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577B1 -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 - Google Patents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577B1
KR100676577B1 KR1020057005275A KR20057005275A KR100676577B1 KR 100676577 B1 KR100676577 B1 KR 100676577B1 KR 1020057005275 A KR1020057005275 A KR 1020057005275A KR 20057005275 A KR20057005275 A KR 20057005275A KR 100676577 B1 KR100676577 B1 KR 10067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herapeutic agent
nasal
mucosal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591A (ko
Inventor
멍다 우
시게루 이나후쿠
마사루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ublication of KR2005005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for throat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55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 A61M5/2466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by piercing without internal pressure incr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9Dose expelling manners
    • A61M5/31593Multi-dose, i.e. individually set dose repeatedly administered from the same medicament reservoir

Abstract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욱이 침습성이 극히 작고,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이러한 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 이러한 치료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이러한 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 염증질환의 치료방법, 이러한 치료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 및 치료 세트이다.

Description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THERAPEUTIC CAUSING CONTRACTION OF MUCOSAL TISSUE, INJECTOR AND THERAPEUTIC SET}
본 발명은,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를 주입할 수 있는 주사기 및 이러한 주사기를 구비하는 치료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비후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비용(鼻茸) 등의 비성(鼻性) 질환의 치료의 하나로서, 항알레르기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제와 같은 내복약이 복용되어 왔지만, 이들 내복약의 대부분은 일시적인 대증(對症)효과 밖에 가지지 않고, 증상이 반복하기 쉬워, 내복약의 장기연용에 고심시켜지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여러가지 부작용, 예를 들면 주로 졸음, 목마름, 간이나 위장계의 장해 등이 생기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현재 외과적 처치로서, 비점막절제술이나 레이저 소작술이나 동결수술 등에 의한 치료가 행하여지고 있고, 예를 들면 비점막절제술이란, 국소마취(또는 전신마취)하에서 코속의 점막표면을 하갑개전인(下甲介剪刃)으로 절제하는 수술이고, 레이저 소작술이란, 레이저광선에 의해 코의 점막표면을 소작하는 수술이며, 동결수술이란, 코의 점막표 면을 동결시켜 조직을 파괴하는 수술이다.
그러나, 상기 비점막절제술, 레이저 소작술 및 동결수술은 점막표면에서의 개방성의 침습성이 크고, 한번 조작된 비점막의 회복에는 매우 긴 시간을 요한다. 즉, 이들 방법은, 어디까지나 점막표층에 있어서의 개방성의 마모(abrasion)를 주체로 하기 때문에, 수술후 장기간에 걸쳐 점막면의 손상에 의한 점막의 미란이나 가피(痂皮)형성이 야기되고, 그 사이에 당분간은 반대로 코증상의 악화 증가를 초래하는 결과가 되어, 환자에게 심신적 고통이나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실제로 신경섬유가 존재하고 있는 점막심부까지는 때때로 치료효과가 미치지 않기 때문에, 콧물이나 재채기 등의 모든 코증상이 동시에 재빨리 완화되는 경우는 적다. 또한, 수술후 단시간내에 재치료나 내복약의 병용이 부득이한 경우도 종종 경험하게 되는 바이다.
상기 현재의 외과적 처치법(레이저 소작술, 비점막절제술, 동결수술)에 있어서의 재채기, 콧물, 코막힘의 개선효과에 대하여, 불변 및 악화를 제외한 개선효과가 나타난 케이스의 확률(%)을 하기 표 1∼3에 나타낸다.
(표 1)
레이저 수술 보고자 년도 레이저 재채기 (%) 콧물 (%) 보고자 (%)
암영(岩永) 등 1) 1990 YAG 67 67 92
제등(齋藤) 등 2) 1993 CO2 73 71 73
고전(古田) 등 3) 1994 CO2 30 61 100
와전(窪田) 등 4) 1994 CO2 66 68 92
중지방(中之坊) 5) 1995 CO2/KTP 70 72 91
안전(安田) 등 6) 1998 KTP 68 77 100
심택(深澤) 등 7) 1999 아르곤 플라즈마 44 56 100
도변(渡邊)등 8) 2000 YAG 84 76 92
금촌(今村)등 9) 2002 CO2 73 90 85
Furukido Ketal 10) 2002 CO2 64 59 77
평균 ≒64 ≒70 ≒90
(표 2)
하비갑개 점막광범 절제술 보고자 년도 재채기(%) 콧물(%) 코막힘(%)
고교(高橋) 등 11) 1978 56 43 84
대총(大塚) 등 12) 1988 56 48 93
평균 56 46 89
(표 3)
동결술 보고자 년도 재채기(%) 콧물(%) 코막힘(%)
Ozenberger 13) 1970 92 100
평출(平出) 등 14) 1980 85 85 70
평균 85 89 85
또, 표 1∼3중의 문헌은, 이하와 같다.
1) 암영강성(岩永康成), 전산충사(前山忠嗣), 진 무간(進 武幹): 접촉형 YAG 레이저를 사용한 코알레르기의 치료. 이비(耳鼻) 36 : 977-981, 1990
2) 제등창치(齋藤彰治), 신천 돈(新川 敦), 귤전 풍(橘田 豊), 영목수칙(鈴木秀則), 반전정홍(飯田政弘) :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탄산가스레이저에 의한 비점막소작술. 이후두경(耳喉頭頸) 65:871-876, 1993
3) 고전 무(古田 茂), 출구호이(出口浩二), 대산 승(大山 勝) : 코알레르기에 대한 물리요법. JOHNS 10 : 389-392, 1994
4) 와전시세(窪田市世) : 코 알레르기에 대한 하갑개 레이저수술. JOHNS 10 :375-381, 1993
5) 중지방학(中之坊學) : 코 알레르기의 레이저수술에 관한 연구. 이비임상 보 77 : 1-21, 1995
6) 안전풍임(安田豊稔), 석전 효(石田 孝), 희다촌건(喜多村健) : 코알레르기에 대한 KTP 레이저치료. 이비임상 91 : 679-685, 1998
7) 심택계이랑(深澤啓二郞), 소립원 관(小笠原 寬), 등정혜미(藤井惠美), 우등성일(友藤誠一), 판상아사(阪上雅史) :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에 의한 하갑개소작술. 이비임상 92: 1063-1069, 1999
8) 도변소인, 천굴진일(川堀眞一), 후등 효(後藤 孝), 시천량일(市川良一), 코알레르기의 접촉형 Nd : YAG 레이저 치료, 이비임상 93 : 821-826, 2000
9) 금촌준일(今村俊一), 본전영행(本田英幸) : 코알레르기에 대한 탄산가스 레이저치료- 하비갑개 3회 증산법의 치료성적. 이비임상 95 : 1037-1044, 2002
10) Furukido K, Takeno S, Osada R, Ishino T, Yajin K: Study of Eosinophil Activation in Nasal Mucosa in Patients with Perennial Nasal Allergy: Effects of CO2 Laser Surgery. Am J Rhinol 16: 1-6, 2002
11) 고교광명(高橋光明), 오전 임(奧田 稔), 타월 진(打越 進), 대총전방(大塚傳邦), 판구행작(坂口幸作) : 코알레르기에 대한 하비갑개점막 광범 절제수술. 이후 50 : 393-396, 1978
12) 대총전방(大塚傳邦), 판구희청(坂口喜淸), 도뢰륭웅(渡瀨隆雄), 기타: 비점막 광범 절제수술-원격성적에 대해서. 이후두경 60 : 139-144, 1988
13) Ozenberger JM : Cryosurgery in chronic rhinitis. Laryngoscope 80: 723-734, 1970
14) 평출문구(平出文久), 택전정도(澤田政道), 정상철삼(井上鐵三), 기타 : 알레르기성 비염의 동결수술에 의한 치료경험. 비부비강 19 : 158-159, 1980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 또한,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가운데, 현재, 폐색성 수면시 호흡장해나 코골이증세 등의 외과적 치료법으로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솜노플라스티(somnoplasty)나 코블레이터 서져리(coblator surgery) 등의 고주파수 조직감량법을 알레르기성 질환을 비롯한 비점막의 여러가지 질환에 응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수조직감량법이란, 고주파의 폭로에 의해 조직을 응고변성시킨 것으로, 지금까지 임상상으로는 주로 종양조직의 감량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그 조직에의 감량효과의 원리는, 말하자면 고주파온열에 의한 단백질응고에 있다고 말해진다. 즉, 단백질응고가 일어나면 필연적으로 조직은 죽음에 이르기 때문에, 종양과 같은 생체에 있어서 필요없는 이상한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유용한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감량작용에 착안하여, 1997년에 미국의 Powell 등은 처음으로 그 장치를 구강인두영역에 응용하였다. 이들은 주로 코골이나 경도(輕度)의 폐색성 호흡장해의 증상례에 대하여, 구개수(口蓋垂)나 연구개점막(輦口盖粘膜)에 적절한 고주파의 폭로를 하여, 점막의 마모작용 및 임상증상에 대하여 양호한 개선효과를 거두었다고 보고하고 있다(CHEST111, p.1348-1355, 1997, CHEST11 3, p.1163-1174, 1998).
그 보고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도 2001년의 봄경부터 고주파장치의 일종인 코블레이터 시스템(Coblator system)을 일본에 재빨리 도입하여, 임상치료의 효험을 시작하였다. 이 치료방법은 완전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지만, 증상례에 따라서는 극히 유용한 치료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고주파수조직감량법은, 그 시스템의 도입비용이나 러닝코스트가 매우 비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실제로는, 치료후 잠시동안은, 점막표면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극히 작고,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이러한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 이러한 치료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로,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매우 작고, 비강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및 이러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둘째로,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극히 작고, 구강인두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및 이러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셋째로, 치료제를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정확하게 연속주입할 수 있는 주사기, 및 이러한 주사기를 구비한 치료구 세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고주파수조직감량법의 임상치료의 효험 단계에서, 단순히 조직단백질의 응고작용을 바란다고 하면, 매우 고액의 설비투자(당시의 코블레이터 시스템의 가격은 약 1000만엔)를 하지 않더라도, 알콜로 충분히 응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닌가하고 생각된다. 알콜은 극히 강한 단백질응고작용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조직형태학의 기초분야에서는 조직세포의 고정액으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임상 방면에서도 실제로 암성(癌性) 동통 또는 간종양이나 갑상선종양 등에 대하여, 지각신경절 혹은 종양조직의 파괴감량법으로서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접 점막하부조직에 주입하여, 그 단백질의 응고에 의해 점막의 수축을 야기하는 것과 같은 발상은 지금까지 제기된 경우는 없다. 그 이유의 하나로는, 아마 점막 의 취약성 및 에탄올에 의해서 초래되는 조직세포의 장해성에 있다고 생각된다. 즉, 지금까지 임상상으로 신경블록제 혹은 종양파괴제로서 사용되어 온 에탄올의 살상력은 너무나도 폭력적인 것이기 때문에, 얇은 점막조직에 직접 주입하기에는, 여러가지 합병증의 문제가 우려되어, 그 사용가능성에는 눈을 돌리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같은 조직장해의 작용메카니즘을 가진 고주파치료는 현실에 임상상 그 유효성이 확인된 것이기 때문에, 에탄올도 임상적으로도 응용할 수 있다고 확신하여 연구를 계속하여, 동물실험에 있어서, 에탄올의 국소주입에 의한 구강점막에 대한 조직 마모의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고, 그 검토결과에 대하여 보고하였다(일본이비인후과학회회보 105권 4호 예고집 2002년 4월 20일 발행). 또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보고로부터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그 결과,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극히 작고,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이러한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 이러한 치료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발명의 개시
즉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1)나,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과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2)나, 에탄올이 30∼95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3)나, 스테로이드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4)나, 항히스타민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4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5)나, 유효성분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5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6)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6에 기재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비강점막하부조직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7)이나, 비강점막하부조직에 직접 주사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8)이나, 비강점막하부조직이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9)이나, 비강점막하부조직이 비용점막하부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10)이나, 소정량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비강점막하부조직의 복수개소에 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10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11)이나, 찔러 넣은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찔러넣은 경로의 복수 개소에 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12)이나, 소정량이 0.05∼5.0m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 또는 12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13)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과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14)나, 에탄올이 30∼95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15)나, 스테로이드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 또는 15에 기재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16)나, 항히스타민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1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17)나, 유효성분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l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청구항 18)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 14∼18에 기재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구강인두점막하부조직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19)이나, 구강인두점막하부조직에 직접 주사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20)이나, 구강인두점막하부조직이, 구개수점막하부조직, 연구개점막하부조직, 구개인두궁점막하부조직, 인두편도하부조직, 구개편도하부조직, 설편도하부조직 또는 인두측삭하부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0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21)이나, 소정량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구강인두점막하부조직의 복수개소에 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0 또는 21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22)이나, 찔러넣은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찔러넣은 경로의 복수개소에 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2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23)이나, 소정량이 0.05∼5.0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2 또는 23에 기재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청구항 24)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통과, 상기 외통내를 이동가능한 피스톤과, 외통의 측부에서 바깥측으로 힘이 가해져 돌출하여 설치된 측부돌출부재와, 상기 측부돌출부재를 외통 내측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피스톤 및 측부돌출부재와 계합(係合)하는 스위치기구와, 피스톤의 전진에 의해 수밀(水密)상태로 삽입가능한 바닥부재를 구비한 약제용기를 수납·유지하는, 피스톤이 전진하는 측의 외통내에 설치된 약제용기수납부와, 전진한 피스톤의 복귀를 방지하는 스토퍼기구와, 외통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주사바늘을 구비한 바늘부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청구항 25)나,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5 기재의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청구항26)나, 더욱이, 온도제어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5 또는 26에 기재된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청구항27)나, 주사바늘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5∼2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청구항28)나, 주사바늘의 바늘끝의 방향이, 주사바늘의 축방향에 대하여(만곡시킨 주사바늘의 바늘끝의 방향과 바늘끝의 본래의 위치와의 사이의 각도가) 0을 넘어서 1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8에 기재된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청구항29)나, 피스톤의 후부가, 외통의 뒤쪽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5∼29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청구항30)나, 외통에 약제용기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5∼30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청구항31)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25∼31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와, 상기 주사기에 수납가능한 치료제가 들어있는 약제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청구항 32)나, 측부돌출부재를 일회 누름으로써 0.01∼0.2mL 주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33)나, 약제용기가 동체부, 마개부재 및 바닥부재를 가지며, 상기 동체부에 2약제를 격리하는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 또는 33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34)나, 격벽둘레가장자리부가 동체부의 내면에 고착됨과 동시에, 격벽의 표면에 파단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4 기재의 치료구 세트(청구항 35)나, 파단유도부가 C형상의 선형상 파단유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5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36)나, 약제용기가 격벽을 눌러 파단하는 핀부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4∼36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 (청구항 37)나, 격벽이 마개부재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4∼3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38)나, 약제용기가 동체부, 마개부재 및 바닥부재를 가지며, 상기 마개부재에 약제수납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 또는 33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39)나, 약제수납실의 바닥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약제수납실의 바닥부에 지지부재를 포위하는 파단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9에 기재의 치료구 세트(청구항 40)나, 파단유도부가 C형상의 선형상파단유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0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41)나, 바늘부재의 주사바늘이 편심하여 설치되고, 바늘부재의 외통장착시에, 주사바늘의 후단부가 약제수납실의 바닥부를 눌러 파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9∼41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42)이나, 약제용기중의 치료제가 청구항 1∼6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 또는 33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43)나, 약제용기중의 치료제가 청구항 13∼1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2 또는 33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44)나, 청구항 2∼5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유효성분이 격리되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4∼42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45)나, 청구항 13∼16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유효성분이 격리되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4∼42에 기재된 치료구 세트(청구항 46)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는,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적용하는 비강점막하부조직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 중비갑개점막하부조직, 비용의 점막하부조직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갑개점막하부조직는 비선(鼻腺), 해면모양구조를 보이는 혈관망 및 지각이나 자율신경의 신경섬유가 풍부하고, 통상 비강내의 공기조절작용이나 생리적 종창변화 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알레르기성비염과 같은 병의 상태에 놓인 경우에는, 지나친 점막하부교감신경의 긴장에 의해, 혈관망의 확장이나 비선분비기능의 항진을 초래하기 쉽고, 소위 비점막의 종창이나 콧물분비의 과다가 빈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지각신경인 삼차신경의 과민에 의해, 뇌간망양체를 통해, 삼차신경과 설열(舌咽), 미주(迷走), 횡격막신경 등의 운동신경계와의 사이에 형성된 재채기 신경반사궁도 한층 더 흥분상태가 되어, 재채기의 다발로 이어지지만,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적용하면, 점막의 수축감량에 의한 코막힘의 경감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비선, 혈관망 및 부교감신경이나 삼차신경의 신경섬유도 에탄올의 응고작용으로 동시에 손상 내지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것에 의해, 콧물분비의 감소, 점막의 충혈성 종창의 저하, 및 재채기 발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에 있어서, 에탄올의 함유량으로서는, 치료제중, 30∼9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8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7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7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탄올농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적절한 양의 치료제의 투여에 의해 점막조직의 적절한 수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직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고 점막조직을 적절히 수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에 있어서는, 유효성분으로서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스테로이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치료제중,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0.4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0.3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스테로이드제가 가진 항염증작용, 항부종작용에 의해, 에탄올에 의한 점막변성에 따른 국소점막의 비특이적 염증침윤, 종창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이 효과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현저하다. 따라서, 치료제 투여후의 점막의 염증반응에 의한 국소의 동통이나 불쾌감 등을 경감할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스테로이드제는, 에탄올용액에 녹기 쉽고, 또한 혼합에 의한 양자의 상호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조직으로부터의 추출 등의 관련데이터로부터, 외관적 변화는 물론, 생화학적 변화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며(「후생성약무국심사제2과: 일본약국방외의약품성분규격 후생성 P-P:1282-1284. 1989」,「스테로이드호르몬. 호르몬Ⅱ펩티드호르몬. 신생화학실험강좌9(일본생화학회편) 동경화학동인 P-P:81-109, 1992」), 에탄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치료제중에 함유시키더라도 그 효용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로이드제로서는, 항염증역가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들 들면 인산덱사메타존나트륨, 인산베타메타존나트륨, 인산프레드니졸론나트륨, 초산메틸프레드니졸론, 숙신산 프레드니졸론나트륨, 초산덱사메타존, 초산베타메타존·베타메타존인산나트륨, 트리암시놀론아세트니드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항염증작용의 역가가 높은 것과, 이물질 반응이 적은 것 등의 점에서 인산덱사메타존나트륨, 인산베타메타존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카드론(등록상표), 올가드론(등록상표), 린데론(등록상표), 콜손(등록상표)등을 들 수 있고, 더욱 용해성면에서 올가드론(등록상표)이나 린데론(등록상표)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는, 유효성분으로서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항히스타민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치료제중,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0.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함으로써 히스타민의 작용, 즉 말초혈관의 확장, 혈관벽의 투과성항진, 선(腺)조직의 분비증진 등의 작용을 강하게 억제하여, 에탄올주입자극에 의한 국소점막의 염증반응, 특히 일시적인 조직 삼출액(渗出液)의 과잉분비나 부종의 경감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히스타민주사제로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클로로페니라민(dl체, d체), 테오클산디페닐피라린, 염산디페닐피라린, 염산프로메타딘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레스민(등록상표), 크롤·트리메톤(등록상표), 포라라민(등록상표), 프로콘(등록상표), 하이스타민(등록상표)등을 들 수 있다. 에탄올에 용해하기 쉬운 점, 항히스타민의 역가가 높은 점, 및 항콜린작용이나 중추신경억제작용이 약한 점 등에서 레스민(등록상표) 또는 포라라민(등록상표)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는, 유효성분(에탄올,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이 각각 개별로 용기 등에 수용되는 형태이어도 좋고, 혼합액으로서 용기 등에 수용되는 형태이어도 좋다.
또, 비강점막과 구강인두점막의 에탄올에 대한 반응성의 차이로부터,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중에, 유효성분으로서 반드시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할 필요는 없다. 즉, 구강인두점막의 경우는, 가령 중경도 이하의 점막의 종창이더라도, 항상 인두강으로 상기도(上氣道)의 폐색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고, 그것은 질식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로 직결되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와의 병용이 필요하지만, 비점막의 경우, 동량의 에탄올의 주사에 의해 초래되는 국소점막의 종창비율은 비교적 경도로 머무르는 것이 판명되었고, 또한, 실제 본래의 비점막의 병적 종창에 의해, 이미 양 비강이 거의 폐쇄하여 호흡도로서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주사후에 한층 더 점막의 종창에 의한 호흡의 고통이 초래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는, 필요에 따라서 적량의 마취제, 에탄올의 확산을 막는 혈관수축제 등을 함유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 마취제로서는, 리도카인, 염산리도카인, 염산메피바카인, 염산프로피트카인, 염산프로카인, 염산테트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혈관수축제로서는, 에피네프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의 마취제와 혈관수축제의 합제, 예를 들면 키실로카인(E주)(등록상표), 시타네스트(E주)(등록상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에 의하면, 비강점막조직을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강을 확대하여 코의 통풍을 좋게 하고,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극히 작고, 만성 비후성비염, 혈관운동성비염, 통년성(通年性) 또는 계절성 알레르기성비염, 만성 비부비강염(鼻副鼻腔炎) 및 비용 등에 의한 코막힘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막하신경섬유의 반사궁을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신경의 자극반사에 의해서 야기되는 재채기의 발작이나 콧물분비를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에탄올을 유효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매우 염가이고, 매우 안전성이 높으며,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후유증 등의 위험성이 극히 적다. 또한, 상기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마취제, 혈관수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주사투여한 경우, 주사후에 개방성 술창(術創)이 형성되지 않고, 주입한 치료제의 누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으로 스테로이드제 등의 첨가제가 조직내에 머무르고, 그 작용을 최대한으로 발현할 수 있어, 첨가제의 함유량을 보다 소량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비강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강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은, 상기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비강점막하부조직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막조직치료제의 투여방법으로서는,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를 비강점막하부조직에 직접 주사투여할 수 있고, 이러한 주사기로서는 일반적인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의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며, 더군다나 정확하게 치료제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를 투여하는 비강점막하부조직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 중비갑개점막하부조직, 비용의 점막하부조직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갑개점막하부조직은 비선, 해면모양구조를 보이는 혈관망 및 지각이나 자율신경의 신경섬유가 풍부하고, 통상적으로 비강내의 공기조절작용이나 생리적 종창변화 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알레르기성비염과 같은 병의 상태에 놓여진 경우에는, 지나친 점막하부교감 신경의 긴장에 의해, 혈관망의 확장이나 비선분비기능의 항진을 초래하기 쉽고, 소위 비점막의 종창이나 콧물분비의 과다가 빈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더욱, 지각신경인 삼차 신경의 과민에 의해, 뇌간망양(腦幹網樣)체를 통해 삼차신경과 설열, 미주, 횡격막신경 등의 운동신경계와의 사이에 형성된 재채기 신경반사궁도 한층 더 흥분상태가 되어, 재채기의 다발로 이어지지만, 본 발명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의하면, 점막의 수축감량에 의한 코막힘의 경감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비선, 혈관망 및 부교감신경이나 삼차신경의 신경섬유도 에탄올의 응고작용으로 동시에 손상 내지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것에 의해, 콧물분비의 감소, 점막의 충혈성 종창의 저하 및 재채기 발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막조직치료제의 투여량으로서는, 병변의 상태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점막하부조직의 팽창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그 투여량은, 0.05∼2.0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막조직치료제의 투여는 한번에 행하여도 좋지만, 조직의 급변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복수개소에 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사바늘끝을 점막하부조직에 삽입하여, 예컨대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상기 점막하부조직내에서 주사바늘끝의 위치를 바꾸어 찔러 넣는 경로의 복수개소에 분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주할 때의 1회의 주입량으로는, 0.01∼0.5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3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8∼0.15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에탄올농도가 높은 경우, 국소의 변성, 종창 등이 보다 급격하게 되기 때문에, 1개소당의 주입량을 소량으로 하고, 복수개소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투여하는 치료제에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투여전 혹은 투여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더라도 좋다. 또한 주사전에, 미리 치료대상으로 하는 점막조직에 대하여, 마취약제를 사용하여 표면마취 또는 침윤마취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취법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모두 국소마취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것이며, 전신마취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주사후에는 입원관리나 추가치료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당일치기 수술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비강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의하면, 비강점막조직을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강을 확대하여 코의 통풍을 좋게 하고,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욱이 침습성이 극히 작고, 만성비후성비염, 혈관운동성비염, 통년성 또는 계절성 알레르기성비염, 만성 비부비강염, 및 비용 등에 의한 코막힘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막하신경섬유의 반사궁을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신경의 자극반사에 의해서 야기되는 재채기의 발작이나 콧물분비를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은, 직접 비강점막표면에 절개·절제 혹은 소작(燒灼) 등의 조작을 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치료후, 비강내점막의 궤양이나 가피(痂皮)의 형성, 코출혈, 오염된 코분비물의 증량 및 비강내감염증의 병발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환자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은, 에탄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막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염가이고, 안전성이 높고,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후유증 등의 위험성이 극히 적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강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치료제투여(주사)후에 개방성 술창이 형성되지 않고, 주입한 치료제의 누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마취제, 혈관수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 매우 효율적으로 스테로이드제 등의 첨가제가 조직내에 머무르고, 그 작용을 최대한으로 발현할 수 있어, 첨가제의 함유량을 보다 소량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의 점막조직에 공급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의 점막조직에 공급하는 작용기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A)는 치료전, (B)은 치료시, (C)는 치료후를 나타낸다.
도 1(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강점막, 특히 하비갑개점막은 골막상에 고유층(固有層)(점막하부조직)을 가지며, 그 고유층을 점막상피층이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콧물의 분비에 관한 비선이나 자율신경섬유, 재채기의 반사에 관한 지각신경섬유, 그리고 점막의 반응성 종창(코막힘)에 크게 관여하는 해면모양 혈관총(叢)은, 주로 고유층에 분포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비염, 특히 알레르기성비염일 때의 여러가지 코증상(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의 발현과 점막하층의 병의 용태상황은 크게 연동하고 있다. 즉, 고유층에 있어서의 병의 용태변화의 제어가 비염의 여러가지 증상의 개선으로 직결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점막상피층은, 세균·먼지의 여과나 국소의 감염방어 등의 비강의 생리기능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점막상피층을 온전히 보존하면서, 비염의 중심병변부이기도 한 점막하부조직만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법이 요구되지만, 종래의 레이저 소작술 등은 이 점막상피층마다 고유층을 제거한다고 하는 치료방법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제를 직접 고유층에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점막상피층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비선, 신경섬유 및 혈관총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고유층만을 간단하고 또한 매우 효율적으로 손상 내지 부분적으로 파괴할 수가 있어, 결과적으로 과잉콧물, 재채기의 유발은 물론, 혈관총의 감소에 더하여, 손상 내지 부분적으로 파괴된 점막하부조직은 섬유화가 진행하고,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흔(瘢痕) 수축에 의해 점막전체의 용적이 축소하여 비강의 개통이나 코막힘의 개선효과가 한층 더 촉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은, 점막하부조직에 치료제를 투여함으로써, 점막상피층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점막하부조직을 수축시켜, 그 반흔섬유화에 의해 종창, 비대한 점막조직을 정상적인 형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고 하는 매우 유효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후술하는 강인두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에 관해서도, 구강점막고유층의 반흔수축에 의한 감량효과를 얻는 점에서 상기 비강점막에 있어서의 기구와 동일하지만, 비강점막에서는, 구강점막에 비하여 신경섬유, 분비선, 혈관총 등이 극히 많기 때문에, 조직의 감량과 동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신경섬유의 변성이나, 분비선, 혈관총의 손상파괴에 의한 감소 등, 종래 생각할 수 없었던 매우 효과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는,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과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적용하는 구강 또는 인두점막하부조직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개수점막하부조직, 연구개점막하부조직, 구개설궁(전구개궁)점막하부조직, 구개인두궁(후구개궁)점막하부조직, 설근부점막하부조직, Waldeyer 인두륜의 점막림프조직(인두편도조직, 구개편도조직, 설편도조직, 인두측삭림프조직)의 하부조직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구개수점막하부조직, 연구개점막하부조직, 구개인두궁점막하부조직, 인두선편도하부조직, 구개편도하부조직, 설편도하부조직 또는 인두측삭하부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막하부조직에는, 점막조직의 고유층뿐만 아니라, 그 아래의 조직, 예를 들면 근층 등도 포함한다.
많은 코골이증세나 폐색형 수면시 호흡장해는 연구개형 진동 코골이 또는 연구개 협착형 호흡장해에 의한 것으로, 그 구강인두소견으로서는 주로 구개수의 과장, 연구개의 비후나 저위, 구개인두궁의 폭의 증대 및 편도의 비대 등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이들 부위에 대한 치료제의 주입은, 동일 부위의 점막 반흔수축의 형성에 의한 진동음의 감소나 구래부(口崍部) 에어웨이(Air way)의 확대나 조직경화에 의한 구개수·연구개의 침하예방에 극히 효과적이고, 나아가서는, 코골이나 폐색형 수면시 호흡장해의 개선에 매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구강인두점막의 염증성질환중 특히 만성편도염이나 병소(病巢) 감염 등에 있어서, 주병변을 가진 Waldeyer 인두륜의 편도조직, 특히 구개편도조직이나 인두측삭림프조직에 대하여, 치료제의 주입에 의한 편도조직의 응고에 의한 수축경화작용이 본래의 염증의 기인장소인 편도병변조직의 감량 및 안정화로 연결되고, 동부조직의 염증반응의 확대방지나 침정화(沈靜化)에도 크게 공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에 있어서, 에탄올의 함유량으로서는, 치료제중, 30∼9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8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7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7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탄올농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적절한 양의 치료제의 투여에 의해 점막조직의 적절한 수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직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고 점막조직을 적절히 수축할 수가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치료제중, 0.01∼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0.4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0.3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스테로이드제가 가진 항염증작용, 항부종작용에 의해, 에탄올에 의한 점막변성에 따른 국소점막의 비특이적염증침윤, 종창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이 효과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우 현저하다. 따라서, 치료제 투여후의 점막의 염증반응에 의한 국소의 동통이나 불쾌감 등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 스테로이드는, 에탄올용액에 녹기 쉽고, 또한 혼합에 의한 양자의 상호약리작용에 대해서는, 조직으로부터의 추출 등의 관련데이터로부터, 외관적 변화는 물론, 생화학적변화도 발생하지 않은 것는다고 생각되며(「후생성약무국심사제2과: 일본약국방외 의약품성분규격 후생성 P-P:1282-1284. 1989」,「스테로이드호르몬. 호르몬Ⅱ펩티드호르몬. 신생화학실험강좌 9(일본생화학회편) 동경화학동인 P-P: 81-109, 1992」), 에탄올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치료제중에 함유시키더라도 그 효용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로이드의 국소주사제로서는, 항염증역가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인산덱사메타존나트륨, 인산베타메타존나트륨, 인산프레드니졸론나트륨, 초산메틸프레드니졸론, 숙신산프레드니졸론나트륨, 초산덱사메타존, 초산베타메타존·베타메타졸인산나트륨, 트리암시놀론아세트니드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항염증작용의 역가가 높은 점과, 이물반응이 적은 점 등에서 인산덱사메타존나트륨, 인산베타메타존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카드론(등록상표), 올가드론(등록상표), 린데론(등록상표), 콜손(등록상표)등을 들 수 있고, 더욱 용해성면에서 올가드론(등록상표)이나 린데론(등록상표)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히스타민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치료제중, 0.01∼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0.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함으로써, 히스타민의 활동, 즉 말초혈관의 확장, 혈관벽의 투과성항진, 선조직의 분비증진 등의 작용을 강하게 억제하여, 에탄올 주입자극에 의한 국소점막의 염증반응, 특히 부종의 경감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히스타민주사제로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클로로페니라민(dl체, d체), 테오클산디페닐피라린, 염산디페닐피라린, 염산프로메타딘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레스민(등록상표), 크롤·트리메톤(등록상표), 포라라민(등록상표), 프로콘(등록상표), 하이스타민(등록상표)등을 들 수 있다. 에탄올에 용해하기 쉬운 점, 항히스타민의 역가가 높은 점, 및 항콜린작용이나 중추신경억제작용이 약한 점 등에서 레스민(등록상표) 또는 포라라민(등록상표)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는, 유효성분(에탄올,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이 각각 개별로 용기 등에 수용되는 형태이더라도 좋고, 혼합액으로서 용기 등에 수용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구강인두점막의 경우는, 주사후 국소의 동통에 의한 음식섭취곤란, 또는 점막의 종창에 의한 상기도의 협착을 초래하여, 호흡곤란에 빠지지 않는다고는 말할 수 없고, 또한, 가령 중경도 이하의 점막의 종창이더라도, 항상 인두강에서 상기도의 폐색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어, 질식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로 직결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는, 필요에 따라, 마취제, 에탄올의 확산을 막는 혈관수축제 등을 함유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 마취제로서는, 리도카인, 염산리도카인, 염산메피바카인, 염산프로피트카인, 염산프로카인, 염산테트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혈관수축제로서는, 에피네프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의 마취제와 혈관수축제의 합제, 예를 들면 키실로카인(E주)(등록상표), 시타네스트(E주)(등록상표) 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에 의하면, 해당 점막조직의 비특이적 염증침윤, 종창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상기 점막조직을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극히 작고, 코골이증세, 수면시의 호흡장해 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에 함유되는 에탄올은, 매우 염가이며, 매우 안전성이 높고,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후유증 등의 위험성이 극히 적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주사투여한 경우, 주사후에 개방성 술창이 형성되지 않고, 주입한 치료제의 누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으로 스테로이드제가 조직내에 머무르고, 그 작용을 최대한으로 발현할 수 있어, 스테로이드제의 함유량을보다 소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 마취제, 혈관수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 작용을 최대한으로 발현할 수 있고, 그 함유량을 보다 소량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강 또는 인두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 또는 인두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은, 상기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구강 또는 인두점막하부조직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투여방법으로서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구강 또는 인두점막하부조직에 직접 주사투여할 수 있고, 이러한 주사기로서는 일반적인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의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며, 더군다나 정확히 치료제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투여하는 구강 또는 인두점막하부조직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개수점막하부조직, 연구개점막하부조직, 구개설궁(전구개궁)점막하부조직, 구개인두궁(후구개궁)점막하부조직, 설근부점막하부조직, Waldeyer 인두륜의 점막 림프조직(인두편도조직, 구개편도조직, 설편도조직, 인두측삭림프여포)의 하부조직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구개수점막하부조직, 연구개점막하부조직, 구개인두궁점막하부조직, 인두편도하부조직, 구개편도하부조직, 설편도하부조직 또는 인두측삭하부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막하부조직에는, 점막조직의 고유층뿐만 아니라, 그 아래의 조직, 예를 들면 근층 등도 포함한다.
대부분의 코골이증세나 폐색형 수면호흡장해는 연구개형진동 코골이 또는 연구개협착형 호흡장해에 의한 것으로, 그 구강인두 소견으로서는 주로 구개수의 과장, 연구개의 비후나 저위, 구개인두궁의 폭의 증대 및 편도의 비대 등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이들 부위에 대한 치료제의 주입은, 동부위의 점막반흔수축의 형성에 의한 진동음의 감소나 구래부 에어웨이(air way)의 확대나 조직경화에 의한 구개수·연구개의 침하예방에 극히 효과적이고, 나아가서는, 코골이나 폐색형 수면시 호흡장해의 개선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구강인두점막의 염증성 질환중 특히 만성편도염이나 병소감염 등에 있어서, 주병변을 가지는 Waldeyer 인두륜의 편도조직, 특히 구개편도조직이나 인두측삭림프여포에 대하여, 치료제의 주입에 의한 편도조직의 응고에 의한 수축경화작용이 본래의 염증의 기인장소인 편도병변조직의 감량 및 안정화로 연결되고, 동부조직의 염증반응의 확대방지나 침정화에도 크게 공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투여량으로서는, 병변의 상태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할 수가 있지만, 점막하부조직의 팽창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그 투여량은, 0.05∼2mL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 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투여는, 한번에 행하여도 좋지만, 조직의 급변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치료를 실시하기 때문에, 복수개소에 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사바늘끝을 점막하부조직에 삽입하여 예컨대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상기 점막하부조직내에서 주사바늘끝의 위치를 바꾸어 찔러 넣는 경로의 복수개소에 분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주할 때의 1회의 주입량으로서는, 0.01∼0.5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3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0.15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에탄올 농도가 높은 경우, 국소의 변성, 종창 등이 보다 급격한 것이 되기 때문에, 1개소당의 주입량을 소량으로 하고, 복수개소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또는 인두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투여하는 치료제에 항히스타민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투여전 혹은 투여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더라도 좋다. 또한 주사전, 미리 치료대상으로 하는 점막조직에 대하여, 마취약제를 사용하여 표면마취 또는 침윤마취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취법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모두 국소마취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으며, 전신마취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주사후에는 입원관리나 추가치료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 당일치기 수술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강 또는 인두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의하면, 상기 점막조직의 비특이적 염증침윤, 종창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상기 점막조직을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극히 작고, 코골이증세, 수면시 호흡장해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또는 인두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은, 직접 상기 점막표면에 절개·절제 혹은 소작 등의 조작을 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치료후, 구강내점막의 궤양이나 가피의 형성, 구강내 감염증의 병발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환자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또는 인두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은, 에탄올을 함유하는 점막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염가이고, 매우 안전성이 높고,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후유증 등의 위험성이 극히 적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또는 인두에 있어서의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치료제투여(주사)후에 개방성 술창이 형성되지 않고 주입한 치료제의 누출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으로 스테로이드제가 조직내에 머무르고, 그 작용을 최대한으로 발현할 수 있어, 첨가제의 함유량을 보다 소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 마취제, 혈관수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 작용을 최대한으로 발현할 수 있어, 그 함유량을 보다 소량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또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주입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통상의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숙련한 사람에 의하지 않으면 1개소에 대량의 치료제가 주입되어 점막조직에 과도한 손상을 줄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한번에 대량 주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1B-1B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피스톤의 동작설명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피스톤의 압출에 의한 치료제의 사출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10)는, 외통(12)과, 외통(12)내를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14)과, 외통(12)의 측부에서 바깥측으로 힘이 가해져 돌출하여 설치된 측부돌출부재(16)와, 측부돌출부재(16)를 외통(12) 안쪽에 향하여 누름으로써 피스톤(14)을 전진시키는, 피스톤(14) 및 측부돌출부재(16)와 계합(係合)하는 스위치기구(18)와, 피스톤(14)의 전진에 의해 수밀상태로 삽입가능한 바닥부재(20)를 구비한 약제용기(22)를 수납·유지하는, 피스톤(14)의 전진하는 측의 외통(12)내에 설치된 약제용기수납부(24)와, 전진한 피스톤(14)의 복귀를 방지하는 스토퍼부재(26)(스토퍼기구)와, 외통(1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주사바늘(34)을 구비한 바늘부재(27)를 가지고 있다.
외통(12)은, 예를 들면, 내경이 10∼50mm정도, 길이가 50∼200mm 정도의 통형상체로서, 내부에는 장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14)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14)은, 전단부에 제 1 원반부재(28)를 가지며, 후단부에 제 2 원반부재(30)를 가진 막대 형상부재로서, 제 1 원반부재(28)는 그 지름이 약제용기(22)의 안지름보다 약간 작아지고, 약제용기(22)를 주사기(10)에 장착했을 때는, 그 앞측면이 약제용기(22)내를 미끄럼동작하는 바닥부재(20)의 바깥측면(뒷면)에 접촉하고, 또한, 제 2 원반부재(30)는 그 지름이 외통(12)의 안지름과 거의 동일지름이 되고, 그 바깥둘레면이 외통(12) 내면과 접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14)의 전방에는 약제용기수납부(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약제수납기부(24)에 약제용기(22)가 수납된다. 수납되는 약제용기(22)는 원통체(32)의 양측을, 바늘부재(27)의 주사바늘(34)을 끼워 통과시킬 수 있는 마개부재(36)와 피스톤(14)의 제 1 원반부재(28)에 의한 압출에 의해서 미끄럼동작가능한 바닥부재(20)에 의해서 밀폐되어 구성되고, 내부에 치료제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약제용기(22)는, 사용용도 등에 맞추어, 적절히 0.1ml, 0.2ml, 0.3ml, 0.5ml, 1.0ml 등의 소정량의 치료제를 수납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상기의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0.05∼2ml의 치료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O.1∼1.Oml의 치료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정량의 치료제가 수납된 약제용기(22)를 탈착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에탄올과 같은 휘발성의 물질을 함유하는 치료제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치료제의 휘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약제용기수납부(24)에는 온도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제용기(22)내의 치료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부돌출부재(16)는, 외통(12)의 중앙측부에서 바깥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힘이 가해져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14)의 장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도 2상,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측부돌출부재(16)는, 스위치기구(18)의 반둘레측면을 덮는 U자형상의 부재로서, 측부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제 1 볼록부(40) 및 제 2 볼록부(42)가 설치된다. 제 1 볼록부(40) 및 제 2 볼록부(42)는, 전방측의 면이 볼록부 상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지고, 후방측의 면이 볼록부 상부로부터 수직아래쪽으로 이어지고 있다.
스위치기구(18)는, 속이 빈 각기둥체로서 내부에 피스톤(14)을 끼워 통과시킨다. 또한, 스위치기구(18)의 측부 양측에는, 측부돌출부재(16)의 제 1 볼록부(40) 및 제 2 볼록부(42)에 계합하는 제 3 볼록부(44) 및 제 4 볼록부(46)가 설치되어 있고, 제 3 볼록부(44) 및 제 4 볼록부(46)는, 전방측의 면이 볼록부 상부로부터 수직아래쪽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후방측의 면이 볼록부 상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스위치기구(18)는, 내부에 끼워 통과시킨 피스톤(14)을 바깥둘레로부터 눌러 유지하여, 피스톤(14)을 연속적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피스톤전진기구를 갖고 있다.
이러한, 피스톤전진기구로서는, 피스톤을 전진시킬 수 있는 기구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05-05079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06-00868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07-251595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08-03419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1-01857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16669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23429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7048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62090호, 일본 특허공개2002-36208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6208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6208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47385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4738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2649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2149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2149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30189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19288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2-12767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1-27028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1-26058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0-28068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0-211286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0-10857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0-03798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0-02538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0-01598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2000-00108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11-309983호 공보 등에 기재한 바와 같은 샤프펜슬방식(연속 노크방식)을 들 수 있다.
또한, 외통(12)의 후부 안둘레면에는, 피스톤(14)의 제 2 원반부재(30)에 계합하여 전진한 피스톤(14)의 되돌아감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26)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부재(26)는, 외통(12)의 후부의 안둘레면에 피스톤(14)의 일회의 전진거리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설치된, 복수의 대향하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편(片)으로서, 피스톤(14)의 전진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피스톤(14)이 소정거리 전진한 후(편을 넘은 후)에는 피스톤(14)의 후진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샤프펜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스토퍼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 편은 장비하지 않아도 좋지만, 보다 확실히 피스톤의 후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통(12)의 선단부에는 바늘부재(27)가 설치된다. 주사바늘부부재(27)는, 외통(12)의 선단부에 탈착가능한 장착부(48)와 장착부(48)에 고정된 주사바늘(34)을 가지고 있으며, 약제용기(22)를 약제용기수납부(24)에 수납하여 바늘부재(27)를 부착했을 때는, 주사바늘(34)의 후부가 약제용기(22)의 마개부재(36)를 관통하여 약제용기(22)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주사기(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하에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C)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기(10)에 있어서는, 측부돌출부재(16)의 누름면(17)을 눌러 측부돌출부재(16)를 외통(12)의 안방향(도 2 위, 수직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측부돌출부재(16)의 제 1 볼록부(40)의 전방측의 경사면과 스위치기구(18)의 제 3 볼록부(44)의 후방측의 경사면, 및 측부돌출부재(16)의 제 2 볼록부(42)의 전방측의 사면과 스위치기구(18)의 제 4 볼록부(46)의 후방측의 경사면이, 미끄럼접촉하여 이동하여 스위치기구(18)가 소정거리전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스위치기구(18)는, 피스톤전진기구에 의해 내부에 끼워 통과된 피스톤(14)을 바깥둘레로부터 눌러 유지하여, 피스톤(14)을 전진시킨다(도 3(A), (B)). 측부돌출부재(16)를 최대한 눌러, 스위치기구(18)의 전진이 종료하면, 내부에 끼워 통과된 피스톤(14) 바깥둘레면의 누름이 해제(누르지 않는 상태)되어, 피스톤(14)을 전진한 위치에 멈춘 채로 스위치기구(18)는 후진하여,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도 3(C)). 이 때, 피스톤(14)의 전진에 따라 제 2 원반부재(30)는 피스톤(14)이 한개 전방의 스토퍼부재(26)(도 4 참조)를 넘어서 있기 때문에, 이러한 스토퍼부재(26)에 의해서 피스톤(14)이 스위치기구(18)와 같이 후진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는, 피스톤(14)은 도 4중의 a에서 b까지의 소정거리 전진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스톤(14)에 의해 약제용기(22)의 바닥부재(20)를 도 4중의 a'로부터 b'까지의 소정거리 전방으로 압출하고, 소정량의 치료제를 주사바늘(34)로부터 사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에 의해, 동량의 치료제를 연속적으로 사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주사기(10)에 있어서는, 측부돌출부재를 일회 최후까지 누름으로써 피스톤의 전진거리가 항상 일정한 것에 의해, 원하는 양의 치료제를 사출할 수가 있다. 또한, 측부로부터 돌출한 측부돌출부재를 눌러 자르는 구성이기 때문에, 누름에 의한 주사바늘의 진행방향에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치료제를 주입할 수가 있다. 즉, 병변부의 적절한 개소에 정확, 확실하게 치료제를 주입할 수가 있고, 또한, 주입시의 불의의 치료제의 누출·살포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치료제로서 상기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또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찔러 넣는 경로의 복수개소에 분주할 때에도 적절한 개소에 치료제를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치료제의 누출·살포를 방지하여 비환부점막표면의 건강한 점막상피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10)는, 연속적으로 측부돌출부재를 누름으로써, 전회와 동량의 치료제를 사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일회의 치료로 복수개소에 치료제를 주입하는 경우나, 동일개소에 복수회로 나누어 주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유용하다. 즉, 예를 들면, 오른쪽 비강점막의 처치후, 바늘부재를 바꾸어 붙여, 남은 치료제를 계속해서 왼쪽 비강점막에 주사할 수 있고, 또한, 주사바늘을 찌른 채로, 점막하에서 주사바늘끝의 깊이나 방향을 바꾸면서 복수회 주입함으로써, 일회의 주사만으로, 즉 최소 침습으로 매우 광범위에 걸친 점막아래에 치료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10)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4B-4B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피스톤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50)는, 외통(12)과, 외통(12)내를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52)과, 외통(12)의 측부에서 바깥측으로 힘이 가해져 돌출하여 설치된 측부돌출부재(16)와, 측부돌출부재(16)를 외통(12) 안쪽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피스톤(52)을 전진시키는, 피스톤(52) 및 측부돌출부재(16)와 계합하는 스위치기구(54)와, 피스톤(52)의 전진에 의해 수밀상태로 삽입가능한 바닥부재(20)를 구비한 약제용기(22)를 수납·유지하는, 피스톤(52)의 전진하는 측의 외통(12)내에 설치된 약제용기수납부(24)와, 전진한 피스톤(52)의 복귀를 방지하는 스토퍼기구의 일례인 고착기구와, 외통(1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주사바늘을 구비한 바늘부재(27)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52)은, 전단부에 제 1 원반부재(56)를 가지며, 후단부에 제 2 원반부재(58)를 가진 막대 형상부재로서, 제 1 원반부재(56)는, 그 지름이 약제용기(22)의 안지름보다 약간 작게되고, 약제용기(22)를 주사기(50)에 장착했을 때는, 그 앞측면이 약제용기(22)내를 미끄럼동작하는 바닥부재(20)의 바깥측면에 접촉하고, 또한, 제 2 원반부재(58)는, 그 지름이 외통(12)의 안지름과 거의 동일지름이 되어 그 바깥둘레면이 외통(12)내면과 접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52)의 중앙부 전방측에는, 후방을 향하여 넓어진 복수의 동형의 테이퍼형 부재(60a, 60b, 60c, 60d)가 설치된다. 더욱이, 피스톤(52)의 제 1 원반부재(56)의 앞면에는, 고착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약제용기(22)의 바닥부재(20)의 바깥측면(뒷면)에 고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위치기구(54)는, 속이 빈 각기둥체로서 내부에 피스톤(52)을 끼워 통과시킨다. 또한, 스위치기구(54)의 측부에는, 측부돌출부재(16)의 제 1 볼록부(40) 및 제 2 볼록부(42)에 계합하는 제 3 볼록부(62) 및 제 4 볼록부(64)가 설치되어 있고, 제 3 볼록부(62) 및 제 4 볼록부(64)는, 전방측의 면이 볼록부 상부로부터 수직아래쪽으로 이어짐과 동시에 후방측의 면이 볼록부 상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스위치기구(54)의 전방 선단부 안둘레에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안쪽에 힘이 가해진 피스톤 압출부재(66)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테이퍼형 부재(60a)의 뒷면에 그 앞면이 접촉하고 있다. 더욱이, 피스톤(52)의 제 1 원반부재(50)와 피스톤압출부재(66)의 사이에는, 피스톤(52)을 내부에 수납하도록 탄성부재의 일례인 코일스프링(68)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주사기(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기(50)에 있어서는, 측부돌출부재(16)의 누름면(17)을 눌러 측부돌출부재(16)를 외통(12)의 안방향(도 5위, 수직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측부돌출부재(16)의 제 1 볼록부(40)의 전방측의 경사면과 스위치기구(54)의 제 3 볼록부(62)의 후방측의 경사면, 및 측부돌출부재(16)의 제 2 볼록부(42)의 전방측의 경사면과 스위치기구(54)의 제 4 볼록부(64)의 후방측의 경사면이 미끄럼접촉하여 이동하여 스위치기구(54)가 소정거리 전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스위치기구(54)의 피스톤압출부재(66)가 테이퍼형 부재(60a)의 뒷면을 밀어내어 피스톤(52)을 소정거리 전진시킨다(도 6(A), (B)). 측부돌출부재(16)를 최대한으로 눌러 스위치기구(54)의 전진이 종료하면, 스위치기구(54)가 코일스프링(68)에 의해 후진함과 동시에, 안쪽으로 힘이 가해진 압출부재(66)가, 압출한 한개 후방의 테이퍼형 부재(60b)의 측부에 의해 바깥측에 눌러 확대되고, 그 테이퍼형 부재(60b)를 넘으면서 동시에 안쪽으로 힘이 가해져 테이퍼형 부재(60b)의 뒷면에 접촉한다. 이 때, 피스톤(52)은, 제 1 원반부재(56)의 앞면 및 약제용기(22)의 바닥부재(20)의 바깥측면이 고착기구에 의해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52)은 후진하지 않고 전진한 위치에서 머문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소정량의 치료제가 주사바늘(34)(도 5참조)로부터 사출된다. 그리고,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동량의 치료제를 연속적으로 사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주사기(50)에 있어서는, 측부돌출부재를 일회 마지막까지 누름으로써 피스톤의 전진거리가 항상 일정한 것에 의해, 원하는 양의 치료제를 사출할 수 있다. 또한, 측부로부터 돌출한 측부돌출부재를 눌러 자르는 구성이기 때문에, 누름에 의한 주사바늘의 진행방향에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주사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치료제를 주입할 수가 있다. 즉, 병변부의 적절한 개소에 정확하고, 확실하게 치료제를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주입시의 불의의 치료제의 누출·살포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치료제로서 상기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또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찔러 넣는 경로의 복수개소에 분주할 때에도 적절한 개소에 치료제를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치료제의 누출·살포를 방지하고 비환부점막표면의 건강한 점막상피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50)는, 연속적으로 측부돌출부재를 누름으로써, 전회와 동량의 치료제를 사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의 치료로 복수개소에 치료제를 주입하는 경우나, 동일개소에 복수회로 나누어 주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유용하다. 즉, 예를 들면, 오른쪽비강점막의 처치후, 바늘부재를 바꾸어 붙이고 남은 치료제를 계속해서 왼쪽비강점막에 주사할 수가 있고, 또한, 주사바늘을 찌른 채로, 점막하에서 주사바늘끝의 깊이나 방향을 바꾸면서 복수회 주입함으로써, 일회의 주사만으로, 즉 최소 침습으로 매우 광범위에 걸친 점막하에서 치료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는, 2종의 약제를 투여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종래, 이러한 2종의 약제를 투여하는 주사기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7-13626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7-14826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7-13626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6-14220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6-181985호, 일본 실용공개평성5-15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4-24636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62-1486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62-535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소화64-8037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7-299141호공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7-26542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9-30868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51-11691호 공보 등에 기재된 주사기가 있지만, 이들은 모두 복잡한 구조이고, 연속주입이 가능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와는 컨셉이 다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주사기에 수납된 약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9(A)∼(C)는 도 7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70)는, 약제용기(71)를 약제용기수납부(24)에 수납하고 있다. 약제용기수납부(24)에 수납된 약제용기(71)는, 원통체(72)(동체부)의 양측을, 주사바늘부부재(27a)의 주사바늘(34a)를 끼워 통과시킬 수 있는 마개부재(74)와 피스톤(14)의 제 1 원반부재(28)에 의한 압출에 의해서 미끄럼동작가능한 바닥부재(76)에 의해서 밀폐되어, 내부에 치료제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원통체(72)의 마개부재(74)의 근방에는, 약제를 격리하는 격벽(78)이 설치되어 있고, 약제(A)를 수납하는 약제실(80)과 약제(B)를 수납하는 약제실(82)을 형성하고, 약제실(80)에는 비율이 적은 약제가 수납되고, 약제실(82)에는 비율이 많은 약제가 수납되게 된다. 이 약제(A) 및 약제(B)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약제(A)로서는 스테로이드제나 항히스타민제 등을 들 수 있고, 약제(B)로서는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을 함유하는 치료제 등을 들 수 있다. 격벽(78)의 둘레부는 원통체(72)의 내면에 고착되고, 또한, 격벽(78)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는 파단유도부(84)(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파단유도부(84)는, 격벽(78)의 중앙에 C형상으로 형성된 선형상부이고, 격벽(78)의 다른 부분보다 부재두께가 얇아지고, 이러한 부분을 따라 격벽(78)이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되어 있다. 파단유도부(84)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C형상연계부(85)를 형성함으로써, 격벽(78)의 일부가 격벽본체로부터 절단되어 치료제의 주사바늘로부터의 주출을 방해하거나, 바닥부재(76)의 미끄럼동작을 방해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약제용기(71)에는, 마개부재(36)를 관통하여 그 선단이 약제실(80)내에 위치하는 핀부재(86)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핀부재(86)의 두부를 약제용기(71)내부방향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핀부재(86)의 선단이 격벽(78)을 눌러 파단유도부(84)를 따라 격벽(78)을 파단한다. 이 핀부재(86)는, C형상의 파단유도부(84) 내측의 연계부(85) 근방에 그 선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파단유도부(84)를 따라 충분히 격벽을 파단시켜 큰 개구를 형성하고, 2종의 약제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78)이 마개부재(74)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핀부재(86)에 의해 격벽(78)을 용이하게 파단할 수가 있다.
또한, 주사기(70)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주사바늘부부재(27a)(도 7 참조)는, 외통(12)의 선단부에 탈착가능한 장착부(48a)와 장착부(48a)에 고정된 주사바늘(34a)을 가지고 있다. 이 주사바늘부부재(27a)는, 주사바늘(34a)이 약제용기(71)의 마개부재(74)를 관통하였을 때에, 파단유도부(84)로부터 파단한 격벽(78)이 주사바늘(34a)에 접하여 치료제의 주출이 방해되지 않도록, 주사바늘(34a)이 장착부(48a)에 편심하여 고정되어 있다(도 7 및 도 9(C) 참조). 또한, 파단유도부(84)로부터 파단한 격벽(78)은 가동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사를 할 때는 바닥부재(76)의 미끄럼동작에 의해, 격벽(78)이 자연스럽게 약제실(80)의 전방측면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과 같은 모양이 되기 때문에, 약제실내의 물약을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다(도 9(C)).
이상과 같이 구성된 주사기(7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86)를 눌러 넣고, 파단유도부(84)(도 8 참조)에 따라 격벽(78)을 파단한다. 이에 따라, 약제실(80)과 약제실(82)에 각각 수납되어 있던 개별의 약제끼리 안전하게,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혼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86)를 빼내고, 이어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바늘부부재(27a)를 장착한다. 그리고, 주사기(10)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사기(70)의 측부돌출부재(16)를 누름으로써, 혼합된 치료제를 정확히 동량씩 연속적으로 사출할 수가 있다.
이러한 주사기(70)에 있어서는, 주사기(10)나 주사기(5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 것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약제용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각 약제는 완전히 주사직전까지 서로 격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주사를 하기까지의 보존기간중에 각 약제끼리가 불필요한 혼합을 피할 수 있어, 소위 배합제와 같이 다제(多劑)약물의 배합보존에 의해 생기기 쉬운 각각의 약물의 품질변화에 의한 주사효과의 차이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배합약제 자체의 생체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제로 주입하기까지의 배합물약의 품질관리나 보존 등의 문제는 거의 고려하지 않아도 좋고, 보다 안전하게 치료제의 주입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종류의 약제끼리의 배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번잡한 배합신약의 개발과정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 곤란하게 여겨져 왔던 주사기통내의 충전약품에 관한 멸균소독의 문제가 보다 간단하게 약제용기제조의 레벨에서 해결할 수가 있다. 더구나, 주사기(7O)는, 구조가 극히 심플하고, 복잡한 세공은 일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보다 저가격의 제품생산을 실현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는, 주사기(70)와 마찬가지로, 2종의 약제를 투여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 주사기(7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주사기에 수납된 약제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12(A)(B)는 도 10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사용설명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90)는, 약제용기(91)를 약제용기수납부(24)에 수납하고 있다. 약제용기수납부(24)에 수납된 약제용기(91)는, 원통체(92)(동체부)의 양측을, 주사바늘부부재(27a)의 주사바늘(34a)을 끼워 통과시킬 수 있는 마개부재(94)와, 피스톤(14)의 제 1 원반부재(28)에 의한 압출에 의해서 미끄럼동작가능한 바닥부재(96)에 의해서 밀폐되어, 내부에 치료제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마개부재(94)에는 약제수납실(98)이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수납된다. 이러한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의 바깥면(99)에 파단유도부(102)가 설치되고, 그 약간 중심 근방(내부)에 원반형상의 지지부재(100)가 고착되어 있다. 지지부재(100)는, 일반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를 지지하여 누름에 의한 재료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질의 부재로서,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의 파탄을 쉽게 한다. 파단유도부(102)는, 지지부재(100)를 둘러싸는 C형상으로 형성된 선형상부로서,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의 다른 부분보다 부재두께가 얇게 되어 있고, 주사바늘부부재(27a)를 장착과 동시에 주사바늘(34a)의 후단부에서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를 누름으로써, 파단유도부(102)를 따라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가 파단되도록 되어 있다. 파단유도부(10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C 형상연계부(103)(도 11참조)를 형성함으로써,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의 일부가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 본체로부터 절단되어 치료제의 주사바늘로부터의 주출을 방해하거나, 바닥부재(96)의 미끄럼동작을 방해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주사기(90)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주사바늘부부재(27a)(도 10참조)는, 외통(12)의 선단부에 탈착가능한 장착부(48a)와 장착부(48a)에 고정된 주사바늘(34a)을 가지고 있다. 이 주사바늘부부재(27a)의 주사바늘(34a)은, 약제용기(91)의 마개부재(94)를 관통하면서 동시에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를 파단하지만, 파단유도부(102)(도 11참조)를 따라 충분히 큰 개구를 형성하여 2종의 약제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도록,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의 C형상의 파단유도부(102)내측의 연계부(103)(도 11 참조) 근방을 주사바늘(34a)이 밀어 열도록, 장착부(48a)에 주사바늘(34a)이 편심하여 고정되어 있다(도 13 참조). 이 때, 약제용기(91)와 주사바늘부부재(27a)의 원주방향에서의 장착이 일정하게 되도록, 외통(12), 약제용기(91) 및 주사바늘부부재(27a)에 목인(目印)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바늘(34a)은, 연계부(103)가 접혀 구부러진 상태를 주사바늘(34a)의 약제수납실(98)에 진입한 부분에 의해서 유지되는 구조로서, 주사바늘(34a)의 입구(35a)가 지지부재(100)를 밀어 열어 형성한 개구부(35b)를, 밀어 연 지지부재(100) 등이 막아서 치료제의 주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동시에 주사액이 보다 부드럽게 주사바늘을 통과하여 유출할 수 있도록 주사바늘(34a)의 입구(35a)측은 경사져(예각) 있다. 예를 들면, 주사바늘(34a)의 입구(35a) 부분이, 연계부(103)측이 길어지도록(예각이 되도록) 경사진 구조로서, 그 예각부에서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의 일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주사기(9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2(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바늘부부재(27a)를 외통(12)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주사바늘(34a)의 후단부에서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를 눌러 파단유도부(102)(도 11참조)를 따라 약제수납실(98)의 바닥부를 파단한다. 이에 따라, 약제수납실(98)에 수납되어 있던 약제와 약제용기(91) 본체에 수납되어 있던 약제를 안전하고,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혼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주사기(10)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사기(90)의 측부돌출부재(16)를 누름으로써, 혼합된 미량의 치료제를 정확하게 동량씩 연속적으로 사출할 수가 있다.
이러한 주사기(90)에 있어서는, 주사기(10)나 주사기(5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 것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약제용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각 약제는 완전히 주사직전까지 서로 격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주사를 하기까지의 보존기간중에 각 약제끼리의 불필요한 혼합을 피할 수 있어, 소위 배합제와 같이 다제약품의 배합보존에 의해 생기기 쉬운 각각의 약물의 품질변화에 의한 주사효과의 차이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배합약제 자체의 생체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제로 주입하기까지의 배합물약의 품질관리나 보존 등의 문제는 거의 고려하지 않아도 좋고, 보다 안전하게 치료제의 주입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종류의 약제끼리의 배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번잡한 배합신약의 개발과정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 곤란하다고 여겨져 왔던 주사기통내의 충전약품에 관한 멸균소독의 문제를 보다 간단하게 약제용기제조의 레벨에서 해결할 수가 있다. 더구나, 주사기(90)는, 구조가 극히 심플하고, 복잡한 세공은 일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보다 저가격의 제품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는, 약제용기만을 교환하고 주사기를 계속하여 사용하는 타입이다. 한편, 주사기(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고, 도 15(A)(B) 및 도 16(A)(B)는 도 14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104)의 외통(106)은, 그 측부의 약제용기수납부(24)(앞측부)의 위치에 약제용기(22)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창(108)을 가진 동시에, 스토퍼부재(26)의 위치에 개폐창(110)을 갖고 있다. 또한, 피스톤(112)은 외통(106)의 후방에서 그 후부가 돌출함과 동시에, 그 끝단부(후단부)에는 제 3 원반부재(114)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원반부재(114)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제 3 원반부재(114)를 파지(把持)하여 피스톤(112)을 용이하게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피스톤(112)은 주사기(10)와 마찬가지로, 제 1 원반부재(116), 제 2 원반부재(118)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주사기(104)의 약제용기(22)의 교환방법으로서는,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제를 사출한 후(피스톤(112)을 전진시킨 후), 주사바늘부부재(27)를 떼어내고, 이어서 개폐창(110)을 여는 것에 의해, 스토퍼부재(26)와 피스톤(112)과의 계합을 푼다. 다음에,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돌출부재(16)을 누름으로써 스위치기구(18)와 피스톤(112)과의 계합을 풀고, 제 3 원반부재(114)를 파지하여 피스톤(112)을 후퇴시켜, 피스톤(112)의 제 1 원반부재(116)를 약제용기(22)와 비접촉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창(108)을 열고, 사용이 끝난 약제용기(22)를 꺼내어, 새로운 약제용기를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돌출부재(16)를 눌러 피스톤(112)의 제 1 원반부를 약제용기(22)의 바닥부재(20)에 접촉시켜 개폐창(108, 110)을 닫고, 새로운 주사바늘부부재를 장착하여 다음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개폐창(108, 11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약제용기(22)의 교환을 용이하고 또한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순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주사기(104)의 반복사용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용기(22)를 사용하였지만, 약제용기(71) 또는 약제용기(91)를 사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러한 주사기(104)에 있어서는, 주사기(10)나 주사기(5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 것에 더하여, 파손할 때까지 몇번이나 재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회 주사후에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은 약제용기뿐이고, 1회용 주사기에 비하여 의료폐기물을 대폭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조면에서 보더라도 대량생산, 공급하는 것은 약제용기뿐이기 때문에, 매우 낭비가 없는 에너지 절약의 제품개발이 된다.
이상, 몇가지 실시형태를 들어 본 발명의 주사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바늘부재의 주사바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만곡시킬 수도 있고, 이 경우, 바늘끝의 방향이 주사바늘의 축방향(외통의 축방향)에 대하여(만곡시킨 바늘끝의 방향과 바늘끝의 본래의 위치와의 사이의 각도가) 0을 넘어서 130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0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70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사바늘의 일부(선단부)를 만곡시키는 경우, 이러한 만곡시키는 주사바늘의 선단부의 길이로서는, 5∼4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강인후점막이나 비강점막의 하부조직 등의 주사가 곤란한 장소에서도 정확히 치료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구개수에 주사할 때에는, 구개수의 선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주사바늘을 삽입해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주사바늘이 만곡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정확하게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치료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스톤의 후부를 외통의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통상의 주사기와 마찬가지로 피스톤을 후방에서 누름으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측부돌출부재의 누름면에는 미끄럼 방지가 형성되어도 좋고,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하게 치료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는, 약제용기를 전방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격벽이나 약제수납실 바닥부에 형성된 파단유도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원호형상으로 하는 경우 등에는, 그 원호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격벽이나 약제수납실바닥부의 일부가 떼어버려져 치료제의 주사바늘로부터의 주출을 방해하거나, 바닥부재의 미끄럼동작을 방해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주사기는, 상기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외에, 인스린 등의 다른 약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는, 1회용 주사기라도 좋고, 약제용기만을 교환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라도 좋다. 또한, 주사기와 약제용기를 짝지은 치료구 세트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주사기 본체에 약제용기를 수용한 형태의 치료구 세트로 하여도 좋고, 주사기와 약제용기를 수납케이스에 수납한 형태의 치료구 세트라도 좋다. 또한, 미량인 치료제를 복수회에 걸쳐 주출할 수 있도록, 주사기와 약제용기와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주사기의 측부돌출부재를 일회 누름으로써 0.01∼0.5ml 주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3∼0.3ml 주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0.15ml 주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의 치료방법의 점막조직에 공급하는 작용기서(作用機序)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1B-1B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피스톤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압출에 의한 치료제의 사출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4B-4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피스톤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주사기에 수납된 약제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주사기에 수납된 약제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주사기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주사기의 사용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에탄올 치료측의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우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8은, 비교예 1-1에 있어서의 대조 치료측의 치료전후의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9는, 에탄올 치료 및 대조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표 4의 평가기준에 기초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우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2는,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표 4의 평가기준에 기초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에탄올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관한 에탄올 치료와 스테로이드함유치료를 행한 환자 3명에 있어서의 경과시간에 대한 하갑개점막의 침습도(평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관한 치료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에 대하여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관한 치료전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視診)에 기초한 안저(眼底) 카메라에 의한 구개수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 저 카메라에 의한 구개수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에 의한 구개수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관한 치료전과 치료후(최초의 치료로부터 6개월후)에 있어서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 또는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관찰결과, 두부 X선규격사진계측(세파로메트리)의 결과, AHI 및 VSA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2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에 의한 구개수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3에 관한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전과 치료후의 VAS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3에 관한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전과 치료후의 구개수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 또는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구개편도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비교예 2-1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에 의한 구개수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 술적 범위는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지정이 없는 한, '%'은 '질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1]
(에탄올 치료측)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주로 코막힘, 콧물, 재채기의 증상이 있는 27세의 여성이고, 임상진단 결과, 계절성, 통년성 혼합타입의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단되었다.
우선 전처치로서, 주로 우하비갑개점막에 대하여 4% 키실로카인(염산에피네프린 1:1000 첨가)로써 표면마취를 하였다. 다음에, 만곡한 23G카테란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주사바늘끝을 하비갑개골에 가볍게 대면서, 하비갑개의 중앙부를 넘을 때까지 진행시킨 후,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가장 점막의 종창한 부분을 중심으로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70% 에탄올, 0.2ml)를 2개소, 점막하부조직에 분주하였다. 그 후, 주사바늘을 단숨에 빼내지 않고, 최초의 찔러 넣은 부분 부근에 주사바늘끝을 멈추어, 수십초 지나고 나서 주사바늘을 빼내었다. 주사완료후, 에피네프린(지혈제) 가아제로 하비갑개점막을 10분간 압박지혈하여, 치료를 종료하였다.
[비교예1-1]
(대조 치료측)
실시예 1-1과 같은 환자에 대하여 이하의 대조치료를 하였다.
우선 전처치로서, 주로 좌하비갑개점막에 대하여 4% 키실카인(염산에피네프린 1:1000 첨가)으로 20분간 표면마취를 하였다.
다음에, 고주파온열장치인 Coblator(어스 로케어사제, ENTEC Co blation System)를 사용하여, 전극 프로브의 선단부를 하비갑개의 점막하부조직에 총 2개소 삽입하여, 1개소에 대하여 10초씩 고주파전류(90와트, 프로브의 선단온도는 65℃)를 방사하여 하비갑개점막을 소작하였다. 소작후, 에피네프린(지혈제)가아제로 하비갑개점막을 10분간 압박지혈하여, 치료를 종료하였다.
[평가]
에탄올 치료측과 대조 치료측의 치료전 및 치료후(1주간후, 2주간후, 4주간후, 8주간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을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에탄올 치료측과 대조 치료측의 치료전 및 치료후(2주간후, 4주간후, 8주간후)의 비강의 통풍도(비강통풍 저항치)를 측정하였다. 비강통풍 저항치는, 비강통풍도계(체스트엠·아이사제, KOC·8900)를 사용하여, 마스크에 의한 anterior법(전방유도법)으로 측정하여, 비강의 통풍도를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것이다. 또, 정상성인의 비강저항의 기준은, 100Pascal에 있어서의 흡기시의 좌우의 한 쪽비강통풍저항치가 1.2(Pa/ml/s)이하로서, 또한, 전비강 저항치가 0.3(Pa/ml/s)이하이고, 또한, 정상인이란, 과거에 코질환의 병력이 없고, 일상 특히 코막힘을 자각하지 않는 사람으로 정의된다(코막힘의 객관적 측정법 1-비강통풍도 검사법, acoustic rhinometry -. 장곡천성(長谷川誠), 하합신효(河合信孝), 본교현일(本橋賢一), 전중영화(田中英和), 일천총부(一川聰夫) Johns, 16:1547-1551, 2000.) 더욱, 상기 에탄올 치료 및 대조 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종합적 코증상(재채기, 콧물, 코막힘, 일상생활의 지장도)의 개선상황을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정도(스코어) 종류 ++++ (4) +++ (3) ++ (2) + (1) - (0)
재채기 발작 (하루에 평균발작회수) 21회 이상 20∼11회 10∼6회 5∼1회 0
콧물 (하루에 평균 코푸는 횟수) 21회 이상 20∼11회 10∼6회 5∼1회 0
코막힘 하루종일 완전히 막혀있다 코막힘이 매우 강하고, 입으로 하는 호흡이 하루에 상당시간 있음 코막힘이 강하고, 입으로 하는 호흡이 하루에 때때로 있음 입으로 하는 호흡은 전혀 없지만, 코막힘있음 없음
일상생활의 지장도 완전히 일을 할수가 없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괴롭다 (+++)와 (+)의 중간 일에 그다지 지장없음 지장없음
여기에서, 도 17은, 에탄올 치료측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우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치료전, (b)는 1주간후, (c)는 2주간후, (d)는 4주간후, (e)는 8주간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7중, ●모양은 비중격을 나타내고, ▲모양은 하갑개를 나타내며, ▽모양은 중비도를 나타내고, ■모양은 총비도를 나타내며, ×모양은 하비도를 나타내고, 화살표에 의해 지적된 부분은 중비갑개를 나타낸다. 도 18은, 대조 치료측에 관한 치료전후의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치료전, (b)은 1주간후, (c)는 2주간후, (d)는 4주간후, (e)는 8주간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8중, ●모양은 비중격을 나타내고, ▲모양은 하갑개를 나타내며, ▼모양은 중비도를 나타내고, ■모양은 총비도를 나타내며, ×모양은 하비도를 나타내고, 화살표에 의해 지적된 부분은 중비갑개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 중, P는 100Pascal에서의 흡기시의 좌우 각각의 비강통기 저항치(Pa/ml/s)를 나타낸다. 도 19는, 상기 에탄올 치료 및 대조 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치료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표 4의 평가기준에 기초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결과]
도 17(에탄올 치료측)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비강점막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치료제를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에 주입한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점막의 수축이 현저해지고, 각 비도의 개통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제4주 이후((d), (e) 참조)에서는, 지금까지 숨어 있던 중비갑개도 중비도의 개통에 의해 확실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더구나, 수술후의 점막면의 손상이나 가피형성의 정도에 관해서는, 대조 치료측에 비하여 훨씬 온편(穩便)한 것으로도 판명되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난 치료후에 있어서의 비강통기저항치가 확실한 저하(오른쪽 비강통기 저항치는 치료전의 3.43Pa/ml/s로부터 치료8주간후에는 0.39Pa/ml/s로 경감하였다)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현저한 비강(비도)의 개통효과가 인정되었다.
한편, 도 18로부터 명백하듯이 대조 치료측에서는, 에탄올 치료측과 마찬가지로 점막의 수축작용을 얻을 수 있었지만, 소작후에 잠시동안 그 점막면에 강한 궤양성 병변을 초래하여, 그 때문에 점막창의 회복에 보다 긴 시간을 요하였다.
또한, 도 19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에탄올 치료 및 대조 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자각증상은, 다음날부터 바로 코증상, 특히 재채기, 콧물의 현저한 개선을 볼 수 있고, 제 4 주째 이후에는 코막힘감도 해소되었다. 또한, 2주째이후는 코알레르기의 내복약의 사용은 일체 보이지 않게 되어, 일상생활의 지장도도 0이 되었다. 즉, 좌비강에 대해서는, 종래 다른 질환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고주파조직감량법을 응용하고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코증상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치료법에 의해서도 코증상의 현저한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1-2]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주로 코막힘, 콧물, 재채기의 증상이 있는 20세의 여성이고, 임상진단의 결과, 계절성, 통년성 혼합타입의 알레르기성비염으로 진단되었다.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환자의 양쪽의 비강에 대하여 치료를 하였다. 또, 치료제로서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각각의 비강에 대하여 0.3ml씩 주입하였다.
[평가]
치료전 및 치료후(2주간후, 4주간후, 8주간후, 16주간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을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종합적 코증상(재채기, 콧물, 코막힘, 일상생활의 지장도)의 개선상황을 상기 표 4에 나타내는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여기에, 도 20은,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는 2주간후, (c)는 4주간후, (d)는 8주간후, (e)는 16주간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0중, ●모양은 비중격을 나타내고, ▲모양은 하갑개를 나타내며, ▼모양은 중비도를 나타내 고, ■모양은 총비도를 나타내며, ×모양은 하비도를 나타내고, 화살표에 의해 지적된 부분은 콧물을 나타낸다. 도 21은,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우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은 1주간후, (c)는 2주간후, (d)는 4주간후, (e)는 8주간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1중, ●모양은 비중격을 나타내고, ▲모양은 하갑개를 나타내며, ▼모양은 중비도를 나타내고, ■모양은 총비도를 나타내며, ×모양은 하비도를 나타낸다. 도 20 및 도 21중의 P는, 상술한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의 P와 같다. 도 22는,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치료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표 4의 평가기준에 기초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결과]
도 20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비강점막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를 실시한 좌비강에 있어서는, 치료이전에는 좌하비갑개점막의 비후나, 총비도에 수양성 콧물의 저류가 인정되고 있었지만, 치료후에는 거의 점막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점막의 수축을 하게 될뿐만 아니라, 수양성(水樣性) 콧물의 분비도 거의 보이지 않게 되어, 그 효과는 치료후 16주간을 지난 시점에서도 또 지속하고 있었다. 또한, 좌비강통기 저항치는 치료 2주간 이후, 항상 1 이하로 유지되고 있고, 일정한 비강개통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도 21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비강점막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를 실시한 우비강에 관해서도, 좌비강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 좌우의 종합 비강 저항치는 치료전에는 0.83이지만, 치료 16주간후에는 0.27까지 저하하고 있었다.
또한, 도 22로부터 명백하듯이,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를 실시한 환자의 자각증상은, 1주간이내에 알레르기 3대증상이라고도 불리는 재채기, 콧물, 코막힘의 어느 정도를 반감하였다. 특히, 2주간후 이후에는, 지금까지 스코어 3을 나타낸 일상생활 지장도도 0이 되고, 또한 4주간 이후에는, 코증상의 모든 것이 1이하로 멈추고 있다. 또, 실시예 1-2에 관한 치료후에는, 진통제를 포함시켜 항알레르기제나 항히스타민제 등의 투약은 일체 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탄올 치료법의 효과는 고주파조직감량법과 동등하거나, 혹은 그 이상인 것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에 따른 비강내감염, 코출혈 및 후각장해 등의 불의의 코합병증의 발생도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1-3]
또한, 실시예 1-2와 같은 치료를 다른 환자(20명)에 대해서도 행하였지만, 매우 높은 확률로, 상기와 같은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종래의 외과적 처치(비점막 절제술, 레이저 소작술, 동결수술)와 비교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5)
치료법별 보고자 재채기 콧물 코막힘
본 발명의 치료방법 본임상치료 (n=20) 94 87 90
레이저 소작술 과거평균 64 70 90
하비갑개점막 광범 절제술 과거평균 56 46 89
동결수술 과거평균 85 89 85
구체적으로, 표 5는 2∼3주간에 1회의 비율로 총 1회∼3회, 본 발명의 치료를 실시한 통년성/혼합성 코알레르기의 총 20증상례(연령15∼45세)의 치료성적에 대하여, 재채기, 콧물, 코막힘의 증상별로 그 개선율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개선율이란, 재채기, 콧물, 코막힘의 각각의 개선효과에 대하여, 불변 및 악화를 제외한 개선효과가 나타난 케이스의 확률(%)을 말한다. 또한, 전체 증상례는 3∼6개월간의 관찰기간중, 항히스타민이나 스테로이드제제를 포함시킨 일반적인 항알레르기약의 내복투여는 일체 행하여지지 않았다.
표 5로부터, 본 발명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비강점막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재채기 94%, 콧물 87%, 코막힘 90%의 개선율이었다. 이것은 종래의 레이저수술이나 하비갑개점막광범절제술의 치료성적에 비해서 매우 우수하다. 특히, 재채기의 증상개선에는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실시예 1-4]
상기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듯이, 에탄올 치료는 침습성이 작고, 더구나 확실한 코증상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명백하지만, 계속해서,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만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방법(이하, 에탄올 치료라고 한다)과,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과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한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방법(이하, 스테로이드 함유 치료라고 한다)의 임상경과를 상세히 추적하는 비교를 하였다.
에탄올 치료는,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단된 21세 여성에 대하여 행하여져, 70% 에탄올로 이루어진 치료제, 0.4ml을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좌측 비강에 대하여 분주하였다. 다른 한편, 스테로이드 함유 치료는, 혈관성 운동성 비염으로 진단된 4O세 남성에 대하여 행하여지고, 70% 에탄올, 0.4ml에 0.4% 데카드론 0.08ml을 첨가하여 제작한 치료제를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좌측비강에 대하여 분주하였다.
[평가]
에탄올 치료 및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 각각의 치료전 및 치료후(3일후, 5일후, 10일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을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관찰하였다. 도 23은,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에탄올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은 3일후, (c)는 5일후, (d)는 10일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4는,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좌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은 3일후, (c)는 5일후, (d)는 10일 후를 나타낸다.
[결과]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치료에 있어서는, 치료후의 최초의 1∼2주간은, 비점막의 상피층은 점막하에 주입된 에탄올의 침투나 염증성 자극 등의 영향에 의해, 약간의 장해가 생기고 있었다. 도 23(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후의 약 1주간 전후에 있어서는, 종래의 외과적 치료에 비교하면 매우 경도인 것이지만, 국소점막상피층의 미란(靡爛), 궤양 및 역출혈성 등의 증상이 병발하고 있었다.
다른 한편,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로이드제 함유치료에 있어서는, 치료후에 초래되는 국소조직에의 염증성 자극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구체적으로, 도 23(c)(d) 및 도 24(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치료후의 약 1주간 전후와, 동량·동농도의 에탄올에 일정농도의 스테로이드제를 가한 스테로이드 함유 치료후의 약 1주간 전후를 비교하면,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의 국소점막의 육안적 소견은, 에탄올 치료에 비교해서 극히 양호한 것으로, 점막상피층의 손상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즉, 스테로이드제가 가진 항염증작용, 항부종작용에 의한 효과가, 상피층에 있어서 예상 이상으로 현저히 나타나는 것이 명백해지고, 이것은,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인 상피층의 손상을 억제하여 그 생리기능을 극력 유지한다고 하는 목적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달성할 수 있는 수법으로, 매우 효과적인 치료방법인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과 같이, 최종적으로 단순히 비점막의 수축효과를 구한다면, 에탄올 치료이더라도,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이더라도 양자는 거의 동등한 작용을 가진 것이지만, 점막상피에 대한 침습성을 보다 한층 경감하여, 점막상피의 기능의 온존이라고 하는 극히 중요할 목적을 달성하면서, 임상치료과정의 단축을 촉진하여, 한층 더 치료효과의 질을 향상하는 의미로서는,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의 우위성은 분명히 높은 것이고, 당연히, 환자도 보다 조기 단계에서 코증상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와 같이 행한 에탄올 치료와 스테로이드제 함유치료의 각 3증상례에 대하여, 치료후 2주간에서의 하갑개점막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이하의 기준 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비강을 점거할수록 하갑개점막은 반응성 종창이나 역출혈성을 보이고, 그에 따라, 50% 이상의 면적에 있어서 하갑개점막상피층에 명백한 미란·궤양성병변이나 가피의 형성 등이 관찰된 경우는 +++(스코어 3), 하갑개점막의 수축이나 비도의 개통은 보이지만, 점막상피층의 미란이 약간(10% 미만의 면적) 남아 있는 것을 +(스코어 1), +++와 ++의 중간의 것을 ++(스코어2)로 하였다. 또, 약간의 종창이 보이지만, 점막상피층의 상해는 극히 적은 것을 ±(스코어 0.5), 점막상피층은 거의 흠이 없고, 또한 확실한 점막조직의 수축이 인정되는 것을 -(스코어 0)로 하였다.
도 25는, 실시예 1-5에 관한 에탄올 치료와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를 행한 환자 3명에 있어서의 상기 평가기준에 기초한 경과시간에 대한 하비개점막의 침습도(평균)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한편, 도 25중, E는 에탄올 치료를 가리키고, E/S는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를 가리킨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점막에 대한 침습도의 저감, 나아가 치료효과의 조기발현 등에 대해서는, 스테로이드제 함유치료의 우위성은 에탄올 치료에 비교해서 명백하다.
[실시예 1-6]
(치료방법)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주로 코출혈의 증상이 있는 61세의 남성이고, 만성비염, 비중격만곡증, 좌비용(염증성폴립)으로 진단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초진시에, 전비경(前鼻鏡) 소견으로, 비중격(鼻中隔)의 만곡편위, 비점막 전체의 발적(發赤)과 함께, 특히 좌하비갑개점막이 고도의 종창이나 유두상 증생(憎生) 등이 인정되었다. 또한, 병리조직진단으로, 유두상 증생한 부분의 생검에 의해, 비용으로 진단되었다. 코알레르기 검사에서는, 혈청비특이적/특이적항체 정량검사는 음성이었다. 비강부비강 화상진단에서는, 좌비강내의 연부조직 음영이 인정되었다.
치료는, 70% 에탄올/0.1% 데카드론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치료제 0.4∼0.6ml을 3주간 걸러서 합계 3회, 좌비강의 비용모양 변화한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에 분주하였다.
[평가]
치료전 및 치료후 6개월의 하비갑개점막조직을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치료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에 대하여 병리조직학적검사를 하였다.
도 26은, 실시예 1-6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은 치료로부터 6개월후를 나타낸다. 각각의 도면의 좌측은 약한 확대, 오른쪽은 강한 확대의 도면이다. 또한, 도 27은, 실시예 1-6에 관한 치료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에 대하여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전의 비강내 소견으로는, 좌하비갑개점막을 중심으로 분엽(分葉)형상의 소융기를 가진 광기성의 증식성 종류가 인정되었다. 그 표면은 빨간 색조를 보이며, 역출혈성이고, 또한 일부는 담황백 내지 황회색의 이끼상태 물질로 덮여져 괴사를 동반하고 있다(도면중의 *모양 참조).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전의 병리조직학적 검사로서는, 종류는 주로 거친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지고, 간질의 부종, 세포침윤, 기저막의 초자양비후(硝子樣肥厚), 선모원주상피의 박락(剝落), 비란 혹은 변성증식, 및 혈관의 증생, 확장 등의 다채로운 소견이 인정되고, 소위 부종형 비용에 일치한 병리조직상이었다. 치료후, 현저한 비용의 축소효과를 얻을 수 있어,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치료를 하고 나서 6개월후에 있어서의 비강내 소견에서는 비용은 거의 소실하고, 그에 따라 각 비도는 개통하고, 하비갑개점막전체는 건강한 자의 소견에 유사하기에 이르렀다.
[실시예 1-7]
(치료방법)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주로 코막힘, 콧물의 증상이 있는 52세의 여성이고, 알레르기성비염, 비중격만곡증, 양측비강의 비용(알레르기형)으로 진단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초진시에, 전비경 소견으로는 비중격의 만곡편위, 양측 비강점막의 창백성 종창과 동시에 다량의 수양성 콧물의 분비가 인정되었다. 또한, 양측의 하비갑개점막은 부종상태 또는 분엽상태의 폴립모양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일부의 외관은 적색을 보이며, 혈관이 풍부하고 역출혈성으로 되어 있었다. 병리조직진단에서는 출혈성 비용이었다. 콧물 호산구(好酸球) 검사에서는 +++이고, 혈청특이적 항체 정량 검사에서는, 삼목(3+), 돈초(3+), 애(3+)이고, 부비강 화상 진단, 일반혈액·생화학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었다.
치료는, 70% 에탄올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치료제 0.4∼0.6ml을 3주간 걸 러서 합계 3회, 폴립변성한 양측 하비갑개점막하부조직에 분주하였다.
[평가]
치료전 및 치료후 8개월의 하비갑개점막조직을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치료전 및 치료후 6개월의 하비갑개점막조직에 대하여 병리조직학적검사를 하였다.
도 28은, 실시예 1-7에 관한 치료전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하비갑개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는 치료로부터 8개월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9는, 실시예 1-7에 관한 치료전후의 하비갑개점막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는 치료로부터 6개월후를 나타낸다.
[결과]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전의 비강내소견에서는, 양측 비강하비갑개점막의 부종성 비후나 분엽상태의 돌출이 인정되었다. 점막의 표면이 빨갛게 충혈한 부분은 역출혈성이지만, 전반적으로는 점막은 담홍∼창백의 색조를 보이며, 그 표면에는 다량의 수양성 콧물이 보였다. 또한,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리조직학적 검사로서는, 부종성 간질에 분명한 혈관의 확장, 증생 및 출혈소가 보이고(도면중의 *모양 참조), 더욱 간질이나 상피하에의 고도의 호산구의 침윤, 상피세포의 탈락결손 등이 인정되고, 그 밖의 임상검사소견과 맞추어 생각하면, 소위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또 호산구 침윤을 동반한 출혈성 비용인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치료후에는 분명히 증상 개선을 볼 수 있고,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월을 경과한 시점에서의 병리조직상으로는, 점막상피세포의 편평상피화생이 일부에 보였지만 이형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점막아래의 간질에 있어서의 부종성 변화나 출혈소가 소실하고, 점막하부조직은 치밀한 새로운 증생섬유에 의해 재구축되어 있었다. 또한,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치료로부터 8개월후에는 하비갑개점막은 양측모두 거의 정상적인 형태가 되었다.
[실시예 2-1]
(치료제의 조제)
90% 에탄올 1.5mL에, 데카드론(등록상표) 1관(2mg/0.5ml, 만유 제약)을 혼합하고, 에탄올 함유율 67.5%, 데카드론 함유율 0.1%의 치료제(2mL)를 조제하였다.
(치료방법)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주로 코골이 증상이 있는 64세의 남성이고, 연구개·구개수 진동형의 코골이 증세 및 중도의 폐색형 수면시 호흡장해로 진단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초진시에, 외래 여러가지 검사(레선, 내시경 등)로 주로 연구개의 하위, 구개수의 과장에 의한, 소위 연구개·구개수 진동형의 코골이 증세가 인정되고, 철야수면 폴리그래피검사로는, 호흡장해지수의 AHI (apnea-hyponeaindex)가 35.2의 중도를 나타내어, 중도 각성이나 분명한 코골이 증상도 확인되었다. 또한, 베드 파트너에 의한 코골이음 10단계평가(VAS(visual analog scale))는 스코어 1O이었다.
우선 전처치로서, 주로 구개수 및 연구개점막에 대하여 약 5ml의 4% 키실로 카인으로 표면마취 및 2ml의 1% 키실로카인 E(아스트라제네카)로 침윤마취를 하였다. 다음에, 구개수의 기초부중심보다 연구개측(위쪽)으로 약 0.7mm, 더욱 조금 왼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주사바늘을 찔러(도 30(c)의 화살표부참조), 계속해서 구개수장축의 중앙을 지나간 곳의 점막하까지 주사바늘끝을 진행시켜, 그 위치와, 더욱 주사바늘을 뽑으면서 구개수의 도중, 및 구개수기초부의 좌측점막하에 합계 0.3ml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를 분주하였다. 이것은, 우선 제1단계로서, 구개수 및 좌측구개궁점막에 조직의 수축을 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초의 치료로부터 6주간후의 구강내 소견에서는 경도의 구개수의 단축 이외에 특별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지만, 치료제 주입후 일시적으로 5까지 경감한 VAS가 다시 7∼8이 되어, 코골이가 약간 재증대 경향에 있기 때문에, 2회째의 치료로서, 최초의 치료로부터 6주간 경과후에, 구개수의 선단부(도 31(b)의 화살표부 참조)로부터 주사바늘을 찌르고, 구개수 전체의 점막하부조직에 상기 치료제 0.6ml을 분주하는 치료를 하였다. 더욱이, 3회째의 치료로서, 최초의 치료로부터 4개월 경과후에, 다시 구개수의 선단부(도 32(c)의 화살표부 참조)로부터 주사바늘을 찌르고, 구개수 전체의 점막하부조직에 상기 치료제 0.6ml을 분주하는 치료를 하였다.
[평가]
실시예 2-1에 의한 치료전 및 치료후의 구개수 점막조직을 구강내 시진에 의해 관찰하여, 안저(眼底)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또한, 코골이음 10단계평가(VAS)를 하였다. 여기에, 도 30은, 실시예 2-1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개수점막 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는 치료전의 코골이 할 때, (c)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1시간후, (d)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2주간후, (e)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4주간후를 나타낸다. 도 31은 마찬가지로, 실시예 2-1에 관한 구개수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6주간후, (b)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30분후, (c)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1시간후, (d)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3시간후, (e)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1주간후(최초의 치료로부터 7주간후), (f)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4주간후(최초의 치료로부터 10주간후)를 나타낸다. 도 32도 마찬가지로, 실시예 2-1에 관한 구개수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3개월후, (b)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4개월후, (c)는 3회째의 치료로부터 30분후, (d)는 3회째의 치료로부터 1개월후(최초의 치료로부터 5개월후), (e)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6개월후, (f)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10개월후를 나타낸다. 도 30중, ★모양은 구개수를 나타내고, ●모양은 연구개를 나타내며, ■모양은 전구개궁을 나타내고, ▼모양은 후구개궁을 나타내며, 양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공간은 인두강을 나타내고, 화살표로 가르킨 점은 주사바늘을 찌른 점을 나타내고, 점선은 주사바늘끝의 궤적을 나타낸다. 도 31 및 도 32중, 화살표로 가리킨 점은 주사바늘을 찌른 점을 나타내고, 점선은 주사바늘끝의 궤적을 나타낸다.
[결과]
도 30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치료전은((a)참조), 구개수 길이는 약 15mm, 구개수 폭은 약 6mm이고, 분명한 구개수의 과장을 볼 수 있었다. 실제로, 환자에게 진료의자 위에 앉은 채로 코를 골게 하면((b)참조), 구개수가 완전히 호흡압력에 의해서 인두강의 후방으로 빨려 들어가고, 완전히 비열강을 막는 상태가 되고, 그 후 잠시 동안은, 인두강의 호흡통로가 차단되게 되었다. 치료 1시간 후((c)참조)에는, 국소의 경도의 종창이나 일부의 점막에 희게 변색한 부분이 관찰되었지만, 출혈, 동통 및 호흡곤란 등의 증상은 일체 보이지 않았다. 그 후, 순조로운 경과를 밟아, 2주간 이후((d), (e) 참조)에는 구개수 전체가 딱딱하게 되어 버린 느낌을 받았다. 4주간 후에는, 구개수의 길이는 치료전보다 약 1mm이 단축하고, 베드 파트너에 의한 코골이음 10단계평가(VAS)는, 스코어 5까지 감소되고 있었다.
또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치료로부터 6주간후((a)참조)의 구강내 소견에서는 경도의 구개수의 단축 이외의 특별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지만, 치료제 주입후 일시적으로 5까지 경감한 VAS가 다시 7∼8이 되어, 코골이가 약간 재증대 경향에 있기 때문에, 2회째의 치료 단계가 되었다. (b)∼(d)에 나타낸 바와 같이, 2회째의 치료후, 일시적으로 국소점막의 종창이 보였지만, 그 정도는 1시간((c)참조) 전후를 피크로 그 후에는 서서히 경감하여 나갔다. 그 동안, 호흡곤란 등의 증상은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2회째의 치료로부터 1주간후에는, 구개수점막의 육안적 소견에서는 거의 손상이 없고((e)참조), 2회째의 치료로부터 4주간후에는, 구개수 길이가 12mm로 단축하고 있었다((f)참조). VAS도 상시 6 이하가 되었다. 2회째의 치료에 있어서는, 치료제의 주입량은 1회째보다도 2배이지만, 주사후의 경과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양호한 것이었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치료로부터 3개월후에도 4개월후에도 구 개수의 소견은 정상화하고 있었다((a) 및 (b)참조). (c)∼(f)에 나타낸 바와 같이, 3회째의 치료이후도 순조로운 경과를 밟아, 최종적으로 최초의 치료로부터 10개월 경과한 시점에서는, 구개수 길이가 10mm(구개수 폭: 5mm)까지 반흔수축하고 있었다. VAS도 상시 4 이하가 되고 있었다.
또한, 도 33에, 치료전과 치료후(최초의 치료로부터 6개월후)에 있어서의 주로 구강내 시진에 따라서 안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한 결과, 일부는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관찰결과, 두부X선규격 사진계측(세파로메트리)의 결과, AHI 및 VSA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 도 33중, (a)는 치료전을 나타내고, (b)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6개월후를 나타낸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전과 최초의 치료로부터 6개월후에 있어서의 결과와 비교하면, 치료후에는, 구개수가 15mm에서 10mm로 단축하여, 실제 파이버하에서는 중인두강의 구개수((a)의 화살표부)에 의한 튀어 나온것의 감소도 보였다. 또한, 두부 X선규격 사진계측(세파로메트리)에서는 PNS-P(연구개 길이: 후비극으로부터 구개수 선단까지의 거리)의 길이도 50mm에서 45mm로 변화하고 있었다. 또한, VAS가 10에서부터 4로 저하함과 동시에, AHI도 주사전의 35.2로부터 26.1까지 개선되었다.
[실시예 2-2]
(치료제의 조제)
실시예 2-1과 같이 치료제를 조제하였다.
(치료방법)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주로 코골이 증상이 있는 42세의 남성이고, 구개수 진동형의 단순성 코골이 증세로 진단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초진시에, 외래의 여러가지 검사(레선, 내시경 등)로 주로 구개수의 과장이나 진동에 의한 코골이가 인정되었다. 또한, 철야수면폴리그래피 검사로는, 호흡장해지수의 AHI가 1.3의 이상없음으로 판단되었지만, 베드 파트너에 의한 코골이음 10단계평가(VAS)의 스코어는 7이었다.
우선 전처치로서, 주로 구개수 및 연구개점막에 대하여 약 5ml의 4% 키실로카인으로 표면마취 및 2ml의 1% 키실로카인E(아스트라제네카)로 침윤마취를 하였다. 다음에, 구개수의 선단부(도 34(b)의 화살표부참조)로부터 주사바늘을 찌르고, 구개수 전체의 점막하부조직에 상기 치료제 0.3ml을 분주하였다. 또한, 최초의 치료로부터 1개월후, 구개수는 단축하였지만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다시 상기 치료약을 0.6ml 분주하는 치료를 하였다.
[평가]
실시예 2-2에 의한 치료전 및 치료후의 구개수점막조직을 구강내 시진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코골이음 10단계평가(VAS)를 하였다. 여기에, 도 34는, 실시예 2-2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개수점막조직의 안저 카메라에 의한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30분후, (c)는 최초의 치료로부터 1개월후, (d)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30분후, (e)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1주간후, (f)는 2회째의 치료로부터 2개월후(최초의 치료로부터 3개월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4중, 화살표로 가리킨 점은 주사바늘을 찌른 점을 나타낸다.
[결과]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전에는, 구개수의 과장(11mm)이 보였지만((a)참조), 최초의 치료로부터 1개월후에는 구개수가 10mm로 단축하고 있다((c)참조). 2회째의 치료후에도 순조로운 경과를 밟아, 최초의 치료로부터 3개월후에는 구개수가 8.5mm까지 단축하고, VAS도 2까지 경감하였다((e) 및 (f) 참조). 또한, 최초의 치료로부터 10개월 이상 경과하더라도 상태는 양호했다.
[실시예 2-3]
단순성 또는 AHI가 10이하의 경도의 폐색성 수면시 호흡장해(OSAS)를 동반한, 코골이의 VAS가 7이상을 호소한 10예의 구개수 진동형 코골이 증세(평균 구개수 길이 : 15.9±3.2mm) 환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치료제를 사용한 치료를 하였다. 전체 증상례는 한달에 1회, 총 1∼3회, 평균하여 2.4회의 치료를 실시하여, 그 약 3∼6개월후에 코골이 VAS 및 구개수 길이의 변화를 치료전과 비교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낸다.
도 35 및 도 36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전증상례를 평균하면, VAS는 치료전의 8.6로부터 치료후의 3.0로 감소하고 있고, 구개수 길이도 치료전의 15.9mm에서 치료후의 10.3mm로 단축하여, 분명히 뛰어난 개선효과가 인정된다.
[실시예 2-4]
(치료제의 조제)
실시예 2-1과 같이 치료제를 조제하였다.
(치료방법)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이전보다 편도염이나 인두 위화감을 반복하여, 특히 편도염의 급성기에 코골이가 한층 더 증가악화 경향에 있는 27세의 남성이고, 구개편도형의 단순성 코골이 증세 및 습관성 편도염으로 진단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초진시에, 시진 및 내시경 검사에 의한 비강, 인두강 및 후두강의 관찰로는 양측 구개편도가 Mackenzie 분류 Ⅱ도 비대를 나타내고, 일부의 표면에는 농전(膿栓)의 부착이 인정된 것 이외에는, 분명한 이상소견은 없었다. 화학·면역혈청검사의 ASO(anti streptlysin 0)은 301(IU/ml)로 고가였다. PSG에서의 AHI는 0.3으로 이상은 없지만, 베드 파트너에 코골이 VAS는 7이었다.
우선 전처치로서, 주로 구개수 및 연구개점막에 대하여 약 5ml의 4% 키실로카인로써 표면마취 및 2ml의 1% 키실로카인E(아스트라제네카)로 침윤마취를 하였다. 다음에, 우편도의 상극의 점막하부조직을 중심으로 상기 치료제 0.6ml을 분주하였다.
[평가]
실시예 2-4에 관한 치료전 및 치료후의 구개편도점막조직을 구강내시진 또는 파이버스코프에 의해 관찰하였다. 여기에, 도 37은, 실시예 2-4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 또는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구개편도점막조직의 관찰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치료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에 의한 도면, (b)는 치료전의 파이버스코프에 의한 도면, (c)는 치료로부터 3주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에 의한 도면, (d)는 치료로부터 6주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에 의한 도면이다.
[결과]
도 3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전에는, 양측의 구개편도는 함께 편도동으로부터 인두강에 노출하여, Mackenzie 분류의 Ⅱ도 비대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양측 편도의 일부의 음와(陰窩)에 황백색의 농전의 저류도 인정되고 있었다(도면중의 화살표 참조).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버스코프 소견에서는, 양측편도의 비대가 구개인두궁 후방의 중인두강까지 돌출하고 있었다. 또한, 도 3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주간 후에는 분명한 우편도 상극부분의 용적의 축소가 보이고, 도 3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효과는 6주간 후에도 확인되었다. 또, 치료후의 임상경과 관찰중에, 인두감염증, 편도염의 급성증가악화 및 호흡곤란이나 연하곤란 등의 합병증상은 전무하였다.
[비교예 2-1]
본 발명의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한 치료제를 발견하기 전에, 환자의 동의하에 이하의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주로 코골이 증상이 있는 53세의 남성으로, 경도의 수면시 호흡장해를 동반한 구개수형의 코골이 증세였다.
먼저 전처치로서, 주로 구개수 및 연구개점막에 대하여 약 5ml의 4% 키실로카인으로 표면마취 및 2ml의 1% 키실로카인E(아스트라제네카)으로 침윤마취를 하였다. 다음에, 비교예에 관한 70% 에탄올로 이루어지는 치료제를 구개수 전체길이에 걸쳐 0.6ml 분주하는 치료를 하였다.
[평가]
비교예 2-1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개수점막조직을 구강내 시진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치료전과 치료로부터 2개월후에 있어서, 코골이음 10단계평가(VAS)를 하였다. 여기에, 도 38은, 비교예 2-1에 관한 치료전후의 구강내 시진에 기초한 안저 카메라에 의한 구개수점막조직의 도면으로, (a)는 치료전, (b)는 치료로부터 30분후, (c)는 치료로부터 1주간후, (d)는 치료로부터 2주간후, (e)는 치료로부터 4주간후, (f)는 치료로부터 5주간후, (g)는 치료로부터 2개월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8(b)중, 화살표는 주사바늘을 찌른 점을 나타내고, 점선은 찔러 넣는 경로를 가리킨다.
[결과]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전, 구개수의 길이는 약 19mm(세로파선 화살표), 그 폭은 약 8mm(횡파선 화살표)의 경도의 수면시 호흡장해를 동반한 구개수형의 코골이 증세였다. 치료후 30분에는,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개수 전체에 걸친 고도의 종창(등색의 점선으로 그려진 범위는 부어서 설근부에 숨은 구개수의 선단부를 나타낸다)과 함께, 일부의 점막면이 회자색∼흑자색의 색조로 변색하여, 점막조직에 강한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점쳐졌다. 제 3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후 1주간후의 소견에서는, 상상 이상으로 점막의 손상이 진행하여, 구개수점막 표면이 대부분 흰 괴사성 궤양병변이 형성되어 있고, 특히 선단부분의 점막은 사멸에 가까운 상태에 빠져, 회백색의 무기질로 치환되어 있었다(종화살표참조). 도 3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주간후에는 구개수의 괴사성 궤양의 병변부는 꽤 개선경향을 보이고 있지만(횡화살표 참조), 선단부의 사멸한 점막은 이미 탈락 소실하였던 것 같다. 도 3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주간후, 점막의 궤양부분은 더욱 축소하고 있지만, 도 3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주간후까지 점막국소 의 발적이나 염증반응 등은 소실 또는 퇴치되지 않았다. 또한, 도 38(g)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월후의 관찰에서는, 구개수의 점막창면은 거의 치유되고 있으며, 형상으로부터도 분명한 수축효과가 인정되지만(구개수 길이: 12mm), 구개수 선단부의 변형은 잔존한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전반을 통해서, 실시예에 관한 스테로이드제 함유 치료에 비교해서, 비교예에 관한 에탄올 치료제는, 보다 강한 조직침습성을 나타내었다. 그 치료후의 국소점막의 반흔 치유시간은, 동일액량의 에탄올의 스테로이드 함유 치료제의 예의 약 1∼2주간에 대하여, 본 증세예를 포함하여 평균하여(n= 3) 약 4∼5주간 전후로 배이상의 시간을 요하였다.
즉, 비교예에 관한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실제의 조직손상작용은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강하고, 점막하부조직에 주입된 에탄올에 의한 비특이적 염증성반응의 확대나 점막표층부에의 침습파급 등에 의해, 점막자체의 괴사성 궤양소의 형성이 야기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반흔치유후에도 구개수의 부분적 결손이나 변형이 남기 쉬운 결과가 되는 것이 분명해졌다. 또한, 염증성 반응의 확대에 따라 조직손상의 치유 기전이 천연화(遷延化)함에 따라서, 안정된 점막의 반흔수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는, 보다 장기간의 임상경과를 요하였다. 그리고, 당연히 긴 치유과정중에, 구강인두의 동통이나 위화감, 습식의 부자유, 식욕저하 등에 의한 환자측의 심신적 고통도는 배로 증가하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형태상으로, 구개수 전체는 자연의 형태대로 축소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의 구조적 결손 등에 의한 부자연한 변형을 일으키면, 어떠한 구강의 생 리기능 변화를 합병할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사실, UPPP(Uvulopalatop haryngoplasty) 등의 외과적 치료를 실시한 후, 구강점막의 장해에 의해 특히 미묘한 음성장해가 야기되었다.
이상으로부터, 구강인두점막조직의 치료에 있어서는,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한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더구나 침습성이 극히 작고,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이러한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를 사용한 점막조직에 관한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방법, 이러한 치료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
[부호의 설명]
10, 50, 70, 90, 104 : 주사기 12, 106 : 외통
14, 52, 112 : 피스톤 16 : 측부돌출부재
17 : 누름면 18, 54 : 스위치기구
20, 76, 96 : 바닥부재 22 : 약제용기
27, 27a : 바늘부재 28, 56, 116 : 제 1 원반부재
30, 58, 118 : 제 2 원반부재 32, 72, 92 : 원통체
34, 34a : 주사바늘 35a : 입구
35b : 개구부 36, 74, 94 : 마개부재
40 : 제 1 볼록부 42 : 제 2 볼록부
44, 62 : 제 3볼록부 46, 64 : 제 4 볼록부
48, 48a : 장착부 60a, 60b, 60c, 60d : 테이퍼형 부재
66 : 피스톤압출부재 68 : 코일스프링
86 : 핀부재 78 : 격벽
84, 102 : 파단유도부 85, 103 : 연계부
98 : 약제수납실 99 : 바깥면
100 : 지지부재 108, 110 : 개폐창
114 : 제 3 원반부재

Claims (46)

  1.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2.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과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탄올이 30∼95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5. 제 2 항에 있어서, 항히스타민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유효성분으로서 에탄올과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에탄올이 30∼95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항히스타민제가 0.01∼1.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외통과, 상기 외통내를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과, 외통의 측부에서 바깥측으로 힘이 가해져 돌출하여 설치된 측부돌출부재와, 상기 측부돌출부재를 외통 안쪽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피스톤 및 측부돌출부재와 계합하는 스위치기구와, 피스톤의 전진에 의해 수밀상태로 삽입가능한 바닥부재를 구비한 약제용기를 수납·유지하는, 피스톤의 전진하는 측의 외통내에 설치된 약제용기수납부와, 전진한 피스톤의 복귀를 방지하는 스토퍼기구와, 외통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주사바늘을 구비한 바늘부재를 가지며, 상기 약제용기수납부가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1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료제가 들어 있는 약제용기를 수납·유지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점막조직에 관한 질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온도제어수단을 더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
  28. 제 25 항에 있어서, 주사바늘의 선단부 5∼40mm 또는 주사바늘의 전부가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주사바늘의 바늘끝의 방향이, 주사바늘의 축방향에 대하여 0을 초과하여 1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
  30. 제 25 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후부가 외통의 후방에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
  31. 제 25 항에 있어서, 외통에 약제용기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
  32. 제 25 항 기재의 측부연속 푸쉬식 주사기와, 상기 주사기에 수납할 수 있는 상기 치료제가 들어 있는 약제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33. 제 32 항에 있어서, 측부돌출부재를 일회 누름으로써 0.01∼0.2mL 주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34. 제 32 항에 있어서, 약제용기가 동체부, 마개부재 및 바닥부재를 가지며, 상기 동체부에 2약제를 격리하는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35. 제 34 항에 있어서, 격벽둘레가장자리부가 동체부의 내면에 고착됨과 동시에, 격벽의 표면에 파단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36. 제 35 항에 있어서, 파단유도부가 C형상의 선형상 파단유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37. 제 34 항에 있어서, 약제용기가 격벽을 눌러 파단하는 핀부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38. 제 34 항에 있어서, 격벽이 마개부재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39. 제 32 항에 있어서, 약제용기가 동체부, 마개부재 및 바닥부재를 가지며, 상기 마개부재에 약제수납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40. 제 39 항에 있어서, 약제수납실의 바닥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약제수납실의 바닥부에 지지부재를 포위하는 파단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41. 제 40 항에 있어서, 파단유도부가 C형상의 선형상 파단유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42. 제 39 항에 있어서, 바늘부재의 주사바늘이 편심하여 설치되고, 바늘부재를 외통에 장착할 때에, 주사바늘의 후단부가 약제수납실의 바닥부를 눌러 파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43. 제 32 항에 있어서, 약제용기중의 치료제가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44. 제 32 항에 있어서, 약제용기중의 치료제가 제 14 항 기재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45. 제 34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제 2 항 기재의 비강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유효성분이 격리되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46. 제 34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제 14 항 기재의 구강인두점막조직 수축성 치료제의 유효성분이 격리되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구 세트.
KR1020057005275A 2002-09-26 2003-09-26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 KR100676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1321 2002-09-26
JPJP-P-2002-00281321 200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591A KR20050057591A (ko) 2005-06-16
KR100676577B1 true KR100676577B1 (ko) 2007-01-30

Family

ID=3204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275A KR100676577B1 (ko) 2002-09-26 2003-09-26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2353592A1 (ko)
JP (1) JP3833683B2 (ko)
KR (1) KR100676577B1 (ko)
CN (1) CN1684674B (ko)
AU (1) AU2003266644B2 (ko)
CA (1) CA2499907C (ko)
TW (1) TWI295574B (ko)
WO (1) WO2004028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3602B2 (en) 2000-06-16 2003-12-16 Novo Nordisk A/S Injection device
ZA200703707B (en) 2004-10-21 2009-02-25 Novo Nordisk As Dial-Down Mechanism for Wind-up Pen
CN101163514B (zh) 2005-04-24 2012-01-25 诺和诺德公司 注射装置
US8298194B2 (en) 2006-03-10 2012-10-30 Novo Nordisk A/S Injection device and a method of changing a cartridge in the device
US8361036B2 (en) 2006-03-10 2013-01-29 Novo Nordisk A/S Injection device having a gearing arrangement
CN101405044B (zh) 2006-03-20 2013-10-16 诺沃-诺迪斯克有限公司 注射针位置的测定
EP2019701B1 (en) 2006-05-16 2010-02-24 Novo Nordisk A/S A gearing mechanism for an injection device
DK2073871T3 (da) 2006-09-29 2013-06-10 Novo Nordisk As Injektionsanordning med elektroniske detekteringsmidler
AU2008231897B2 (en) 2007-03-23 2012-11-29 Novo Nordisk A/S An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locking nut
US9108006B2 (en) 2007-08-17 2015-08-18 Novo Nordisk A/S Medical device with value sensor
PL2229201T3 (pl) 2007-12-31 2012-10-31 Novo Nordisk As Elektronicznie monitorowane urządzenie do wstrzykiwania
US9533106B2 (en) 2011-12-29 2017-01-03 Novo Nordisk A/S Torsion-spring based wind-up auto injector pen with dial-up/dial-down mechanism
JP7202587B1 (ja) * 2022-08-30 2023-01-12 アットドウス株式会社 注射器及び注射器ユニ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0793A1 (en) * 1981-11-12 1983-06-08 John Joseph Jacklich A dental syringe
JPS58157142A (ja) * 1982-03-12 1983-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ドフレ−ムの自動収納装置
JPH0431892A (ja) * 1990-05-29 1992-02-04 Oki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信号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2015A (en) * 1965-02-08 1969-12-02 Merck & Co Inc Aerosol composition of phenylephrine tartrate and the production of such
US3946732A (en) * 1973-08-08 1976-03-30 Ampoules, Inc. Two-chamber mixing syringe
JPS5839620A (ja) * 1981-09-03 1983-03-08 Tokio Matsui 煙草やにとり組成物
JPS58157142U (ja) * 1982-04-13 1983-10-20 宮沢 幸敬 注射液を加温することのできる注射器
JPS60152415A (ja) * 1984-01-18 1985-08-10 Sato Seiyaku Kk 外用挫瘡治療剤
DE3687530T2 (de) 1985-06-27 1993-07-22 Duphar Int Res Spritze.
US4613326A (en) 1985-07-12 1986-09-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wo-component medication syringe assembly
IL86799A (en) 1987-07-02 1993-03-15 Kabi Pharmacia Ab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on
JPH0774152B2 (ja) * 1989-07-27 1995-08-09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皮膚外用液剤
JPH0614756Y2 (ja) 1991-06-26 1994-04-20 株式会社アルテ 組み立て式の2室式容器兼用注射器
JPH0550792A (ja) 1991-08-22 1993-03-02 Oohira:Kk ノツクシヤープペンシルにおける芯ロツク機構
JP2642582B2 (ja) 1992-04-30 1997-08-2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H06181985A (ja) 1992-09-18 1994-07-05 Takeda Chem Ind Ltd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H068688A (ja) 1993-03-22 1994-01-18 Ancos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JP3246998B2 (ja) 1993-11-17 2002-01-15 株式会社アルテ 2室式容器兼用注射器
JP3141372B2 (ja) 1993-11-26 2001-03-05 株式会社ニッショー 2成分予充填注射器
JP3009598B2 (ja) 1994-02-18 2000-02-14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H07251595A (ja) 1994-03-14 1995-10-03 Kotobuki:Kk 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H0834194A (ja) 1994-03-26 1996-02-06 A W Faber Castell Unternehmensverwaltung Gmbh & Co 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H07265423A (ja) 1994-03-28 1995-10-17 Shibuya Kogyo Co Ltd ダブルチャンバーシリンジの中栓の位置決め方法
JPH09297798A (ja) * 1996-05-08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機器のコピー防止装置
JP4026871B2 (ja) 1996-05-24 2007-12-26 株式会社大協精工 2室を結合した注射器
JP4026097B2 (ja) 1998-04-27 2007-12-26 株式会社トンボ鉛筆 シャープペンシルにおける芯送出機構
JP2000001088A (ja) 1998-06-15 2000-01-07 Pilot Precision Co Ltd 先端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0015987A (ja) 1998-07-06 2000-01-18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0025384A (ja) 1998-07-10 2000-01-25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0037987A (ja) 1998-07-23 2000-02-08 Kotobuki 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3931451B2 (ja) 1998-09-30 2007-06-13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プペンシル
JP2000211286A (ja) 1999-01-20 2000-08-02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2000280683A (ja) 1999-03-30 2000-10-10 Pentel Corp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1018579A (ja) 1999-07-12 2001-01-23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1270283A (ja) 2000-01-20 2001-10-02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及びその内部筆記機構
JP3783513B2 (ja) 2000-03-14 2006-06-07 コクヨ株式会社 繰出鉛筆
JP4736219B2 (ja) 2000-03-30 2011-07-27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4565729B2 (ja) 2000-10-20 2010-10-20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166692A (ja) 2000-12-01 2002-06-11 Pilot Precision Co Ltd 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192881A (ja) 2000-12-26 2002-07-10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JP4601185B2 (ja) 2001-02-08 2010-12-2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ノツ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4792654B2 (ja) 2001-04-24 2011-10-12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321493A (ja) 2001-04-27 2002-11-05 Suemine Takahashi ノック式ペンシル
JP2002326493A (ja) 2001-04-27 2002-11-12 Micro Kk シャ−プペンシル
JP2002347384A (ja) 2001-05-28 2002-12-04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347385A (ja) 2001-05-29 2002-12-04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362089A (ja) 2001-06-04 2002-12-18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362087A (ja) 2001-06-06 2002-12-18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362088A (ja) 2001-06-12 2002-12-18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362090A (ja) 2001-06-13 2002-12-18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2370489A (ja) 2001-06-13 2002-12-24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0793A1 (en) * 1981-11-12 1983-06-08 John Joseph Jacklich A dental syringe
JPS58157142A (ja) * 1982-03-12 1983-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ドフレ−ムの自動収納装置
JPH0431892A (ja) * 1990-05-29 1992-02-04 Oki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信号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080793 *
04031892
5815714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33683B2 (ja) 2006-10-18
WO2004028518A1 (ja) 2004-04-08
EP1557163A1 (en) 2005-07-27
CA2499907C (en) 2011-06-28
EP1557163A4 (en) 2009-03-18
CA2499907A1 (en) 2004-04-08
AU2003266644A1 (en) 2004-04-19
KR20050057591A (ko) 2005-06-16
AU2003266644B2 (en) 2008-04-03
CN1684674B (zh) 2012-05-30
TW200501934A (en) 2005-01-16
TWI295574B (en) 2008-04-11
EP2353592A1 (en) 2011-08-10
JPWO2004028518A1 (ja) 2006-02-09
CN1684674A (zh) 200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as et al. Dexamethasone reduces the severity of postoperative sore throat
KR100676577B1 (ko) 점막조직수축성 치료제, 주사기 및 치료구 세트
Bach et al. Drugs for pain management in shock wave lithotripsy
DK1838301T3 (en) Use of resiniferate toxin (RTX) for the preparation of a pain management agent
Nasiri et al. Does corticosteroid have any beneficial effect on voice change after thyroidectomy?
US20100022492A1 (en) Therapeutic causing contraction of mucosal tissue, method of treating diseases relating to mucosal tissues, injector and therapeutic set
JP4368858B2 (ja) 粘膜組織収縮性治療剤、粘膜組織に関わる疾患の治療方法、注射器、及び治療具セット
US11253575B2 (en) Collagenase Clostridium Histolyticum injection therapies
RU2371139C1 (ru) Способ анестези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их гинеколог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у женщин репродуктивного возраста
Bartmann et al. Minimally invasive surgery of the Horse: Upper Respiratory Tract, Thorax, Abdomen, Urogenital Tract
Ismail et al. Preincisional infiltration and intraperitoneal instillation of levobupivacaine 0.25% for management of early postoperative pain following laparoscopic ovarian drilling
US11369667B2 (en) Collagenase clostridium histolyticum for treatment of bladder dysfunction
Purser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ethanol to the tonsillar bed immediately following tonsillectomy does not improve post-operative analgesia
Parthasarathy et al. Excision of right nasolabial cyst under intra oral infra orbital nerve block-A case report and a short review
Bhatt et al. Use of inhaled nitrous oxide for minor eyelid surgery: a placebo-controlled study
RU2701363C1 (ru) Способ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ой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й анестезии при эндопротезировании тазобедренного сустава
RU2281760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го фарингита
RU2354386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рецидивов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рака мочевого пузыря
Bhargava et al. Twin mix formulation for mandibular anaesthesia for minor Oral surgical procedures
KLASSEN Rhinoscleroma treated with streptomycin and dexamethasone
King et al. Local Anesthesia in Otolaryngology and Rhinology
Meena et al. A CASE STUDY OF PARTIAL FISTULECTOMY WITH KSHARSUTRA LIGATION IN TRANSSPHINCTERIC FISTULA IN ANO
SCHUGT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of Tuberculosis of the Larynx
Sanap et al. NON SURGICAL MANAGEMENT OF LOW ANAL FISTULA IN ANO WITH SNUHI KSHARASUTRA-A CASE STUDY
RU2242169C2 (ru) Способ денервации чревного сплет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