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325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325B1
KR100677325B1 KR1020040040116A KR20040040116A KR100677325B1 KR 100677325 B1 KR100677325 B1 KR 100677325B1 KR 1020040040116 A KR1020040040116 A KR 1020040040116A KR 20040040116 A KR20040040116 A KR 20040040116A KR 100677325 B1 KR100677325 B1 KR 10067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receptacle
pai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979A (ko
Inventor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25B1/ko
Priority to US11/143,909 priority patent/US7379761B2/en
Priority to CN2005100913237A priority patent/CN1722741B/zh
Publication of KR2005011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데이터 전송 및 충전을 위한 리셉터클이 장착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리셉터클의 양측에 위치한 채로 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투영시 상기 리셉터클과 중첩되는 한 쌍의 터미널과; 상기 한 쌍의 터미널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의 일 측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중 인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단말기 본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장형 배터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내장형 배터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장형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0 : 배터리
122 : 리셉터클 123 : 터미널
124 : 연결단자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단말기에 공급되도록 연결시키는 터미널이 리셉터클 형성위치와 동일 위치를 이루도록 리셉터클 양측면에 각각 형성시키고 그 터미널에 접하도록 배터리의 일측면 양측 끝단부에 형성시켜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하여 기지국의 전파발사거리 이내에서는 장소 및 거리에 제한 받지 않고 상대방과 통화 또는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의 하나로서, 최근 사업발달과 더불어 정보화 사회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무선통신 기기이기 때문에, 휴대 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원으로 배터리가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결합 상태를 유지 또는 해지하기 위한 배터리 잠금 장치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구조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장형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및 기타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 본체(10)와, 본체(1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운용상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내장형 배터리(20)와, 내장형 배터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배터리 커버(30)가 본체(1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체부(10)는 그 전면에 통화를 위한 마이크(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되고, 정보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버튼(미도시)이 형성되며, 그 후면에는 배터리(20)가 안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1)가 형성된다.
배터리커버(30)는 본체부(10)의 후면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부(11)를 복개할 정도의 면적을 갖는 커버본체(31)와, 두께방향을 따라 배터리(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본체(31)의 양측 및 하단에 절곡된 양측면부(31a) 및 저면부(31b)가 형성된다. 커버본체(31)의 상단부에는 후술할 배터리 장착부(11)에 형성된 로커에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되어 쌍을 이루는 후크(31c)가 형성된다.
양측면부(31a)의 각 내측에는 배터리 장착부(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직고정돌기(32)가 돌출 되어 있고, 저면부(31b)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각각 돌출된 결합돌기(33)가 형성된다.
내장형 배터리(20)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기부(21)가 짝을 이루어 형성되고, 본체부(10)의 배터리 장착부(11)에는 상기 배터리(20)가 배터리 장착부(11)에 안착되었을 시, 돌기부(21)가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돌기부(21)와 대응되는 위치인 배터리 장착부(11)의 양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배터리 걸림턱(12)이 형성되고, 배터리 장착부(11)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고정돌기(32)와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수직고정돌기(32)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되어 절곡된 수직걸림턱(13)이 형성된다.
배터리 장착부(11)의 하측 모서리영역에는 배터리 커버(30)에 형성된 결합돌기(33)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1)의 상측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31c)와 각각 맞물림 되 어 배터리 커버(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로커(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커(15)는 후크(31c)에 맞물림 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걸림턱(15a)과 걸림턱(15a)에 연결되어 걸림턱(15a)을 연동시키며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된 손잡이(15b)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내장형 배터리(2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11)의 끝단부인 하측에 외부 데이터 전송 및 내장형 배터리(20)의 충전에 사용되는 리셉터클(22)이 형성되고, 그 리셉터클(22) 전방측에는 일측은 배터리 장착부(11)부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되는 터미널(23)이 일렬로 형성되고, 터미널(23)과 접하는 내장형 배터리(20)의 일측면에는 상기 터미널(23)의 핀(23a)들과 연결되는 연결단자(24)가 일렬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내장형 배터리(20) 일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단자(24)가 터미널(23)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리셉터클을 통해 충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부(11)는 상기 내장형 배터리(20)가 장착되는 공간과, 터미널(23)이 형성되는 공간 및 리셉터클(22)이 형성되는 공간이 일렬로 배열되어 전체 길이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소형화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추세에 부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형상 및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단말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 데이터 전송 및 충전을 위한 리셉터클이 장착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리셉터클의 양측에 위치한 채로 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투영시 상기 리셉터클과 중첩되는 한 쌍의 터미널과; 상기 한 쌍의 터미널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의 일 측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중 인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배터리가 지지되도록 상기 배터리 장착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절곡된 걸림돌기와,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 중앙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걸림홈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인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운용상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내장형 배터리(120)와, 내장형 배터리(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배터리 커버(30)가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단말기 본체(10)는 그 전면에 통화를 위한 마이크(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되고, 정보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버튼(미도시)이 형성되며, 그 후면에는 배터리(120)가 안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1)의 하측 모서리영역에는 배터리 커버(30)에 형성된 결합돌기(33)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1)의 상측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31c)와 각각 맞물림 되어 배터리 커버(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로커(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커(15)는 후크(31c)에 맞물림 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걸림턱(15a)과 걸림 턱(15a)에 연결되어 걸림턱(15a)을 연동시키며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된 손잡이(15b)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장착부(11)의 끝단부인 하측에 중앙 영역에는 외부 데이터 전송 및 내장형 배터리(120)의 충전에 사용되는 리셉터클(122)이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122)의 양측면부, 즉 상기 리셉터클(122) 형성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는 위치에 그 일측은 배터리 장착부(11)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되는 터미널(123)이 각각 나뉘어져 형성되고, 배터리 장착부(11)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터미널(123)과 접하는 내장형 배터리(120)의 일측면에는 리셉터클(122)의 양측면부에 나뉘어져 배열된 각각의 터미널(123)에 형성된 핀(123a)들과 짝을 이루어 연결되는 연결단자(124)가 배터리(120)의 일측면 양측 끝단부에 각각 나뉘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배터리 장착부(11)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 되고 절곡된 걸림돌기(125)가 형성되고 내장형 배터리(120)의 일측면 중앙영역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걸림홈(126)이 형성되어 일시적으로 걸림돌기(125)가 걸림홈(126)에 수용되어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터미널(123)이 리셉터클(122)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양측면부 중 어는 한 측면부에 형성되고, 그와 짝을 이루어 배터리(120)의 일측면 양측 끝단부중 한쪽 끝단부에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구조는 배터리 장착부(11)에 형성된 리셉터클(122)과 터미널(123)이 단말기 본체(10)의 길이방향에 대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리셉터클(122)과 터미널(123)이 겹쳐진 길이만큼 그 설치공간이 축소되어 단말기 본체(10)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 장착부에 형성된 리셉터클과 터미널이 단말기 본체 길이방향에 대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리셉터클과 터미널이 겹쳐진 길이만큼 그 설치공간이 축소되어 단말기 본체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됨으로써, 소형 전자제품을 선호하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부 데이터 전송 및 충전을 위한 리셉터클이 장착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리셉터클의 양측에 위치한 채로 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투영시 상기 리셉터클과 중첩되는 한 쌍의 터미널과;
    상기 한 쌍의 터미널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의 일 측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중 인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 중앙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40116A 2004-06-02 2004-06-02 휴대용 단말기 KR10067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16A KR100677325B1 (ko) 2004-06-02 2004-06-02 휴대용 단말기
US11/143,909 US7379761B2 (en) 2004-06-02 2005-06-01 Power connection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CN2005100913237A CN1722741B (zh) 2004-06-02 2005-06-02 移动终端的电源连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16A KR100677325B1 (ko) 2004-06-02 2004-06-02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79A KR20050114979A (ko) 2005-12-07
KR100677325B1 true KR100677325B1 (ko) 2007-02-02

Family

ID=3544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116A KR100677325B1 (ko) 2004-06-02 2004-06-02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79761B2 (ko)
KR (1) KR100677325B1 (ko)
CN (1) CN1722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991B2 (en) * 2005-06-08 2009-07-21 Terahop Networks, Inc. All weather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 components
CN108418927A (zh) * 2018-05-14 2018-08-17 欧达可电子(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电池安装结构和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673B1 (ko) 2000-01-11 2001-11-29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JP2001285431A (ja) 2000-04-03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における内蔵バッテリー保持構造
JP2001251207A (ja) * 2000-03-07 2001-09-14 Hitachi Ltd 携帯電話機
US20050022924A1 (en) * 2002-12-27 2005-02-03 Blackburn James B. Adhesive article for and method of applying a decorative finish to a phone
KR100498047B1 (ko) * 2003-03-05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79A (ko) 2005-12-07
US20050272480A1 (en) 2005-12-08
CN1722741B (zh) 2011-07-06
US7379761B2 (en) 2008-05-27
CN1722741A (zh)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3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JP4436774B2 (ja) 携帯用端末機のバッテリ連結装置
KR100657996B1 (ko) 착탈식 엔에프씨 모듈
US7344401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JPH11317797A (ja) 折畳み可能な電子装置用の光学ガイド
US794937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677325B1 (ko) 휴대용 단말기
US7747009B2 (en)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JP3122429B2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JP3799608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8564486B2 (en) Holding device with an antenna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700580B1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1005397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04423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KR10066355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거치대
KR1006773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보호장치
US20050225285A1 (en) Charging base for batteri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2906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US6738648B1 (en) Mobile telephone comprising a detachable connector between its body and its battery pack
JP2003189484A (ja) 携帯端末用充電装置及び携帯端末
JP3258912B2 (ja) 携帯電話機の親機ユニット
JP3526804B2 (ja) バッテリパックロック構造
KR2005002749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