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608B1 -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서리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서리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608B1
KR100676608B1 KR1020040098316A KR20040098316A KR100676608B1 KR 100676608 B1 KR100676608 B1 KR 100676608B1 KR 1020040098316 A KR1020040098316 A KR 1020040098316A KR 20040098316 A KR20040098316 A KR 20040098316A KR 100676608 B1 KR100676608 B1 KR 10067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st
fan
fans
farmland
war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193A (ko
Inventor
후루타미키오
아라키신스케
Original Assignee
후루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6Devices for generating heat, smoke or fog in gardens, orchards or forests, e.g. to prevent damage by fr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두식의 고소(高所)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 서리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헤드가 움직이는 시스템에서는 잎 면 등의 온도가 따뜻한 공기의 공급과 공급의 정지 사이에서 큰 차이가 있어, 따뜻한 공기 공급의 X℃부터 공급정지의 1-X℃로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고, X℃부터 1-X℃까지의 시간은 대략 2분 정도로 상기 패턴이 반복되며, 상기 온도변화는 생육환경의 변화에 직결되어 작물에 악영향을 주고, 1-X℃는 거의 내한성의 한계이고 약간의 온도저하로 동상해(凍霜害)를 발생시키는데, 농지에 세워 설치된 폴에 설치한 통체에 내장한 팬, 및 정류판과 모터로 구성한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으로, 상기 서리방지팬에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하고, 또한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하며, 대략 스크롤 형상·대략 빔형상의 송풍형상으로 농지의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 서리방지방법{FROST PREVENTIVE APPARATUS USING MULTI―HEAD TYPE FROST PREVENTIVE FAN AT HIGH PLA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의 다두식 서리방지팬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서리방지팬의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서리방지팬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예의 다두식 서리방지팬의 전체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서리방지팬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농지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을 설명하는 부감도,
도 7은 종래의 서리방지팬과 본 발명의 서리방지팬의 잎 면 등의 온도의 상태를 대비한 도면,
도 8a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예의 다두식 서리방지팬을 채용한 농지에서의 실험의 폴과 서리방지팬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
도 8b는 센서의 설치 부분을 부감한 도면,
도 8c는 도 8b에서의 외부기온, 풍속, 일조시간을 도시한 도면으로 온도, 시간, 풍속 등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8d는 도 8a의 상태에서의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역전강도)로, 도 8b에서 도시한 36대상구의 라인 상에서의 측정값을 도시한 도면,
도 8e는 도면상의 B·C팬간 연장선상의 13포인트, B팬 축선상의 19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f은 B·C팬간 연장선상의 14포인트, B팬 축선상이 20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g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5포인트, B팬 축선상의 21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h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6포인트, B팬축선 상의 22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i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7포인트, B팬축선상의 23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j는 도 8a 내지 도 8i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비표로 한 것으로 도면의 일부로서 제안하며, 상기 도면은 위쪽이 역전강도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또한 아래의 2개는 도 8e 내지 도 8i의 온도변화를 각각 데이터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폴 2: 지지베이스
3: 지지기구 4: 서리방지팬
400, 407: 통체 401, 405: 고정구
402: 가대 403: 모터 베이스
403a: 긴 구멍 404: 모터
404a: 축 406: 팬
408: 아암 409: 정류판
H: 농지
본 발명은 다두식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 서리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다원(차밭), 뽕나무밭, 과수원, 야채류, 야채류 등의 밭(농장)의 동상해(凍霜害) 방지(서리방지) 방법으로서 a)피복법으로 한냉사(寒冷紗), 거적 등의 피복자재로 작물을 피복하는 방법이고, 작물(작물체)로부터의 방사냉각을 방지한다. b)송풍법으로, 서리방지팬을 이용하여 상하의 공기를 섞어 하층의 기온을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통상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는(내리부는) 방법, 또한 지상의 공기를 거의 수평방향으로 공급하는(수평방향으로의 송풍)방법이고, 따 뜻한 공기의 효과적인 이용 및/또는 바람에 의한 진동을 이용하여 서리 방지를 도모한다. 상기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경사지의 농지가 유효하다. c)가열법으로 중유, 석유 등의 연료에 의한 대류열과 방사열에 의해 기온과 작물체온의 상승을 도모하고, 상해(霜害)방지를 도모하는 방법이다. 그 밖에 예를 들어 d)산수빙결법이나 e)관수(灌水)·감수(堪水)법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종 서리방지방법에서 서리방지효과의 달성과, 경제성·합리성의 확보, 또는 보수관리의 용이화 등의 면에서 상기 b)송풍법이 적합하다. 따라서, 각종 다원, 과수원 등에서 서리방지팬에 의한 동상해 방지 방법이 요긴하게 쓰여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동상해 방지방법에 송풍법이 유효한 것이 본 출원인의 경험칙과 각 지역에서의 실험결과에 의해 판명되었다. 그 일례를 하기에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과의 꽃봉오리(꽃봉오리기)로부터 잎눈(개화기)을 거쳐 유과(幼果)(유과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동상해를 받기 쉬운 외부기온을, 표 1과 같이 실선으로 작물의 생육과정에서의 동상해 발생온도를 나타내고 또한 일점쇄선으로 역전층의 온도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다두식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 등을 채용하여 따뜻한 공기를 공급한 경우에는 ×로 나타낸 외부기온에서, 현실적으로는 사과의 내한성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동상해(동해(凍害), 상해(霜害) 등의 서리의 해)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따뜻한 공기의 공급이 계속됨으로써 잎면, 꽃눈, 잎눈, 유과 등 자신의 온도와, 상기 잎면, 꽃눈, 잎눈, 유과 등의 근방 공기의 온도(잎면 등의 온도로 한다)의 상승이 주된 이 유이다. 또한 종래의 <서리방지팬에 의한 서리방지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로 나타낸 외부기온에서, 현실적으로는 사과의 내한성보다 위인 상황에서도, 또는 본래 동상해는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동상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하면, 헤드의 회전에 의해 따뜻한 공기의 공급이 단속(斷續)적이고 일시적으로 따뜻한 공기의 공급이 멈추게 되고(도 7 참조), 이것이 잎면 등의 온도 하강의 주된 이유이다. 표 1의 4/10, 4/20, 4/30은 일자를 나타내고 실선의 -℃는 외부기온과, 일점쇄선의 +℃는 역전층의 온도(역전강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4055713830-pat00001
상기의 작물의 생육시기에서의 내한성에 관한 일반적인 수치를 표 1에 나타냈지만, 이들 수치에서 약간 내려간 경우에도 동상해가 발생한다. 상기 동상해라는 것은 작물 세포의 동결현상이고, 상기 동결에 의한 폐해는 예를 들어 불발아(不發芽)(꽃눈이 개화하지 않음), 발아지연, 위조화(萎凋化), 과실면의 손상, 편형과, 화기(花器)의 기형화 등의 발생, 또는 무결실, 품질의 저하, 또는 수확량의 감소화(수확감소), 고사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치를 하회하는 내한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두식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등 을 채용한다.
Figure 112004055713830-pat00002
상기 표 2는 일반 작물의 생육과정에서의 내한성을 나타낸 수치이고 표와 같이 발아기, 개화기가 동상해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고 또한 그 때의 영향이 경험칙에서는 심각하다.
이상와 같은 것을 고려하여, 종래의 농지에 설치하는 서리방지팬 장치를 크게 나누면 「1」의 건주(建柱)(폴)식 서리방지팬 장치와, 「2」의 저소(低所)식 서리방지팬 장치, 또는 「3」의 이동식 서리방지팬 장치가 있다. 그 중에서, 본 발명이 의도하는 구조는 「1」의 폴식 서리방지팬 장치이므로, 이하 이 종류의 서리방지팬 장치를 기초로 설명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및/또는 본 출원인이 본 발명자가 발명하기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는 관계로, 상기 「2」의 저소식 서리방지팬 장치의 구성 및/또는 효과에 관해 수시 설명을 부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설치의 상황, 경제성, 요망, 또는 재배(경작)작물 등에 따라서는 다른 서리방지팬 장치에도 채용할 수 있는 기술이기도 하다.
상기 「1」의 폴식 서리방지팬 장치는 농지의 침지(枕地) 및/또는 농지 내에 세워 설치된 폴 상에, 1기의 헤드의 회전·부각(俯角) 조정 자유로운 서리방지팬을 설치하고, 상기 서리방지팬의 수평방향의 회전(헤드의 회전이라고 함)과, 서리방지팬의 부각을 이용하여 농지의 지표면에 대해서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공기)를 내리부는 구성(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또한, 「2」의 저소식 서리방지팬 장치는 농지의 땅속에 수용 및/또는 돌출 가능하게 한 승강폴에, 1기의 헤드의 회전·부각을 이용하여 농지의 지표면에 대해서 역전층하의 공기(따뜻한 공기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등을 거의 수평방향으로 송풍하는 구성(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종래의 「1」, 「2」 서리방지팬 장치에서는 따뜻한 공기, 공기(따뜻한 공기라고 함)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서리방지가 가능하지만, 그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A) 1기의 서리방지팬의 헤드가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헤드의 회전에 의한 되돌림에는 거의 20초 정도 필요하지만(단속적인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함), 이 약간의 시간으로도 기후조건 및/또는 작물 등에 따라서는 서리방지효과를 도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B)상기 단속적인 따뜻한 공기의 공급의 예에서는 따뜻한 공기의 공급이 있을 때에는 작물체온이 상승하고 반대로 따뜻한 공기의 공급이 없을 때에는 작물체온이 하강하는 것처럼, 미묘하게 변화하는 것은 작물에 따라서는 문제가 된다. (C)최악의 경우에는 작물의 동상해가 발생한다. (D)이상적인 서리방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폴식 서리방지팬 장치, 저소식 서리방지팬 장치가 필요해지고, 예를 들어 설비비, 유지관리비(런닝코스트) 등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본 출원인은 문헌 (1),(2)를 제안하고 있다. 이하, 상기 문헌 (1), (2)의 개요를 설명한다. 문헌 (1)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0629의 「다두방식의 저소식 서리방지팬 장치」로서, 그 내용은 농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저소식 폴에 설치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을, 폴에 세워 설치한 지지수단에 설치한 원통형상 통체와, 원통형상 통체에 설치한 팬 및 정류판과, 팬을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한 서리방지팬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서리방지팬은 고정식으로 회전하는 시스템 및/또는 작은 헤드의 회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기를 거의 수평방향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송풍의 범위(송풍범위)를 넓게 설정하고, 효율적으로 송풍을 실시하는 것, 또는 효율적인 서리방지효과를 달성하고, 대수(臺數)의 감소와, 유지 관리비의 삭감화를 도모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또한, 상기 「1」의 폴식 서리방지팬 장치의 개량점을 해소하고(대형 다원 관리장치의 도입을 도모하고),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 또한 저소식 서리방지팬 장치의 보급촉진을 도모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또한, 문헌 (2)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2557의 「다두식 서리방지팬과 저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농지용 서리방지방법과, 그 장치」로서, 그 내용은 농지에 세워 설치한 「1」의 폴식 서리방지팬 1기와, 「2」의 저소식 서리방지팬 여러 기에 의한 헤드의 회전 시스템을 통하여 작물의 동상해 방지(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다두식 서리방지팬의 다수의 서리방지팬을 통하여 역전층의 공기를 내리불고, 그 내리 분 공기를 각 저소식 서리방지팬의 각 서리방지팬을 통하여 서리방지효과의 확충과, 따뜻한 공기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술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0629와 동일한 효과를 도모하는 것을 의도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0629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2557
종래의 헤드의 회전 시스템을 채용하여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잎면 등의 온도가 따뜻한 공기의 공급과, 공급의 정지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따뜻한 공기 공급의 X℃에서 공급 정지의 1-X℃로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한다. 상기 X℃에서 1-X℃까지의 시간은 약 2분 정도이고 이 패턴이 반복된다. 상기 온도변화는 생육환경의 변화에 직결되어, 작물(작물체)에 악영향을 주는 것, 또한 1-X℃는 거의 내한성의 한계이고, 약간의 온도 저하에도 동상해를 발생하는 것, 또는 1-X℃에서 2-X℃까지 잎면 등의 온도를 상승시킬 때,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 등의 문제가 판명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역적이고 연속공급(연속송풍 「연속 내리붐」 등)에서는 도 7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따뜻한 공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잎면 등의 온도의 거의 일정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손실을 피할 수 있는 점, 또한 예를 들어 내한성이 약한 작물의 동상해 발생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 또는 작물의 생육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062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2557는 이 문제의 해결을 의도한 발명으로, 상기 문제해결에 유효하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2557는 다두식 서리방지팬과 저소식 서리방지팬을 병용한 구성이고, 2종류의 서리방지팬을 설치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경제성의 저하, 설치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0629은 다두식의 저소식 서리방지팬 장치이고, 따뜻한 공기의 효과적인 이용을 고려한 경우에는 각종 조건하에서는 서리방지의 유효성에 문제를 남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스크롤 형상(도시한 거의 통형상)의 송풍형상(공급형태)을 확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빔 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한 구성을 채용하여, 광역의 따뜻한 공기(원칙적으로 공기를 포함)를 공급하고, 잎면 등의 온도가 내한성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작물의 서리방지(동상해 방지)를 도모하는 것,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확보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잎면 등의 온도의 상승 및/또는 교반을 이용하여 잎면 등의 온도가 내한온도(내한성)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 생육·결실 등에 적합한 조건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역적으로 또한 계속적(연속적)인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서리방지효과의 확충과, 경제성·설치의 합리화 등의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은 농지에 세워 설치된 폴에 설치한 서리방지팬용 지지 베이스 및 지지기구로 구성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한 수평방향(풍향조정) 및/또는 부각조정 가능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으로 구성한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으로서,
상기 여러 기의 각 서리방지팬을,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한 원통형상 원통체와, 상기 원통형상의 통체에 지지부를 통하여 설치한 팬(서리방지용 팬) 및 정류판과, 상기 팬 구동용 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의 통체, 팬 및 정류판에서, 정면에서 보아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을, 상기 지지수단에 소정의 위치 관계로 설치하고 당해 각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과, 상기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으로, 상기 농지의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서리방지팬용 지지기구를 제공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청구항 2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서리방지팬용 지지기구로서,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설치한 아암과, 상기 아암의 긴 구멍을 관통하고 서리방지팬의 통체에 나사 부착된 제 1 고정구와, 상기 아암의 환형상 구멍에 관통하고, 상기 지지베이스에 나사 부착된 제 2 고정구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고정구의 조작으로 부각 조정 가능하고, 또한 제 2 고정구의 조작으로 풍향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 의한 광역적이고 또한 계속적인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서리방지효과의 확충과, 경제성·설치의 합리화 등의 확보를 의도한다. 또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에서, 정면에서 보아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공급형태)를 확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한 구성을 채용하고, 광역적인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잎면 등의 온도가 내한성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확보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또한 잎면 등의 온도의 상승 및/또한 교반을 이용하여, 잎 면 등의 온도가 내한온도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 생육·결실 등에 적합한 조건을 확보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청구항 3은 원통형상의 통체, 팬 및 정류판으로 구성하는 서리방지팬을, 농지에 설치한 폴에 적어도 3기 설치하여 이루어진 풍향 고체의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으로,
상기 3기의 서리방지팬을 계속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계속적인 회전으로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계속적으로 송풍하고, 또한 상기 3기의 서리방지팬에 의한 상기 농지의 먼쪽까지의 도달 거리 및/또는 상기 농지의 방형방향까지 광역면적에 송풍하고,
상기 계속적인 송풍과, 상기 도달거리 및/또는 광역면적으로의 송풍형태를 확보하고, 상기 농지에서 재배하는 작물이 내한성하의 상황에서 상기 작물의 주변의 공기와, 상기 따뜻한 공기의 효율적인 혼합으로 단속적인 서리방지효과를 달성하고,
상기 내한성하의 상황에서의 서리방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 또한 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의 위치관계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청구항 4는 청구항 3 중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을, 폴에 설치한 서리방지팬용 지지베이스 및 지지기구로 구성하는 지지수단으로, 당해 폴에 정면에서 보아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이 설치된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청구항 5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의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에 있어서, 이등변의 내각도를 거의 20°~30℃로 확보한 상태에서, 3기의 서리방지팬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폴의 높이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청구항 6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농지에 설치한 폴의 높이를 약 7m~9m로 구성하고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확보하여, 상기 따뜻한 공기를 상기 농지에 서리가 내릴 때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으로 공급할 수 있는 따뜻한 공기의 방향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 등을 의도한다.
청구항 7은 청구항 3에 기재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에서, 그 중심의 제 1 서리방지팬이 부각 조정 가능하고, 또한 그 좌우의 제 2·제 3 서리방지팬이 수평방향(풍향조정) 및/또는 부각 조정 가능하고, 상기 제 1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상기 농지의 방사방향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제 2·제 3의 서리방지팬에서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농지의 방형의 두 모퉁이 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농지의 광역적인 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며, 당해 농지의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농지에 세워 설치된 폴에 설치한 서리방지팬용 지지베이스 및 지지기구로 구성하는 지지수단과, 지지수단에 설치한 수평방향 및/또는 부각조정 가능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으로 구성한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으로서,
여러 기의 각 서리방지팬을 지지수단에 설치한 원통형상의 통체와, 원통형상의 통체에 지지부를 통하여 설치한 팬 및 정류판과, 팬 구동용 모터로 구성하고,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의 통체, 팬 및 정류판에서, 정면에서 보아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을, 상기 지지수단에 소정의 위치관계로 설치하고, 당해 각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하고,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과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으로 농지의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이다.
따라서, 청구항 1은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서, 정면에서 보아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공급형태)를 확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한 구성을 채용하여, 광역적인 따뜻한 공기(원칙적으로 공기를 포함)를 공급하고, 잎면 등의 온도가 내한온도(내한성)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것, 생육·결실 등에 적합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광역적이고 또한 계속적(연속적)인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서리방지효과의 확충과, 경제성·설치의 합리화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서리방지팬용 지지기구를, 지지베이스에 설치한 아암과, 아암의 긴 구멍을 관통하고 서리방지팬의 통체에 나사 부착한 제 1 고정구와, 아암의 환형 구멍에 관통하여 지지베이스에 나사 부착한 제 2 고정구로 구성하고, 제 1 고정구의 조작으로 부각 조정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 2 고정구의 조작으로 풍향 조정 가능하게 한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이다.
따라서, 청구항 2는 청구항 1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 또한 상기 목적 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서리방지팬용 지지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 등의 특징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원통형상의 통체, 팬 및 정류판으로 구성하는 서리방지팬을, 농지에 설치한 폴에 적어도 3기 설치하여 이루어진 풍향 고체의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으로서,
상기 3기의 서리방지팬을 계속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계속적인 회전으로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계속적으로 송풍하고, 또한 상기 3기의 서리방지팬에 의한 상기 농지의 먼 쪽까지의 도달 거리 및/또는 상기 농지의 방형 방향까지 광역 면적에 송풍하고,
상기 계속적인 송풍과, 상기 도달 거리 및/또는 광역면적으로의 송풍형태를 확보하고, 상기 농지에서 재배하는 작물이 내한성하의 상황에서 상기 작물의 주변의 공기와, 상기 따뜻한 공기의 효율적인 혼합으로 계속적인 서리방지효과를 달성하며,
상기 내한성 하의 상황에서의 서리방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따라서, 청구항 3은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 의한 광역적이고 또한 계속적인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서리방지효과의 확충과, 경제성·설치의 합리화 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에서, 정면에서 보아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공급형태)를 확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한 구성을 채용 하고 광역적인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잎면 등의 온도가 내한성 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것, 생육에 적합한 조건(생장촉진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잎 면 등의 온도의 상승 및/또는 교반을 이용하여 잎 면 등의 온도가 내한온도 보다 내려간 상황에서도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것, 생육·결실 등에 적합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것 등의 실익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을, 폴에 설치한 서리방지팬용 지지베이스 및 지지기구로 구성하는 지지수단으로, 폴에 정면에서 보아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설치한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따라서, 청구항 4는 청구항 3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의 위치관계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 등의 특징이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의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에서, 이등변의 내각도를 거의 20°~30°로 확보한 상태에서, 3기의 서리방지팬을 배치하는 구성을 한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따라서, 청구항 5는 청구항 3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 또는 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이 설치된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 등의 특징이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농지에 설치한 폴의 높이를, 거의 7m~9m로 구성하고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확보하여, 농지에 서리가 내릴 때 따뜻한 공기를 송풍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따라서, 청구항 6은 청구항 3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폴의 높이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 등의 특징이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에서, 중심의 제 1 서리방지팬이 부각 조정 가능하고, 또한 좌우의 제 2·제 3 서리방지팬이 수평방향 및/또는 부각 조정 가능하고, 제 1 서리방지팬에서 농지의 평면에서 보아 방사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제 2·제 3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농지의 방형의 두 모퉁이 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농지의 광역적인 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며, 농지의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이다.
따라서, 청구항 7은 청구항 3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 또한 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최적인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으로 공급할 수 있는 따뜻한 공기의 방향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 등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태(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의 다두식 서리방지팬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서리방지팬의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서리방지팬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예의 다두식 서리방지팬의 전체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서리방지팬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농지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을 설명하는 부감도, 도 7은 종래의 서리방지팬과, 본 발명의 서리방지팬의 잎 면 등의 온도의 상태를 대비한 도면, 도 8a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예의 다두식 서리방지팬을 채용한 농지(니이가타의 사도의 감단지에서 2004년 4월 모일에, 감 농장에서의 실험임)에서의 실험의 폴과 서리방지팬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 도 8b는 센서의 설치 부분을 부감한 도면, 도 8c는 이 곳에서의 외부기온, 풍속, 일조시간을 나타낸 도면으로 온도, 시간, 풍속 등을 각각 나타내고, 도 8d는 동일한 곳의 도 8a의 상태에서의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역전강도)에서 도 8b에서 도시한 36대상구(36대상구로 함)의 라인상에서의 측정값을 나타낸 도면, 도 8e는 도면 상의 B·C팬간의 연장선상(이하, B·C팬간 연장선상이라 함)의 13포인트, B팬의 축선상(이하, B팬 축선상으로 함)의 19포인트 및 36대상구(서리방지팬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이 없는 구역으로서, 외부기온과 거의 동등한 온도)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f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4포인트, B팬 축선상의 20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g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5포인트, B팬 축 선상의 21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h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6포인트, B팬의 축선상의 22포인트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i는 B·C팬간 연장선 상의 17포인트와, B팬 축선상이 23포인트와, 36대상구를 대비하고,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j는 도 8a 내지 도 8i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비표로 한 것으로서, 도면의 일부로서 제안한다. 상기 도면은 위가 역전강도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또한 아래의 2개가 도 8e 내지 도 8i의 온도변화를 각각 데이터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의 다두식 서리방지팬의 각 예를 설명한다. "1"은 농지(H)에 세워 설치된 폴이고, 상기 폴(1)에는 회전 자유롭게 지지 베이스(2)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베이스(2)는 고정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베이스(2)에는 1개~수개의 지지기구(3)를 통하여 서리방지팬(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리방지팬(4)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지지기구(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또한 고정구(401)(제 2 고정구)로 고정되는 통체(400)와, 상기 통체(400)의 상부에 설치한 가대(402)와(통체(400)와 가대(402)가 일체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가대(402)에 설치된 긴 구멍(403a)을 구비한 모터 베이스(403)와, 상기 모터베이스(403)에 설치한 모터(404)와, 상기 긴 구멍(403a)에 삽입되는 가대(402)에 나사 부착되는 고정구(405)(제 1 고정부)와, 상기 모터(404)의 축(404a)에 고정한 팬(406)과, 상기 팬(406)을 둘러싸고, 또한 상기 모터(404)에 아암(408)을 통하여 설치한 선단부가 수렴하는 통체(407)와, 상기 통체(407)의 선단부에 설치한 정류판(409)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팬(406)은 모터(404)의 회전으로 회전하고, 따뜻한 공기를 잎 면 및/또는 그 근방 에 공급한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고정구(401)의 이완으로 통체(400)를 회전하여, 소정의 위치로 한 후, 상기 고정구(401)를 조임으로써 방전팬(4)의 수평방향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향조정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의 헤드의 회전 위치를 확보하고, 따뜻한 공기를 광역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그 조작을 원터치로 할 수 있다(다른 예도 동일). 또한 고정구(405)의 이완으로 모터베이스(403)의 각도를 변경하고, 소정의 위치로 변경한 후, 상기 고정구(405)를 조임으로써 방전팬(4)의 부각(도 3의 도시)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각 조정이 가능해지고, 따뜻한 공기의 도달 거리 및/또는 공급각도 등의 조정을 원터치로 수 있다. 또한, 통체(407)의 선단부가 수렴하는 구성 및/또는 정류판(409)과의 상승효과를 이용하여 따뜻한 공기의 공급을(공급방향에서) 단면에서 보아 거의 스크롤 형상으로 하고, 따뜻한 공기의 도달 거리의 확충과, 효률적인 공급을 도모하는 것을 의도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서리방지팬(4)을 가로 일렬로 나열한 구성이지만 도 4, 도 5의 예에서는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로 한 구성이다. 이들 구성은 각각 특징을 가지므로 그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가로 1열로 나열한 구성(이하, 가로 일렬의 구성이라 함)에서는 전체에 거의 균일한 공급을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평탄지의 농지(H)에 적합하다. 또한,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 관계로 한 구성(이하, 이등변 삼각형의 구성으로 함)에서는 중심에 위치하는 서리방지팬(4)으로부터의 공급을 먼쪽에 도달 가능하여, 광역적인 농지(H)에 적합하고, 또 한 광역적인 서리방지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서리방지팬(4)의 구성은 도시하지 않지만 농지(H)의 상황, 기후조건, 작물 등의 관계로부터 역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청구항에 기재된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을 모식적으로 기재했지만, 상기 송풍형상은 서리방지팬(4)의 송풍방식(한방향의 계속적인 공급에 의함) 및/또는 구조에 의존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형상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원칙으로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1열·이등변 삼각형의 중심에 위치하는 서리방지팬(4)은 농지(H)의 대각선상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한다(송풍한다). 그리고, 좌우에 위치하는 서리방지팬(4)은 농지(H)의 방형방향의 모퉁이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각 서리방지팬(4)에서의 부각조정도 자유롭다. 이 도면에서 청구항에 기재한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모식적으로 기재했지만, 상기 송풍형상은 서리방지팬(4)의 송풍방식(한 방향의 계속적인 공급에 의함) 및/또는 구조에 의존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형상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도 7은 종래의 서리방지팬의 잎 면 등의 온도와, 본 발명의 서리방지팬의 잎 면 등의 온도의 상태를 대비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는 온도의 거의 균일을 도모할 수 있는 것, 상기 온도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는 것, 또는 에너지 손실이 적은 것 등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a 내지 도 8j에 도시한 실험(실증시험)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 8a에 팬(서리방지팬(4))의 높이와, 감의 꽃눈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 8b에 대상구와 온도센서의 설치장소를 포인트 숫자로 나타낸다. 포인트는 7에서 시작하여 36대상구의 포인트(36)에 이른다. 도 8c는 데이터 채취일의 기후조건이고 외부기온, 풍속, 일조시간을 나타낸 도면이고, 종축과 횡축에 각각 필요로 하는 단위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는 온도, m/s는 풍속, 시는 시간, 화살표는 바람의 방향 등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d는 같은 곳의 도 8a의 상태에서의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의 강도(역전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상기 서리방지팬(4)의 높이의 역전강도와, 감의 꽃눈 높이의 역전강도를,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동상해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을 포착하여 나타냈다. 도 8e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3포인트(10m), B팬축선상의 19포인트(10m)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21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온도차가 분명하다. 그리고, 13·19포인트에서는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고 동상해 발생은 없다(표 2의 감의 내한성을 참조, 이하 동일). 그러나, 상기 36대상구에서는 동상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표 2의 내한성을 참조, 이하 동일). 또한 도 8f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4포인트(20m), B팬축선상의 20포인트(20m) 및 36대상구를 대비하고,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21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온도차가 분명하다. 그리고, 14·20포인트에서는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고 동상해 발생은 없다. 그러나, 상기 36대상구에서는 동상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도 8g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5포인트(30m), B팬축선상의 21포인트(30m)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의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 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21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온도차가 분명하다. 그리고, 15·21포인트에서는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고 동상해 발생은 없다. 그러나, 상기 36대상구에서는 동상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 도 8h는 B·C팬간 연장선상의 16포인트(40m), B팬 축 선상의 22포인트(40m)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21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온도차가 분명하다. 그리고, 16·22포인트에서는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고 동상해 발생은 없다. 그러나, 36 대상구에서는 동상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16·22포인트에서는 감의 생육을 고려하여 동상해 발생에 신경쓸 필요가 있다. 또한, 도 8i는 B·C팬간 연장선 상의 17포인트(50m), B팬 축 선상의 23포인트(50m) 및 36대상구를 대비하여, 19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잎 면 등에서의 따뜻한 공기의 공급시의 온도와 외부기온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21시부터 다음날 05시까지의 온도차가 분명하다. 그리고, 17·23포인트에서는 따뜻한 공기의 공급으로 온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고, 동상해 발생은 없지만 주의를 요한다. 또한, 상기 36대상구에서는 동상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거리간이 없어져 있는 점에서, 17·23포인트와 36대상구의 온도차는 적어져, 상기 17·23포인트에서는 동상해 발생에 신경 쓸 필요가 있다. 또한, 도 8j는 도 8a 내지 도 8i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비표로 한 것으로, 도면의 일부로서 제시한다. 상기 도면은 위쪽이 역전 강도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또한 아래의 2개가 도 8e 내지 도 8i의 온도변화를 각각 데이터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36대상구에서 동상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기의 송풍팬을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팬을 수평방향 및 상하로 조정하여 보다 광범위한 농지에 계속해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작물의 동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농지에 세워 설치된 폴에 설치한 서리방지팬용 지지베이스 및 지지기구로 구성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한 수평방향 및/또는 부각 조정 가능한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으로 구성한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에 있어서,
    상기 여러 기의 각 서리방지팬을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한 원통형상의 통체, 상기 원통형상의 통체에 지지부를 통하여 설치한 팬과 정류판 및 상기 팬 구동용 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의 통체, 팬과 정류판에서, 정면에서 보아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여러 기의 서리방지팬을 상기 지지수단에 소정 위치 관계로 설치하고, 상기 각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을 확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거의 스크롤 형상의 송풍형상과 상기 거의 빔형상의 송풍형상으로, 상기 농지의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에 설치한 아암, 상기 아암의 긴 구멍을 관통하여 서리방지팬의 통체에 나사 부착한 제 1 고정구 및 상기 아암의 환형상 구멍에 관통하여 상 기 지지 베이스에 나사 부착한 제 2 고정구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고정구의 조작으로 부각 조정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제 2 고정구의 조작으로 풍향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
  3. 원통형상의 통체, 팬 및 정류판으로 구성하는 서리방지팬을 농지에 설치한 폴에 적어도 3기 이상 설치하여 이루어진 풍향 고체의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3기의 서리방지팬을 계속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계속적인 회전으로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계속적으로 송풍하며, 또한 상기 3기의 서리방지팬에 의한 상기 농지의 먼 곳까지의 도달 거리 및/또는 상기 농지의 방형방향까지 광역면적에 송풍하고,
    상기 계속적인 송풍과 상기 도달거리 및/또는 광역면적으로의 송풍형태를 확보하고, 상기 농지에서 재배하는 작물이 내한성 하의 상황에서, 상기 작물의 주변의 공기와 상기 따뜻한 공기의 효율적인 혼합으로 계속적인 서리방지효과를 달성하고,
    상기 내한성하의 상황에서의 서리방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을 폴에 설치한 서리방지팬용 지지베이스 및 지지기 구로 구성하는 지지수단으로, 상기 폴에 정면에서 보아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의 거의 이등변 삼각형의 위치관계는 이등변의 내각도를 거의 20°~30°로 확보한 상태에서, 3기의 서리방지팬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농지에 설치한 폴의 높이를 거의 7m~9m로 구성하고, 역전층의 따뜻한 공기를 확보하고 상기 따뜻한 공기를 상기 농지에 서리가 내릴 때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기의 서리방지팬은 그 중심의 제 1 서리방지팬이 부각 조정 가능하고, 또한 그 좌우의 제 2·제 3 서리방지팬이 수평방향 및/또는 부각 조정 가능하며, 상기 제 1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상기 농지의 방사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제 2·제 3 서리방지팬에서, 평면에서 보아 상기 농지의 방형의 두 모퉁이 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농지의 광역적인 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며, 당해 농지의 작물의 서리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방법.
KR1020040098316A 2004-10-18 2004-11-27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서리방지방법 KR100676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3282 2004-10-18
JP2004303282A JP4438947B2 (ja) 2004-10-18 2004-10-18 多頭式(多頭方式:数基)の高所式防霜ファンを利用した防霜装置と、その防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93A KR20060034193A (ko) 2006-04-21
KR100676608B1 true KR100676608B1 (ko) 2007-01-30

Family

ID=3637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316A KR100676608B1 (ko) 2004-10-18 2004-11-27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서리방지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38947B2 (ko)
KR (1) KR1006766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85B1 (ko) 2020-05-14 2020-09-14 이상범 회전식 방상팬 장치
KR102180734B1 (ko) 2020-07-14 2020-11-19 장금배 냉해 및 서리 방지시스템
KR102362457B1 (ko) 2021-09-23 2022-02-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복합 열교환 구조를 갖는 농업용 냉난방 장치
KR20220073531A (ko) 2020-11-26 2022-06-03 이상범 각도조절이 용이한 양방향 방상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556A (ja) * 2006-10-11 2008-05-22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多頭式防霜ファンを利用した圃場用防霜方法
KR100903254B1 (ko) * 2007-07-27 2009-06-1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상 팬 로봇과 방상 팬 로봇을 이용한 환경 제어 시스템
JP6327677B2 (ja) * 2016-08-15 2018-05-23 豊田 哲郎 扇風機及び掃除機
CN109168830A (zh) * 2018-10-22 2019-01-11 江苏大学 一种互补作用式防霜机
CN111274655A (zh) * 2020-01-18 2020-06-12 江苏大学 一种防霜机圆弧板叶片优化设计方法
JP7357381B2 (ja) * 2021-10-06 2023-10-06 嘉光 鈴木 遮光による凍霜害の回避法
WO2023140797A1 (en) * 2022-01-19 2023-07-27 Thammaitarasee Kritsanatatsh Multi-wing mixed flow fan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722A (ja) 1996-08-01 1998-02-17 Furuta Denki Kk 茶樹内収容式低所型の茶園用防霜ファン装置
JP2004190628A (ja) 2002-12-13 2004-07-08 Isuzu Motors Ltd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722A (ja) 1996-08-01 1998-02-17 Furuta Denki Kk 茶樹内収容式低所型の茶園用防霜ファン装置
JP2004190628A (ja) 2002-12-13 2004-07-08 Isuzu Motors Ltd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制御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85B1 (ko) 2020-05-14 2020-09-14 이상범 회전식 방상팬 장치
KR102180734B1 (ko) 2020-07-14 2020-11-19 장금배 냉해 및 서리 방지시스템
KR20220073531A (ko) 2020-11-26 2022-06-03 이상범 각도조절이 용이한 양방향 방상팬 장치
KR102362457B1 (ko) 2021-09-23 2022-02-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복합 열교환 구조를 갖는 농업용 냉난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09804A (ja) 2006-04-27
KR20060034193A (ko) 2006-04-21
JP4438947B2 (ja)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608B1 (ko) 다두식의 고소식 서리방지팬을 이용한 서리방지장치와 그서리방지방법
CN105075755B (zh) 防霜防冻装置
JP2008113556A (ja) 多頭式防霜ファンを利用した圃場用防霜方法
CN202222217U (zh) 植物子母防霜机
CA2838296C (en) Greenhouse and method for cooling same
KR20140121611A (ko) 비닐 덕트를 이용한 냉난방 공조 시스템
US7849631B2 (en) Method for avoiding frost damage in crops and/or for improving the fructification at low temperatures and device applied with such a method
CN202282966U (zh) 植物防霜机
CN208523384U (zh) 农作物的防霜冻损害装置和/或改善低温下结实的装置
US10143146B2 (en) Heat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CN216018687U (zh) 一种双向360°旋转防霜冻机
JP2002345343A (ja) 高設栽培装置
JP2012050401A (ja) 防霜ファン
KR100718181B1 (ko) 꽃가루 분사기능을 갖는 온풍장치
JP2004162557A (ja) 多頭式防霜ファンと低所式防霜ファンとを利用した圃場用防霜方法と、その装置
KR200223179Y1 (ko) 시설하우스의 난방비 절감장치
JP2022170065A (ja) 圃場における防霜ファン(防霜ファン、又はその他の稼働防霜ファンを含む)の操作方法と防霜ファン
KR200263434Y1 (ko) 실험용 유리온실
JP2684324B2 (ja) 凍霜害防除方法とその装置
JP6753815B2 (ja) 植物の温度管理装置
Coman et al. INNOVATIVE METHODS FOR SPECIFIC APPLICATIONS AGAINST LATE SPRING FROST AFFECTING FRUIT TREES
KR20150056967A (ko) 작물체 생장점 및 수확부 추종형 국소냉난방 장치
Bournet et al. Impact of heating location, forced ventilation and screens on the energy efficiency and condensation risks inside a cucumber greenhouse
Bournet et al. Impact of heating loc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on climate distribution inside a greenhouse cucumber crop
CN104521599A (zh) 一种可解除落叶果树自然休眠超重力冷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