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554B1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554B1
KR100663554B1 KR1020030078746A KR20030078746A KR100663554B1 KR 100663554 B1 KR100663554 B1 KR 100663554B1 KR 1020030078746 A KR1020030078746 A KR 1020030078746A KR 20030078746 A KR20030078746 A KR 20030078746A KR 100663554 B1 KR100663554 B1 KR 10066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usings
image
input devic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163A (ko
Inventor
양소영
이종성
한범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5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하우징과 그의 양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화상 출사 장치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가 내장된 한 쌍의 또 다른 하우징들을 구비함으로써, 휴대시에는 한 쌍의 하우징들을 서로 근접하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소형화되고, 입력 장치로 동작할 때에는 한 쌍의 하우징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화상 키패드를 출력하고 화상 키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확장된 입력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슬라이딩, 화상, 입력 장치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하우징 양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기와 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들면,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피디에이(PDA)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또한, 개인용 컴퓨터의 본체,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도 휴대용은 아닐지라도 일종의 단말기로 분류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발달로 초기에 전화통신으로부터 점차 무선 호출, 문자전송 등으로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화상통화, 동영상 전송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그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하는 방법 또한 다양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및 단말기 활용 등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성을 위해 소형, 경량화 추세에 있으므로, 대표적인 휴대용 단말기인 셀룰러 폰의 경우 20여개에 불과한 키버튼으로 제한된 키패드만 구비되고 있으며, 피디에이 폰의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의 제한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확장된 입력 장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키보드 등 별도의 입력 장치를 휴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셀룰러 폰, 피디에이 폰 등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상을 출사하여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화상 출사 장치와, 상기 화상 출사 장치로부터 출사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 내에서 물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을 개폐시키는 한 쌍의 제2 하우징들;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들이 각각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노출용 개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출사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들 중 다른 하나에 각각 내장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100)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양 단부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그 내부는 양 단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13)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양 단부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소정의 결합홈들(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의 외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플레이트(111)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한 쌍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 내에 결합되는 센서 모듈(123)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2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은 개방단(121b)으로, 타단이 폐쇄단(121a)으로 형성된 수용공간(121c)을 제공하며, 일면에 상기 노출용 개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노출용 개구(125)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와 상응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121)가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21)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121)의 폐쇄단(121a)에 접촉되면, 상기 노출용 개구(125)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센서 모듈(123)은 상기 케이스(121)의 내측벽과 일정 정도의 간극(122) 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121)의 폐쇄단(121a)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21)의 폐쇄단(121a)에 고정되는 상기 센서 모듈(123)의 단부 외주면에는 소정의 결합돌기(127)들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7)들은 상기 케이스(121)의 폐쇄단(121a) 내측벽 모서리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센서 모듈(123)이 상기 케이스(121)의 내측벽과 소정의 간극(122)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더라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27)들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결합홈(115)들과 맞물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121)의 폐쇄단(121a)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상기 제2 하우징(102)들이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121)의 폐쇄단(121a)에 접촉되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케이스(121)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며, 상기 노출용 개구(125)들도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센서 모듈(123)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113)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이 폐쇄되면,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상기 케이스(121)와 센서 모듈(123) 사이의 간극(122)에 개재되는 것이다.
상기 센서 모듈(123) 내에는 화상 출사 장치(129a)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129b)가 내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에 위치될 센서 모듈(123)에는 화상 출사 장치(129a)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입력 장치(100)의 아래쪽을 향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하단에 설치 될 센서 모듈(123)에는 물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129b)가 설치된다. 상기 화상 출사 장치(129a) 및 센서 장치(129b)는 각각 상기 제2 하우징(102)에 형성된 노출용 개구(125)를 통해 화상을 출사하거나, 외부에서 진행되는 물체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100)는 상기 한 쌍의 제2 하우징(102)들이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과 하단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을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들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을 완전히 폐쇄시키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커버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2 하우징(102)들 각각에 형성된 노출용 개구(125)를 폐쇄시키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1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들이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주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화상 출사 장치(129a)는 다수의 키버튼들로 구성된 키패드 화상(10)을 상기 입력 장치(100) 전방 하향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즉, 화상 출사 장치(129a)는 상기 입력 장치(100)의 아래쪽으로 향하게 설치되었으므로, 키패드 화상(10)은 상기 입력 장치(100)의 전방 바닥면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다.
사용자가 바닥면에 형성된 키패드 화상(10)을 이용하여 문자, 숫자 등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상기 센서 장치(129b)는 상기 키패드 화상(10)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센서 장치(129b)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셀룰러 폰, 또는 피디에이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입력 장치(1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소정의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송수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2 하우징들을 각각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 상기 제2 하우징들이 상기 제1 하우징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동작은 하나의 하우징을 선택하여 동작시켜서 다른 하우징도 연동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하나의 하우징과 그의 양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화상 출사 장치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가 내장된 한 쌍의 또 다른 하우징들을 구비함으로써, 휴대시에는 한 쌍의 하우징들을 서로 근접하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소형화되고, 입력 장치로 동작할 때에는 한 쌍의 하우징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화상 키패드를 출력하고 화상 키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확장된 입력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화상을 출사하여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화상 출사 장치와, 상기 화상 출사 장치로부터 출사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 내에서 물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을 개폐시키는 한 쌍의 제2 하우징들;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들이 각각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노출용 개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출사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들 중 다른 하나에 각각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들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은 개방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폐쇄단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에 상기 노출용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폐쇄단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과 소정 간극을 두고 이격되 게 설치되는 센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용 개구들이 각각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출사 장치는 다수의 키버튼들로 구성된 키패드 화상을 출력하고,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키패드를 조작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들 중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은 화상 출사 장치를 내장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은 센서 장치를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1020030078746A 2003-11-07 2003-11-07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10066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746A KR100663554B1 (ko) 2003-11-07 2003-11-07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746A KR100663554B1 (ko) 2003-11-07 2003-11-07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163A KR20050044163A (ko) 2005-05-12
KR100663554B1 true KR100663554B1 (ko) 2007-01-02

Family

ID=3724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746A KR100663554B1 (ko) 2003-11-07 2003-11-07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5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163A (ko)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3334B2 (en) Input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6766182B2 (en)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713360B1 (ko)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9517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7050764B2 (en) Illuminated interchangeable bezel assembly for a cellular telephone
KR100954764B1 (ko) 사용자 교환형 이동 전화 키패드
US20040198437A1 (en) Slide-type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US6865400B2 (en) User interfacing device for PDA/wireless terminal
KR100991567B1 (ko) 다용도 전자 장치
KR20110080680A (ko) 다기능 펜 및 다기능 펜의 사용 방법
JP2007179525A (ja) 携帯型電子機器
EP2005716A2 (en) Housing arrangement for a portable device wtih a display
WO2006073509A1 (en) Flipper phone configuration
JP2004235687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US6847519B2 (en) Phone with automatic linked qwerty keyboard
KR100663552B1 (ko) 이동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11049805A (ja) 携帯端末
US20040209577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moveable camera lens unit
KR1006635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JP4573024B2 (ja) 携帯端末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US886219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upper housing and cover plate therefor
US20050195576A1 (en)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JP516011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