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649B1 - 골프 스윙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649B1
KR100676649B1 KR1020060040973A KR20060040973A KR100676649B1 KR 100676649 B1 KR100676649 B1 KR 100676649B1 KR 1020060040973 A KR1020060040973 A KR 1020060040973A KR 20060040973 A KR20060040973 A KR 20060040973A KR 100676649 B1 KR100676649 B1 KR 10067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club head
trajectory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386A (ko
Inventor
성민경
Original Assignee
성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경 filed Critical 성민경
Priority to KR102006004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6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골프 초보자는 골프레슨을 받지 않고서도 올바른 스윙자세를 습득할 수 있고, 골프 경험자는 잘못된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도록 된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윙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스윙궤도에 골프채의 클럽헤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스윙궤도(20)는 내/외주면과 양측면을 가진 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경사각도 조절부(22)와, 상,하 높낮이 조절부(23)에 의해 경사각도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클럽헤드(41)에는 스윙궤도의 내/외주면과 양측면 4곳에 각각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41a,41b,41c,41d)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받침대(30) 및 지지대(31)의 소정위치에는 헤드업 센서(50), 무릎 위치센서(51), 히프 위치센서(52), 체중 이동센서(53) 및 음성안내장치(5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 클럽헤드, 스윙궤도, 가이드롤러

Description

골프 스윙연습장치{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SWING}
도 1은, 종래 골프 스윙연습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클럽헤드와 스윙궤도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윙연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클럽헤드와 스윙궤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스윙궤도와 클럽헤드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스윙궤도 22: 경사각도 조절부
22a: 힌지축 22b: 고정수단
22c: 고정브라켓 22d: 고정볼트
23: 상,하 높낮이 조절부 23a: 가이드 봉
23b: 가이드 브라켓 23c: 체결볼트
30...받침대 40...골프채
41...클럽헤드(Club Head)
41a,41b,41c,41d...가이드롤러(Guide Roller)
50...헤드업 센서(Head Up Sensor)
51...무릎 위치센서 52...히프 위치센서
53...체중 이동센서 54...음성 안내장치
본 발명은 이상적인 스윙궤도를 따라 이동가능한 회동샤프트를 구비한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윙이 이상적인 궤도를 벗어나게 될 경우 이를 연습자가 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잘못된 자세를 음성으로 즉시 안내함으로써, 골프 초보자는 골프레슨을 받지 않고서도 올바른 스윙자세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골프 경험자는 잘못된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골프의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다른 스포츠에 비하여 특히 올바른 자세가 강조되는 운동이다. 골프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동작은 스윙동작이며, 골프 스윙시 손과 클럽헤드는 단일평면 상에서 원을 그리면서 회전토록 하는 것이 이상적인 스윙동작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윙동작은 반복적인 연습에 의해서만 터득할 수 있고, 프로 골퍼라 하더라도 이러한 스윙연습을 끊임없이 하지 않으면 경기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한편, 프로선수가 아닌 일반인들은 필드에서 스윙연습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대부분 인도어 골프 연습장에 가서 레슨을 받거나 스스로 스윙자세를 터득하여야 하기 때문에, 골프를 배우기 위해서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적지 않은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3-0046831호를 통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스윙연습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홈이 형성된 대략 단일평면의 스윙궤도(2)와 이 스윙궤도(2)의 홈을 따라 주행하는 클럽헤드(1a)를 가지는 골프채(1) 및 지지판(3)을 구비하며, 클럽헤드(1a)에는 마찰저감수단으로서 베어링(1b)이 채용되어 스윙궤도(2)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습자는, 스윙궤도(2)의 적정한 위치에서 자세를 취한 후 골프채(1)를 파지하여 어드레스, 테이크어웨이, 스윙톱,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업으로 이어지는 스윙동작을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혼자 연습할 수가 있다.
상기 연습장치는, 골프채(1)가 스윙궤도(2)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게 함으로써, 연습자가 올바른 스윙자세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윙연습장치에서는, 연습자의 목 중간부분과 가슴부분의 스윙축과 스윙궤도(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스윙동작을 하여야만 이상적인 스윙연습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b)과 스윙궤도(2) 사이의 유격으로 인하여 이상적인 스윙동작으로부터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윙연습장치는 스윙이 이상적인 스윙궤도를 벗어날 경우, 연습자가 이를 즉시 감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윙연습시 이상 적인 스윙동작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경우 연습자가 이를 몸으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잘못된 자세를 음성안내장치를 통해 바로 알려줌으로써, 연습자가 잘못된 자세를 즉시 교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골프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윙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스윙궤도에 골프채의 클럽헤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는 내/외주면과 양측면을 가진 4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경사각도 조절부와, 상,하 높낮이 조절부에 의해 경사각도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클럽헤드에는 상기 스윙궤도의 내/외주면과 양측면 4곳에 각각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받침대 및 지지대의 소정위치에는, 헤드업 센서, 무릎 위치센서, 히프 위치센서, 체중위치센서 및 음성안내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럽헤드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접하는 가이드롤러는 적어도 한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프채는 골퍼의 신체조건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샤프트가 구비되고, 클럽헤드에 연결되는 샤프트의 양단에는 탄성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럽헤드와 샤프트는 구형베어링으로 결합되어 36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스윙연습장치는 클럽헤드가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스윙궤도의 4면에 구름접촉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올바른 스윙궤도를 벗어나 스윙동작이 이루어 지게 될 경우, 클럽헤드가 원할하게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을 연습자가 몸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연습자가 스스로 올바른 자세를 터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윙연습장치는, 기본적으로 연습자의 손과 클럽헤드가 대략 단일평면상에서 움직이면서 원을 그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스윙동작의 중심이 되는 목의 중간부분과 가슴부분으로부터 클럽헤드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고, 스윙중심이 벗어나게 되는 경우 연습자가 이를 몸으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안내장치를 통하여 연습자에게 잘못된 자세를 알려주어 즉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윙연습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스윙궤도(20)에 골프채(40)의 클럽헤드(4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윙궤도(20)는, 내/외주면과 양측면을 가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럽헤드(41)에는 상기 스윙궤도(20)의 내/외주면과 양측면 4곳에 각각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41a,41b,41c,41d)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클럽헤드(41)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41a,41b,41c,41d)들에 의해서 스윙궤도(20)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4방향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연습자가 올바른 스윙궤도(20)를 벗어나게 스윙동작을 행하게 되면, 골프채(40)에 부여되는 회전력의 방향이 스윙궤도(20)와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클럽헤드(41)에 작용하는 잘못된 방향으로의 진행력에 의해 스윙궤도(20)와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연습자는 이러한 상태를 몸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윙궤도(20)의 외주면에 접하는 가이드롤러(41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골프채(40)는 연습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샤프트(42a)(42b)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42a)(42b)중 클럽헤드(41)와 연결되는 샤프트(42a)의 양단에는 스프링(44)이 구비되어 있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그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럽헤드(41)와 샤프트(42a)는 구형베어링(43)으로 결합되어 360도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궤도(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 조절부(22)가 설치된다. 경사각도 조절부(22)는 스윙궤도(20)의 상부 양쪽을 받침대(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축(22a)들과, 힌지축(22a)들을 중심으로 회전된 스윙궤도(20)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2b)들로 구성된다.
힌지축(22a)들은 스윙궤도(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스윙궤도(20)를 회전시키면서 그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정수단(22b)들은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경사각도가 조절된 스윙궤도(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정수단(22b)은 스윙궤도(20)의 양쪽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2c)들과, 고정브라켓(22c)들을 각각 받침대(3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2d)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사각도 조절부(22)는, 스윙궤도(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스윙궤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최적의 스윙자세를 도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윙궤도(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23)가 설치된다. 상,하 높낮이 조절부(23)는 스윙궤도(20)의 양쪽에 상, 하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가이드 봉(23a)들과, 가이드 봉(23a) 각각을 상, 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받침대(30)에 설치되는 가이드 브라켓(23b)들과, 상, 하 슬라이딩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된 가이드 봉(23a)들을 가이드 브라켓(23b)에 체결하는 체결볼트(23c)들로 구성된다.
특히, 가이드 브라켓(23b)들은 가이드 봉(23b)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22a)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하 높낮이 조절부(23)는, 스윙궤도(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스윙궤도(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최적의 스윙자세를 도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궤도(20)의 최하단부에 인접하는 받침대(30)의 일단과, 이에 대응하여 스윙궤도(22)의 최상단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한쌍의 헤드업 센서(50)가 장착된다. 위쪽에 위치하는 헤드업 센서(50)는 지지대(31)로부터 연장된 헤드업 센서지지부(60)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헤드업 센서지지부(60)는 신축파이프로 하여 그 위치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30)로부터 연장된 지지대(31)의 소정부위에는 한쌍의 무릎 위치센서(51)와 히프 위치센서(52)가 각각 설치되고, 연습자의 발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받침대(30)의 소정부위에는 한쌍의 체중이동센서(53)가 장착된다.
상기 헤드업 센서(50), 무릎 위치센서(51), 히프 위치센서(52) 들은 통상의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체중이동센서(53)도 기존의 무게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연습자는 체중위치센서(53)가 장착된 받침대(30)위에 착지하고, 스윙궤도(2)와의 적정한 상대위치에서 자세를 취한 후 골프채(40)를 파지하여 어드레스, 테이크어웨이, 스윙톱,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업으로 이어지는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만일 연습자의 목중간과 가슴부분의 스윙중심이 흐트러지게 되어 클럽헤드(41)에 가해지는 작용력의 방향이 스윙궤도(20)의 주행방향과 틀려지게 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롤러(41a,41b,41c,41d)와 스윙궤도(20) 사이에 이상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럽헤드(41)의 마찰부하로 골프채(40)의 회전감이 틀려지게 되고, 연습자는 이를 몸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마찰부하 발생위치에서의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헤드업 센서(50), 무릎 위치센서(51), 히프 위치센서(52)는 연습자가 스윙시 헤드업이 되었는지, 무릎이 나오지 않았는지, 및 히프가 나오지 않았는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음성안내장치(54)로 보내고, 체중이동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체중의 이동신호도 상기 음성안내장치(54)로 보내진다.
상기 음성안내장치(54)에서는, 각 센서들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업 되었습니다", "무릎이 나왔습니다", "히프가 나왔습니다", "오른쪽으로 체중이 이동되었습니다", "왼쪽으로 체중이 이동되었습니다" 등의 음성신호를 연습자에게 즉시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윙연습장치에 의하면, 스윙궤도(20) 및 이 스윙궤도(20)를 감싸는 복수의 가이드롤러(41a,41b,41c,41d)들에 의해서 연습자가 수시로 자세를 교정하면서 이상적인 스윙동작을 익힐 수 있고, 자세가 잘못되었을 경우 음성안내장치가 이를 즉시 알려줌으로써, 정확한 스윙자세를 스스로 습득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윙연습장치에 의하면, 클럽헤드가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스윙궤도의 4면에 구름접촉하고 있어, 정확한 스윙궤도를 벗어난 스윙동작시 클럽헤드가 원할하게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연습자가 이를 몸으로 바로 느끼면서 올바른 스윙자세를 터득할 수가 있다.
또한, 헤드업 센서, 무릎 위치센서, 히프 위치센서 및 체중이동센서에 의해 연습자의 잘못된 스윙자세를 음성으로 즉시 안내함으로써, 연습자가 스윙자세를 바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골프의 초보자는 전문적인 골프레슨을 받지 않고도 올바른 스윙자세를 습득할 수 있으며, 골프의 유경험자는 잘못된 스윙동작을 스스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스윙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스윙궤도에 골프채의 클럽헤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20)는 내/외주면과 양측면을 가진 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경사각도 조절부(22)와, 상,하 높낮이 조절부(23)에 의해 경사각도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클럽헤드(41)에는 상기 스윙궤도(20)의 내/외주면과 양측면 4곳에 각각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41a,41b,41c,41d)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받침대(30) 및 지지대(31)의 소정위치에는, 헤드업 센서(50), 무릎 위치센서(51), 히프 위치센서(52), 체중위치센서(53) 및 음성안내장치(5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궤도(2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접하는 가이드롤러는 적어도 한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40)는 연습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샤프트(42a)(42b)로 이루어지며, 클럽헤드(41)와 연결되는 샤프트(42a)의 양단에는 탄성스프링(44)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럽헤드(41)와 샤프트(42a)는 구형베어링(43)으로 결합되어 36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KR1020060040973A 2006-05-08 2006-05-08 골프 스윙연습장치 KR10067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973A KR100676649B1 (ko) 2006-05-08 2006-05-08 골프 스윙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973A KR100676649B1 (ko) 2006-05-08 2006-05-08 골프 스윙연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96U Division KR200397907Y1 (ko) 2005-07-13 2005-07-13 골프 스윙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386A KR20070008386A (ko) 2007-01-17
KR100676649B1 true KR100676649B1 (ko) 2007-02-02

Family

ID=3801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973A KR100676649B1 (ko) 2006-05-08 2006-05-08 골프 스윙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70B1 (ko) 2008-03-03 2008-07-25 주식회사 코리아파츠 골프 스윙 연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89B1 (ko) * 2007-09-21 2009-03-11 성민경 궤도 가변형 골프 스윙연습기
KR100938808B1 (ko) * 2009-07-09 2010-01-27 윤인수 골프스윙 교정장치
KR102523288B1 (ko) * 2022-08-13 2023-04-21 주식회사 케이테크 골프스윙궤적 및 자세 형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498A (ko) * 1998-11-14 2000-06-15 김학수 골프동작연습기
US6322456B1 (en) 2000-01-26 2001-11-27 Baldwin A Benggon Golf swing guide
JP2002035187A (ja) 2000-07-27 2002-02-05 Yukihiro Kitazawa 折りたたみ式ゴルフクラブ
KR20050006859A (ko) * 2003-07-10 2005-01-17 성민경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498A (ko) * 1998-11-14 2000-06-15 김학수 골프동작연습기
US6322456B1 (en) 2000-01-26 2001-11-27 Baldwin A Benggon Golf swing guide
JP2002035187A (ja) 2000-07-27 2002-02-05 Yukihiro Kitazawa 折りたたみ式ゴルフクラブ
KR20050006859A (ko) * 2003-07-10 2005-01-17 성민경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70B1 (ko) 2008-03-03 2008-07-25 주식회사 코리아파츠 골프 스윙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386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320B2 (en)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8715098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5044176B2 (ja) ゴルフ練習用クラブおよびクラブ
US7056224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9561421B2 (en) Sports training and conditioning apparatus relating to golf
US9283463B2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100676649B1 (ko) 골프 스윙연습장치
US6371863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200397907Y1 (ko) 골프 스윙연습장치
EP0063131A4 (en) SWING DRIVE DEVICE.
US2013024480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WO2009007903A2 (en) Golf teaching apparatus
KR102523698B1 (ko)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 힙 턴 연습장치
US20100216562A1 (en) Golf teaching apparatus
JP2020010879A (ja) スイング捻転動作鍛錬機
KR100502544B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KR101007581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기구
JPH06304277A (ja) ゴルフの基本スイング練習器
CA2509954C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1995525B1 (ko) 퍼팅 연습 장치
JPS60501840A (ja) スポ−ツのストロ−ク練習装置
KR200328282Y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JP2541528Y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機
KR20210023582A (ko)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를 통한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AU769156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