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825B1 -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 - Google Patents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825B1
KR100676825B1 KR1020050097079A KR20050097079A KR100676825B1 KR 100676825 B1 KR100676825 B1 KR 100676825B1 KR 1020050097079 A KR1020050097079 A KR 1020050097079A KR 20050097079 A KR20050097079 A KR 20050097079A KR 100676825 B1 KR100676825 B1 KR 10067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upport bracket
elastic member
tool
work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주
권혁민
김재두
우강하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825B1/ko
Priority to CNB2006100004351A priority patent/CN100571997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20Adjusting or stopping working-spindle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60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6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with perpendicular axes, e.g. cross-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6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in which a servomotor forms an essential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 B23Q2716/08Holders for tools or work comprising a divider or 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작업공구를 갖는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기계장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을 승강 및 수평이동 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작업공구를 파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홀더와;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공구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의 상대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조절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작업공구의 위치 어긋남이 간편하게 조절되어 작업불량을 줄이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용 기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MACHINE APPARATUS FOR WORKING AND WORKING TOOL FOR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루체결용 기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체결용 기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미세조절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미세조절유닛 조절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b는 미세조절유닛 조절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미세조절유닛의 미세조절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계장치 20 : 기계본체
21 : X축 구동부 23 : Y축 구동부
25 : Z축 구동부 30 : 지지브래킷
31 : 보조지지브래킷 40 : 미세조절유닛
50a : 제1조절부 51a : 제1슬라이드
53a : 제1슬라이드판 55a : 제1슬라이드부재
57a : 제1탄성부재 59a : 제1장착개구
50b : 제2조절부 51b : 제2슬라이드
53b : 제2슬라이드판 55b : 제2슬라이드부재
57b : 제2탄성부재 59b : 제2장착개구
69 : 연결브래킷 70 : 작업공구
71 : 공구홀더 80 : 보관대
90 : 작업물지지대
본 발명은,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 어긋남을 비교적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는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소정의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 및 수평 이동되어 소정의 위치 사이를 반복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용 기계장치가 있다. 이러한 작업용 기계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채용되고 있으며, 일예로 전자부품 등을 조립하는 공정 등에 스크루 체결용 작업로봇이나 부품 공급용 작업로봇 등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이송 기계장치 중 하나인 스크루 체결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X축, Y축, Z축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로봇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부(1,2,3)와, 스크루를 보관하는 보관대(4)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은 조립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작업물지지대(5)와, 보관대(4)에 보관된 스 크루를 진공압 등으로 흡입하여 작업물지지대(5) 상의 소정의 위치로 구동부(1,2,3)에 의해 이동된 후 스크루를 회전시켜 부품 상호간을 체결하는 전동드라이버와 같은 작업공구(6)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서는, 반복되는 스크루 체결작업의 자동화를 위하여 스크루의 파지위치, 작업물지지대 상의 부품 체결홀 위치 등의 전동드라이버(6)가 이동하는 위치가 사전에 입력된다. 이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동드라이버(6)는 보관대(4)에 보관된 스크루를 진공압으로 파지하여 부품들을 체결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부품 체결홀이 형성된 소정의 위치로 이송된다. 소정 위치에 이송된 전동드라이버(6)는 스크루를 하강시키면서 회전시켜 부품 상호간을 체결한다. 이러한 스크루 체결작업은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적으로 전동드라이버, 스크루 및 부품의 체결홀이 동일 축상에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정기적인 장치의 점검을 하더라도 모터, 볼스크루와 같은 구동부의 가속과 감속에 의한 속도변화, 진동, 이송부의 마모, 외부의 충격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전동드라이버의 목표위치와 부품의 체결홀 위치가 어긋나 별도의 조절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동드라이버가 어긋난 위치에서 스크루를 체결하여 부품 또는 스크루를 손상 또는 파손시키거나 스크루를 부품에 비스듬하게 체결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 때 분리된 입자나 파편 등은 다른 공정에 많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공구의 위치 어긋남이 비교적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는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작업공구를 갖는 작업용 기계장치에 있어서,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을 승강 및 수평이동 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작업공구를 파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홀더와;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공구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의 상대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조절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세조절유닛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래킷 판면의 제1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1슬라이드와, 상기 제1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갖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되게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와, 상기 제2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갖는 제2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와 상기 공구홀더를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공구의 미세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 및 제2슬라이드는 크로스롤러 가이드(cross roller guide) 및 엘엠 가이드(LM guid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슬라이드부재 및 제2슬라이드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공구의 미세한 조정이 원 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제1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호 이동에 따른 판면 사이의 마모에 따른 미립자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호 이동에 따른 판면 사이의 마모에 따른 미립자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작업공구를 수용하는 장착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작업공구가 수용되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장착개구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공구를 수용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장착개구 및 제2장착개구를 각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개구들은 상기 작업공구의 이동범위가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의 탄성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공구는 스크루를 흡착하여 소정의 위치에 상기 스크루를 체결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공구는 부품을 소정의 위치에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를 갖는 기계장치의 작업공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 및 수평이동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작업공구를 파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홀더와;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공구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의 상대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조절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조절유닛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래킷의 판면방향의 제1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1슬라이드와, 상기 제1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갖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2슬라이드와, 상기 제2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갖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공구의 미세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 및 제2슬라이드는 크로스롤러 가이드(cross roller guide) 및 엘엠 가이드(LM guid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슬라이드부재 및 제2슬라이드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여 작업공구의 미세한 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 및 스 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제1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호 이동에 따른 판면 사이의 마모에 따른 미립자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업용 기계장치의 일실시예인 스크루 체결용 기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 체결용 기계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공구(70)와, 지지브래킷(30)과; 기계본체(20)에 결합되어 지지브래킷(30)을 승강 및 수평이동 시키는 구동부(21,23,25)와; 작업공구(70)를 파지하여 지지브래킷(30)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홀더(71)와; 지지브래킷(30)과 공구홀더(71)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의 상대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조절유닛(40)을 포함한다.
기계본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구(70)를 승강 및 수평이동 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X축, Y축, Z축의 구동부(21,23,25)를 각각 갖는다. 이러한, 기계본체(20)는 다관절 로봇과 같은 형태를 갖추어 작업공구(70)를 상하,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계본체(20)는 지지브래킷 (30)과 결합되며, 지지브래킷(30)는 미세조절유닛(40)과 결합된다. 또한, 기계본체(20)의 상하, 좌우 이동은 입력된 소정의 좌표에 의해 제어부(미도시)가 각각의 구동부(21,23,25)를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브래킷(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본체(20)에 결합되어 기계본체(20)와 일체로 이동되며, 미세조절유닛(40)의 제1조절부(50a)와 결합된다. 또한, 지지브래킷(30)은 작업공구(70)가 소정의 범위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개구(3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브래킷(30)은 기계본체(20)와 결합되는 부분과 별도로 제1슬라이드부재(55a)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1슬라이드부재(55a)에 대응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보조지지브래킷(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슬라이드부재(55a)가 결합되도록 함몰 형성된 부분이 지지브래킷(30)에 형성되어 보조지지브래킷(31)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세조절유닛(4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30)에 결합되어 지지브래킷(30) 판면의 제1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1슬라이드(51a)와, 제1슬라이드(51a)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7a)를 갖는 제1조절부(50a)와; 제1조절부(50a)에 결합되어 제1슬라이드(51a)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2슬라이드(51b)와, 제2슬라이드(51b)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57b)를 갖는 제2조절부(50b)와; 제2조절부(50b)와 공구홀더(71)를 결합하는 연결부(69)를 포함한다. 또한, 미세조절유닛(40)은 실시예와 같이 지지브래킷(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지만 지지브래킷(3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이하에서 제1조절부(50a)와 제2조절부(50b)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동방향이 직교되도록 배치되나,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제1조절부(50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제2조절부(50b)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편의상 참조번호도 제1조절부(50a)는 숫자 다음에 "a"를 붙이며, 제2조절부(50b)는 제1조절부(50a)에 대응한 참조번호에 "b"를 붙인다. 그리고, 제1조절부(50a) 및 제2조절부(50b)는 금속으로 마련되나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변경할 수 있다.
제1슬라이드(51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제1슬라이드부재(55a)에 결합되며 타측은 제2슬라이드부재(55b)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드판(53a)과, 보조지지브래킷(31)과 제1슬라이드판(53a)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브래킷(30)에 대해 제1슬라이드판(53a)이 지지브래킷(30) 판면의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제1슬라이드부재(55a)를 갖는다.
제1슬라이드판(53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제1슬라이드부재(55a)에 결합되며 타측은 제2슬라이드부재(55b)에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55a,55b)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각 부분적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슬라이드판(53a)은 작업공구(70)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제1장착개구(59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드판(53a)은 보조지지브래킷(31)과 제2슬라이드판(53b)에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55a,55b)의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드판(53a)은 보조지지브래킷(31) 및 제2슬라이드판(53b)과 각각 상호 이 격되어 슬라이딩에서 의해 상호 판면이 접촉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이에, 슬라이딩에 따른 판면의 마모를 일으키지 않아 마모에 따른 미립자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1슬라이드부재(55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지지브래킷(31)과 제1슬라이드판(53a)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브래킷(30) 판면의 제1방향으로 제1슬라이드판(53a)을 슬라이딩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슬라이드부재(55a)는 크로스 롤러 가이드(cross roller guide) 및 엘엠 가이드(LM guid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제1슬라이드판(53a)에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작업공구(7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드부재(55a)는 보조지지브래킷(31)과 제1슬라이드판(53a)이 상호 이격되도록 일측은 보조지지브래킷(31)에 결합되며 타측은 제1슬라이드판(53a)에 결합된다.
이에, 미세조절유닛(40)이 마련되어 있어 지지브래킷(30)의 수평방향에 대한 작업공구(70)의 상대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6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절부(50b)와 공구홀더(71)를 결합한다. 즉, 연결부(69)의 일측은 제2조절부(50b)의 제2슬라이드판(53b)에 결합되며, 타측은 공구홀더(71)에 결합된다. 이에, 미세조절유닛(40)의 미세한 조절이 작업공구(70)에 전달될 수 있다.
작업공구(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작업을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공구(70)는 공구홀더(71)에 의해 파지된다. 따라서, 작업공구(70)는 지지브래킷(30) 및 미세조절유닛(40)의 장착개구(33,59a,59b)에 수용되어 소정의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위치 어긋남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공구(70)의 축선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축선이 일치될 수 있다. 이에,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소정의 작업이 진행되어 부품이나 스크루의 파손이나 손상이 예방될 수 있으며, 파손 등에 따른 파편, 입자의 발생을 야기하지 않아, 후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크루 등이 다소 기울어지게 파지되더라도 작업공구(70)가 미세 조절될 수 있으므로 체결작업 시에 올바른 위치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설명된 참조번호는 각각 스크루를 보관하는 보관대(80)이며, 체결할 부품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작업물지지대(90)이다.
이상의 실시 형태로는 스크루체결장치에 대하여 예시했지만, 소정의 위치 사이에 부품을 계속 반복하여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와 같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용 기계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 체결용 기계장치(10)의 위치 미세조절과정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공구(70)를 이동시킬 소정의 위치에 대한 좌표가 입력된 기계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작업공구(70)는 먼저 진공압 등에 의해 흡착하여 보관대()에 정열된 스크루 등을 파지한다. 그런 후, 제어부(미도시)는 입력된 위치로 작업공구(7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오도록 한다. 이 때, 구동부의 마모와 가속,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 등에 의해 작업공구의 축선(X`)과 부품"a" 및 부품"b"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의 축선(X)은, 도 5와 같이, "G"만큼의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 후, 작업공구(70)가 체결을 위해 회전하면서 서서히 하강하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긋난 위치에 의해 스크루 등에 외력이 작용하면 작업공구(70)는 "X`"축선위치에서 "X"축선위치로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55a,55b) 에 의해 미세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작업공구(7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선위치와 "X"축선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스크루 체결작업을 할 수 있어 스크루나 부품"a" 및 부품"b"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공구(70)가 상승하면,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55a,55b)에 의해 작업공구(70)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조절유닛이 마련되어 있어 전동드라이버와 같은 작업공구의 미세조정이 비교적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작업공부가 어긋난 위치에서 스크루를 체결하여 부품 또는 스크루의 손상 또는 파손 또는 스크루를 부품에 비스듬하게 체결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파손 등에 의해 분리된 입자나 파편 등이 발생되지 않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공구의 위치 어긋남이 간편하게 조정되어 작업불량을 줄이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용 기계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7)

  1. 소정의 작업공구를 갖는 작업용 기계장치에 있어서,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을 승강 및 수평이동 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작업공구를 파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홀더와;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공구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의 상대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미세조절유닛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래킷 판면의 제1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1슬라이드와, 상기 제1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갖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유닛은,
    상기 제1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되게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와, 상기 제2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갖는 제2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와 상기 공구홀더를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 및 제2슬라이드는 크로스롤러 가이드(cross roller guide) 및 엘엠 가이드(LM guid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슬라이드부재 및 제2슬라이드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제1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작업공구를 수용하는 장착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작업공구가 수용되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장착개구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공구를 수용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장착개구 및 제2장착개구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개구들은 상기 작업공구의 이동범위가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의 탄성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구는 스크루를 흡착하여 소정의 위치에 상기 스크루를 체결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구는 부품을 소정의 위치에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계장치.
  12. 구동부를 갖는 기계장치의 작업공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 및 수평이동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작업공구를 파지하여 상기 지지브래킷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미세조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홀더와;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공구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의 상대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미세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미세조절유닛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래킷의 판면방향의 제1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1슬라이드와, 상기 제1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갖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유닛은,
    상기 제1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2슬라이드와, 상기 제2슬라이드가 미세조절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갖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 및 제2슬라이드는 크로스롤러 가이드(cross roller guide) 및 엘엠 가이드(LM guid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슬라이드부재 및 제2슬라이드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 및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제1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의 판면은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구.
KR1020050097079A 2005-10-14 2005-10-14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 KR10067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079A KR100676825B1 (ko) 2005-10-14 2005-10-14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
CNB2006100004351A CN100571997C (zh) 2005-10-14 2006-01-05 作业用机械装置及机械装置用作业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079A KR100676825B1 (ko) 2005-10-14 2005-10-14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825B1 true KR100676825B1 (ko) 2007-02-01

Family

ID=3801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079A KR100676825B1 (ko) 2005-10-14 2005-10-14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6825B1 (ko)
CN (1) CN10057199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20Y1 (ko) * 2007-05-11 2012-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겹치기 이음부 자동 용접 캐리지
WO2013162268A1 (ko) * 2012-04-26 2013-10-31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병렬형 5자유도 마이크로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6489B (zh) * 2015-11-25 2017-06-20 黄辉 磁性零件的组装工具
DE102018200551A1 (de) * 2018-01-15 2019-07-18 Festool Gmbh Bearbeitungsvorricht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900A (ko) * 1985-09-05 1987-04-13 네모또 마사오 모터의 부유기구
KR950002546U (ko) * 1993-06-17 1995-01-04 스크류 체결기의 체결 위치 보정장치
KR19980036873U (ko) 1996-12-16 1998-09-15 구자홍 스크류 체결장치
KR19980061391U (ko) 1997-03-25 1998-11-05 윤종용 스크류 체결기의 스크류 지지장치
JP2003291040A (ja) * 2002-04-02 2003-10-14 Thk Co Ltd 加工機
JP2005111656A (ja) * 2003-10-02 2005-04-28 Leica Microsystems Lithography Ltd 工作物のためのステー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900A (ko) * 1985-09-05 1987-04-13 네모또 마사오 모터의 부유기구
KR950002546U (ko) * 1993-06-17 1995-01-04 스크류 체결기의 체결 위치 보정장치
KR19980036873U (ko) 1996-12-16 1998-09-15 구자홍 스크류 체결장치
KR19980061391U (ko) 1997-03-25 1998-11-05 윤종용 스크류 체결기의 스크류 지지장치
JP2003291040A (ja) * 2002-04-02 2003-10-14 Thk Co Ltd 加工機
JP2005111656A (ja) * 2003-10-02 2005-04-28 Leica Microsystems Lithography Ltd 工作物のためのステー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20Y1 (ko) * 2007-05-11 2012-04-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겹치기 이음부 자동 용접 캐리지
WO2013162268A1 (ko) * 2012-04-26 2013-10-31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병렬형 5자유도 마이크로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1997C (zh) 2009-12-23
CN1947958A (zh)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6167B1 (en) Automated assembly apparatus, automated assembly system and automated assembly method
KR101500797B1 (ko) 파지 장치 및 로봇 시스템, 및 기계 제품의 제조 방법
US7469473B2 (en) Assembly line vehicle body positioning
US4919586A (en) Mechanical closed loop robotic arm end effector positioning system
JP6542830B2 (ja) ロボット用架台
EP2363250A2 (en)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 workpiece stocker, a dual-arm robot and a second robot
KR101952767B1 (ko) 로봇
KR101558676B1 (ko) 리스폿 지그
KR101677044B1 (ko) 조립공정용 작업 장치
KR100676825B1 (ko) 작업용 기계장치 및 기계장치용 작업공구
JP2008221438A (ja) 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
KR100473292B1 (ko) 산업용 로봇
JP2008036785A (ja) 組立装置、及び組立製造方法、並びに組立ライン
JP5170225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JPH06320363A (ja) 部品自動組立装置
JP2016193484A (ja) 自動組立装置及び自動組立方法
WO2020129351A1 (ja) ハンドラ
KR100647073B1 (ko) 공작물 자동이송장치
WO2022102143A1 (ja) ロボットハンド
CN111252545A (zh) 物流对象的真空吸具装置
CN220388578U (zh) 一种螺丝自动锁付装置
CN212635539U (zh) 一种控制自由度的定位装置
CN215665809U (zh) 一种取件装置
JP3686760B2 (ja) 部品位置決め装置
JP2009501638A (ja) カーテシアン配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