도 3의 상태)에서 누름 조작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입력장치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5는 돔스위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돔스위치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레일(131)은 본체부(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삽입홈(111)을 통해 본체부(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축이 결합되어 형성되어 본체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31)의 평행한 두 개의 축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일어진 가이드부(131a)로 형성된다.
가이드핀(13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가이드부(131a)를 따라 이송가능 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드핀(132)은 짝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132)은 가이드레일(131)의 가이드부(131a)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그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32a')이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132a)와, 가이드실린더(132a)에서 버튼하우징(13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연장된 통전축(132b)으로 이루어진다.
버튼패드(135)는 상기 가이드핀(132)이 그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수용되어 지지되는 버튼하우징(133)과, 버튼하우징(13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정면 투영시에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돔스위치(134)를 포함한다. 복수의 버튼패드(135)에 형성되는 상기 돔스위치(134)는 각각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버튼하우징(133)은 통전축(132b)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평상시에 버튼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본체부(10)의 삽입홀(111)에 버튼장치, 특히 가이드레일(131) 및 버튼패드(135)를 인입시킨 상태가 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로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메시지 및 정보입력을 위해 각종 부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0)의 삽입홀(111)에서 버튼패드(135)가 장착된 가이드레일(131)을 외부로 인출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버튼패드(135)가 장착된 가이드레일(131)이 외부로 인출되면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일측 가이드부(131a)에는 플러스 전류 상태가 되고 타측 가이드부(131a)는 마이너스 전류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돔스위치(134)에 힘을 가하면 볼록하게 돌출 되었던 돔스위치(134)가 하단부로 하강하면서 각각의 가이드부(131a)에 연결된 가이드핀(132)의 통전축(132b)에 돔스위치(134)가 접하게 되어 통전축(132b)간의 통전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돔스위치(134)가 각각의 통전축(132b)에 접촉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가이드레일(131)이 가이드부(131a)가 개로 상태가 되어 작동된 버튼을 인지하여 원하는 부호의 입력 및 정보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버튼패드(135)를 형성하는 돔스위치(134)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그 저항값을 차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1)에서 어떤 버튼패드(135)가 작동되어 부호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의 일정부위에 형성된 삽입홀(111)을 통해 버튼패드(135)가 형성된 가이드레일(131)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버튼패드(135)를 사용할 시에는 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인입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시킴과 동시에 본체부(10)의 외주면에 다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즉 커버부(2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21) 같은 디스플레이부(140)나 터치스크린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의 일정부위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버튼패드가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버튼패드를 사용할 시에는 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인입시킴으로써, 본체의 전면에 버튼장치가 형성되었던 종래 구조에 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시키거나 본체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나 터치스크린등을 설치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 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정보입력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장치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에 짝을 이루어 장착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핀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 각각의 짝들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가이드핀의 짝을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가이드실린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버튼패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통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패드는,
    상기 짝을 이루는 가이드핀들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버튼하우징과;
    상기 버튼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어 상기 짝을 이루는 가이드핀들에 접촉됨에 따라 그들을 통전시키는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돔스위치들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폐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정보입력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버튼장치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30102271A 2003-12-31 2003-12-31 휴대용 단말기 KR10060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271A KR100608750B1 (ko) 2003-12-31 2003-12-31 휴대용 단말기
CNB2004100572219A CN1317724C (zh) 2003-12-31 2004-08-23 便携终端的按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271A KR100608750B1 (ko) 2003-12-31 2003-12-31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806A KR20050069806A (ko) 2005-07-05
KR100608750B1 true KR100608750B1 (ko) 2006-08-04

Family

ID=3485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2271A KR100608750B1 (ko) 2003-12-31 2003-12-31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8750B1 (ko)
CN (1) CN131772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33B1 (ko) 2006-08-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52B1 (ko) * 2004-02-16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입력 인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876B1 (ko) * 1999-12-30 2002-09-12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슬라이딩 키패드가 장착된 휴대 전화기
CN2521833Y (zh) * 2001-04-09 2002-11-20 周学良 一种袖珍型移动电话机
CN2484702Y (zh) * 2001-05-09 2002-04-03 周学良 一种便携式可伸缩移动电话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33B1 (ko) 2006-08-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7724C (zh) 2007-05-23
CN1637980A (zh) 2005-07-13
KR20050069806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764B1 (ko) 사용자 교환형 이동 전화 키패드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EP1531604B1 (en)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US8155718B2 (en)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KR100608750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400099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조립체구조
KR1005757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20027017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10042136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101300277B1 (ko) 휴대 단말기
KR1005941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KR100241782B1 (ko) 터치 패드가 구비된 플립형 휴대용 무선전화기
KR20010026577A (ko) 가변형 무선 단말기
KR20050021820A (ko) 다목적기능을 갖는 착탈식 양면 키패드모듈
KR200214824Y1 (ko) 이동 단말기
KR1005330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확대 표시장치
KR2004007915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08398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
KR20040077165A (ko) 슬라이드형 키패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73202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56023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7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KR1006635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20050062287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